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003A -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003A
KR20210107003A KR1020217018873A KR20217018873A KR20210107003A KR 20210107003 A KR20210107003 A KR 20210107003A KR 1020217018873 A KR1020217018873 A KR 1020217018873A KR 20217018873 A KR20217018873 A KR 20217018873A KR 20210107003 A KR20210107003 A KR 2021010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v
moving image
folding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타카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Abstract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으로서, 표시 영역 중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동영상 위치 정보와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수의 표시면을 갖고 폴딩 가능한 멀티패널 장치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표시면을 갖는 멀티패널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표시 양태의 검토까지는 충분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제2012-502321호 공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영상 위치 정보와 상기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에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영상 위치 정보와 상기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에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영상 위치 정보와 상기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 1]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통신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서의 통신 시스템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의 외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본 실시 형태의 단말이 구비하는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본 실시 형태에서의 디스플레이의 동영상의 외관 크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의 폴딩 각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의 폴딩 각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본 실시 형태의 폴딩 각도가 180도를 넘어 가변인 단말에 대한 외관 크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본 실시 형태의 단말과 이용자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본 실시 형태의 단말이 구비하는 제어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4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표시 배율별 동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5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6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기 전의 동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가 이동된 후의 동영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 이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의 교체 전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의 교체 후의 동영상의 표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법적 사항 준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통신 비밀 등, 본 발명의 수행에 필요한 실시국의 법적 사항 준수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1 또는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이 접속된다. 서버(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실현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20)에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단말(20)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단말(20)과 하나 이상의 서버(10)를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네트워크(30)는, 단말(20)이 서버(10)에 접속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30)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네트워크(3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드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사설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VPN),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LAN(Wireless LAN: W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무선 WAN(Wireless WAN: WWAN), 대도시 권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인터넷의 일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의 일부, 휴대 전화망,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무선 LAN,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위성 통신 등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은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단말이라면 어떤 단말이라도 좋다.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스마트폰, 휴대전화(피처폰),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휴대용 컴퓨터 장치(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메일 클라이언트 등),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장치, 시계형 장치 등),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20)은 정보 처리 단말이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단말(20A), 단말(20B) 및 단말(20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 X가 사용하는 단말을 단말 20X로 표현하고, 사용자 X 또는 단말 20X에 대응 지어진 소정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X라고 표현한다. 또한, 사용자 정보란, 소정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계정에 대응 지어진 사용자의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소정 서비스에 의해 부여되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아이콘 이미지,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취미 기호, 사용자의 식별자 등의 사용자에게 대응 지어진 정보를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는 단말(20)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버(10)는 각 실시 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라면 어떤 장치라도 좋다. 서버(1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 장치,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휴대용 컴퓨터 장치(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또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서버(10)와 단말(20)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서버(10)와 단말(20)은 각각 정보 처리 장치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하드웨어(HW) 구성>
도 1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HW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단말의 HW 구성
단말(20)은 제어부(21)(CPU: 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 저장부(28), 통신 I/F(22)(인터페이스), 입출력부(23), 표시부(24), 마이크(25), 스피커(26), 카메라(27)를 구비한다. 단말(2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한, 단말(2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은 마이크(25), 카메라(27) 등의 개개의 구성 요소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10)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22)는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22)를 단지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22)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23)는 단말(2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 및 단말(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입출력부(23)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입력부와 출력부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의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스피커(음성 출력), 렌즈(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3D(three dimensions) 출력이나 홀로그램 출력),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4)는, 프레임 버퍼에 기록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부(24)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DM: Head Mounted Display), 프로젝션 맵핑, 홀로그램, 공기 중(진공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음) 등에 이미지나 텍스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표시부(24)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입출력부(23)가 터치 패널인 경우, 입출력부(23)와 표시부(2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부(2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한다.
저장부(28)는 단말(20)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28)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 각종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8)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단말(20)은 프로그램(P)을 저장부(28)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제어부(21)가 실행한다. 즉, 저장부(28)에 저장되는 프로그램(P)은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단말(20)로 실현시킨다. 또한, 이 프로그램(P)은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마이크(25)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스피커(26)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이용된다. 카메라(27)는 동영상 데이터의 취득에 이용된다.
(2) 서버의 HW 구성
서버(10)는 제어부(11)(CPU), 저장부(15), 통신 I/F(14)(인터페이스), 입출력부(12), 디스플레이(13)를 구비한다. 서버(1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B)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또한, 서버(10)의 HW는, 서버(1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의 HW는 디스플레이(13)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1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구비하며,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1)는 대표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며, 그 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라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1)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5)는 서버(10)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저장부(1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각종 저장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저장부(15)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15)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간에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단말(20)과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통신 I/F(14)는, 제어부(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단말(2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I/F(14)는 단말(20)로부터 전송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14)를 단지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14)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12)는 서버(1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대표적으로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장치로 실현된다. 또한, 입출력부(12)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입출력부(12)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3)는 대표적으로는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3)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등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13)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3)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는 프로그램(P)을 저장부(15)에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1)가 제어부(1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저장부(15)에 저장되는 프로그램(P)은 제어부(1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서버(10)로 실현시킨다. 이 프로그램(P)은 프로그램 모듈이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20) 및/또는 서버(10)의 CPU가 프로그램(P)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단말(20)의 제어부(21) 및/또는 서버(10)의 제어부(11)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CPU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각각의 처리를 실현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를 하나의 집적 회로로 실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프로그램(P)(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 매체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의 매체」에 프로그램(P)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P)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의 기능을 저장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P)과 조합하여 실현할 수 있는 것,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기반의, 또는 다른 집적 회로(IC)(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HDD(Hard Disk Drive), HHD(Hybrid Hard Drive), 광디스크, ODD(Optical Disk Drive), 광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켓, FDD(Floppy Disk Drive), 자기 테이프, SSD(Solid State Drive), RAM 드라이브, 보안 디지털 카드나 드라이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적절한 경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저장 매체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P)을 저장할 수 있으면 어떤 장치나 매체라도 좋다. 또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memory)라고 표현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P)을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P)을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P)은, 당해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 제공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P)을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는 프로그램(P)이 전자적 전송에 의해 구현된, 반송파에 포함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단말(2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10)에 의해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단말(20)의 제어부(2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서버(10)로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서버(1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20)에 의해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의 제어부(1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 처리를 단말(20)로 수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판정의 구성은 필수가 아니라, 판정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소정 처리가 실행되거나, 판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소정 처리가 실행되거나 해도 좋고, 그렇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 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 상표) 등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HTML5 등의 마크 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단말(20)의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외관 크기 등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형태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상이한 각 실시 형태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의 외관 구성]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20)의 외관 구성의 일례이다. 이 단말(20)은 표시 장치(D)의 일례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은, 상술한 표시부(24)로서, 폴딩형 디스플레이(DP)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단말(20)은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를 포함한다.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는, 예를 들어, 힌지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가 이루는 각도(즉, 폴딩 각도(θ))는 가변이다. 이 일례에서는, 폴딩 각도(θ)가 0도인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는 닫힌 상태이다. 폴딩 각도(θ)가 180도인 경우,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는 수평으로(또는 일평면으로) 열린 상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DP)의 표시면 중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의 접속 부분을 폴딩부(FL)라고 칭하며, 디스플레이(DP)의 표시면 중 폴딩부(FL) 이외의 부분을 비폴딩부(NFL)라고 칭한다.
또한, 설명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삼차원 직교 좌표계의 xyz의 각 축을 따라 방향을 나타낸다.
또, 단말(20)의 폴딩 각도(θ)는 180도를 넘는 것이어도 좋고, 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단말(20)이 폴딩형 디스플레이(DP)를 구비하는 것은 일례일 뿐, 단말(20)의 외관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20)은 유연성을 갖는 필름 형상의 디스플레이(DP)를 구비하고 있고, 디스플레이(DP)의 표시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폴딩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폴딩부(FL)란, 디스플레이(DP)의 표시면 중 임의로 폴딩된 위치를 가리킨다. 또한, 이 경우, 비폴딩부(NFL)는 디스플레이(DP)의 표시면 중 폴딩부(FL) 이외의 부분을 가리킨다.
[단말(20)의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단말(20)의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일례이다. 이 일례에서, 이미지는 이용자(U)에 의한 y축 정 방향을 스크롤 방향(SCD)으로 한 스크롤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DP)의 아래쪽에서 위쪽(즉, y축 정 방향)으로 표시 위치가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된다. 즉, 이용자(U)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이미지의 표시 위치는 하부 디스플레이(DPL)의 비폴딩부(NFL), 폴딩부(FL), 상부 디스플레이(DPU)의 비폴딩부(NFL)의 순서로 변화한다.
여기서, 스크롤 조작이란, 일례로서, 표시 대상의 원본 이미지의 표시 크기가 디스플레이(DP)의 화면 크기에 맞지 않고, 원본 이미지의 일부 영역의 이미지를 표시 대상의 이미지로 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조작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조작이란, 원본 이미지 중 표시 대상의 영역을 화면의 상하좌우의 어느 방향 또는 이들 방향을 합성한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전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았던 원본 이미지의 일부를 새로운 표시 대상 영역으로 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조작이다. 환언하면, 스크롤 조작이란, 원본 이미지 중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범위를 변경하는 조작이다.
이미지에는 정지 영상(ARS)의 콘텐츠와 동영상(ARV)의 콘텐츠가 포함된다. 정지 영상(ARS)의 콘텐츠는, 예를 들어, 문자나 사진에 의한 기사(記事)이다. 동영상(ARV)의 콘텐츠는, 예를 들어, 동영상에 의한 광고이다.
이 정지 영상(ARS) 및 동영상(ARV)은 이용자(U)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DP)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미지 중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지 않는 부분을 비표시 영역(IVA)이라 하며,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부분을 표시 영역(VA)이라 칭한다.
<단말 제어부의 기능 구성>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단말(20)이 구비하는 제어부(21)의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20)은 제어부(2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와 폴딩 정보 취득부(212)와 표시 상태 산출부(213)와 조작자 정보 취득부(214)와 자세 정보 취득부(215)와 표시 제어부(216)를 구비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에의 이미지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16)는 입출력부(23)를 통해 이용자(U)에 의한 스크롤 조작의 조작 상태(예컨대, 스크롤 조작의 유무, 조작 방향·속도·양 등)를 취득하고, 취득한 스크롤 조작 상태에 따라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킨다. 표시 제어부(216)는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로 출력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표시하는 이미지에 동영상(ARV)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동영상(ARV)은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한다. 동영상(ARV)의 재생이란, 동영상(ARV)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시계열로 순차 표시하는 것이다. 동영상(ARV)의 정지는 동영상(ARV)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일부 프레임 이미지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이다.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서버(10)의 저장부(15)에서 이미지 정보(IM)를 취득한다. 이 이미지 정보(IM)에는 동영상(ARV)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정보 외에, 동영상(ARV)의 픽셀 수 등의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표시 크기나 표시 면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정보(IM)에는 정지 영상(ARS)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표시 제어부(216)가 출력하는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취득한다. 이 동영상 위치 정보(DV)는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DF)를 취득한다. 일례로, 단말(20)은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가 이루는 각도(폴딩 각도(θ))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29)를 구비하고 있다.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이 각도 센서(29)가 검출한 폴딩 각도(θ)를 폴딩 상태 정보(DF)로서 취득한다.
상술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가 취득하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정보 취득부(212)가 취득하는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일례로서,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에 따라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 경우,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 위치 정보(DV) 및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계산된 외관 크기(AP)를 표시 제어부(216)로 출력한다.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동영상(ARV)의 y축 방향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에 기초하여 정해져도 좋고, 다른 값으로 정해져도 좋다.
표시 제어부(216)는 표시 상태 산출부(213)가 산출한 외관 크기(AP)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조작자 정보 취득부(214)는 단말(20)을 조작하는 이용자(U)의 단말(20)에 대한 위치 또는 단말(20)에 대한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을 취득한다. 일례로서, 단말(20)은 단말(20)을 조작 중인 이용자(U)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소위, 인 카메라(in camera))를 상술한 카메라(27)로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조작자 정보 취득부(214)는 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용자(U)의 얼굴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용자(U)의 단말(20)에 대한 위치 또는 단말(20)에 대한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을 취득한다.
자세 정보 취득부(215)는 단말(20)의 자세를 나타내는 자세 정보를 취득한다. 일례로서, 단말(20)은 중력 방향에 대한 단말(20)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자세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자세 정보 취득부(215)는 자세 센서가 검출하는 단말(20)의 자세를, 자세 정보로서, 취득한다.
<단말 제어부의 동작>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이 구비하는 제어부(2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이 구비하는 제어부(2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계 S10) 제어부(21)의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서버(10)로부터 이미지 정보(IM)를 취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이미지 정보(IM)에는 동영상(ARV)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정보 외에 동영상(ARV)의 픽셀 수 등의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표시 크기나 표시 면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20)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가 취득한 이미지 정보(IM)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표시하는 이미지에 동영상(ARV)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디스플레이(DP) 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로 출력한다.
(단계 S30)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표시 제어부(216)로부터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취득한다. 이 동영상 위치 정보(DV)는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P)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단계 S40)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가 이루는 각도인 폴딩 각도(θ)를 취득한다. 또한, 폴딩부(FL)의 위치가 가변인 단말(20)의 경우에는,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폴딩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고, 취득하지 않아도 좋다.
(단계 S50)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상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 위치 정보(DV) 및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외관 크기(AP)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DP)의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는 동영상(ARVa)의 일부가 폴딩부(FL)에 위치한 경우의 외관 크기(APa)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b)는 동영상(ARVb)이 폴딩부(FL)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의 외관 크기(APb)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에 나타내는 동영상(ARVa)는 디스플레이(DP)의 상방(y축 정 방향)으로의 스크롤 조작에 의해, 도 6(b)에 나타내는 위치(즉, 동영상(ARVb) 위치)로 이동한다.
(1)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폴딩 각도(θ)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ARV)이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 사이, 즉, 폴딩부(FL)를 포함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 폴딩 각도(θ)의 크기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디스플레이(DP)의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한다.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폴딩 각도(θ)와 디스플레이(DP) 상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에 기초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2) 동영상(ARV)의 표시 면적에 기초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동영상(ARV)의 디스플레이(DP) 상의 표시 면적에 따라 변화한다.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ARV)의 디스플레이(DP) 상의 표시 면적과 디스플레이(DP) 상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에 기초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또한, 이 경우,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상술한 (1), (2)의 어떤 경우에도,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디스플레이(DP)가 폴딩된 경우, 동영상(ARV)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는, 예를 들어, 스크롤 조작에 의해 변화한다. 여기서, 폴딩 각도(θ)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도,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외관 크기(AP)는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즉, 동영상(ARVa))의 외관 크기(APa)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즉, 동영상(ARVb))의 외관 크기(APb)보다 작다. 즉, 폴딩 각도(θ)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동영상(ARV)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된다.
(단계 S60 ~ 단계 S100)
표시 제어부(216)는 산출된 외관 크기(AP) 또는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하, 상술한 (1)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폴딩 상태 정보(DF)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에 의한 폴딩 각도(θ)의 정보가 포함되고,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일례에서는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을 재생 상태, 정지 상태, 재생의 종료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한다. 여기서, 재생의 종료 상태란, 동영상(ARV)의 재생 프레임 카운터가 초기화된 상태 또는 동영상(ARV)의 재생에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가 삭제된 상태 등을 말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의 제1 예를 나타낸다. 폴딩 각도(θ1)의 경우,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크기(AP1)로 된다. 폴딩 각도(θ1)보다 각도가 작은 폴딩 각도(θ3)의 경우,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크기(AP3)로 된다. 이 크기(AP3)는 폴딩 각도(θ1)의 경우의 크기(AP1)보다 작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의 제2 예를 나타낸다. 폴딩 각도(θ1)보다 각도가 큰 폴딩 각도(θ2)의 경우,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크기(AP2)로 된다. 이 크기(AP2)는 폴딩 각도(θ1)의 경우의 크기(AP1)보다 크다.
[재생 조건]
본 실시 형태의 일례에서는 외관 크기(AP)가 크기(AP1) 이상인 경우(또는 크기(AP1)보다 큰 경우)에 재생 조건이 성립된다. 예를 들어, 외관 크기(AP)가 크기(AP2)인 경우 재생 조건이 성립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 각도(θ)가 폴딩 각도(θ1) 이하 또는 폴딩 각도(θ1)보다 작은 각도에서 폴딩 각도(θ2) 이상 또는 폴딩 각도(θ2)보다 큰 각도로 된 경우,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된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한다고 해도 좋고,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정지 조건]
이 일례에서는, 외관 크기(AP)가 크기(AP1) 이하(또는 크기(AP1)보다 작음)이고, 또한 크기(AP3) 이상인 경우(또는 크기(AP3)보다 큰 경우)에 정지 조건이 성립된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 각도(θ)가 설정된 폴딩 각도(θ1) 이하 또는 폴딩 각도(θ1)보다 작은 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을 정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재생의 종료 조건]
또한, 외관 크기(AP)가 크기(AP3)보다 작은 경우(또는 크기(AP3) 이하인 경우), 재생의 종료 조건이 성립된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 각도(θ)가 폴딩 각도(θ1)보다 각도가 작은 폴딩 각도(θ3)인 경우, 동영상(ARV)의 표시를 종료한다.
다른 예로서, 폴딩 각도(θ)가 180도를 초과하여 가변인 단말(20)의 경우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폴딩 각도(θ)가 180도를 초과하여 가변인 단말(20)에 대한 외관 크기(AP)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부 디스플레이(DPU)가 하부 디스플레이(DPL)의 기준 각도선(HL)(즉, 폴딩 각도(θ)가 180도)을 초과하여 열려 있는 경우에는, 상부 디스플레이(DPU) 쪽에 표시된 동영상(ARV)은 이용자(U)가 시인(視認)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 경우의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크기(AP4)이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 중 상부 디스플레이(DPU) 측에 표시되는 크기와 하부 디스플레이(DPL) 측에 표시되는 크기의 비율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된 디스플레이(DP) 중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위치와 단말(20)의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환언하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가 설정된 크기 이상, 또는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동영상(ARV)을 재생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가 설정된 크기 이하, 또는 설정된 크기보다 작을 경우, 동영상(ARV)을 정지시킨다. 또한, 여기서, 크기란, 동영상(ARV)의 면적이나 동영상(ARV)의 한변의 길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계 S60 ~ 단계 S100) 도 5로 되돌아가,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재생 조건, 정지 조건, 재생의 종료 조건 중 어느 것이 성립하는지를 판정하고, 동영상(ARV)의 재생·정지·재생 종료를 제어한다.
(단계 S110) 표시 제어부(216)는 이미지의 표시 종료의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예컨대, 이용자(U)에 의한 표시 종료의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단계 S10 내지 단계 S100의 각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1)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는 제어>
표시 제어부(216)는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a)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의 제1 예를 나타낸다. 도 10(b)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의 제2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 정보 취득부(214)는, 카메라(27)가 촬영한 이용자(U)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단말(20)을 조작하는 이용자(U)의 단말(20)에 대한 위치 또는 단말(20)에 대한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을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단말(20)의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 또는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일례로서, 표시 제어부(216)는 단말(20)의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과 직교하는 방향을 외관 크기(AP)의 방향으로 하여 외관 크기(AP)를 산출한다.
여기서, 단말(20)의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이 변화하면, 시선 방향(STD)의 변화에 따라 외관 크기(AP)가 변화한다. 예컨대, 도 10(a)에 나타내는 시선 방향(STD1)의 경우의 외관 크기(APc)는, 도 10(b)에 나타내는 시선 방향(STD2)의 경우의 외관 크기(APd)에 비해 작다. 표시 제어부(216)는, 단말(20)의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 또는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화하는 외관 크기(AP)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또, 표시 제어부(216)는, 이용자(U)의 시선 방향(STD)을 대신하거나 이것에 추가하여, 이용자(U)의 머리의 위치, 얼굴의 위치나 눈(EY)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를 산출하여도 좋고, 산출하지 않아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2) 단말(20)의 자세에 기초하는 제어>
표시 제어부(216)는 단말(20)의 자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고, 제어하지 않아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화한다. 본 변형예의 표시 제어부(216)는 단말(20)의 자세(예컨대, 중력 방향에 대한 디스플레이(DP)의 표시 방향)가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자세 정보 취득부(215)는 단말(20)의 자세를 나타내는 자세 정보를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자세 정보 취득부(215)가 취득하는 단말(20)의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를 추정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3) 비폴딩부(NFL)에 동영상(ARV)을 표시>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시 제어부(216)는, 이용자(U)에 의한 스크롤 조작의 결과, 동영상(ARV)이 폴딩부(FL)의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비폴딩부(NFL)로 이동시켜도 좋고, 이동시키지 않아도 좋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부(FL)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동영상(ARV) 관련 이미지를 표시시켜도 좋고, 표시시키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11~ARV13) 중 어느 하나의 표시 위치에 동영상(ARV)을 표시시킨다. 이들 표시 위치는 비폴딩부(NFL)이다.
또, 동영상(ARV) 관련 이미지는 이용자(U)의 조작을 접수하는 이미지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동영상(ARV) 관련 이미지는, 조작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URL에의 접속을 촉진하는, 동영상에 의한 배너 광고이다.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 관련 이미지(예컨대, 배너 광고)를 디스플레이(DP)의 표시 위치 중 폴딩부(FL)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표시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폴딩형 디스플레이(DP)에 이미지를 표시할 경우, 폴딩부(FL)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다른 부분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비해 이용자(U)로부터의 시인성이 낮다. 예를 들어, 표시되는 이미지가 광고 동영상인 경우에는, 폴딩부(FL)에 표시되는 광고의 시청률이 다른 부분에 비해 낮아 광고 효과의 향상이 곤란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디스플레이(DP)의 폴딩 상태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가 동영상(ARV)을 보는 방향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을 정지 또는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에 따르면, 동영상(ARV)이 이용자(U)가 보기 쉬운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하고, 동영상(ARV)이 이용자(U)가 보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정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을 이용자(U)가 본 경우의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시인성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하이거나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 동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영상(ARV)의 재생을 계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용자(U)에 대한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를 동영상(ARV)의 위치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표시 영역이 폴딩된 경우에,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를 동영상(ARV)의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가 변화하여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가 변화된 경우에도, 이용자(U)에 의한 동영상(ARV)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를 동영상(ARV)의 표시 면적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시인성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가 제1 각도 이하 또는 제1 각도보다 작은 각도인 경우에, 동영상(ARV)을 정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영상(ARV)의 재생을 계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용자(U)에 대한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가 제1 각도 이하, 또는 제1 각도보다 작은 각도에서 제1 각도 이상의 제2 각도 이상으로 된 경우, 또는 제2 각도보다 큰 각도로 된 경우에,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향상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때문에, 이용자(U)가 스스로 동영상(ARV)의 재생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따르면, 동영상(ARV)의 재생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가 제1 각도 이하 또는 제1 각도보다 작은 각도인 경우에, 동영상(ARV)의 표시를 종료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저하한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하기 때문에, 시인성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영상(ARV)의 재생을 계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용자(U)에 대한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을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판정하기 때문에 동영상(ARV)의 시인성 정도를 정밀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의 시선 방향 또는 표시 장치(D)와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가 본 동영상(ARV)의 시인성 정도를 정밀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표시 장치(D)의 자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동영상(ARV)의 시인성 정도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표시 영역의 폴딩부(FL)와는 다른 위치에 조작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조작이 어려운 폴딩부(FL)에 조작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용자(U)에 의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서 동영상의 정지는 동영상(ARV)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일부 프레임 이미지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예컨대, 일시 정지 상태 또는 스탑 모션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최초 프레임부터는 아니고, 재생이 정지된 중간 프레임부터 재생을 개시할 수 있어,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을 최초부터 재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재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에 더하여, 외관 크기(AP)에 기초하는 재생 종료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매우 저하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의 산출에 어려움을 수반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따르면,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를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로 치환하여 취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통해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의 변화에 따라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동영상(ARV)의 표시 중에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를 변화시켜 이용자(U)의 시인성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이용자(U)의 시인성의 변화를 추종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의 시선이나 얼굴의 위치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또는 표시 장치(D)의 자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외관 크기(AP)는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화한다. 본 변형예의 표시 제어부(216)는 이용자(U)의 시선이나 얼굴의 위치가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 또는 단말(20)의 자세가 단말(20)과 이용자(U)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따르면, 표시 장치(D)와 이용자(U)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이용자(U)의 시인성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이용자(U)의 시인성 변화를 추종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이 이용자(U)의 조작 대상 이미지(예컨대, 배너 광고 등)인 경우, 이미지에 대해 폴딩부(FL)의 위치에의 표시를 피하고 비폴딩부(NFL)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폴딩부(FL)는 이용자(U)에 의한 디스플레이(DP)의 표시면에 대한 조작이 어렵다. 따라서, 이용자(U)의 조작 대상 이미지가 폴딩부(FL)에 표시되면,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이 어려운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의 조작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의 이미지에 대한 조작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미지가 배너 광고인 경우에는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가 시인할 수 없는 위치에 동영상(ARV)이 표시될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디스플레이(DPU)가 하부 디스플레이(DPL)의 기준 각도선(HL)(즉, 폴딩 각도(θ)가 180도)을 초과하여 열려 있는 경우에는, 상부 디스플레이(DPU) 쪽에 표시된 동영상(ARV)은 이용자(U)가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경우, 이용자(U)에게 시청되지 않는 가운데 동영상(ARV)을 마지막까지 재생해 버리면, 동영상(ARV)의 시청 효과(예컨대, 동영상(ARV)이 광고 동영상인 경우에는, 광고 효과)가 감소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표시 장치(D)와 이용자(U)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이용자(U)의 시인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동영상(ARV)의 시청 효과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단말(20)의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디스플레이(DP)의 폴딩부(FL)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형태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상이한 각 실시 형태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위치 정보(DFL)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을 제어한다. 구체예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1 예를 나타낸다. 동영상(ARV)에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가 대응 지어져 있다.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의 위치는 스크롤 조작에 의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 이동한다. 즉,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는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낸다. 이 일례에서는, 동영상(ARV)의 y축 방향의 상단에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가 설정되어 있다. 즉,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는 디스플레이(DP) 상에 표시된 동영상(ARV)의 상단 위치를 나타낸다.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를 동영상 위치 정보(DV)로서 취득한다.
또한, 여기서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가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즉, 동영상(ARV)의 상단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는, 예를 들어, 동영상(ARV)의 하단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고, 동영상(ARV)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점(동영상(ARV)의 중심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고, 동영상(ARV)의 다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좋다.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가 나타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거리(동 도면의 예에서는 거리(L1))를 산출한다. 산출된 거리(L1)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 또는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고 산출(판정)한다. 동영상(ARV)이 폴딩부(FL)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고 산출(판정)된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후술하는 재생 조건이 성립한다고 판정하고, 동영상(ARV)의 재생을 실행한다. 또한, 이 소정값은 동영상(ARV)의 표시 높이(거리(LV))에 따라 정해져 있어도 좋고, 정해져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소정값을 거리(LV)로 하고,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가 나타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거리(L1)가 거리(LV) 이하인 경우, 또는 거리(LV)보다 작은 경우에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고 산출(판정)한다. 동영상(ARV)이 폴딩부(FL)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고 산출(판정)된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정지 조건이 성립한다고 판정하고,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2 예를 나타낸다.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가 나타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거리(동 도면의 예에서는 거리(L2))를 산출한다. 여기서, 거리(L2)는 거리(L1)보다 길다. 산출된 거리(L2)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또는 소정값보다 큰 경우,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즉, 동영상(ARV)이 비폴딩부(NFL)에 표시되어 있다고) 산출(판정)한다.
<단말 제어부의 동작>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이 구비하는 제어부(2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20)이 구비하는 제어부(2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단계 S210) 제어부(21)의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서버(10)로부터 이미지 정보(IM)를 취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이미지 정보(IM)에는 동영상(ARV)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정보 외에, 동영상(ARV)의 픽셀 수 등의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표시 크기나 표시 면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S220)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가 취득한 이미지 정보(IM)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표시하는 이미지에 동영상(ARV)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디스플레이(DP) 상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로 출력한다.
(단계 S230)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표시 제어부(216)로부터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취득한다. 이 동영상 위치 정보(DV)는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P)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를 상술한 동영상 위치 정보(DV)로서 취득한다.
(단계 S240)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상부 디스플레이(DPU)와 하부 디스플레이(DPL) 사이의 위치, 즉, 디스플레이(DP)의 폴딩부(FL)의 위치를 취득한다.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취득한 폴딩부(FL)의 위치를 폴딩 상태 정보(DF)로서 표시 상태 산출부(213)로 출력한다.
(단계 S250)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상태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상태 산출부(213)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상태 정보(DF)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관계를 산출한다.
(단계 S260 ~ 단계 S300)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재생 조건, 정지 조건, 재생의 종료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하는지를 판정하고, 동영상(ARV)의 재생·정지·재생 종료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216)는 단계 S250에서 산출된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재생 조건, 정지 조건, 재생의 종료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성립하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재생 조건이 성립하는 것으로 하여, 동영상(ARV)을 재생한다(단계 S270).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 동영상의 정지 조건이 성립하는 것으로 하여, 동영상(ARV)을 정지한다(단계 S290).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상태가 소정인 경우, 동영상(ARV)의 재생을 종료해도 좋고, 종료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단계 S240에서 폴딩 각도(θ)가 취득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폴딩 각도(θ)가 임계 각도 이하 또는 임계 각도 미만인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종료한다(단계 S300).
(단계 S310) 표시 제어부(216)는 이미지의 표시 종료의 조건이 성립될 때까지(예컨대, 이용자(U)에 의한 표시 종료의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단계 S210 내지 단계 S300의 각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 정보 취득부(211)는 디스플레이(DP)에서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DV)를 취득한다.
폴딩 정보 취득부(212)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부(FL)의 위치에 관한 폴딩 위치 정보(DFL)를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위치 정보(DV)와 폴딩 위치 정보(DFL)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위치 정보(DV)가 나타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 위치 정보(DFL)가 나타내는 폴딩부(FL)의 위치가 거리(L1)(제1 위치 관계)인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정지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동영상(ARV)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위치 정보(DV)가 나타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 위치 정보(DFL)가 나타내는 폴딩부(FL)의 위치가 제1 위치 관계보다 위치 관계가 먼 거리(L2)(제2 위치 관계)의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재생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동영상(ARV)을 정지시키고, 동영상(ARV)이 비폴딩부(NFL)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동영상(ARV)을 재생시킨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위치 정보(DV)가 나타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 위치 정보(DFL)가 나타내는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1)>
상기에서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가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상단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는 스크롤 조작에 의한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 좋고,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3 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는 동영상(ARV)의 상단 위치로부터 거리(L11)만큼 떨어진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는 스크롤 조작에 의한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이동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4 예를 나타낸다. 스크롤 조작에 의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상방(y축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의 위치도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동영상(ARV)의 상단이 폴딩부(FL)에 걸치는 위치인 경우,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의 위치가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가 나타내는 위치(예컨대, 상부 디스플레이(DPU)의 상단)에 걸치는 위치 관계이다. 즉,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가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에 걸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의 위치로 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는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DP) 상의 위치와는 다른,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위치의 기준으로 되는 정보이다. 이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는 상술한 동영상 위치 정보(DV)에 포함된다. 또한,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는 폴딩부(FL)(폴딩부(FL)(폴딩 위치))의 디스플레이(DP) 상의 위치와는 다른, 폴딩부(FL)(폴딩 위치)의 기준으로 되는 정보이다. 이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는 상술한 폴딩 위치 정보(DFL)에 포함된다.
이 일례에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와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는 디스플레이(DP) 상의 폴딩부(FL)의 위치와 디스플레이(DP) 상의 동영상(ARV)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예컨대,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가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예컨대,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가 설정된 범위(예컨대, y축 방향의 소정 폭) 내에 포함되는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정지 조건이 성립한다고 판정하고, 동영상(ARV)을 정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예컨대, 상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U))가 설정된 범위(예컨대, y축 방향의 소정 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재생 조건이 성립한다고 판정하고,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동영상(ARV)의 표시 배율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과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의 거리(L)가 표시 배율에 따라 변경되어도 좋고, 변경되지 않아도 좋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표시 배율별 동영상(ARV)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a)는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배율이 비교적 큰 경우의 동영상(ARV)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b)는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배율이 비교적 작은 경우의 동영상(ARV)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배율이 비교적 큰 경우(즉, 동영상(ARVZ1)이 표시되는 경우), 동영상(ARVZ1)과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의 거리를 거리(LZ1)로 한다.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배율이 비교적 작은 경우(즉, 동영상(ARVZ2)이 표시되는 경우), 동영상(ARVZ2)과 상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Ua)의 거리를 거리(LZ2)로 한다. 여기서, 거리(LZ2)는 거리(LZ1)보다 짧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배율에 따라 동영상(ARV)과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의 거리(L)를 변경한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표시 배율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위치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에 기초하는 위치의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위치 관계가 변경된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가 동영상(ARV)의 상방(y축 정 방향)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5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의 제6 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는 동영상(ARV)의 하방(y축의 부(負) 방향)으로 설정되어도 좋고, 설정되지 않아도 좋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동영상 참조 위치 정보(LCLa)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하단으로부터 거리(L12)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정된다. 이 거리(L12)는 하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La)가 하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L)에 걸리는 경우,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걸치는 위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216)는 하부 동영상 참조 위치 정보(LCLa)가 하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L)에 걸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정지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스크롤 조작에 의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상방(y축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La)가 하부 폴딩 기준 위치 정보(RFL)에 걸치지 않게 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용자(U)가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변경에 따라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가 나타내는 위치가 변경되어도 좋고, 변경되지 않아도 좋다.
즉,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는 단말(20)에 대한 이용자(U)의 입력에 의한 동영상(ARV) 위치의 변경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DP) 상에서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2)>
상기에서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는 경우에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도 좋다. 즉, 동영상(ARV)의 제어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가 이동되기 전의 동영상(ARV)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가 이동된 후의 동영상(ARV)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술한 각종 수순에 의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는 것으로 된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지 않는 위치로 동영상(ARV)을 이동시켜도 좋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일례에서,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하방(y축의 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표시 제어부(216)가 수행하는 동영상(ARV)의 제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가 수행하는 동영상(ARV)의 제어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는 경우,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의 변화에 따라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도 좋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서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 이동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례로서,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 상태 정보(DF)에 포함되는 폴딩 각도(θ)를 취득한다. 취득한 폴딩 각도(θ)가 폴딩 각도(θ11)에서 폴딩 각도(θ12)로 변경된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는 경우,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폴딩부(FL)와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동영상(ARV)의 제어는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과,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조합되어 있어도 좋고, 조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는 경우, 동영상(ARV)을 정지시키고,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와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 이용자(U)가 디스플레이(DP)를 여는 경우(예컨대, 폴딩 각도(θ)가 폴딩 각도(θ11)에서 폴딩 각도(θ12)로 변경된 경우)에는, 이용자(U)로부터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디스플레이(DP)의 상방(예컨대, y축 정 방향)으로 이동한 것처럼 보인다. 즉, 디스플레이(DP)를 열면 동영상(ARV)의 외관상의 위치가 상방(예컨대, y축 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표시 제어부(216)는 동영상(ARV)의 외관상의 위치 이동이 적어지도록 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부(FL)를 피하여 동영상(ARV)이 표시되도록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디스플레이(DP)의 하방(예컨대, y축의 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216)는 디스플레이(DP)가 열려 폴딩 각도(θ)가 변경된 경우에, 상기와는 역방향(즉, 디스플레이(DP)의 상방(예컨대, y축의 정 방향))으로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켜도 좋다. 즉, 표시 제어부(216)는, 폴딩부(FL)를 피하여 동영상(ARV)이 표시되도록,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디스플레이(DP)의 상방(예컨대, y축의 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3)>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이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의 교체 전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위치의 교체 후의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에는 동영상(ARV)과 정지 영상(ARS)이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어 있으며, 정지 영상(ARS)(예컨대, 정지 영상(ARS21) 및 정지 영상(ARS22))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216)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정지 영상(ARS)(예컨대, 정지 영상(ARS22))의 표시 위치를 교체하여 동영상(ARV) 및 정지 영상(ARS)을 표시시킨다.
또한, 정지 영상(ARS)은, 소위, 인터넷 기사와 같은 문장에 의한 이미지라도 좋고, 사진에 의한 이미지라도 좋으며, 다른 형식의 이미지라도 좋다.
즉,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정보는 동영상(ARV)을 포함하는 제1 정보와, 동영상(ARV)을 포함하지 않는 제2 정보가 포함된다. 표시 제어부(216)가 수행하는 동영상(ARV)의 제어는 제1 정보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고 제2 정보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와는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제1 정보의 표시 위치와 제2 정보의 표시 위치를 교체하는 제어를 포함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폴딩형 디스플레이(DP)에 이미지를 표시할 경우, 폴딩부(FL)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다른 부분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비해 이용자(U)로부터의 시인성이 낮다. 예를 들어, 표시되는 이미지가 광고 동영상인 경우에는, 폴딩부(FL)에 표시되는 광고의 시청률이 다른 부분에 비해 낮아 광고 효과의 향상이 곤란하였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디스플레이(DP)의 폴딩부(FL)의 위치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정지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를 지나쳐, 비폴딩부(NFL)에 동영상(ARV)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가 동영상(ARV)을 보는 방향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을 정지 또는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이 이용자(U)가 보기 쉬운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하고, 동영상(ARV)이 이용자(U)가 보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정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의 위치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위치 관계(예컨대, 거리)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동영상(ARV)이 폴딩부(FL)에 가까운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정지하고, 먼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와 폴딩부(FL)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의 위치 관계(예컨대, 거리)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이 실제로 표시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에 표시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등의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배율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정보의 위치 관계(예컨대, 거리)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표시 배율의 변경에 대비하여 각 표시 배율별로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등의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폴딩부(FL)와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1 기준 위치 정보와 폴딩부(FL)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기준 위치 정보의 위치 관계(예컨대, 거리)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이 실제로 표시되는 위치를 직접 파악할 수 없는 경우나, 폴딩부(FL)의 위치를 직접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들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에 표시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등의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의 조작에 의한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의 변경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1 기준 위치 정보를 변경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가, 예를 들어, 스크롤 조작을 한 경우, 동영상(ARV)이 실제로 표시되는 위치를 직접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도, 기준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의 표시 위치의 변경 조작에 대비하여 동영상(ARV)에 표시 위치 정보를 삽입하는 등의 수고가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간편하게 동영상(ARV)과 폴딩부(FL)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서 동영상의 정지는 동영상(ARV)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일부 프레임 이미지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예컨대, 일시 정지 상태 또는 스탑 모션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최초 프레임부터는 아니고, 재생이 정지된 중간 프레임부터 재생을 개시할 수 있어,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을 최초부터 재생하는 경우에 비해 재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영상(ARV)을 재생하기 위한 전력이나 메모리 등의 리소스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의 위치에 기초하는 폴딩 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낮은 폴딩부(FL)에 동영상(ARV)이 위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기 때문에,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높은 상태에서 동영상(ARV)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낮은 폴딩부(FL)에 동영상(ARV)이 위치하는 경우,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폴딩 각도(θ)가 변화한 경우에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낮은 위치에 동영상(ARV)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폴딩부(FL)와는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로부터의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낮은 폴딩부(FL)에 동영상(ARV)이 위치하는 경우, 동영상(ARV)의 시인성이 높은 위치에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위치하는 경우에 동영상(ARV)을 정지시키고,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와는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동영상(ARV)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이동된 경우에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용자(U)에 의한 조작의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에 포함되고, 정지 영상(ARS)의 표시 위치가 폴딩부(FL)와는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정지 영상(ARS)의 표시 위치를 교체한다. 여기서, 동영상(ARV)은 폴딩부(FL)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시인성이 저하되기 쉽다. 정지 영상(ARS)은 폴딩부(FL)에 표시되어 있다고 하여도 시인성이 그다지 저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정지 영상(ARS)을 폴딩부(FL)에 표시하고, 동영상(ARV)을 폴딩부(FL) 이외에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DP)의 표시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동영상(ARV)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용자(U)의 시인성이 비교적 높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표시 동안에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를 변화시킨 것에 의해 이용자(U)에 의한 이미지의 시인성에 변화가 생길 수 있는 경우에도, 이용자(U)의 시인성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에 의한 동영상(ARV)의 시인성의 변화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동영상(ARV) 이외의 이미지(예컨대, 정지 영상(ARS))의 표시 위치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P)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위치를 이용자(U)의 의도와 무관하게 변경하면, 이용자(U)에게 위화감이 생길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다른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교체함으로써,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외형 변화가 억제되어, 이용자(U)가 느끼는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와 폴딩부(FL) 위치의 관계를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 이외의 위치(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를 동영상(ARV) 제어의 기준 위치로 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 의하면, 이미지 내의 임의 위치에 기준 위치를 설정하면 좋고, 동영상(ARV)에 기준 위치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에 비해 이미지나 기준 위치의 배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에서, 동영상 기준 위치 정보(LC)가 디스플레이(DP)에는 표시되지 않는 형식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제어를 이용자(U)가 느끼지 못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이용자(U)에 의한 동영상(ARV)의 시인성 정도의 산출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동영상(ARV)의 시인성 정도를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로 치환하여 취득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의 변화에 따라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한다. 이 때문에, 동영상(ARV)의 표시 중에 디스플레이(DP)의 폴딩 각도(θ)를 변화시켜 이용자(U)의 시인성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이용자(U)의 시인성 변화를 추종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의 시선이나 얼굴의 위치를 검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또는 표시 장치(D)의 자세에 기초하여, 동영상(ARV)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의하면, 표시 장치(D)와 이용자(U)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이용자(U)의 시인성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이용자(U)의 시인성 변화를 추종하여 동영상(ARV)의 정지·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D)는 이용자(U)가 시인할 수 없는 위치에 동영상(ARV)이 표시될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시킨다. 일반적으로, 동영상(ARV)을 재생하는 경우에, 이용자(U)가 시청하지 않는 가운데 동영상(ARV)을 마지막까지 재생해 버리면, 동영상(ARV)의 시청 효과(예컨대, 동영상(ARV)이 광고 동영상인 경우에는, 광고 효과)가 감소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D)에 따르면, 표시 장치(D)와 이용자(U)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여 이용자(U)의 시인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동영상(ARV)의 재생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동영상(ARV)의 시청 효과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제 도면이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게 재배치 가능하며,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조합하거나 또는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도 좋다.
1 … 통신 시스템, 10 … 서버, 20 … 단말, 21 … 제어부, 211 … 동영상 정보 취득부, 212 … 폴딩 정보 취득부, 213 … 표시 상태 산출부, 214 … 조작자 정보 취득부, 215 … 자세 정보 취득부, 216 … 표시 제어부, 30 … 네트워크, D … 표시 장치

Claims (17)

  1.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제어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영상 위치 정보와 상기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의 제어는,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에 기초하고, 상기 동영상의 외관 크기에 기초하는 제어가 포함되는, 동영상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외관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하이거나 상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동영상을 정지시키는, 동영상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외관 크기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외관 크기는, 상기 표시 영역이 폴딩된 경우, 상기 동영상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동영상 제어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외관 크기는,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동영상의 표시 면적에 기초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상태 정보는,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에 의한 폴딩 각도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설정된 제1 각도 이하 또는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각도인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을 정지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제1 각도 이하 또는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각도에서 상기 제1 각도 이상의 각도인 제2 각도 이상 또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각도로 된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각도가 상기 제1 각도보다도 각도가 작은 제3 각도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딩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사용자와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또는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폴딩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는 상기 동영상 관련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영상 제어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의 정지는,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일부 프레임 이미지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인, 동영상 제어 방법.
  16.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에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동영상 위치 정보와 상기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17. 폴딩 가능한 표시 영역에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동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동영상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폴딩 상태에 대한 폴딩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동영상 위치 정보와 상기 폴딩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영상의 정지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217018873A 2018-12-26 2018-12-26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KR20210107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2042 2018-12-26
JP2018242042A JP7041613B2 (ja) 2018-12-26 2018-12-26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表示装置
PCT/JP2018/047921 WO2020136766A1 (ja) 2018-12-26 2018-12-26 動画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003A true KR20210107003A (ko) 2021-08-31

Family

ID=7112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873A KR20210107003A (ko) 2018-12-26 2018-12-26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60326B2 (ko)
JP (1) JP7041613B2 (ko)
KR (1) KR20210107003A (ko)
CN (1) CN113302678A (ko)
WO (1) WO20201367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2321A (ja) 2008-09-08 2012-01-2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構成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5069A (ja) * 2003-10-08 2005-04-28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356247B2 (en) * 2008-12-16 2013-01-15 Rich Media Worldwide, Llc Content rende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729523B1 (ko) 2010-12-21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864185B1 (ko) * 2011-12-15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모드 변경 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901595B2 (ja) 2013-09-19 2016-04-13 ヤフー株式会社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KR102278816B1 (ko) * 2014-02-04 2021-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6017948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KR102358110B1 (ko) * 2015-03-05 2022-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79547A (ko)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71369B1 (ko) * 2016-08-03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WO2020005017A1 (en) * 2018-06-29 2020-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178468B2 (en) * 2018-11-29 2021-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ments to video playing on a compu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2321A (ja) 2008-09-08 2012-01-2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構成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02678A (zh) 2021-08-24
US20210318728A1 (en) 2021-10-14
US11960326B2 (en) 2024-04-16
JP7041613B2 (ja) 2022-03-24
WO2020136766A1 (ja) 2020-07-02
JP2020106570A (ja)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4271A1 (zh) 图像渲染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5497758B2 (ja) 立体視画像表示装置
WO2018120657A1 (zh) 一种共享虚拟现实数据的方法和设备
CN110119260B (zh) 一种屏幕显示方法及终端
US11863901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US10572764B1 (en) Adaptive stereo rendering to reduce motion sickness
CN105389090A (zh) 游戏交互界面显示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和电脑终端
WO2021115279A1 (zh) 图片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230218994A1 (en) Game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4442972A (zh) 一种投屏方法及电子设备
US20220239888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display terminal
US20220172440A1 (en) Extended field of view generation for split-rendering for virtual reality streaming
US20230347240A1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scene pictur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210107003A (ko) 동영상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표시 장치
JP703406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表示装置
JPWO202009563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66712A1 (zh) 图像的显示方法、装置、可读介质和电子设备
US20230052104A1 (en) Virtual content experie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ame
WO2012046687A1 (ja) 3次元の画像を表示可能な画像表示機器、および、画像の表示を制御するための表示制御装置
US20230377252A1 (en) Terminal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display method
JP7214926B1 (ja) 画像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240144621A1 (en) Visual effects and content enhancements for vr
US20240144620A1 (en) Visual effects and content enhancements for vr
US11818324B2 (e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240126495A1 (en) Terminal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