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690B1 -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 Google Patents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690B1
KR101324690B1 KR1020120120352A KR20120120352A KR101324690B1 KR 101324690 B1 KR101324690 B1 KR 101324690B1 KR 1020120120352 A KR1020120120352 A KR 1020120120352A KR 20120120352 A KR20120120352 A KR 20120120352A KR 101324690 B1 KR101324690 B1 KR 10132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barrier body
bottom groove
connecting ro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만기
김기동
김용국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배리어로서의 역할과 비상시 개폐가능한 게이트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는, 저면홈과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제작된 배리어 본체;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에 끼움되어 걸리게 설치되는 이동트레일러;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 내부에 마련된 암나사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암나사결합구에 나사체결되는 제1연결봉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이동트레일러의 바퀴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 내·외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는, 저면홈과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제작된 배리어 본체;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에 끼움 설치되는 이동트레일러;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 내부에 마련된 암나사결합구; 하부가 이동트레일러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부가 암나사결합구에 나사체결된 끼움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끼움봉의 연결봉결합구에 연결 결합되는 제1연결봉의 회전에 의한 끼움봉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이동트레일러의 바퀴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 내·외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Mobile Concrete Median barrier for Gate}
본 발명은 도로 가운데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배리어로서의 역할과 비상시 개폐 가능한 게이트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등과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의 중앙선에는 도 1과 같이 반대방향의 차량이 침범하여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리어가 설치된다. 그런데 고속도로의 특정 차선에서 차량의 전복이나 화재가 발생하거나 결빙이나 노면 파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차선에서 차량 정체가 재난의 복구 시까지 지속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차량이 비상회차(U-turn)할 수 있도록 배리어는 중간 중간에 이동식이나 개폐식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안된 이동식 배리어의 일례이다.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식 배리어의 경우 이동장치를 용이하게 부가하기 위해 주로 플라스틱이나 강재 배리어가 적용되어 왔다. 도 1(a)는 등록실용산안 제20-0234510호에 따른 것이고 도 1(b)는 특허 제10-0816883호에 따른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의 배리어를 보여주는데, 이들 플라스틱 소재의 배리어는 가벼워 이동성이 간편한 이점이 있으나, 차량이 배리어에 충돌할 때 차량의 충돌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배리어로서 안전하게 역할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도 1(c)는 특허 제10-1011226호에 따른 강재 배리어를 보여주는데, 강재 배리어는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강성이 있기는 하나 콘크리트 배리어에 비해 여전히 강성이 떨어지고 또한 고정 설치와 이동성을 위해 볼트,너트 등의 조립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플라스틱 내지 강재 이동식 배리어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강성 배리어로서의 역할하여 차량 충돌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더불어 비상시에는 용이하게 개폐 가능한 게이트로서의 역할하여 비상회차 통로로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는, 저면에 저면홈이 형성되면서 저면홈에서 상부까지 이어지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제작된 배리어 본체;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에 끼움되어 걸리게 설치되는 이동트레일러;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 내부에 마련된 암나사결합구;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암나사결합구에 나사체결되는 제1연결봉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이동트레일러의 바퀴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 밖으로 인출되거나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는, 저면에 저면홈이 형성되면서 저면홈에서 상부까지 이어지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제작된 배리어 본체;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에 끼움 설치되는 이동트레일러;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 내부에 마련된 암나사결합구;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연결봉결합구가 형성된 봉재로 마련되며, 하부가 이동트레일러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부가 암나사결합구에 나사체결된 끼움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끼움봉의 연결봉결합구에 연결 결합되는 제1연결봉의 회전에 의한 끼움봉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이동트레일러의 바퀴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 밖으로 인출되거나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콘크리트 배리어에 승하강이 가능한 이동트레일러가 부가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배리어는 도로에 설치할 경우 설치 안정성과 이동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평상시 배리어로서의 역할과 비상시 개폐가능한 게이트로서의 역할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배리어는 평상시 배리어로 활용할 때 자중으로 도로면에 안정적으로 정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리어로서 효과적으로 역할할 수 있다. 또한 단순 조작을 통해 콘크리트 배리어에 이동성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로서의 개폐 작동이 용이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설치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식 배리어를 보여준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단면도, 이동트레일러의 승하강 작동상세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단면도, 이동트레일러의 승하강 작동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에 설치 개요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상호 간의 분해상세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로 가운데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평시에는 안전한 배리어(barrier)로서 역할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정치(定置)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비상시에는 게이트(gate)로서 역할가능하게 이동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단면도, 이동트레일러의 승하강 작동상세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는, 배리어 본체(110), 이동트레일러(120), 암나사결합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끼움봉(1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배리어 본체(110)는 통상의 배리어 형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저면홈(111)과 연통구멍(112)이 형성되고 나아가 배수홈(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면홈(111)은 배리어 본체(110) 저면에 형성되어 이동트레일러(120)의 승하강 공간으로 제공되고, 연통구멍(112)은 배리어 본체(110) 상부에서 저면홈(111)으로 이어지게 형성되어 이동트레일러(1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끼움봉(140)의 이동공간으로 제공되며, 배수홈(115)은 배리어 본체(110) 저면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가 도로에 정치될 때 노면에 흐르는 유수의 배수 통로로 제공된다. 또한 배리어 본체(110)는 길이방향 양 측면 각각에 위아래로 연결봉삽입돌기(113)와 돌기결합홈(1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와 도 6에서 설명한다.
배리어 본체(110)에서 저면홈(111)은 이동트레일러(120)가 끼움 설치되어 이동트레일러(120)의 승하강을 가능케 하는 공간이 되므로, 이동트레일러(120)의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마련한다. 특히 제1실시예는 이동트레일러(120)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에 끼움되어 걸리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저면홈(111)은 T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형 저면홈(111)의 수평부에 이동트레일러의 지지판(121)을 걸치고 T형 저면홈(111)의 수직부에 이동트레일러의 바퀴(122)를 위치시키면 이동트레일러(120)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지지판(121)이 T형 저면홈(111)의 수평부에 걸리며, 이로써 이동트레일러(120)는 배리어 본체(110)에 안정적으로 구속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연통구멍(112) 하부에는 암나사결합구(130)가 마련되는데, 암나사결합구(130)는 연통구멍(112)에 암사나산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마련하는 것은 물론, 배리어 본체(110) 제작과정에서 암나사 슬리브를 매설하는 방식으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연통구멍(112)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제1연결봉(21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가 도로에 안정적으로 정치되어 배리어(barrier)로서 역할하는 경우에는 연통구멍(112)에 탈착 가능한 보호캡(150)을 장치하여 빗물,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나사결합구(130)에는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112)을 통해 삽입되는 제1연결봉이 나사체결된다. 제1실시예에는 끼움봉(14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끼움봉은 그 하부가 이동트레일러(120)의 상부면에 안착하면서 그 상부가 암나사결합구(130)에 끼움되어 구속 설치된다.
한편 도 3a에서는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에 하나의 지지판(121)에 2개의 바퀴(122)가 장치된 이동트레일러(120) 2개가 앞뒤로 설치되고 있으며, 동시에 2개의 이동트레일러(120)에 대응하여 2개의 끼움봉(140)과 2개의 암나사결합구(130), 2개의 연통구멍(112)이 마련되고 있다. 2개의 이동트레일러(120)가 하나로 연결된 형태(하나의 지지판에 4개의 바퀴가 장치됨)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끼움봉(140), 암나사결합구(130), 연통구멍(112)은 각각 1개로도 충분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는 도 3c와 같이 제1연결봉(210)을 이용하면 이동트레일러(120)의 승하강이 실현되면서 이동성과 정치성과 동시에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제1연결봉(210)을 연통구멍(112)에 삽입하고 암나사결합구(130)에 나사체결하면서 조이면, 제1연결봉(210)이 이동트레일러(120)의 상부면(끼움봉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끼움봉)을 가압하면서 이동트레일러(120)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동트레일러(120)의 하강으로 이동트레일러의 바퀴(122)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외부로 인출되므로 배리어 본체(110)가 이동트레일러(120)에 의해 이동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도 3c(ⅰ)). 반대로 암나사결합구(130)에 나사체결된 제1연결봉(210)을 풀면, 제1연결봉(21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배리어 본체(110)가 자중으로 하강하게 되고, 배리어 본체(110)의 하강으로 이동트레일러의 바퀴(122)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내부로 인입되므로 배리어 본체(110)가 도로에 안정적으로 정치된다. 이 과정에서 제1연결봉(210)은 암나사결합구(130)와의 나사체결을 위해 수나사가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단면도, 이동트레일러의 승하강 작동상세도이다. 제2실시예는 전반적으로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암나사결합구(130)와 끼움봉(140)의 나사체결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끼움봉(140)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데, 끼움봉(140)은 하부가 이동트레일러(120)의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외주면이 수나사로 형성되어 암나사결합구(130)에 나사체결된다. 끼움봉(140)은 도 4b에서와 같이 끼움봉(140) 하부를 구형 또는 역T형 등의 회전구(142)로 마련하면 간단하게 이동트레일러(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에 따라 끼움봉(140)이 회전하더라도 이동트레일러(120)는 끼움봉(140)에 따라 회전하지 않게 된다. 끼움봉(140)의 상부에는 연결봉결합구(141)가 마련되는데, 연결봉결합구(141)는 제1연결봉(21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 된다. 연결봉결합구(141)를 통해 제1연결봉(210)을 끼움봉(140)에 연결 결합하여 제1연결봉(2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끼움봉(140) 또한 회전시키고자 한 것이다(도 4c 참조). 이 과정에서 제1연결봉(210)은 끼움봉의 연결봉결합구(141)와 결합하는 끼움봉결합구가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도 4b에서는 육각구멍 형태의 연결봉결합구(141)를 예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육각볼트로 끼움봉결합구가 형성된 제1연결봉(210)이 이용된다.
제2실시예는 제1연결봉(210)을 연통구멍(112)에 삽입하여 끼움봉의 연결봉결합구(141)에 연결 결합한 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동트레일러(120)의 승하강이 실현된다. 다시 말해 제1연결봉(210)에 회전봉(220)을 연결하여 회전시키면 끼움봉(140)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봉(140)의 나사체결위치가 하강하거나 상승하기 때문에, 끼움봉(140)에 결합된 이동트레일러(120)도 따라서 하강하거나 상승하면서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내·외부로 인입·인출되는 것이다. 이동트레일러(120)가 저면홈(111) 내부로 인입되면 배리어 본체(110)는 도로에 안정적으로 정치되어 강성 배리어(barrier)로서 역할하게 되고(도 4c(ⅰ)), 이동트레일러(120)가 저면홈(111) 외부로 인출되면 배리어 본체(110)는 이동트레일러(120)에 의해 이동성을 갖게 되어 게이트(gate)로서 역할하게 된다(도 4c(ⅱ)).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의 설치 개요도이고, 도 6은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상호 간의 분해상세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는 단위유닛으로 준비하여 연결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리어 본체(110)는 길이방향 양 측면 각각에 위아래로 연결봉삽입돌기(113)와 돌기결합홈(114)이 각각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다수 개를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치하여 연결봉삽입돌기(113)와 돌기결합홈(114)끼리 맞춤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봉삽입돌기(113)를 통해 제2연결봉(230)의 끼움 설치하면 배리어 본체(110) 상호 간은 경첩구조로 연결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는 이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연결 설치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를 설치한 후에 게이트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게이트 활용구간에서 제2연결봉(230)을 제거하여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상호 간의 연결결합을 해제한 다음에 제1연결봉(210)을 결합, 이동트레일러(120)를 하강시켜 이동성을 부가하면 된다. 이때 제거한 제2연결봉(230)은 제1연결봉(210)으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도 정치된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배리어
110: 배리어 본체
111: 저면홈
112: 연통구멍
113: 연결봉삽입돌기
114: 돌기결합홈
115: 배수홈
120: 이동트레일러
121: 지지판
122: 바퀴
130: 암나사결합구
140: 끼움봉
141: 연결봉결합구
142: 회전구
150: 보호캡
210: 제1연결봉
220: 회전봉
230: 제2연결봉

Claims (7)

  1. 도로 가운데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리어로서,
    저면에 저면홈(111)이 형성되면서 저면홈(111)에서 상부까지 이어지는 연통구멍(112)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제작된 배리어 본체(110);
    상기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에 끼움되어 걸리게 설치되는 이동트레일러(120);
    상기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112) 내부에 마련된 암나사결합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112)을 통해 삽입되어 암나사결합구(141)에 나사체결되는 제1연결봉(210)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이동트레일러의 바퀴(122)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밖으로 인출되거나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2. 제1항에서,
    하부가 상기 이동트레일러(120)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상부가 상기 암나사결합구(130)에 끼움 설치된 끼움봉(1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3. 도로 가운데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배리어로서,
    저면에 저면홈(111)이 형성되면서 저면홈(111)에서 상부까지 이어지는 연통구멍(112)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제작된 배리어 본체(110);
    상기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에 끼움 설치되는 이동트레일러(120);
    상기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112) 내부에 마련된 암나사결합구(130);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면서 상부에 연결봉결합구(141)가 형성된 봉재로 마련되며, 하부가 상기 이동트레일러(120) 상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부가 상기 암나사결합구(130)에 나사체결된 끼움봉(140);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11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끼움봉의 연결봉결합구(141)에 연결 결합되는 제1연결봉(210)의 회전에 의한 끼움봉(140)의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이동트레일러의 바퀴(122)가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밖으로 인출되거나 배리어 본체의 저면홈(111)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리어 본체(110)는, 길이방향 양 측면 각각에 위아래로 연결봉삽입돌기(113)와 돌기결합홈(114)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배리어 본체(110) 상호 간이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치되어 연결봉삽입돌기(113)와 돌기결합홈(114)끼리 맞춤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봉삽입돌기(113)를 통한 제2연결봉(230)의 끼움 설치에 의해 경첩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리어 본체의 연통구멍(112)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치되는 보호캡(15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리어 본체(110)는, 저면홈(111)이 T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트레일러(120)는, 상기 T형 저면홈(111)의 수평부에 걸리게 끼움 설치되어 수평부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지지판(121);과 상기 T형 저면홈(111)의 수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판(121) 하부 양쪽에 장치되어 수직부 내·외부로 승하강하는 바퀴(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배리어 본체(110)는, 바닥 저면에 너비방향으로 배수홈(1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100).
KR1020120120352A 2012-10-29 2012-10-29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KR10132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52A KR101324690B1 (ko) 2012-10-29 2012-10-29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352A KR101324690B1 (ko) 2012-10-29 2012-10-29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690B1 true KR101324690B1 (ko) 2013-11-01

Family

ID=4985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352A KR101324690B1 (ko) 2012-10-29 2012-10-29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69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69B1 (ko) * 2014-06-11 2015-08-10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레일 이동형 후폭풍 차단 게이트 장치
CN106638393A (zh) * 2016-11-16 2017-05-10 上海尔润交通科技有限公司 墙式防撞活动护栏
CN108004862A (zh) * 2017-01-15 2018-05-08 左红 一种无冲突点立体交通系统
CN108867462A (zh) * 2018-07-17 2018-11-23 张哲夫 一种市政工程使用的重型路墩
CN109083006A (zh) * 2018-09-18 2018-12-25 苏州润桐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桥梁护栏实用机构
CN109594502A (zh) * 2019-01-18 2019-04-09 河南中原高速公路股份有限公司郑开分公司 一种可移动混凝土活动护栏结构
CN111021290A (zh) * 2019-11-22 2020-04-17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子母式可启闭的中央防撞栏系统
CN111663476A (zh) * 2020-05-11 2020-09-15 芜湖扬宇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横移变道式道路隔离桩
CN112030833A (zh) * 2020-08-29 2020-12-04 河南交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飞机跑道混凝土活动护栏
CN112081039A (zh) * 2020-09-15 2020-12-15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磁悬浮智能公路隔离栏装置
CN112779880A (zh) * 2021-01-26 2021-05-11 刘福州 一种城市公路用移动防护设备
CN112942202A (zh) * 2021-02-02 2021-06-11 武汉中交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的中央分隔带开口活动护栏
CN114086490A (zh) * 2020-11-30 2022-02-25 广东禅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移动高速公路智能借道隔栏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510Y1 (ko) 2001-02-14 2001-09-29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이동식 중앙분리대
KR200321283Y1 (ko) 2003-04-28 2003-07-28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차선변경용 이동식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50102893A (ko) * 2004-04-23 2005-10-27 유니온코리아프리캐스트(주)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101011226B1 (ko) 2010-08-09 2011-01-26 맥이앤씨(주) 이동형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510Y1 (ko) 2001-02-14 2001-09-29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이동식 중앙분리대
KR200321283Y1 (ko) 2003-04-28 2003-07-28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차선변경용 이동식 중앙 분리대 구조
KR20050102893A (ko) * 2004-04-23 2005-10-27 유니온코리아프리캐스트(주)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101011226B1 (ko) 2010-08-09 2011-01-26 맥이앤씨(주) 이동형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69B1 (ko) * 2014-06-11 2015-08-10 주식회사 디앤에스테크놀로지 레일 이동형 후폭풍 차단 게이트 장치
CN106638393A (zh) * 2016-11-16 2017-05-10 上海尔润交通科技有限公司 墙式防撞活动护栏
CN108004862A (zh) * 2017-01-15 2018-05-08 左红 一种无冲突点立体交通系统
CN108867462B (zh) * 2018-07-17 2020-09-11 张哲夫 一种市政工程使用的重型路墩
CN108867462A (zh) * 2018-07-17 2018-11-23 张哲夫 一种市政工程使用的重型路墩
CN109083006A (zh) * 2018-09-18 2018-12-25 苏州润桐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桥梁护栏实用机构
CN109594502A (zh) * 2019-01-18 2019-04-09 河南中原高速公路股份有限公司郑开分公司 一种可移动混凝土活动护栏结构
CN111021290A (zh) * 2019-11-22 2020-04-17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子母式可启闭的中央防撞栏系统
CN111021290B (zh) * 2019-11-22 2023-12-15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子母式可启闭的中央防撞栏系统
CN111663476A (zh) * 2020-05-11 2020-09-15 芜湖扬宇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横移变道式道路隔离桩
CN112030833A (zh) * 2020-08-29 2020-12-04 河南交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飞机跑道混凝土活动护栏
CN112081039A (zh) * 2020-09-15 2020-12-15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磁悬浮智能公路隔离栏装置
CN114086490A (zh) * 2020-11-30 2022-02-25 广东禅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移动高速公路智能借道隔栏系统
CN112779880A (zh) * 2021-01-26 2021-05-11 刘福州 一种城市公路用移动防护设备
CN112942202A (zh) * 2021-02-02 2021-06-11 武汉中交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的中央分隔带开口活动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690B1 (ko) 이동식 콘크리트 게이트 배리어
KR101977528B1 (ko)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KR100505057B1 (ko) 지대가 낮은 건축물 지하 주차장 우수유입 방지구조물
CN202627025U (zh) 一种可调式窨井盖
CN204023439U (zh) 无井盖窨井安全装置
CN201031366Y (zh) 具有连接机构的系桩
KR100900735B1 (ko)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
KR20080038555A (ko) 볼트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KR200403575Y1 (ko) 착탈식 볼라드 구조
CN203866860U (zh) 防坠井
KR101345550B1 (ko)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KR100867433B1 (ko) 지면고정식 설치물의 탈부착장치
KR100574360B1 (ko) 맨홀의 결합 및 이탈방지 장치
KR101146650B1 (ko) 복공판의 체결장치
CN109736890B (zh) 一种方便通行的井下防水闸门装置
KR20130035403A (ko) 맨홀뚜껑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 조립체
CN103696442A (zh) 防坠井
CN2615196Y (zh) 道路通行控制器
KR100625091B1 (ko) 공동주택용 신호등 지주 수평각도 조절장치
KR20130139429A (ko) 맨홀 뚜껑 고정 구조
CN214330225U (zh) 一种建筑安全管理围栏
CN202157284U (zh) 一种u型活动护栏
CN203808110U (zh) 一种带安全锁紧装置防松型井盖与井座
CN217949151U (zh) 一种多点固定的市政井盖
CN218204569U (zh) 一种防噪音防沉降的检查井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