KR101326994B1 -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994B1
KR101326994B1 KR1020110101214A KR20110101214A KR101326994B1 KR 101326994 B1 KR101326994 B1 KR 101326994B1 KR 1020110101214 A KR1020110101214 A KR 1020110101214A KR 20110101214 A KR20110101214 A KR 20110101214A KR 101326994 B1 KR101326994 B1 KR 10132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ouch
screen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953A (ko
Inventor
강기동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994B1/ko
Priority to JP2011270851A priority patent/JP6054027B2/ja
Priority to US13/339,982 priority patent/US20130091447A1/en
Priority to DE102012200672A priority patent/DE102012200672A1/de
Priority to CN201210146273.8A priority patent/CN103034432B/zh
Publication of KR2013003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의 크기가 작아 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컨텐츠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야 할 컨텐츠 가운데 1차적으로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우선 배열하고, 사용자의 특정 영역 화면 확대 명령 터치 입력(dynamic pinch/spread)이 있을 때, 해당 영역의 세부 상세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된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약정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영역의 컨텐츠를 소정 비율만큼 확대시켜 화면에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터치 스크린 화면에 함께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 입력없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정보가 확대된 화면상에 자동으로 함께 출력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컨텐츠에 포함된 하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A CONTENT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INFORMATION OF DISPLAY WHEREIN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의 화면출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의 크기가 작아 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컨텐츠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야 할 컨텐츠 가운데 1차적으로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우선 배열하고, 사용자의 특정 영역 화면 확대 명령 터치 입력(dynamic pinch/spread)이 있을 때, 해당 영역의 세부 상세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된 이동 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바이스(device) 혹은 터미널(terminal)로 일컬어지는 단말기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 외형은 갈수록 경박단소의 변화를 보이는 반면, 방송 수신이나 통신기기로서의 전통적인 기본 기능에 부가하여 예컨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등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왔다.
그 결과,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정보의 양은 점차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이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 얇고 그 크기도 일정 범위를 넘어설 수 없는 제한을 받고 있다.
특히, 우선 휴대하기가 편리하여야 한다는 점이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몸체(body)의 크기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연스럽게 그 몸체의 크기 이상이 될 수 없는 한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복수의 컨텐츠(예컨대, 인물, 문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네이게이션 등)를 표시하는 경우, 표시 영역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해당 컨텐츠를 대표하는 정보만이 표시되고,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포함된 하위정보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기능이 제공되더라도 복잡한 세팅 조작이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복수의 컨텐츠가 한 화면상에 함께 표시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정보 열람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이를 통해 해당 선택된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정보 열람 모드가 실행되게 되면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는 더이상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및 날씨 컨텐츠가 동시에 화면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 가운데 날씨 컨텐츠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날씨 컨텐츠를 선택하여 정보 열람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날씨에 관한 구체적인 하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정보 열람 모드의 실행으로 인해 그 밖의 네비게이션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는 표시될 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화면상에 표시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이외의 제반 컨텐츠에 대한 대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의 크기가 작아 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는 컨텐츠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해야 할 컨텐츠 가운데 1차적으로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우선 배열하고, 사용자의 특정 영역 화면 확대 명령 터치 입력(dynamic pinch/spread)이 있을 때, 해당 영역의 세부 상세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된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인지하는 터치 인터렉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을 통해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인지되게 되면 터치 입력이 인가된 영역의 컨텐츠를 약정된 비율만큼 확대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영역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확대된 컨텐츠와 함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위 정보가 계층적 구조로서 단계적으로 분할되어 관리되는 컨텐츠 분할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은 제어부내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을 통해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연이어 감지되게 되면, 각 감지 시점마다, 상기 계층적 구조의 하위 정보를 단계적으로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을 통해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게 되면, 각 감지 시점마다, 해당 영역의 컨텐츠를 소정 비율로 단계적으로 축소시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계층적 구조의 하위 정보를 단계적으로 화면에서 소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입력 인식단계와,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입력된 영역의 컨텐츠를 소정 비율만큼 확대시켜 화면에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함께 출력하는 확대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는 단계적으로 상세한 내용을 갖는 복수의 계층구조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인식단계에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연이어 감지되게 되면, 각 감지 시점마다, 상기 메모리로부터 단계적으로 하위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상기 확대 출력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인식단계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터치 입력 인식단계에서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각 인식 시점마다 해당 영역의 컨텐츠를 소정 비율만큼 축소시켜 화면에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화면에서 단계적으로 소거하는 축소 소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멀티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터치된 제1 지점 및 제2 지점간의 거리가 멀어져 약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입력의 형태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멀티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터치된 제1 지점 및 제2 지점간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도록 하여 약정된 거리를 이내로 좁혀지는 입력의 형태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은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더블터치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상에 복수의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된 터치 입력을 통하여 특정 영역 화면 확대를 실행하게 되면,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소정 비율로 확대함과 동시에 선택된 컨텐츠의 구체적인 정보와 다른 컨텐츠의 대표 정보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별도의 추가 입력없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정보가 확대된 화면상에 자동으로 함께 출력되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컨텐츠에 포함된 하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확대된 컨텐츠를 미리 설정한 약정된 입력을 통해 원래의 비율로 축소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제한된 크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효율적으로 최적화시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이동 단말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사용자의 기기 조작과 화면출력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면 확대 및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정보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면 확대를 통한 하위 컨텐츠 발현 및 화면 축소를 통한 하위 컨텐츠 소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메뉴 설정을 통한 하위 정보 표시대상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컨텐츠 확대 과정에서의 소정 시각 효과 부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을 더블 터치 입력의 방법으로 실행하는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설명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된 사례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구현 사례를 설명하는 것일 뿐, 차량에 거치되는 형태이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휴대 또는 다른 이용수단에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제공되는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별도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교통정보(예를 들어, TPEG 정보) 등의 데이터 방송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신호에 데이터 방송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방송신호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해 IP 컨텐츠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T(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아날로그 방송을 포함하여 상술한 예시에서 제시되지 않은 다른 형식의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구성으로서, 이동 단말기(100)내에 내장되거나 외장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대표적인 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이용된다. 이 위치 정보 모듈(115)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종합적으로 연산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이후에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지도상에 표시해주거나, 주행방향, 주행속도, 경로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상기 A/V 입력부(120)는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녹화 모드(Rec. mode)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21)에서 생성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예컨대 전,후 두 방향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는 멀티 채널(multi-channel)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 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변환된 음성 신호는 통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처리되어 안테나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경로 탐색을 위해 목적지나 출발지 등을 음성을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이동 단말기(100)가 약정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오감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신호로서 결과를 표출하도록 된 수단으로서, 대표적인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시각적인 정보로서 화면상에 출력하게 되는데 예컨대 이동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모드인 경우, 차량운행과 관련한 현재의 위치, 목적지, 경로 등의 정보와 지도, 속도, 방향, 거리 지시 등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이와 관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블랙박스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 또는 UI(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랙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영상이 표시되는 듀얼 디스플레이(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운전석에서 보면 지도가 보이고, 조수석에서 보면 방송 화면이 보이는 출력장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가운데 일부는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OLED(Transparant OLED)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뒷면 즉,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몸체(body)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복수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하나의 면에 이격된 형태로 또는 일체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면에 나뉘어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레이어(layer)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는 예컨대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된 것이다. 이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접촉에 대응되는 신호가 발생되어 터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되게 되며, 터치 제어기는 이를 처리한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게 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를 인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는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스크린에 근접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지정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동시에 두 지점 이상에 가해진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는데 이를 '멀티 터치(multi-touch)'라 한다.
한편, 음향 출력 모듈(152)은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한 음성정보(예컨대, 경고음, 알림음, 경로 안내 음성 등)를 출력하게 되는데,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으로 구성된다.
메모리(160)는 상기 제어부(180)의 데이터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전화번호부, 지도 정보, 오디오 및 영상정보 등과 같은 컨텐츠 자료를 데이터로 보관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출력부(15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빈도(예컨대, 자주 가는 목적지, 각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SD 또는 XD와 같은 카드 타입, 램(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가운데 어느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기도 하며, 이동 단말기(100) 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는 창구(device)이기도 하다.
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통신, 경로 검색, 블랙박스 녹화 등을 위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에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에는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약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여 상응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터치 인터렉션(interaction) 모듈(183)이 구비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40은 상기 제어부(180)의 통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상위 정보와 하위 정보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분할 저장부이다. 이 컨텐츠 분할 저장부(14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160)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메모리(160)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분할 저장부를 두지 않고 상기 제어부(180)가 메모리(16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선택적으로 억세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단계적으로 분할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 터치 인터렉션 모듈(182)은 반드시 제어부(180)내에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장치 전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는 바 형태의 몸체를 구비한 것이 예시된 것이지만, 2 이상의 몸체가 결합된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몸체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하고, 이 케이스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하거나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몸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인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는 음향출력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입력 버튼(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되며, 사용자 입력부(130)의 다른 입력수단과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 및/또는 리어 케이스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조작 유닛(uni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되는데, 사용자의 촉감에 의해 조작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조작 유닛은 시작, 종료 및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은 음향출력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및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들은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키패드의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자형을 선택하여 터치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를 이른바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한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 창에 구비된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배치되고, 입력창(151b)에는 주소/번지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지점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의 일측 영역에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레이어 구조로 구현된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한 터치 입력을 인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상기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예컨대,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술한 기능이 구비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것으로 한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에 구비된 전원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온(on) 시키게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51) 화면상에 여러가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초기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필요한 경우, 메모리(160)로부터 화면에 출력할 정보를 독출하고 이를 1차 화면에 출력할 대표 정보와 2차 화면에 출력할 하위 정보로 분할하여 컨텐츠 분할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분할 저장 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기 메모리(160)로부터 화면에 출력할 정보를 곧바로 억세스 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소정 비율로 분리하여 분리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401)
터치 스크린을 분리하는 비율 및 각각의 분리된 영역에 표시될 컨텐츠의 종류는 이동 단말기의 제작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가 한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되므로 각각의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정보는 한 화면에 모두 표시될 수 없고, 복수의 하위 정보 중 최소한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대표 정보가 컨텐츠와 함께 해당 영역에 표출되게 된다.
예컨대, 네비게이션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대표 정보로 표시할 수 있고, 뉴스 컨텐츠의 경우 기사의 헤드라인 정보를 대표 정보로 표시할 수 있으며, 날씨 컨텐츠의 경우 현재 외부 온도 및 날씨를 대표 정보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상기 분리 구획된 영역에 표시되면, 표시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미리 설정된 패턴의 터치 입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S402)
상기 미리 설정된 패턴의 터치 입력의 예로는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더블터치 등의 입력을 들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멀티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터치된 제1 지점 및 제2 지점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 상기의 내용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터치 입력과의 구분을 위해 선택된 컨텐츠를 확대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라고 칭한다.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으로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컨텐츠 및 선택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확대하여 표시한다.(S403)
이어, 제어부(180)는 확대된 영역 중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빈 공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404)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간단한 터치 입력만으로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의 확대 이미지와 함께 선택된 정보와 관련한 보다 구체적인 하위 정보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와 해당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이 함께 확대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선택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만이 확대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확대되는 비율은 이동 단말기의 제작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지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확대하고 이를 통해 하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동작에 있어서는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롱터치 입력이고, 확대되는 비율은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 중 50%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화면 구성은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이 소정 비율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역에 네비게이션 컨텐츠(540), 뉴스 컨텐츠(550), 비디오 컨텐츠(560) 및 날씨 컨텐츠(530)가 표출되게 된다.
이 가운데, 사용자가 예컨대 날씨 컨텐츠(530)를 롱터치 입력으로 선택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씨 컨텐츠의 영역과 그 안에 포함된 컨텐츠는 제어부(180)의 컨트롤에 의해 50% 확대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때, 확대된 영역의 여분의 공간에는 날씨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상세정보 즉, 하위 정보(540)가 표시된다. 이 하위 정보(540)에는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날짜, 온도, 시각효과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은 컨텐츠 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멀티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터치된 제1 지점 및 제2 지점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제1 패턴의 터치 입력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치의 입력과 이를 통한 컨텐츠의 확대 및 축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날씨 컨텐츠 상의 제1 지점(600) 및 제2 지점(610)을 동시에 터치한 상태에서, 도 6a와 같이 두 터치 지점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약정된 거리 이상 벌리게 되면, 제어부(180)의 터치 인터렉션 모듈(182)은 이를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기설정된 거리는 이동 단말기의 제작시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 컨텐츠(630)와 함께 해당 영역(631)을 50% 확대시켜 화면상에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컨텐츠 분할 저장부(140) 또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확대된 영역의 소정 공간에 날씨 컨텐츠에 포함된 상세 정보, 즉 날짜, 온도, 시각효과 등의 하위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가운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컨텐츠를 삭제하는 경우에도 멀티 터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의 멀티 터치는 두 터치 지점 사이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상 좁아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인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날씨 컨텐츠 상의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동시에 터치(멀티 터치)한 상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간격을 약정된 거리 이내로 좁히게 되면, 제어부(180)는 이를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여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축소함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를 화면에서 삭제(소거)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패턴의 터치 입력 또는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을 통해 화면 상에 출력된 복수의 컨텐츠 가운데 임의의 컨텐츠를 손쉽게 확대하여 그 하위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고, 반대로 축소시켜 화면에서 삭제(소거)할 수도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확대된 컨텐츠와 함께 제공될 하위 정보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메뉴를 통해 화면확대시 표시할 하위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메뉴(710)에 포함되는 컨텐츠에는 날씨 컨텐츠(720), 네비게이션 컨텐츠(730), 및 비디오 컨텐츠(7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 가운데 날씨 컨텐츠(720)를 선택하게 되면, 하위 정보 리스트가 화면 상에 출력되게 되는 바, 하위 정보에는 날짜 정보(721), 온도 정보(722), 시각효과 정보(723), 전국 날씨 정보(724), 및 최고 온도/최저 온도 정보(725)가 포함된다.
각각의 하위 정보는 체크 박스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체크 박스의 선택 여부를 통해 하위 정보로서 출력할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의 확대를 실행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소정의 시각효과가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시각효과를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은 롱터치 입력이고, 시각효과는 별도의 인디케이터(indicator)가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날씨 컨텐츠(800)가 롱터치 입력(810)으로 선택되게 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확대 대상인 날씨 컨텐츠(800)에 시각효과로서 인디케이터(820)가 표시되도록 하고, 이어 도 8b와 같이 날씨 컨텐츠(830)가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통해 자신이 확대하기 위해 선택한 컨텐츠가 날씨 컨텐츠 임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제2 패턴의 터치입력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이 구현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을 더블 터치 입력의 방법으로 실행하는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정보(900)를 포함한 날씨 컨텐츠가 화면상에 확대된 상태로 출력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소정 영역을 더블 터치(910)하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되었던 날씨 컨텐츠는 원래의 비율(920)로 축소되고 하위 정보는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더블 터치 입력을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으로 사용하여 간단하게 화면전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반 기능은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으나,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매체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고,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경우)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11 : 방송 수신 모듈 112 : 이동통신 모듈
113 : 무선 인터넷 모듈 114 : 근거리 통신 모듈
115 : 위치 정보 모듈 120 : A/V 입력부
121 : 카메라 122 : 마이크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컨텐츠 분할 저장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52 : 음향 출력 모듈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멀티미디어 모듈 182 : 터치 인터렉션 모듈
190 : 전원 공급부

Claims (11)

  1.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1 컨텐츠 영역, 제 2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2 컨텐츠 영역, 제 3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컨텐츠 영역, 제 4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4 컨텐츠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내지 제 4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 1 내지 제 4 컨텐츠를 상위 정보와 하위 정보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분할 저장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인지하는 터치 인터렉션(interaction) 모듈; 및
    상기 제 1 컨텐츠의 하위 정보가 상기 제 1 컨텐츠 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에 의해 상기 제 2 컨텐츠에 대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상기 제 2 컨텐츠를 약정된 비율만큼 확대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컨텐츠 분할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 2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확대된 제 2 컨텐츠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함께 상기 제 2 내지 제 4 컨텐츠 영역 전체 또는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컨텐츠 영역 전체에 출력하고, 상기 제 1 컨텐츠의 하위 정보는 상기 제 1 컨텐츠 영역에서 계속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분할 저장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컨텐츠의 하위정보를 상기 제 1 내지 제 4 컨텐츠의 상세정보로서, 계층적 구조로 단계적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은 제어부 내에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을 통해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연이어 감지되게 되면, 각 감지 시점마다, 상기 계층적 구조의 하위 정보를 단계적으로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터렉션 모듈을 통해 상기 제 2 컨텐츠에 대한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각 감지 시점마다, 상기 제 2 컨텐츠를 소정 비율로 단계적으로 축소시켜 상기 제 2 컨텐츠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계층적 구조의 하위 정보를 단계적으로 화면에서 소거하며, 상기 제 3 컨텐츠 영역에 상기 제 3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 4 컨텐츠 영역에 상기 제 4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제 1 컨텐츠 영역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계속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6. 터치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제 1 내지 제 4 컨텐츠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4 컨텐츠를 각각 표시하는 제 1 내지 제 4 컨텐츠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 영역에 상기 제 1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컨텐츠 영역에 상기 제 2 내지 제 4 컨텐츠의 상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제 2 컨텐츠에 대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입력 인식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츠의 하위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컨텐츠를 소정 비율만큼 확대시켜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확대된 제 2 컨텐츠와 상기 하위정보를 함께 상기 제 2 컨텐츠 영역 내지 상기 제 4 컨텐츠 영역 전체 또는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컨텐츠 영역 전체에 출력하는 확대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는 단계적으로 상세한 내용을 갖는 복수의 계층구조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인식단계에서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연이어 감지되게 되면, 각 감지 시점마다, 상기 메모리로부터 단계적으로 하위 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상기 확대 출력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인식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 인식단계에서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각 인식 시점마다 해당 영역의 컨텐츠를 소정 비율만큼 축소시켜 화면에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정보를 화면에서 단계적으로 소거하는 축소 소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멀티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터치된 제1 지점 및 제2 지점간의 거리가 멀어져 약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입력의 형태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상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멀티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터치된 제1 지점 및 제2 지점간의 거리가 점차 가까워지도록 하여 약정된 거리를 이내로 좁혀지는 입력의 형태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터치 입력은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더블터치 가운데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KR1020110101214A 2011-10-05 2011-10-05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2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14A KR101326994B1 (ko) 2011-10-05 2011-10-05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1270851A JP6054027B2 (ja) 2011-10-05 2011-12-12 移動端末機の画面出力最適化のためのコンテンツ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13/339,982 US20130091447A1 (en) 2011-10-05 2011-12-29 Cont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information on display screen of mobile device
DE102012200672A DE102012200672A1 (de) 2011-10-05 2012-01-18 Inhaltssteuerverfahren und -system zum Optimieren von Information auf einem Anzeigebildschirm einer mobilen Einrichtung
CN201210146273.8A CN103034432B (zh) 2011-10-05 2012-01-31 用于优化移动装置显示屏上信息的内容控制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214A KR101326994B1 (ko) 2011-10-05 2011-10-05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53A KR20130036953A (ko) 2013-04-15
KR101326994B1 true KR101326994B1 (ko) 2013-11-13

Family

ID=4790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14A KR101326994B1 (ko) 2011-10-05 2011-10-05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091447A1 (ko)
JP (1) JP6054027B2 (ko)
KR (1) KR101326994B1 (ko)
CN (1) CN103034432B (ko)
DE (1) DE102012200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6258A1 (en) * 2012-06-26 2013-12-26 Arish Ali Interactive digital catalogs for touch-screen devices
JP6296356B2 (ja) * 2012-10-29 2018-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装置
DE102013209207A1 (de) * 2013-05-17 2014-11-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berührungsempfindlichen Anzeige- und Bedieneinheit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102208436B1 (ko) * 2013-08-0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WO2015063542A1 (en) * 2013-10-29 2015-05-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dvanced capacitive slider for intuitive cost effective hmi applications
KR102189451B1 (ko) 2013-12-27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USD752631S1 (en) * 2014-01-0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91423B2 (en) 2014-03-20 2021-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let display on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101565781B1 (ko) * 2014-06-11 2015-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계기판, 차량 및 차량용 계기판의 제어 방법
DE102014211342A1 (de) * 2014-06-13 2015-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Anpassen einer semantischen Skalierung einer Kachel
US20160048294A1 (en) * 2014-08-15 2016-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rect Access Application Representations
JP6206459B2 (ja) * 2015-09-02 2017-10-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機器、表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357451B (zh) * 2015-12-04 2019-11-29 Tcl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滤镜特效的图像处理方法及装置
EP3414711A1 (en) 2016-02-10 2018-12-19 Polaris Industries Inc. Recreational vehicle group management system
USD799518S1 (en) * 2016-06-11 2017-10-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173594S (en) 2016-09-14 2019-07-17 Gamblit Gaming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36161B2 (en) 2016-10-10 2021-03-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adapting the presentation and us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0190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541B2 (ja) * 1995-10-16 2001-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検索装置および情報検索方法
JPH1040055A (ja) * 1996-07-18 1998-02-13 Koonet:Kk 情報提供装置及び記憶媒体
US7840912B2 (en) * 2006-01-30 2010-11-23 Apple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JP2001265480A (ja) * 2000-01-14 2001-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端末表示方法、端末装置、及び当該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44504A (ja) * 2001-02-20 2002-08-30 Konica Corp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付き画像形成装置
CN101379461A (zh) * 2005-12-30 2009-03-04 苹果公司 具有多重触摸输入的便携式电子设备
JP4982505B2 (ja) * 2007-01-25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100138295A1 (en) * 2007-04-23 2010-06-03 Snac, Inc. Mobile widget dashboard
US9772751B2 (en) *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US11126321B2 (en) * 2007-09-04 2021-09-21 Apple Inc. Application menu user interface
WO2010000074A1 (en) * 2008-07-03 2010-01-07 Germann Stephen R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metadata to data sets of file objects
WO2010035180A2 (en) * 2008-09-24 2010-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user interface for a multi-point touch sensitive device
JP5174616B2 (ja) * 2008-10-27 2013-04-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
US8453057B2 (en) * 2008-12-22 2013-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265433B2 (ja) * 2009-03-27 2013-08-14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373669B2 (en) * 2009-07-21 2013-02-12 Cisco Technology, Inc. Gradual proximity touch screen
US8957920B2 (en) * 2010-06-25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Alternative semantics for zoom operations in a zoomable scene
US9250798B2 (en) * 2011-01-24 2016-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KR101709510B1 (ko) * 2011-06-03 2017-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256361B2 (en) * 2011-08-03 2016-02-09 Ebay Inc. Control of search results with multipoint pinch ges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0190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53A (ko) 2013-04-15
CN103034432A (zh) 2013-04-10
CN103034432B (zh) 2017-10-20
JP2013084232A (ja) 2013-05-09
US20130091447A1 (en) 2013-04-11
DE102012200672A1 (de) 2013-04-11
JP6054027B2 (ja)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994B1 (ko)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38825B1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선택영역 상세 정보 표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9928028B2 (en) Mobile terminal with voice recognition mode for multitas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73631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267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63196A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분할 화면 연동 표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6958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58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1412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45002B1 (ko)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314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KR2014000324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6019605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78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05566B1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순차적 화면 전환 표시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2510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가이드 표시 방법
KR101856258B1 (ko) 다이나믹 터치 인터렉션을 이용한 화면 분할 방법
KR10204646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00041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1017018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9943A (ko) 터치 입력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945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제공 방법
KR201300894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