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190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190A
KR20120070190A KR1020100131630A KR20100131630A KR20120070190A KR 20120070190 A KR20120070190 A KR 20120070190A KR 1020100131630 A KR1020100131630 A KR 1020100131630A KR 20100131630 A KR20100131630 A KR 20100131630A KR 20120070190 A KR20120070190 A KR 2012007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widget
application
pin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523B1 (ko
Inventor
강래훈
이지연
장형태
장석진
이춘재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23B1/ko
Priority to EP11170250.2A priority patent/EP2469388B1/en
Priority to US13/169,849 priority patent/US9459788B2/en
Priority to CN201110433374.9A priority patent/CN102609183B/zh
Publication of KR2012007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의 핀치 인(pinch in) 입력에 대응하여 애플케이션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애플리케이션 화면 대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치 인 입력과 핀치 아웃 입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위젯을 표시하거나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치 인(pinch in) 및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나 위젯(Widgets) 기능의 제공 등이 있다.
한편, 타블렛 타입(Tablet type)과 같이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경우, 별도의 키패드나 키보드 등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한 설계에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도, 특정 기능이나 메뉴 등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운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입출력 방식과 다른 새로운 입출력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핀치 인(pinch in) 입력과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의 핀치 인(pinch in)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케이션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의 핀치 인(pinch in)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케이션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치 인 입력과 핀치 아웃 입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위젯을 표시하거나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하거나 그 반대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핀치 인 입력과 핀치 아웃 입력을 일반적인 키 입력이나 터치 입력 등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서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상태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특히 타블렛 컴퓨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3), 카메라(121), 및 사용자 입력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 측면에서 다른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마이크(미도시), 및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 문자 또는 숫자, 특수 기호 등의 입력, 동작 모드의 선택,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 등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다른 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장착되는 다른 카메라는 전면에 배치된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에 배치는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후면에 배치는 카메라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다른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음향출력 모듈은 전면에 배치된 음향출력 모듈(153)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이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200). 그리고,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5).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메시지 전송, 인터넷 접속, 방송 시청, 카메라 촬영, 게임, 이미지 보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등과 같은 동작 메뉴의 실행이나, 기타 휴대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실행이나 프로그램 실행 등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핀치 인(pinch in)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여기서, 핀치 인(pinch in) 입력은 두 개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멀티 터치한 후, 터치된 손가락의 간격을 좁혀주는 동작에 의한 입력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는 핀치 크로우즈(pinch close)나 줌 아웃(zoom out)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핀치 인 입력은 이미지나 웹페이지 등을 축소할 때 사용할 수 있다.
S210 단계의 판단 결과, 핀치 인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핀치 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며 표시한다(S215).
만일,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계속 축소되어 미리 설정된 기준 크기 이하가 되는 경우(S220),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대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한다(S255).
위젯(Widgets)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작은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즉, 위젯은 독립 실행가능한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 및 배포하기가 용이하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와 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되어, 관련있는 컨텐츠나 정보만 제공할 수 있도록 꾸밀 수 있다. 위젯의 종류에는, 시계나 달력 등과 같은 액세서리 위젯, 게임이나 주소록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위젯, 기상이나 주식 등과 같은 정보 위젯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위젯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위젯에서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여기서, 핀치 아웃(pinch out)하는 입력은 두 개의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멀티 터치한 후, 터치된 손가락의 간격을 벌려 주는 동작에 의한 입력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는 핀치 오픈(pinch open)이나 줌 아웃(zoom out)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핀치 아웃 입력은, 이미지나 웹페이지를 확대하는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S230 단계의 판단 결과, 핀치 아웃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위젯 대신 원래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S205). 또한, 위젯에 대한 핀치 인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S235), 제어부(180)는 위젯 대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한다(S240).
바로가기 아이콘을 탭핑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S245), 제어부(180)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S205).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이 있는 경우(S250), 제어부(180)는 바로가기 아이콘 대신 위젯을 표시한다(S225).
그리고, 핀치 인이나 핀치 아웃 등의 입력외에 키 입력이나 기타 다른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S255),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6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핀치 인 입력과 핀치 아웃 입력 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모드, 위젯 표시 모드, 아이콘 표시 모드 등으로 표시 모드를 전환하여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상태도이다. 본 상태도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위젯 표시, 바로가기 아이콘 표시로 표시 모드가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모드(300)에서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한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일정 크기 이하가 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하는 위젯 표시 모드(310)로 전환된다.
위젯 표시 모드(310)에서 위젯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이 있는 경우, 다시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모드(300)로 전환한다. 그리고, 위젯 표시 모드(310)에서 위젯에 대한 핀치 인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가기 아이콘를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 모드(320)로 전환한다.
아이콘 표시 모드(320)에서 아이콘을 가볍게 터치하는 탭핑 입력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화면 표시 모드(300)로 전환하여, 원래 표시되었던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아이콘 표시 모드(320)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이 있는 경우, 위젯 표시 모드(310)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핀치 인 입력과 핀치 아웃 입력 등을 이용하여 표시 모드를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이메일 화면(400)에서 핀치인 입력(403)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핀치 인 입력(403)이 있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치 인 입력(403)에 대응하여 축소된 크기의 이메일 화면(405)이 표시된다.
만일, 축소된 크기의 이메일 화면(405)이 핀치 인 입력에 따라 계속 축소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축소된 경우,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메일 위젯(407)이 표시된다.
또한, 이메일 위젯(407)에 대한 핀치 인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메일 위젯(407) 대신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409)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메일 위젯에는 최근 수신한 메일의 내용(411)과 읽지 않은 메일의 개수(41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에는 읽지 않은 메일의 개수(423)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대응하는 위젯이나 바로가가 아이콘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가기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430)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433)이 있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로가기 아이콘 대신 위젯(435)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젯(435)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이나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탭핑 입력시 원래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450)에서 핀치 인 입력(453)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핀치 인 입력(453)이 있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치 인 입력(453)에 대응하여 축소된 크기의 웹페이지 화면(455)이 표시된다.
만일, 축소된 크기의 웹페이지 화면(455)이 핀치 인 입력에 따라 계속 축소되어 일정 크기 이하로 크기가 축소된 경우,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 화면에 대응하는 위젯(473)이 표시된다.
이때, 웹페이지 화면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RSS(RDF Site Summary)가 있을 때, RSS 위젯으로 전환하고, RSS가 없는 웹사이트인 경우,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표시된 웹페이지 화면을 이용한 위젯(483)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RSS는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 화면의 위젯에 대한 핀치 인 입력(483)이 있는 경우에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젯 대신 웹 페이지 화면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48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일정 화면(500)에서 핀치인 입력(503)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핀치 인 입력(503)에 따라 일정 화면(500)의 크기가 축소되어 일정 크기 이하가 되는 경우,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늘 날짜와 최근 설정된 일정 등을 나타내는 일정 위젯(50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위젯(505)에 대한 핀치 인 입력(507)이 있는 경우,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늘 날짜를 표시하는 바로가기 아이콘(509)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뮤직 앨범 화면(540)에서 핀치인 입력(543)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핀치 인 입력(543)에 따라 뮤직 앨범 화면(540)의 크기가 축소되어 일정 크기 이하가 되는 경우,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타이틀, 뮤직 재생 등과 관련된 위젯을 포함하는 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재생과 관련된 위젯에 핀치 인 입력(553)이 있는 경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뮤직 앨범 화면 바로가기 아이콘(557)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동영상 재생 화면(600)에서 핀치인 입력(603)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핀치 인 입력(603)에 따라,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에 대한 위젯을 포함하는 화면(610)이 표시되고, 위젯에 대한 핀치 인 입력(613)이 있는 경우,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바로 아이콘(615)을 다른 아이콘과 정렬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재생 화면을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위젯으로 전환하는 경우, 동영상 재생은 일시 정지 상태로 표시하고, 위젯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이 있는 경우, 원래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하면서 일시 정지가 해제되고 재생이 다시 시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의 (a)는 일기예보 화면(630)에서 핀치인 입력(633)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핀치 인 입력(633)에 따라,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의 날씨 정보 및 날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위젯(643)이 표시되고, 위젯(643)에 대한 핀치 인 입력(643)이 있는 경우,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기예보 화면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과 정렬되어 표시된 화면(6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갤러리 화면에서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슬라이드 모드로 전환된 위젯을 표시할 수 있고, 트위터 화면에서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면서 최근 몇개의 내용을 표시하는 위젯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 리스트의 경우 위젯화하면 최근 작성된 메모 내용을 표시할 수 있고, 알람이나 뮤직 등의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경우, 위젯화하면 현재 시간을 알려주는 위젯으로 변환할 수 있다.
주식 화면의 경우,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주가 지수 및 관심 종목의 주가를 표시하는 위젯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문서 뷰어 화면의 경우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최근 읽어던 문서가 커버로 표시되는 위젯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위젯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의 핀치 인(pinch in)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케이션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에 대한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에 따라, 상기 위젯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에 대한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상기 위젯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을 탭핑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에 따라,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 대신 상기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과 함께 정렬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는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의 핀치 인(pinch in)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애플케이션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하가 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젯상의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에 따라, 상기 위젯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젯에 대한 핀치 인 입력에 따라, 상기 위젯 대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을 탭핑는 입력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콘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콘 대신 상기 위젯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131630A 2010-12-21 2010-12-21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30A KR101729523B1 (ko) 2010-12-21 2010-12-21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11170250.2A EP2469388B1 (en) 2010-12-21 2011-06-16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3/169,849 US9459788B2 (en) 2010-12-21 2011-06-27 Mobile terminal for changing display mode of an application based on a user input oper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10433374.9A CN102609183B (zh) 2010-12-21 2011-12-21 移动终端及其操作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30A KR101729523B1 (ko) 2010-12-21 2010-12-21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190A true KR20120070190A (ko) 2012-06-29
KR101729523B1 KR101729523B1 (ko) 2017-04-24

Family

ID=4560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630A KR101729523B1 (ko) 2010-12-21 2010-12-21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59788B2 (ko)
EP (1) EP2469388B1 (ko)
KR (1) KR101729523B1 (ko)
CN (1) CN10260918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994B1 (ko) * 2011-10-05 2013-11-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45121A (ko) * 2013-10-18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8878A (ko) * 2014-06-13 2017-01-2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210107003A (ko) * 2018-12-26 2021-08-3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KR20120080922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64333B1 (ko) * 2011-03-21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256361B2 (en) * 2011-08-03 2016-02-09 Ebay Inc. Control of search results with multipoint pinch gestures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30052753A (ko) * 2011-08-16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495012B2 (en) *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JP5762944B2 (ja) * 2011-12-28 2015-08-12 京セラ株式会社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19530A (ko) * 2012-08-06 2014-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JP5932563B2 (ja) * 2012-08-10 2016-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での処理実行方法
US9075460B2 (en) * 2012-08-10 2015-07-07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momentum based zoom of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004986B1 (ko) * 2012-09-17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JP6039990B2 (ja) * 2012-10-11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090964B1 (ko) * 2013-02-22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WO2014157894A1 (en) *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CN103279261B (zh) * 2013-04-23 2016-06-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讯设备及其窗口小部件的添加方法
EP2992409A4 (en) * 2013-04-30 2016-11-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NTENT PREVIEW PRODUCTION
US9836199B2 (en) * 2013-06-26 2017-12-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interface device and display object operating method
WO2014205605A1 (en) * 2013-06-28 2014-12-31 France Telecom Method to select por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B2516472B (en) * 2013-07-24 2020-07-29 Wsou Invest Llc Methods and Apparatuses Relating to the Display of User Interfaces
KR102148725B1 (ko) * 2013-07-31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455245B (zh) * 2013-08-20 2017-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微件面积调节的方法及装置
JP2015066979A (ja) * 2013-09-26 2015-04-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用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小型船舶
US20150113429A1 (en) * 2013-10-21 2015-04-23 NQ Mobile Inc. Real-time dynamic content display layer and system
WO2015149347A1 (en) 2014-04-04 2015-10-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KR20160144445A (ko) * 2014-04-11 2016-12-16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마일스톤, 및 스토리라인
US20150339024A1 (en) * 2014-05-21 2015-11-26 Aniya's Production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O2016018062A1 (en)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US20160034153A1 (en) * 2014-07-31 2016-02-04 Microsoft Corporation Icon Resizing
KR102391772B1 (ko) 2014-08-28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CN104298444B (zh) * 2014-09-25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60039501A (ko) * 2014-10-01 201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8044B1 (ko) * 2014-11-03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71133A (ko) * 2014-12-11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319456B1 (ko) * 2014-12-15 2021-10-28 조은형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CN104834437B (zh) * 2015-05-28 2018-09-14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分屏操作方法及终端
CN104866230A (zh) * 2015-06-12 2015-08-26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
CN106708399A (zh) * 2015-11-17 2017-05-24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具有双侧边曲面屏幕的电子终端的触控方法和设备
CN105786310A (zh) * 2015-11-17 2016-07-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图标的排序方法及装置
CN105630307A (zh) * 2015-12-23 2016-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在移动终端显示多个应用的装置及方法
CN106201189A (zh) * 2016-06-30 2016-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微件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8399033B (zh) * 2017-02-07 2020-01-2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视图切换方法及装置
KR102332483B1 (ko) 2017-03-06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301066A (zh) * 2017-05-25 2017-10-27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账户快速登录的方法、移动终端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07368234A (zh) * 2017-07-13 2017-11-21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字体调节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8920040B (zh) * 2018-07-25 2021-04-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整理方法及移动终端
JP6568331B1 (ja) * 2019-04-17 2019-08-2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49090B (zh) * 2020-02-11 2022-10-25 荣耀终端有限公司 卡片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98125A1 (en)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CN114691249A (zh) * 2020-12-25 2022-07-0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屏的桌面显示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5344185A (zh) * 2021-04-28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界面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268735A (zh) * 2021-04-30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其设备
CN114510310A (zh) * 2022-02-16 2022-05-17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显示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472B2 (ja) * 1991-06-25 2004-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US5838317A (en) * 1995-06-30 1998-11-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displayed graphical representations on a computer interface
US6300947B1 (en) * 1998-07-06 2001-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screen and window size related web page adaptation system
EP1026572B1 (en) * 1999-02-02 2004-10-20 Casio Computer Co., Ltd. Window display controller and its program storage medium
US20050068290A1 (en) * 2003-09-28 2005-03-31 Denny Jaeger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user-friendly grids
JP2005202483A (ja) * 2004-01-13 2005-07-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992103B2 (en) * 2004-04-26 2011-08-02 Microsoft Corporation Scaling icons for representing files
JP4763695B2 (ja) * 2004-07-30 2011-08-3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センシティブ入力デバイスのためのモード・ベース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060236264A1 (en) * 2005-04-18 2006-10-1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window resize behavior and optimizations
AU2006332488A1 (en) * 2005-12-30 2007-07-12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input
US8464177B2 (en) * 2006-07-26 2013-06-11 Roy Ben-Yoseph Window resiz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80168367A1 (en) * 2007-01-07 2008-07-10 Chaudhri Imran A Dashboards, Widgets and Devices
US8881052B2 (en) 2007-03-21 2014-11-04 Yaho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widgets through a widget dock user interface
WO2008131417A1 (en) * 2007-04-23 2008-10-30 Snac, Inc. Mobile widget dashboard
US9179086B2 (en) * 2007-05-07 2015-11-0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ally updating applications in a television display environment
US7949954B1 (en) * 2007-08-17 2011-05-24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ynamic functionality based on window characteristics
KR20110066950A (ko) 2008-09-24 2011-06-1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지점 터치 감응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567785B1 (ko) * 2009-05-28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줌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31630A (ko) 2009-06-08 2010-12-16 경종만 자동차
US20100313129A1 (en) * 2009-06-08 2010-12-09 Michael Hyman Self-Expanding AD Unit
US20120046075A1 (en) * 2010-08-20 2012-0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devices
US9239674B2 (en) * 2010-12-17 2016-01-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 effects for different imple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 touch ev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994B1 (ko) * 2011-10-05 2013-11-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화면출력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45121A (ko) * 2013-10-18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963139B2 (en) 2013-10-18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307745B2 (en) 2013-10-18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809693B2 (en) 2013-10-18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08878A (ko) * 2014-06-13 2017-01-2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210107003A (ko) * 2018-12-26 2021-08-3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US11960326B2 (en) 2018-12-26 2024-04-16 Line Corporation Control method, program, and display device for reproducing a moving image on folda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09183B (zh) 2016-05-04
US20120159386A1 (en) 2012-06-21
US9459788B2 (en) 2016-10-04
EP2469388B1 (en) 2018-10-24
EP2469388A3 (en) 2013-03-13
KR101729523B1 (ko) 2017-04-24
EP2469388A2 (en) 2012-06-27
CN102609183A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5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630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1708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702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11652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5445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06744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78008A (ko)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58117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6750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46178A (ko) 이동 단말기
KR10165754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049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10577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971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367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37654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320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1613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681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7957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86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581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0050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933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