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986B1 -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986B1
KR102004986B1 KR1020120102737A KR20120102737A KR102004986B1 KR 102004986 B1 KR102004986 B1 KR 102004986B1 KR 1020120102737 A KR1020120102737 A KR 1020120102737A KR 20120102737 A KR20120102737 A KR 20120102737A KR 102004986 B1 KR102004986 B1 KR 102004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execution
mapping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532A (ko
Inventor
양지영
황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986B1/ko
Priority to EP13184449.0A priority patent/EP2709005B1/en
Priority to PCT/KR2013/008328 priority patent/WO2014042474A2/en
Priority to US14/028,591 priority patent/US9703577B2/en
Publication of KR20140036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기기와 그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단말과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device)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TV(Television),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즉, 스카이프(Skype) 및 챗온(Chaton)과 같은 통신 어플리케이션, 앵그리버드와 같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교육 어플리케이션, 및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된 과정을 매번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과와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매핑한 후,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기 전에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행 시점에 기초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뷰 정보는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에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 및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에 대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에 대한 안내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매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상기 단말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중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채널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번호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분류된 빈 채널 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입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외부 기기중 하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는, 터치 기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저장부와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과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됨에 따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점까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외부 기기중 하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는, 터치 기반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과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기기;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기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과 같이 수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설명 및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기능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 예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기능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동작 흐름도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서의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명세서 전반에서의 컨텐트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Skype), 챗온(Chaton), 카카오톡(kakaotalk)과 같은 통신 어플리케이션, 앵그리버드와 같은 게임 어플리케이션, 교육 어플리케이션, 키즈(Kids) 어플리케이션,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 피트니스(Fitness) 어플리케이션 및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어플리케이션 등이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은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언급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단축 실행(Short Run)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Short Run Indicator)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사용자의 입력 에 기초한 이벤트(event)에 따른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발생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이벤트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정보가 입력된 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로그인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및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시점을 나타내는 시점 정보(또는 페이지 정보 또는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아들에게 통화 착신중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로그인 정보, 아들의 연락 처 정보(예를 들어, 아들의 스카이프 이름, 아들의 이메일, 아들의 전화 번호 등) 및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아들과 통화 착신 시점을 나타내는 시점 정보(또는 페이지 정보 또는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이 다른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아들에게 통화 착신중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로그인 정보, 아들의 연락 처 정보(예를 들어, 아들의 스카이프 이름, 아들의 이메일, 아들의 전화 번호 등) 및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아들과 통화 착신 시점을 나타내는 시점 정보(또는 페이지 정보 또는 화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아들과의 통화 종료후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술한 아들에게 통화 착신중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와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아들과의 영상 통화중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하는 것이다.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때,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의 입력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지 않을 때,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로 이용된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단말에서 실행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유니버설 실행 인디케이터(Universal Run Indicator) 또는 유니버설 인디케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어플리케이션별로 각각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숫자 정보 “300”을 이용하고, 앵글리버드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숫자 정보”200”을 이용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이미지 “☎”를 이용하고, 교육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로 사용되는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심볼일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점을 나타내는 정보 또는 이미지 또는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에서 키즈(Kid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시간 설정하기 시점까지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키즈 시간 설정” 또는 그에 상응하는 이미지 또는 심볼로 설정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내용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아들과의 통화착신 시점을 지정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숫자 정보 300을 이용하고, 스카이프를 실행하여 딸과 통화착신 시점을 지정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숫자 정보 301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시점에서 이용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통화착신 시점에서 이용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만으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점을 알 수 있다.
스마트 TV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로 숫자 정보를 이용할 경우에, 이 숫자 정보는 빈 채널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채널 번호를 이용할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타입별로 채널 번호를 그룹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0-400 채널 번호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용으로 설정하고, 401-500 채널 번호는 SNS 기반 어플리케이션용으로 설정하고, 501-600 채널 번호는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시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선택 가능한 채널 번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채널 번호를 이용하여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매핑한 경우에, 스마트 TV의 전원 온 후, 해당 채널 번호가 설정되거나 다른 채널을 시청하다 해당 채널 번호로 채널이 전환되면, 채널 번호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재실행된다.
명세서 전반에서의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 사용자의 음성 인식, 사용자의 얼굴 인식, 및 물리적인 버튼 제어에 의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는 입력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즉,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 기반일 때, 사용자의 제스처는 예를 들어 탭(tap),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더블 탭(double tap), 드래그(drag), 패닝(pannin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및 스윕(sweep) 등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기반 동작(motio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터치 도구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모션 센서 기반일 때,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의 움직임 기반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존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움직임은 예를 들어 단말 흔들기, 및 단말 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방향(orientation) 센서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가 카메라 기반일 때, 사용자의 제스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 기반의 공간 제스처(space ges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관련된 사용자의 제스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손의 이동 방향 또는 손짓에 따른 공간 제스처 또는 공간 동작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화면상의 포인팅 위치가 변경되고 주먹을 쥘 경우에 화면상의 포인팅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위치에 복수의 컨텐츠가 모여 있고, 주먹 쥐었던 손이 펼쳐지면서 이동되면, 손이 펼쳐지면서 이동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가 화면상에 흩어져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가 화면상에 흩어져 디스플레이 된 후, 손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면 뒤로 가기(return) 기능이 수행되어 복수의 컨텐츠가 이전 화면과 같이 한 곳에 모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터 또는 광 센서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상술한 물리적 버튼뿐 아니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휠 등을 포함할 때,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물리적인 제어에 의존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오디오 입력 장치 기반일 때,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자연어(natural language) 기반의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존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카메라 기반일 때,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 기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은 단말(110), 네트워크(120), 및 서버(130)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스마트 TV,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이동 단말(Mobile Device), 핸드헬드(handheld) 장치 또는 핸드헬드 PC,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통신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지털 CE(Consumer Electronics) 장치 등과 같은 단말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110)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들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10)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다. 그러나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연결된 서버(130)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110)은 서버(130)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로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단말(11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3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면서 서버(130)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때, 단말(110)의 사용자에 의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된 시점까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타입,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 발생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한 이벤트에 따라 획득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110)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단말(110)에 저장한다. 단말(110)은 매핑 정보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종료될 때, 단말(110)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되는 매핑 가이드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종료 시점까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110)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단말(110)에 저장하거나 서버(130)에 저장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20)는 후술할 도 7의 통신부(708)를 설명할 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130)는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130)에 저장되는 정보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130)는 단말(1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30)는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단말(1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110)로 전송하지 않고,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단말(110)로 전송하거나 단말(110)과 공유할 수 있다. 서버(130)는 클라우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서버(130)는 단말(110)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130)는 단말(110)의 외부 기기로 언급될 수 있다.
서버(130)가 단말(110)의 외부 기기일 때, 네트워크(12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및 RF 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20)는 홈 네트워크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01에서,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시작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10)에 저장되는 정보는 단말(110)의 운영 정보 즉, 로그(log)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로그 정보는 단말(110)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 기반 정보이다. 예를 들어, 로그 정보는 단말(110)의 전원이 온된 시점부터 전원이 오프된 시점까지 사용자가 단말(110)을 이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고, 어떤 명령어들을 사용하는 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단말(110)의 전반적인 운영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110)에 저장되는 로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종료된 후 사용자의 저장 요구가 없으면 자동적으로 삭제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로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이다. 그러나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화면으로 제한되지 않는다.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단말(110)의 타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이 스마트 TV인 경우에,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단말(110)이 스마트 폰인 경우에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과 다를 수 있다. 단말(110)이 PC인 경우에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단말(100)이 스마트 TV인 경우에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과 다를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중에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이다. 단말(110)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때, 포인터(301)를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위치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고,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단말(110)은 도 3b에 도시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3a의 경우에 포인터(301)는 화살표로 도시하였으나 포인터에 대한 심벌(symbol)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에 단축 실행(Shot Run)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A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는 A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A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상술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서 언급된 방식중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단축 실행을 위한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A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화면 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A가 화면에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축 실행 설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보 A는 단축 실행 설정 명령 또는 단축 실행 설정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A를 이용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이하 매핑 요청 신호라고 약함)가 수신되지 않고, 로그인 정보와 로그인하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도 3b에 도시된 화면에서 도 3c에 도시된 친구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으로 변경된다.. 도 3c에 도시된 화면에서도 단축 실행을 위한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A가 화면 하단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3c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A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친구 추가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도 3c의 화면에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처를 추가할 수 있는 화면으로 변경된다.
도 3d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A를 이용한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상대방의 연락처에 대한 정보을 포함한 상대방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도 3d의 화면에서 도 3e에 도시된 화면으로 변경된다.
도 3e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단말(110)을 통해 영상 통화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선택된 상대방에게 영상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302)이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화면(302)이 중첩된 도 3e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A를 이용한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영상 통화가 연결되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도 3e의 화면에서 도 3f와 같은 영상 통화 화면으로 변경되어 영상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3b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화면에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A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단말(110)의 사용자는 정보 A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A는 단말(110)에 실행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는 화면에만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b 내지 도 3f에 도시된 것과 달리, 단말(110)에 대한 메뉴 선택키 제어에 따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뉴 창을 단말(110)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단말(110)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전용 버튼을 구비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언제든지 상기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 S202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203에서,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언급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저장된 정보로부터 획득된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때, 정보 A를 이용한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저장된 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서 도 3d에 도시된 과정까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재실행시킬 수 있는 정보이다. 따라서,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도 3b에서 입력된 로그인 정보, 도 3c에서 입력된 친구 추가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 도 3d에서 입력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는 상대방 정보, 및 매핑 요청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d에서 연락처 정보가 전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도 3d의 화면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연락처 정보 입력 화면이 어플리케이션 실행시의 디스플레이 되는 시점 정보 또는 페이지 정보) 또는 매핑 요청 시점 정보를 포함하나 상대방 정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11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준은 사전에 각 어플리케이션별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화면별로 단말(110)에 설정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과 헬스(health) 어플리케이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준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단말(1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획득되도록 상술한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헬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단말(110)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한 정보뿐 아니라 단말(110)에 연동되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혈압 측정기 또는 혈당 측정기)의 실행 및 설정 정보도 포함하도록 상술한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획득은 단계 S20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이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가 사용자가 원하는 피트니스 조건 설정 후에 수신되면,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작부터 피트니스 조건 설정까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정보이다. 따라서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작부터 피트니스 조건 설정까지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운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 및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로그인 정보가 필요 없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생년 월일, 키, 및 몸무게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운영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각 단계에서 제공되는 화면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로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예이다.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상술한 스카이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110)의 타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다른 메뉴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 다른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중에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Fitness)을 선택하는 화면의 예이다. 단말(110)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때, 포인터(401)를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위치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고,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단말(110)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단말(110)은 도 4b에 도시된 피트니스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C가 디스플레이 된다.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는 C로 제한되지 않는다.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C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C를 이용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프로필 만들기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도 4b에서 도 4c로 변경된다. 도 4c에 도시된 화면에서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C가 화면 하단에 디스플레이 된다.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C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은 해당 화면에서 단축 실행 설정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정보 C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하단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c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C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프로필 정보가 모두 입력되고, 도 4b의 화면으로 복귀한 뒤, 상단 메뉴 항목에서 골라보기를 선택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110)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피트니스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4d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C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고, 상단 메뉴에서 나의 기록 항목이 선택되면, 단말(110)은 도 4e에 도시된 사용자의 기록 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정보 C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은 상술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C가 계속 디스플레이 되므로, 단말(110)의 사용자는 정보 C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b 내지 도 4e에 도시된 것과 달리, 단말(110)에 대한 메뉴 선택키 제어에 따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별도의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창에 기초하여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단말(110)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전용 버튼을 구비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언제든지 상기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화면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을 때, 도 2의 단계 S202에서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도 4d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까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S203).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작부터 도 4d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기까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정보이다. 따라서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작부터 도 4d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기까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운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운영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정보 및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단말(110)에 외부 기기(미 도시됨)가 연결되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실행 정보 및 설정 정보를 단말(110)에서 수집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외부 기기의 실행 정보 및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로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이다.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상술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110)의 타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 따른 화면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중에서 페이스북(Facebook)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화면의 예이다. 단말(110)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때, 포인터(501)를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위치시키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고,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단말(110)은 도 5b에 도시된 페이스북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화면 하단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D가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는 D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D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D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입력된 계정 등록을 확인하는 화면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5c에 도시된 화면에서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D가 화면 하단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5c에 도시된 화면에 기초하여 정보 D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확인”을 선택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도 5d에 도시된 화면이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 D가 계속 디스플레이 되므로, 단말(110)의 사용자는 정보 D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된 것과 달리, 단말(110)에 대한 메뉴 선택키 제어에 따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별도의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창에 기초하여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단말(110)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전용 버튼을 구비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언제든지 상기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에 도시된 과정에서 단계 S202에서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110)은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시작한 후, 도 5d에 도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까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S203).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작부터 도 5d에 도시된 과정까지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는 정보이다. 즉, 획득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페이스북 실행 시작부터 도 5d에 도시된 과정까지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운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운영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화면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포함한다.
도 2의 단계 S204에서, 단말(110)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한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할당될 수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에 따라 다른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할당될 수 있다. 매핑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단말(110)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a는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에 따라 다른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예이다. 도 6a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에 기초하여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예이다. 즉, 도 6a의 “S 로그인”은 도 3b에 도시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과정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예이다. “S 연락처 추가”는 도 3d에 도시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연락처 추가 과정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예이다. “S 아들”은 도 3e에 도시된 스카이프 영상통화 연결 시도중일 때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예이다.
도 6a에 도시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기초하여 검출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은 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요약 이미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획득 후,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10)에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b는 어플리케이션별로 제공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예이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매핑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팝업 창으로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단말(110)에 디스플레이 되는 도 6b의 숫자 정보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숫자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가 매핑된다. 도 6b에 도시된 숫자 정보는 단말(110)이 스마트 TV인 경우에 빈 채널 정보일 수 있다. 빈 채널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타입별로 사전에 설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도 3d에서 수신되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될 경우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정보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S 연락처 추가”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식별 정보에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제어부터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연락처 추가 화면 디스플레이 동작까지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로그인 정보, S 연락처 화면 위치 정보(실행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정보(또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가 매핑된다. 도 6c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매핑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기초한 매크로(macro) 또는 IDL(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로 단말(110)에 저장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하위 기능 실행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별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N개의 어플리케이션에서 각각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N개의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10)에 설치되었거나 단말(110)과 서버(130)간의 연동에 의해 단말(1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다. N개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을 요청할 수 있는 시기는 도 2의 단계 S201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단말(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또는 후술할 도 14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단말(110)에서 실행을 종료한 후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이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부(610)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 요청 수신부(611)를 통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사전에 설정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6d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부(610)에 포함된 점선으로 표시된 구성 요소들(Application 1-a, 1-b, 3-a, 3-b, 3-c, …N-a)은 사전에 각 어플리케이션의 단계별로 설정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이 된다.
예를 들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Application 1-a, Application 1-b)은 어플리케이션 1의 사전에 설정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이다. 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Application 1-a, Application 1-b)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것이다. 즉,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Application 1-a)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Application 1-b)는 어플리케이션 1에서 서로 다른 실행 단계에서 사용되도록 설정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이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Application 3-a, 3-b, 3-c)은 어플리케이션 3에서 서로 다른 실행 단계에서 사용되도록 설정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이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Application N-a)는 어플리케이션 N에서 사용되도록 설정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이다.
도 6d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d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부(610)는 어플리케이션 1, 3, 및 N이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도 생성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Application 1-a, 1-b, 3-a, 3-b, 3-c, …N-a)은 단말(110)에 디스플레이된 선택 가능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중에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해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도 6d와 같은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정보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식별 정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상대방 정보(이름, 이메일, 스카이프 이름),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생성 요청 시점 정보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어플리케이션별 하나의 숫자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하나의 단축 실행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숫자 정보 “300”으로 설정된 경우에,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수행 후 매핑 요청이 수신되어 단축 실행이 설정되면, 단말(110)을 통해 숫자 정보 300이 입력될 때마다, 단말(110)은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과정까지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아들과 통화 시도중 또는 통화중 또는 통화 완료후에 상기 매핑 요청을 입력하여 단축 실행을 설정하면, 단말(110)에 설정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단축 실행 설정 내용이 상술한 로그인 후 과정에서 아들과 통화 시도 과정으로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단말(110)을 통해 숫자 정보 300이 입력될 때마다 단말(110)은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아들과 통화를 시도하는 과정까지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도 2의 단계 S205에서 매핑 정보는 단말(110)에만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단계 S206, S207에서 매핑 정보는 단말(110)과 서버(130)에 저장되거나 서버(130)에만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단말(110)의 기능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단말(110)은 사용자 입력부(701), 센싱부(702), 터치 스크린(touch screen)(703), 카메라(704), 오디오 입력부(705), 오디오 출력부(705), 저장부(707), 통신부(708), 포트(709), 프로세서(710), 및 전원부(711)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말(110)의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부(701)는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또는 제어 데이터) 및 상술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701)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마우스를 대신할 수 있는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하드웨어(H/W)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02)는 단말(110)의 위치, 유저의 접촉 유무, 단말(110)의 방위, 단말(110)의 가속 또는 감속 등과 같이 단말(1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702)는 근접 센서 및 상술한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702)는 센서 기반의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사전에 설정된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또는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발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703)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술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존하는 사용자의 요청(request) 또는 사용자의 선택(selection)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는 터치 횟수, 터치 패턴, 터치 면적, 및 터치 강도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상술한 사용자 제스처의 예들과 같이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에 대한 사용자의 손가락에 기초한 터치는 터치 스크린(703)의 터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기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703)은 터치 스크린(703)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에 구비되는 센서는 터치 스크린(703)상에서의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패턴을 감지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703)은 상술한 터치 기반의 드래그, 플릭, 탭, 터치 앤 홀드, 더블 탭, 패닝, 스윕(sweep) 등과 근접 센서에 기초한 사용자 제스처 또는 패턴을 센싱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을 위한 근접 센서는 센싱부(702)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와 동일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의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의 터치(touch)는 패널에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이다. 터치는 멀티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의 근접 터치(proximity-touch)는 포인터가 터치 스크린(703)에 실제로 터치되지 않고, 터치 스크린(703)으로부터 소정 거리내에 접근된 경우이다. 포인터는 터치 스크린(703)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이다. 그 일 예로,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또는 손가락에 대응되는 사람의 신체 부위 또는 손가락에 대응되는 도구 등이 있다. 따라서 포인터는 외부 입력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은 단말(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703)은 터치 스크린(703)에 구비된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제스처 또는 터치 패턴 또는 사용자 입력부(701)를 통해 입력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 또는 센싱부(702)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응답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터치 스크린(703)은 입력 및 출력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이 입력 및 출력 장치일 때, 터치 스크린(703)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703)은 도 3a 내지 도 3f,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 스크린(703)은 디스플레이로 언급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703)은 단말(1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카메라(704)는 영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또는 광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터치 스크린(703)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704)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707)에 저장되거나 통신부(708) 또는 포트(709)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704)는 단말(110)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704)는 사용자의 공간 제스처를 인식하는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704)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 프레임은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서 영상 통화 실행시 단말(110)의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프레임은 단말(110)의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얼굴 이미지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705)는 통화모드, 또는 녹화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세서(710)로 전송한다. 오디오 입력부(705)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70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705)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상기 음향 신호는 자연어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명령이 오디오 입력부(705)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음향 신호가 자연어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라는 것은 음성 인식 기반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의미한다. 오디오 입력부(70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음향 신호는 저장부(707)에 저장되거나 통신부(708) 또는 포트(709)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110)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01), 센싱부(702), 터치 스크린(703), 카메라(704), 및 오디오 입력부(705)는 정보 입력부 또는 정보 입출력부로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과 사용자간의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이 터치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공간 제스처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부(701), 센싱부(702), 카메라(704), 및 오디오 입력부(705)는 정보 입력 부로 언급되고, 터치 스크린(703)은 정보 입출력부로 언급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05)는 통화 모드, 또는 오디오 재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706)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06)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오디오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입력부(705)와 오디오 출력부(706)는 헤드셋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707)는 후술할 프로세서(710)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와 자원(resource)을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단말(11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단말(110)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단말(1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component)들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자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키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획득되어야 하는 정보(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의 기준 정보, 단말(110)의 사용자 정보, 단말(110)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상술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일 때, 기준 정보는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 영상 통화 시 이용된 상대방 정보 및 각 실행 과정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올쉐어 어플리케이션일 때, 기준 정보는 컨텐트를 공유한 기기의 정보 및 공유한 파일의 정보 및 재생 시점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707)는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비롯한 단말(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자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707)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장부(707)는 메모리로 언급될 수 있다.
저장부(707)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는 기능에 따라 복수개의 모듈로 분류할 수 있다.
도 8은 저장부(707)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명령어 세트를 모듈별로 분류한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저장부(707)는 오퍼레이팅 시스템(801), 통신 모듈(802), 그래픽 모듈(803),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804), UI(User Interface) 모듈(805), 센싱 모듈(806), 접촉 및 움직임 모듈(807), 전원 모듈(808), 및 어플리케이션 모듈(809)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 모듈(809)은 스카이프 모듈(810), 페이스북 모듈(811), 유투브 모듈(812), 폰북 모듈(813), 미투데이 모듈(814), 올쉐어 모듈(815), 피트니스 모듈(816), 패밀리 스토리 모듈(817), 키즈 모듈(818), 웹브라우징 모듈(819), 및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모듈(820)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퍼레이팅 시스템(801)은 단말(110)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단말(110)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component)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802)은 통신부(808)를 통해 서버(13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포트(809)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모듈(802)은 통신부(808)를 통해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서버(130)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802)은 서버(130)에 매핑 정보를 저장시키거나 서버(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하거나 서버(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110)에서 실행되도록 서버(130)와 단말(110)간에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그래픽 모듈(803)은 터치 스크린(703)에 디스플레이 되는 그래픽의 밝기 조절 및 랜더링을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어플리케이션 모듈(809)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또는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GPS 모듈(804)은 단말(110)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UI 모듈(805)은 터치 스크린(703) 기반의 UI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UI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센싱 모듈(806)은 센싱부(702) 기반의 센싱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센싱 정보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809)에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접촉 및 움직임 모듈(807)은 터치 스크린(703) 기반의 터치 접촉을 감지하고, 접촉에 기초한 움직임을 추적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809)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전원 모듈(808)은 오퍼레이팅 시스템(801)과 연동되어 사용자 기기(110)내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703)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809)에 포함되는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모듈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단말(110)의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703)을 통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화면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면, 프로세서(710)는 어플리케이션 모듈(809)에 포함된 모듈에 기초한 화면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03)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3a에서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710)는 도 3b 내지 도 3f와 같이 터치 스크린(703)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터치 스크린(703)에 디스플레이 한다. 터치 스크린(703)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기초하여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711)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모듈(820)의 실행을 시작시켜 상술한 도 6a 내지 도 6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매핑한다. 매핑 정보는 저장부(707)에 저장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708)를 통해 서버(130)에 저장된다.
통신부(708)는 무선 인터넷, 무선 인트라넷, 무선 전화 네트워크, 무선 랜(LAN)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FD, Wi-Fi Direct) 통신, 3G(Generation) 통신, 4G(4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인터넷 및 홈 PNA(Phoneline Networking Alliance)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120)는 통신부(708)에 기초하여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708)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미 도시됨)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케이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미 도시됨) 및 서버(13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유선 인터넷 모듈은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통신, RFID 통신,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Zigbee 통신, WFD 통신, 및 NFC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은 단말(11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 예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기반 위치 정보 모듈이 있다. GPS 기반 위치 정보 모듈은 복수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709)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미 도시됨)와 같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단말(110)의 플러그에 외부 기기(미 도시됨)가 꼽히며 자동으로 플레이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전원부(711)는 단말(110)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711)는 배터리 및 교류 전원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을 포함한다. 단말(110)은 전원부(711)를 포함하지 않고, 외부 전원 제공부(미 도시됨)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connection unit)(미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은 도 1의 경우에 프로세서(710)를 단일 칩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단말(110)의 기능에 따라 프로세서(710)를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분할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서(710)는 저장부(707)에 저장된 오퍼레이팅 시스템(801)과 각종 모듈(802-820)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701), 센싱부(702), 터치 스크린(703), 카메라(703), 오디오 입력부(705), 오디오 출력부(706), 저장부(707), 통신부(708), 포트(709) 및 전원부(711)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710)는 제어기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801)과 UI 모듈(806)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701), 센싱부(702), 터치 스크린(703), 카메라(704), 및 오디오 입력부(705)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7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11)는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부(707)로부터 리드하여 실행시키거나 통신부(708)를 통해 연결된 서버(130)로부터 다운받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711)는 서버(130)에 저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시 프로세서(71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획득을 서버(130)로 요청한다. 서버(130)로부터 획득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수신하면, 프로세서(711)는 수신된 획득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부터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기 어플리케이션(711)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화면 정보,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입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는, 도 3a 내지 도 3f에서 설명한 바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화 상대방의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는, 도 4a 내지 도 4e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프로필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는, 도 5a 내지 도 5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이스북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로그인 정보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특성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에 로그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프로세서(711)는 단말(110)내의 각종 하드웨어 컴포넌트들과 프로세서(711)간의 인터페이스 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단말(110)의 다른 기능 블록도로서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TV인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110)은 무선 통신부(901), 통신부(902), 방송 신호 수신부(903), 저장부(904), 프로세서(905), 영상 처리부(906), 디스플레이부(907), 오디오 처리부(908), 오디오 출력부(909), 오디오 입력부(910), 카메라(911), 포트(912), 및 사용자 입력부(913)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부(901)는 원격 제어기(미 도시됨)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원격 제어기가 IR 송신기로 구성되면, 무선 통신부(901)는 IR 수신기로 구성되어 원격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프로세서(905)로 전송한다.
그러나, 원격 제어기가 RF 모듈로 구성되면, 무선 통신부(901)는 RF 모듈로 구성되어 원격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905)로 전송한다. 그러나, 무선 통신부(901)는 상술한 IR 모듈 및 RF 모듈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901)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로 언급될 수 있다.
통신부(902)는 도 7의 통신부(708)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단말(11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도 1의 네트워크(120)를 통해 서버(130) 또는 외부 기기(미 도시됨)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903)는 튜너(미 도시됨)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즉, 튜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오디오 신호는 프로세서(905)로 입력된다.
저장부(904)는 프로세서(905)에서의 각종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단말(110)의 인증을 위한 정보, 및 단말(110)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110)의 인증을 위한 정보는 단말(110)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5)에서의 각종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술한 도 2의 동작 흐름도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저장부(904)에 저장하거나 통신부(902)를 통해 서버(130)에 저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5)는 단말(110)의 전 기능을 제어하고, 통신부(902)를 통해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05)는 저장부(9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I(User Interface) 화면을 구성하여 영상 처리부(906)를 통해 디스플레이부(907)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UI 화면은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f, 도 4a 내지 도 4e, 또는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UI 화면을 포함한다. 또한, UI 화면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선택을 위한 화면 및 후술할 매핑 정보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재 실행시 프리뷰 정보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뷰 정보 화면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선택시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매핑되어 재실행 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리뷰 정보 화면은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에 실행된 화면 정보 및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안내 정보(guide information)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에서 단축 실행이 설정된 후, 스카이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도 3d에 도시된 화면 정보가 프리 뷰 정보 화면으로 제공되거나 도 3d까지 진행된 상태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이 프리 뷰 정보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905)는 통신부(902)를 통해 연결된 서버(130)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905)는 저장부(9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905)는 도 7의 프로세서(711)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906)는 영상 디코더(미 도시됨) 및 스케일러(미 도시됨)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906)는 방송 신호 수신부(90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영상 디코더는 역 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고, 스케일러는 복호화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907)에서 출력하도록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7)는 영상 처리부(906)에서 처리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영상은 방송 신호 수신부(903)로부터 수신된 영상, UI 화면, 및 통신부(902)를 통해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907)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908)는 방송 신호 수신부(703)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와 통신부(902)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출력부(909)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909)는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908)는 오디오 입력부(9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프로세서(905)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910)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7)와 음성 출력부(909)는 무선 통신부(701) 또는 사용자 입력부(913)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정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카메라(911), 포트(912) 및 사용자 입력부(913)는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부(701), 카메라(704) 및 포트(709)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서 단말(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프로세서(710)에 의해 저장부(70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되거나 프로세서(905)에서 저장부(90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및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71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계 S1001에서, 단말(110)의 프로세서(71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 정보가 터치 스크린(703)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단계 S1002에서, 터치 스크린(703) 또는 사용자 입력부(701)에 기초하여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003에서 프로세서(71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획득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1004에서, 프로세서(710)는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한다. 매핑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도 2 및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1005에서, 프로세서(710)는 매핑된 정보를 저장부(707)에 저장하거나 통신부(708)를 통해 서버(130)로 전송하여 서버(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서버(130)에 매핑 정보가 저장된 경우이다.
단계 S1101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S1002에서, 단말(110)은 서버(130)로 매핑 정보를 요청한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TV의 경우에 채널 전환 또는 채널 설정에 기초한 채널 번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해당되는 채널 번호가 온 될 때, 단말(110)은 상술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정보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화면에 설정된 단축 실행 전용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제공되는 도 12b와 같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화면에 기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스카이프(S) 연락처 추가, 패밀리 스토리 A, 키즈 B, 피트니스 C 등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 연락처 추가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단말(110)은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서버(130)로 매핑 정보를 요청한다.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도 12b에 도시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서버(130)로부터 매핑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S1104에서, 단말(110)은 수신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한다. 이 때,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프리뷰(preview)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프리뷰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리뷰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된 내용을 알 수 있는 화면 정보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안내 정보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단계 S1103에서 매핑 정보를 전송할 때,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에 매핑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 단말(110)은 서버(130)로 매핑 정보를 요청하지 않고 단말(110)에 포함된 저장부(707)로부터 매핑 정보를 리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동작 흐름도는 도 2의 매핑 정보 저장 후 단계에 연결되어 수행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흐름도는 도 10의 흐름도에 도 11의 흐름도가 추가된 예이다. 따라서 도 13의 단계 S13101-S1305는 도 10의 단계 S1001-S1005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단계 S1306에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710)는 매핑된 정보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한다. 그러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7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및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에 대한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한다. 이 스탠 바이 상태는 아이들 상태(idle state)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레이케이션 실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단말(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후의 경우이다.
단계 S1401에서, 단말(110)에서 실행되고 있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단계 S1402에서, 단말(110)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단말(11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 되는 가이드 정보는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와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 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403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S1404에서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획득은 도 2의 단계 S203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단계 S1405에서, 단말(110)은 획득된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한다.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에 매핑되는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도 6a 및 도 6b, 도 6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준으로 선택된 뒤,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매핑될 수 있다. 매핑 정보는 단말(110)에 저장하거나(S1406) 서버(13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1407, S1408).
도 14의 동작 흐름도는 매핑 정보를 저장한 후, 도 11의 동작 흐름도와 결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핑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매번 반복되는 과정을 자동적으로 실행시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성 및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부터 상기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과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매핑한 후,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기 전에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 실행 시점에 기초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는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에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 및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에 대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에 대한 안내 정보중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매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상기 단말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중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채널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번호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분류된 빈 채널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10.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입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외부 기기중 하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시점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부터 상기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매핑한 후, 상기 입력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는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에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에 대한 안내 정보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매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상기 출력부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중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0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채널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번호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분류된 빈 채널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삭제
  17. 터치 기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저장부와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 요청 시점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부터 상기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매핑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매핑 한 후,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단말.
  19.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간의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매핑 요청 신호 수신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상기 매핑 요청 신호의 수신 시점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부터 상기 매핑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과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0. 삭제
  21.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종료 시점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단말과 외부 기기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매핑 후,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저장된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기 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정보는 상기 매핑 시점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된 내용을 알 수 있는 화면 정보 및 상기 실행된 내용을 알 수 있는 안내 정보중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와 매핑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를 상기 단말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중 선택된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매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6. 제 21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는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분류된 빈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는
    매핑 시점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초기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28.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간의 매핑에 기초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 및 상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됨에 따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 매핑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가이드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시점까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단축 실행 인디케이터와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외부 기기중 하나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20102737A 2012-09-17 2012-09-17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KR10200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37A KR102004986B1 (ko) 2012-09-17 2012-09-17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EP13184449.0A EP2709005B1 (en) 2012-09-17 2013-09-13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CT/KR2013/008328 WO2014042474A2 (en) 2012-09-17 2013-09-16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an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4/028,591 US9703577B2 (en) 2012-09-17 2013-09-17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using short run indicator on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37A KR102004986B1 (ko) 2012-09-17 2012-09-17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32A KR20140036532A (ko) 2014-03-26
KR102004986B1 true KR102004986B1 (ko) 2019-07-29

Family

ID=4916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737A KR102004986B1 (ko) 2012-09-17 2012-09-17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3577B2 (ko)
EP (1) EP2709005B1 (ko)
KR (1) KR102004986B1 (ko)
WO (1) WO20140424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0865A (zh) * 2012-10-19 2014-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通话方法、装置、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20140310711A1 (en) * 2013-04-11 2014-10-1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for determining performance of process of application and computer system
KR20150015941A (ko) * 2013-08-02 2015-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애플리케이션의 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9703570B2 (en) * 2014-10-01 2017-07-11 Fujitsu Limited Dynamic device drivers
US9380264B1 (en) * 2015-02-16 2016-06-28 Siva Prasad Vakalapudi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KR102234074B1 (ko) * 2019-10-23 2021-03-30 홍석준 유저 맞춤형 스마트폰 앱 자동 정렬 장치
KR102268453B1 (ko) * 2019-10-23 2021-06-22 홍석준 유저 맞춤형 스마트폰 앱 자동 정렬 장치
CN115604522A (zh) * 2021-07-07 2023-01-13 艾锐势企业有限责任公司(Us) 用于快速切换频道的电子设备、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5559A1 (en) * 2009-02-11 2010-08-12 Greg Rose Quick-launch desktop application
WO2012001428A1 (en) 2010-07-02 2012-01-05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20164971A1 (en) 2010-12-22 2012-06-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8091B2 (en) * 2000-11-09 2005-07-12 Change Tools, Inc. User definable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7275240B2 (en) * 2003-01-08 2007-09-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macros in a language independent syntax
US7653896B2 (en) * 2004-06-30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Smart UI recording and playback framework
US8869027B2 (en) * 2006-08-04 2014-10-21 Apple Inc. Management and generation of dashboards
KR101358850B1 (ko) * 2007-03-23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실행하는 방법
US8713584B2 (en) * 2009-08-13 2014-04-29 Google Inc. Event-triggered server-side macros
US20110078714A1 (en) 2009-09-25 2011-03-3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video on demand content
KR20110051435A (ko) 2009-11-10 2011-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US8363589B2 (en) * 2009-12-29 2013-01-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communications shortcuts
EP2416564B1 (en) * 2010-08-02 2016-04-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KR20120066819A (ko) * 2010-12-15 2012-06-25 고스트리트(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KR101729523B1 (ko) * 2010-12-21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2474893B1 (en) * 2011-01-07 2014-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using display screen,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US20130024816A1 (en) * 2011-07-22 2013-01-24 Michael John Bender Connection Status Based Application Launch System
US9338510B2 (en) * 2011-07-31 2016-05-1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home screen shortcuts
US20130257749A1 (en) * 2012-04-02 2013-10-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5559A1 (en) * 2009-02-11 2010-08-12 Greg Rose Quick-launch desktop application
WO2012001428A1 (en) 2010-07-02 2012-01-05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20164971A1 (en) 2010-12-22 2012-06-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2622A1 (en) 2014-03-20
US9703577B2 (en) 2017-07-11
WO2014042474A2 (en) 2014-03-20
EP2709005A3 (en) 2014-11-05
EP2709005A2 (en) 2014-03-19
KR20140036532A (ko) 2014-03-26
WO2014042474A3 (en) 2014-05-08
EP2709005B1 (en)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986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US10502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US92234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use function using touch device
EP28090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KR201600012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728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4508699B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94266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pairing in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8726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CN107390922B (zh) 虚拟触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2215178B1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601475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567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2741208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5009811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94396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lateral conversation
KR2018001763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25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ech recognition information
KR20130106691A (ko) 에이전트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전자 기기, 서버 및 기록 매체
KR1016776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291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42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0663A (ko) 이동단말기의 초기셋팅방법
CN107077276B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