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75B1 - 토목공사용 튜브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용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75B1
KR101326775B1 KR1020110082897A KR20110082897A KR101326775B1 KR 101326775 B1 KR101326775 B1 KR 101326775B1 KR 1020110082897 A KR1020110082897 A KR 1020110082897A KR 20110082897 A KR20110082897 A KR 20110082897A KR 101326775 B1 KR101326775 B1 KR 10132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ivil engineering
coupling portion
tube body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327A (ko
Inventor
최종철
권철기
Original Assignee
권철기
최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철기, 최종철 filed Critical 권철기
Priority to KR1020110082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7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튜브직물지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상호 결합하는 가로결합부 및 세로결합부를 가지는 주머니 형상의 튜브본체와; 상기 튜브본체의 개구된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본체와 함께 내부에 충진재가 삽입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튜브측면과; 상기 튜브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충진재를 주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결합부와 상기 세로결합부 및 상기 튜브측면과 상기 튜브본체의 결합영역은 결합되는 튜브직물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재료를 배치한 후 봉제사에 의해 봉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료는 상기 튜브본체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지, 상기 튜브본체와 상이한 직물지, 접착제층 및 열융착제층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목공사용 튜브는 튜브본체에 형성된 가로결합부와 세로결합부에 튜브직물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재료를 삽입한 후 봉제사로 봉제하여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목공사용 튜브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가로결합부와 세로결합부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토목공사용 튜브{TUBE FOR CIVIL ENGINEERING}
본 발명은 토목공사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공사에서 물막이 등을 위해 사용되는 토목공사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용 튜브(일명, Geotube, Geosynthesis 등)는 합성수지 실로 형성된 직물지를 폐쇄된 주머니 형상으로 제조한 것이다. 토목공사용 튜브는 내부에 모래와 흙과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여 필요에 맞는 용도로 사용한다. 토목공사용 튜브는 충진재를 주입하여 댐공사, 교량공사, 물막이공사 등에 사용되고, 물속에 가라앉아 있는 퇴적물, 슬러지 등을 내부에 넣고 탈수시키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토목공사용 튜브(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10)는 복수개의 튜브직물지(11,12)의 결합부위(13)를 봉제사(14)로 봉제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10)는 결합부위(13)를 단순히 봉제사(14)로 봉제하게 되므로, 물의 흐름 또는 파도와 같은 외부 압력이나 충진재의 내부 압력 등에 의해 결합부위(13)가 쉽게 파괴되는 문제가 있었다.
토목공사용 튜브(10)는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량이 증가될수록 튜브표면에 큰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위(13)의 결합력은 실제 튜브직물지(11)의 비결합부위의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므로, 각종 압력에 의해 봉제사(14)가 끊어지거나 튜브직물지(11,12) 사이가 벌어지거나 튜브직물지(11,12)가 찢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결합부위(13)의 튜브직물지(11,12)를 몇 겹으로 겹쳐서 봉제하거나, 봉제사(14)를 여러 줄로 봉제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줄로 봉제를 하더라도 어느 지점의 봉제사가 외압에 의해 파괴되면 그 지점의 봉제사에 결합된 나머지 봉제사도 연속하여 파괴되는 현상이 있어서 결합부위(13)의 강도를 보강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함이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10)는 시공을 위해 복수개를 이웃하게 배치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튜브(10a,10b)와 단부 영역이 서로 겹쳐지도록 연결 배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 상호 겹쳐진 연결부위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고 상호 겹쳐진 연결부위의 높이가 타 부위에 비해 낮아지므로, 필연적으로 차수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물막이 역할 등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단부 영역에 보조 충진재 주머니를 추가로 배치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10)는 지반 상에 지지되어 충진재(A)의 하중에 의해 튜브(10)가 연약지반 속으로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방지매트(17)의 상면에 설치된다.
즉,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10)를 설치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방지매트(17)를 먼저 펼쳐 놓고, 침식방지매트(17)의 상면에 토목공사용 튜브(10)를 배치한다.
그런데, 토목공사용 튜브(10)와 침식방지매트(17)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침식방지매트(17)의 상면에 토목공사용 튜브(10)를 정확하게 배치시키기 어려우며, 설령 정확하게 배치하더라도 이후 시공 구조가 언제든지 해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위의 강도를 보강하여 외부 또는 내부압력에 의한 결합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토목공사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의 일측 단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웃하는 튜브와 연결 배치시 물막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토목공사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식방지매트의 위치를 튜브본체에 고정시켜 시공불량을 줄이고, 시공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토목공사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목공사용 튜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는, 복수개의 튜브직물지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충진재를 주입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튜브직물지의 결합영역은 서로 인접한 튜브직물지의 단부가 서로 중첩 배치되되, 보강재료가 상기 중첩 배치된 튜브직물지 사이에 개재되고, 이 상태에서 봉제사에 의해 봉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료는 상기 튜브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지, 상기 튜브와 상이한 재질의 직물지, 접착제층 및 열융착제층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튜브의 일측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날개가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튜브의 하면에는 연약 지반 속으로 상기 튜브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의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의 침식방지매트가 결합되고, 상기 충진재주입구에는 상기 충진재주입구를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묶음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튜브직물지의 단부가 그 상태 그대로 또는 복수겹으로 접혀진 상태로 봉제되고, 상기 충진재주입구와 상기 튜브의 결합영역, 상기 연장날개와 상기 튜브의 결합영역, 상기 튜브와 상기 침식방지매트의 결합영역, 상기 충진재주입구와 상기 묶음밴드의 결합영역은 상기 보강재료가 삽입된 후 봉제사에 의해 봉제되어 형성되며, 상기 튜브 복수개를 서로 연결 시 상기 연장날개가 일측을 향하도록 상기 튜브들을 배치 후 상기 연장날개 내에 인접한 상기 튜브의 타측부를 삽입시켜 암수 결합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는 튜브본체에 형성된 가로결합부와 세로결합부에 튜브직물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재료를 삽입한 후 봉제사로 봉제하여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목공사용 튜브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가로결합부와 세로결합부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토목공사용 튜브의 측면영역이 연장날개와 이에 삽입되는 암수구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토목공사용 튜브의 측면영역과 연장날개가 상호 겹쳐지게 배치되므로, 차수효율이 토목공사용 튜브의 전 영역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토목공사용 튜브 상부의 충진재주입구에 묶음밴드가 구비되어 토목공사용 튜브의 설치 후 마무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튜브본체의 하부영역에 침식방지매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튜브본체와 침식방지매트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므로, 설치불량을 줄일 수 있고, 시공구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토목공사용 튜브와 침식방지매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토목공사용 튜브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토목공사용 튜브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의 결합부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b는 도 8a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의 침식방지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100)는 내부에 충진재(A)가 주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튜브본체(110) 및 튜브측면(112)과, 튜브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튜브본체(110) 내부로 충진재(A)를 주입시키는 충진재주입구(120)와, 튜브측면(112)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연결구조를 확보하는 연장날개(130)와, 튜브본체(110)의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튜브본체(110)의 침식을 방지하는 침식방지매트(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100)는 간척, 항만건설, 교량건설 등의 물막이공사와 같은 대형 토목공사에 사용되거나, 물속에 가라앉아 있는 퇴적물, 슬러지 등을 넣고 탈수시키는 환경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토목공사용 튜브(100)는 대형 크기로 구비된다.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크기는 복수개의 튜브직물지(111a,111b,111c)의 결합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튜브본체(110)와 튜브측면(112)은 내부에 충진재(A)가 충진될 수 있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된다. 튜브본체(110)는 일정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튜브직물지(111a,111b,111c)의 테두리영역을 서로 결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튜브본체(110)의 양측에는 튜브측면(112)이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튜브직물지(111a,111b,111c)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에 의해 튜브본체(110)에는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15)가 형성된다.
튜브직물지(111a,111b,111c)는 내부의 충진재(A)의 무게에 의한 내부압력과, 물속에서 인가되는 외부압력, 즉 물의 흐름, 파도, 수압 등에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직물지로 구비된다.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는 결합력의 보강을 위해 도 5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의 결합부위 사이에 보강재료(114)가 삽입된 후 봉제사(117)에 의해 봉제된다.
보강재료(114)는 복수개의 튜브직물지(111a,111b,111c)가 겹쳐지는 사이에 구비되어 튜브직물지(111a,111b,111c)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보강재료(114)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와 동종 또는 이종 직물지로 구비되거나, 비직물지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비직물지재료는 접착제층 또는 열융착제층일 수 있다.
튜브직물지(111a,111b,111c)와 동종 또는 이종 직물지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의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부위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접착제층 또는 열융착제층은 결합되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 사이에 도포되어 튜브직물지(111a,111b,111c)가 서로 부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두 장의 튜브직물지(111a,111b,111c) 사이의 결합력이 높아지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의 다양한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먼저,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는 이웃하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 사이에 보강재료(114)를 삽입하고 봉제사(117)로 봉제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결합부(113a)와 세로결합부(115a)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직물지(111a)의 테두리영역을 두 겹으로 접은 후, 그 사이에 보강재료(114)를 삽입하고 봉제사(117)를 이용해 봉제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 사이에 튜브직물지(111a,111b,111c)와 열융착되는 열융착제를 도포하고 열(H)을 인가하거나 열(H)과 압력을 함께 인가하여 이웃하는 튜브직물지(111a,111b,111c)를 서로 열융착시킨 후 봉제사(117)를 이용해 봉제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번호 114a는 열융착제층을 나타낸다.
열융착제층(114a)은 튜브직물지(111a,111b,111c) 사이에 열융착제가 도포된 후 열(H)이 인가되면 열융착제가 녹으면서 튜브직물지(111a,111b,111c)로 침투되면서 튜브직물지(111a,111b,111c)를 부착시켜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한편,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를 결합시키는 봉제사(117)는 일자 봉제의 방법으로 3~8줄로 봉제된다. 이에 의해, 봉제사(117)의 봉제부위가 한번에 파손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튜브측면(112)은 튜브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된다. 튜브측면(112)은 한 개의 튜브직물지 또는 복수개의 튜브직물지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튜브측면(112)은 튜브본체(110)와 측면결합부(112a)에 의해 결합된다. 측면결합부(112a)는 앞서 설명한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15)와 동일한 결합구조나 방법으로 튜브본체(110)에 결합되어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양측의 튜브측면(112) 중 어느 하나에는 연장날개(130)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양단부가 서로 암수구조에 의해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충진재주입구(120)는 튜브본체(110)의 상부영역에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충진재(A)를 공급받아 튜브본체(110) 내부로 주입시킨다. 충진재(A)의 종류는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사용목적에 따라 모래, 흙, 퇴적물, 슬러지 등 다양할 수 있다.
충진재주입구(120)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튜브본체(110)의 일영역에 결합된다. 이때, 충진재주입구(120)와 튜브본체(110)의 주입구결합부(121)는 앞서 설명한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와 동일한 결합구조나 방법으로 튜브본체(110)에 결합되어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충진재주입구(120)의 판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묶음밴드(123)가 구비된다. 묶음밴드(123)는 충진재 주입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이 풀려진 상태로 충진재주입구(120)가 개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충진재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매듭으로 형성되어 충진재주입구(120)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튜브본체(110) 내부에 충진재(A) 주입이 완료된 후 작업자의 마무리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묶음밴드(123)와 충진재주입구(120)가 결합되는 밴드결합부(121)는 앞서 설명한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15)와 동일한 결합구조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연장날개(130)는 튜브측면(112)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토목공사용 튜브(100)를 일렬로 연결 배치할 때 이웃하는 토목공사용 튜브(100a,100b)가 삽입되도록 한다. 연장날개(130)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튜브측면(112)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된다. 연장날개(130)는 튜브측면(112)의 판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연장날개(130)는 튜브측면(112)의 외주연에 한 개 이상 배치되고, 연장날개(130)의 내부에 이웃하는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연장날개(130)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 튜브측면(112)이 삽입된다. 즉, 연장날개(130)는 한 쌍의 튜브측면(112) 중에서 한쪽에만 구비되므로 양측의 구조가 서로 암수의 형태로 연결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목공사용 튜브(100a)와 제2토목공사용 튜브(100b)를 서로 이웃하게 배치할 때, 제1토목공사용 튜브(100a)의 제1연장날개(130a) 내부에 제2토목공사용 튜브(100b)의 제2튜브측면(112b)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1토목공사용 튜브(100a)의 제1연장날개(130a)와 제2토목공사용 튜브(100b)의 튜브본체(110)가 서로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제1튜브본체(100a)와 제2튜브본체(100b)의 양단부의 위치가 고정되어 차수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연장날개(130)는 튜브본체(110) 또는 튜브측면(120)의 판면에 가로결합부(113) 및 세로결합부(115)와 동일한 결합구조나 방법으로 보강재료(114)와 봉제사(11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튜브본체(110)의 하면에는 침식방지매트(140)가 고정결합된다. 침식방지매트(140)는 지반 상에 지지되어 충진재(A)의 하중에 의해 튜브본체(110)가 연약지반 속으로 침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매트(140)는 튜브본체(110)의 하면에 고정되어 튜브본체(110)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침식방지매트(140)와 튜브본체(110)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침식방지매트(140)와 튜브본체(110)의 매트결합부(141)는 앞서 설명한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와 동일한 결합구조나 방법에 의해 튜브본체(110)에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매트(140)는 튜브본체(110)의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식방지매트(140a)는 튜브본체(110)의 절반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설치과정을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충진재(A)가 충진되지 않은 토목공사용 튜브(100)를 지반 상에 배치한다. 이때, 침식방지매트(140)를 지반 상에 접촉되도록 배치하고, 충진재주입구(120)가 상면으로 향하도록 튜브본체(110)를 배치한다.
복수개의 토목공사용 튜브(100)를 연결 배치하는 경우 각각의 튜브측면(112)에 구비된 연장날개(130) 내부로 이웃하는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튜브측면(112)을 삽입하여 단부영역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물론, 튜브본체(110)의 내부에 충진재(A)를 충진시킨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재(A)의 충진이 완료되면 충진재주입구(120)의 묶음밴드(123)를 묶어 토목공사용 튜브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가 완료되면, 내부 또는 외부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튜브본체(110)의 가로결합부(113)와 세로결합부(115)가 보강재료(114)에 의해 결합력이 보강되어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튜브측면(112)이 연장날개(130)에 의해 이웃하는 토목공사용 튜브(100b,100c)와 서로 중첩되어 있으므로, 틈새가 없이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막이 효율이 토목공사용 튜브(100)의 전 영역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토목공사용 튜브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토목공사용 튜브 110 : 튜브본체
111 : 튜브직물지 113 : 가로결합부
114 : 보강재료 115 : 세로결합부
120 : 모래주입구 121 : 주입구결합부
123 : 묶음밴드 123a : 밴드결합부
130 : 연장날개 140 : 침식방지매트

Claims (6)

  1. 복수개의 튜브직물지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충진재를 주입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튜브직물지의 결합영역은 서로 인접한 튜브직물지의 단부가 서로 중첩 배치되되, 보강재료가 상기 중첩 배치된 튜브직물지 사이에 개재되고, 이 상태에서 봉제사에 의해 봉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료는 상기 튜브와 동일한 재질의 직물지, 상기 튜브와 상이한 재질의 직물지 및 열융착제층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튜브의 일측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날개가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튜브의 하면에는 연약 지반 속으로 상기 튜브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의 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의 침식방지매트가 결합되고,
    상기 충진재주입구에는 상기 충진재주입구를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묶음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튜브직물지의 단부가 그 상태 그대로 또는 복수겹으로 접혀진 상태로 봉제되고,
    상기 충진재주입구와 상기 튜브의 결합영역, 상기 연장날개와 상기 튜브의 결합영역, 상기 튜브와 상기 침식방지매트의 결합영역, 상기 충진재주입구와 상기 묶음밴드의 결합영역은 상기 보강재료가 삽입된 후 봉제사에 의해 봉제되어 형성되며,
    상기 튜브 복수개를 서로 연결 시 상기 연장날개가 일측을 향하도록 상기 튜브들을 배치 후 상기 연장날개 내에 인접한 상기 튜브의 타측부를 삽입시켜 암수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튜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82897A 2011-08-19 2011-08-19 토목공사용 튜브 KR10132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97A KR101326775B1 (ko) 2011-08-19 2011-08-19 토목공사용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897A KR101326775B1 (ko) 2011-08-19 2011-08-19 토목공사용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27A KR20130020327A (ko) 2013-02-27
KR101326775B1 true KR101326775B1 (ko) 2013-11-13

Family

ID=4789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897A KR101326775B1 (ko) 2011-08-19 2011-08-19 토목공사용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7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08A (ko) * 2016-08-25 2018-03-07 골드-조인트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토목섬유 튜브
KR101842688B1 (ko) * 2017-08-22 2018-03-27 (주)서진보강기술공사 사면보강용 섬유거푸집
CN109024635A (zh) * 2018-07-27 2018-12-18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基坑防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03B1 (ko) * 2016-09-08 2020-01-22 김진수 회전식 교각을 구비한 교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2A (ja) * 1995-06-19 1997-01-07 Kureha Elastomer Kk 遮水シートの接合方法
KR100710415B1 (ko) * 2006-04-03 2007-04-24 오성훈 지오텍스타일튜브
KR100902327B1 (ko) * 2009-01-13 2009-06-12 재현토건(주) 지오튜브를 이용한 제방축조 및 매립공법
KR20110052848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젠트로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2A (ja) * 1995-06-19 1997-01-07 Kureha Elastomer Kk 遮水シートの接合方法
KR100710415B1 (ko) * 2006-04-03 2007-04-24 오성훈 지오텍스타일튜브
KR100902327B1 (ko) * 2009-01-13 2009-06-12 재현토건(주) 지오튜브를 이용한 제방축조 및 매립공법
KR20110052848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젠트로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208A (ko) * 2016-08-25 2018-03-07 골드-조인트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토목섬유 튜브
KR101842688B1 (ko) * 2017-08-22 2018-03-27 (주)서진보강기술공사 사면보강용 섬유거푸집
CN109024635A (zh) * 2018-07-27 2018-12-18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基坑防水装置
CN109024635B (zh) * 2018-07-27 2020-09-25 中国华冶科工集团有限公司 一种可拆卸基坑防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327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775B1 (ko) 토목공사용 튜브
US20090129866A1 (en) Geotextile tube
KR100710415B1 (ko) 지오텍스타일튜브
KR101863835B1 (ko) 지반 보강용 셀 구조물
KR100697800B1 (ko) 지오텍스타일튜브 및 지오텍스타일튜브내의 채움재 채움방법
US20100003081A1 (en) Water containment structure
JP6044051B2 (ja)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JP5144148B2 (ja) 土木用袋体
US9845583B1 (en) Geotextile tube
KR101226187B1 (ko) 터널용 방수시트
KR101577609B1 (ko) 마찰겸용완충부가 적용된 토목공사용 토목섬유 튜브구조체
RU101691U1 (ru) Полимерконтейнер текстильный бескаркасный "птбк" для балластиров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диаметром более 500мм (варианты)
JP2019094624A (ja) 土嚢袋
CN108396709B (zh) 土工护面垫及其制作方法
CN210827346U (zh) 柔性抗冻胀、抗冲刷渠道防护设施
JP5582104B2 (ja) 地下外壁構造
KR20180023208A (ko) 토목섬유 튜브
KR102010242B1 (ko) 복합가교
RU2570317C2 (ru) Износостойкий геотексти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JP4927766B2 (ja) 上下分割ケーソン用目地構造およびその施工法
KR20110099553A (ko) 수압 소산용 필터매트
JP6207062B2 (ja) ジオテキスタイルチューブを用いた補強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94625A (ja) 土嚢袋
KR20050006967A (ko) 나선봉합 고강도 토목섬유 상부보강포대를 이용한골재속채움 상부보강말뚝에 의한 해저 연약지반의전단저항력 증가를 위한 해저 연약지반의 개량공법 및나선봉합 고강도 토목섬유 상부보강포대를 이용한골재속채움 상부보강말뚝
KR101251947B1 (ko) 지오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