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30B1 -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30B1
KR101324530B1 KR20120126465A KR20120126465A KR101324530B1 KR 101324530 B1 KR101324530 B1 KR 101324530B1 KR 20120126465 A KR20120126465 A KR 20120126465A KR 20120126465 A KR20120126465 A KR 20120126465A KR 101324530 B1 KR101324530 B1 KR 10132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recyclab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박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희 filed Critical 박정희
Priority to KR2012012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33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lling or other plastic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 용기를 구성하는 모든 재료가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한번 사용한 용기 내에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분사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은, 1) 입구가 좁게 형성된 병 모양의 외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2) 긴 원통형상을 가지며,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 내에 삽입되는 내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내부 용기를 변형시켜 다수개의 주름부를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내부 용기 내부의 기체를 흡입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 5)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에 상기 외부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밀봉 결합부 및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단속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단계; 6)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밀봉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7)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에 고압으로 기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RECYCLABLE INJEC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분사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 용기를 구성하는 모든 재료가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한번 사용한 용기 내에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분사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상 또는 점액상의 화장품 등은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을 분사 용기에 충전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분사 용기는 충전된 내용물을 한 번의 동작으로 일정량씩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가 용기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충전된 내용물을 상기 분사부의 동작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는 프레온 가스와 같은 압축가스를 내용물에 혼합하여 분사되도록 하거나 용기를 이중구조로 하고 외부 용기 내에 압축가스를 충전하여 압력차에 의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종래에 이러한 분사 용기들은 압축 가스 자체가 대기 환경 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가스거나, 내용물을 충전하는 소재가 재활용 불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사 용기들은 그 내부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내용물의 오염 여부 또는 잔량을 확인할 수 없어서 내용물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7259호(공개일 2007. 11. 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사 용기를 구성하는 모든 재료가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한번 사용한 용기 내에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인 분사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은, 1) 입구가 좁게 형성된 병 모양의 외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2) 긴 원통형상을 가지며,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 내에 삽입되는 내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내부 용기를 변형시켜 다수개의 주름부를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내부 용기 내부의 기체를 흡입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 5)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에 상기 외부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밀봉 결합부 및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단속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단계; 6)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밀봉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7)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에 고압으로 기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는 가시 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 내부에 일정량의 기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용기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주름형성 지그가 가압하여 상기 주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주름형성지그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접촉면에 신축성 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7) 단계에서는, 질소 기체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 용기에 용이하게 주름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는 용기를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는 내부에 충전되는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서 내용물의 오염 여부나 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잔량 확인으로 인하여 버려지는 내용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에 주름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방법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먼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재활용이 가능한 분사 용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용기(10), 내부 용기(20), 밀봉 결합부(30) 및 분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외부 용기(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및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는 그 형태가 외력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일정 값 이상의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 용기(10)의 하단(12)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추락에 의한 충격에 견딜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구 형상의 하단(12)에는 안정적인 기립을 위하여 캡(도면에 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용기(10)는 재활용 가능하며,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 있어서 투명한 소재인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용기(10)의 상단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몸통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입구의 상면(14)은 곡면이 아닌 평면 형태를 가지는 것이, 후술하는 외부 용기(10) 내부와 내부 용기(20) 외부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 용기(20)는 도 1,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 내부에 삽입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20)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또한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내부 용기(20)는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20)에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22)가 형성되는 구조를 도입한다. 이때 상기 주름부(22)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름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모양이 별 모양이 되며, 내용물이 채워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가 벌어져서 내부 체적이 증가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가 좁아져서 내부 체적이 감소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20)도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투명한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밀봉 결합부(3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의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용기 입구(24)를 상기 외부 용기(10) 입구에 결합시켜서 상기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의 공간(50)을 밀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의 공간(50)에는 압축 공기 내지는 압축 질소 가스 등이 충전된다. 이렇게 충전되는 압축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내부 용기(20) 내에 충전된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전된 기체가 누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의 공간(50)은 외부 공간과 철저하게 차단된 밀폐공간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밀봉 결합부(30)가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24)와 외부 용기(10)의 입구를 밀봉시키면서 결합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 결합부(30)는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24)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밀봉 결합부(30)와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24) 사이에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밀봉소재(26)가 개재되어 밀폐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의 입구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용기의 상단 내부로 상기 밀봉 결합부의 하단(32)이 벌어지는 구조를 가져서 상기 밀봉 결합부의 상단(36)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부 용기(10)의 입구와 상기 밀봉 결합부(30) 사이에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밀봉소재(34)가 개재되어 밀폐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용기 입구의 상면(14)이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밀봉 결합부(30) 및 상기 신축성 소재(34)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서 밀봉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 결합부(30)의 중앙에는 분사부(40)가 설치될 수 있는 분사부 설치구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사부(4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의 입구(24)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단속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 용기(1)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20) 내에 충전된 내용물이 상기 분사부(40)의 일회 동작에 의하여 일정량씩 토출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에는 고압의 압축 기체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 용기(20)에는 항상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이다. 특히, 상기 내부 용기(20)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그 내부 체적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40)에 의하여 외부 공간과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내부 용기(2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내부 용기(20)가 눌리면서 내용물이 상기 분사부(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사부(40)는 단순하게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24)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용기 입구(24)를 개방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차단하는 단속 동작을 하는 구조를 가지면 충분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는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기체가 배기되어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는 산소가 존재하며, 이러한 산소는 내용물에 접촉되면, 내용물을 부폐 내지는 변질되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내용물에 방부재 등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면 내용물의 부폐 정도는 더욱 심할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충전하면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에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아서 내용물의 변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용기(20)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 용기(20)에 어떠한 손상된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20)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외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10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입구가 좁게 형성된 병 모양의 외부 용기(10)를 준비한다. 특히 상기 외부 용기의 하단부(12)는 반구형 또는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낙하 충격에 견딜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내부 용기(20)를 준비하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200)에서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긴 통형상을 가지며,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10) 내에 삽입되는 내부 용기를 준비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내부 용기(20)에 주름부(22)를 성형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용기(20)를 준비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에 일정량의 기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용기(20)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주름형성지그(60)가 가압하여 상기 주름부(22)를 형성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내부 용기(20)에 일정한 양의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주름형성지그(6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내부 용기(20)를 가압하여 다수개의 주름부(22)를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내부 용기(20)에 일정한 양의 기체를 주입한 상태에서 주름부(22)를 성형하여야, 상기 내부 용기(20)가 찌그러지지 않고 주름부(22)가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름형성지그(60)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20)를 가압하는 것이, 상기 내부 용기(20)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된 주름부(22)가 쉽게 원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장점도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내부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4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의 기체를 흡입 배출하여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를 거의 진공에 가까운 상태로 만든다. 이렇게 상기 내부 용기(20)를 진공 상태로 만들면 그 체적이 최소화되어 상기 내부 용기(20)를 외부 용기(10)에 삽입하는 과정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 내에 충진되는 내용물의 변질 내지는 부폐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상기 내부 용기의 불량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밀봉 결합부(30)와 분사부(40)를 구비하는 단계(S5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400)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20)의 입구에 상기 외부 용기(10)의 입구와 결합되는 밀봉 결합부(30)를 준비하고, 상기 밀봉 결합부(30)의 중앙에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단속하는 분사부(40)를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내부 용기(20)와 상기 분사부(40)를 결합시킨다. 물론 상기 분사부(40)를 상기 내부 용기(20)에 설치하는 과정은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단계(S400)와 순서가 바뀌어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외부 용기(10)와 밀봉 결합부(30)를 결합시키는 단계(S600)가 진행된다. 상기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 사이의 공간은 밀폐되어야 하므로, 상기 외부 용기(10)와 밀봉 결합부(30)를 결합시키는 단계(S600)는 매우 중요하다.
먼저 상기 분사부(40) 및 내부 용기(20)와 결합되어 있는 밀봉 결합부(30)를 상기 외부 용기(10)의 입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밀봉 결합부(30)의 하단을 상기 외부 용기(10) 내부의 넓은 부분으로 확장시켜서 상기 밀봉 결합부(30)가 상기 외부 용기(10)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 용기(10)와 밀봉 결합부(30)의 접촉면에 신축성 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밀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에 고압으로 기체를 충전하는 단계(S7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700)에서는 일반적인 공기 또는 질소 기체를 충전하는 것이 친환경적이므로 바람직하다.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10 : 외부 용기 20 : 내부 용기
30 : 밀봉 결합부 40 : 분사부
50 : 공간 60 : 주름형성지그

Claims (6)

1) 입구가 좁게 형성된 병 모양의 외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2) 긴 원통형상을 가지며,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 내에 삽입되는 내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내부 용기를 변형시켜 다수개의 주름부를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내부 용기 내부의 기체를 흡입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
5) 상기 내부 용기의 입구에 상기 외부 용기의 입구와 결합되는 밀봉 결합부 및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단속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단계;
6)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밀봉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7)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의 공간에 고압으로 기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내부 용기 내부에 일정량의 기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용기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주름형성지그가 가압하여 상기 주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는 가시 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성지그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접촉면에 신축성 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 단계에서는,
질소 기체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가능한 분사 용기 제조방법.
KR20120126465A 2012-11-09 2012-11-09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KR10132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6465A KR101324530B1 (ko) 2012-11-09 2012-11-09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6465A KR101324530B1 (ko) 2012-11-09 2012-11-09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530B1 true KR101324530B1 (ko) 2013-11-01

Family

ID=4985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6465A KR101324530B1 (ko) 2012-11-09 2012-11-09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19A (ko)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톨모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내부용기
KR20160059080A (ko) 2014-11-17 2016-05-26 주식회사 톨모 비금속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60059081A (ko) 2014-11-17 2016-05-26 주식회사 톨모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KR20220153137A (ko) 2021-05-10 2022-11-18 (주) 올리브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이중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163U (ja) * 1992-03-18 1993-10-12 凸版印刷株式会社 易リフィル性容器
JP2000109148A (ja) * 1998-10-01 2000-04-18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5227A (ja) * 2002-03-18 2003-09-24 Hoyu Co Ltd 染毛剤容器
KR20070107259A (ko) * 2006-05-02 2007-11-07 박성헌 탄성 파우치를 이용한 분사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163U (ja) * 1992-03-18 1993-10-12 凸版印刷株式会社 易リフィル性容器
JP2000109148A (ja) * 1998-10-01 2000-04-18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65227A (ja) * 2002-03-18 2003-09-24 Hoyu Co Ltd 染毛剤容器
KR20070107259A (ko) * 2006-05-02 2007-11-07 박성헌 탄성 파우치를 이용한 분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19A (ko)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톨모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내부용기
KR20160059080A (ko) 2014-11-17 2016-05-26 주식회사 톨모 비금속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60059081A (ko) 2014-11-17 2016-05-26 주식회사 톨모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KR20220153137A (ko) 2021-05-10 2022-11-18 (주) 올리브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이중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530B1 (ko)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US11952204B2 (en) Aerosol container having valve cup with integral bag
CN109476414B (zh) 气溶胶分配器
JP6886475B2 (ja) 圧力制御装置、この圧力制御装置を備えたディスペンサ、および製造方法
RU2493081C2 (ru) Портативный заправляемый аэрозольный баллон
US7708171B2 (en) Pressure control device
JP6656269B2 (ja) ピストンエアロゾルディスペンサの製造方法
KR101320000B1 (ko)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KR20080109830A (ko) 가압형 패키지
JPH06502829A (ja) 弁ユニットの製法、弁ユニット、弁ユニットを備える圧力ガスパック体並びに圧力ガスパック体を組立て及び充填するための方法
US20110192865A1 (en) Dispenser
KR101046327B1 (ko)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JP2020528850A (ja) ディスペンサ容器
KR20190109466A (ko) 추진제 비함유 연속 분배기
US20140353884A1 (en) Blow mold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low molded container
KR20080110609A (ko) 용기의 충전 방법
GB2564851A (en) A reusable, recyclable dispensing package for flowable materials
KR20140117338A (ko) 압축 분사 용기의 주름관 소켓
US11332293B2 (en) Container device capable of storing 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45651B1 (ko)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내부용기
KR101653375B1 (ko)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KR102205145B1 (ko)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KR101645657B1 (ko) 비금속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818304B1 (ko) 압축 분사 용기
JP2008049597A (ja) シーリング剤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