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375B1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3375B1 KR101653375B1 KR1020140160264A KR20140160264A KR101653375B1 KR 101653375 B1 KR101653375 B1 KR 101653375B1 KR 1020140160264 A KR1020140160264 A KR 1020140160264A KR 20140160264 A KR20140160264 A KR 20140160264A KR 101653375 B1 KR101653375 B1 KR 1016533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container
- container
- caulking portion
- inbound
- mountain cu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소재의 마운틴컵과, 상기 마운틴컵의 캡부에 결합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결합되고 분사하려는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밸브하우징 및 상기 내부용기를 내부에 배치시켜서 이중 용기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마운틴컵에 결합되고 압축기체가 충전되는 외부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비금속 소재로서 기체투과장치의 측정 한계에 대응하는 산소투과도를 갖고,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외부용기입구는 상기 마운틴컵의 인바운드코킹부와 아웃바운드코킹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서, 상기 인바운드코킹부 및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를 통해서 상기 마운틴컵에 이중으로 밀봉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체(예: 공기 또는 질소 등)로 분사시킬 수 있는 내용물을 내부용기에 재충전시킬 수 있고, 내부용기의 내부 및 외부를 비금속 외부용기의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캔, 미스트 분사장치와 같은 기존의 스프레이 제품은 인체용 LNG(liquefied natural gas), 인체용 LPG(liquefied petroleum gas) 또는 DME(dimethyl ether) 등과 같은 충전가스인 스프레이 분사제를 사용하여 스프레이 제품 용기의 내부의 내용물(예: 액상 또는 점액상의 화장품)을 분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레이 제품은 제품 상부에 결합된 버튼을 한 번 누르는 동작으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들에는 스프레이 분사제 자체가 대기 환경 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가스이거나, 내용물을 충전하는 내부용기 자체가 재활용 불가능하게 이루어져서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점을 해결하려는 이중 구조 분사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들은 스프레이 분사제 또는 추진제로서 압축공기를 사용함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충전가스를 내용물 원료와 혼합하는 기존 에어로졸 기술과 달리, 순수천연 제품 및 인체에 무해한 인체친화적인 제품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문헌들은 압축공기 충전방식으로 탄소배출이 전혀 없고, 화재나 폭발 위험이 없는 친환경 스프레이 제품일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들의 이중 구조 분사 용기는 밀봉 결합부가 금속 재질이고, 내부용기가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금속 재질과 플라스틱 소재는 이형 재질로서, 열수축 또는 열팽창 차이에 의하여 이형 재질간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제품 생산 또는 양산시 불량률 증가 요인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제조 단계에서는 생산성 증가를 위해서, 내부용기의 내부로 원료 또는 원액 상태의 내용물을 압력 20 ~ 40 kgf/㎠로 주입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압력하중이 내부용기입구에 순간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중 구조 분사 용기는 순간적인 압력하중에 의해서 스프링 주변의 구성품이 파손될 수 있는 제품 하자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재질간 열팽창 차이로 인한 틈새에 의해 신뢰성있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매우 어렵고, 상대적으로 높은 불량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 구조 분사 용기는 내용물의 재충전을 통해 재활용하고자 하였으나, 스프레이 분사제 또는 추진제로서 충전한 압축공기가 상기 밀봉 상태 유지 또는 조립 정밀도 유지의 어려움, 및 재활용시 압력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중 구조 분사 용기에서는, 내부용기입구가 내부용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밀봉 결합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그러한 밀봉 결합부가 외부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있다.
특히 내부용기입구 자체가 밸브하우징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밸브 내부 구성품[예: 스프링, 밸브 개폐용 피스톤에 해당하는 스템(stem)]을 내부용기입구의 안쪽에 결합시키면서 밀봉 결합부에 직접 결합되기 매우 어렵다.
또한, 내부용기입구 자체는 내용물 주입시의 순간적인 압력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부용기입구 자체를 매우 두껍고 튼튼하게 만들거나, 내구성이 높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할 경우, 내부용기입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주름부의 탄성변형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서, 내용물이 내부용기의 내부로 충전될 때 팽창, 또는 충전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축소되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성능 저하는 내부용기 내부에서 잔여물 또는 잔량 증가로 인하여 제품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에어로졸 캔은 밀봉 결합부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밀봉 결합부와 결합될 외부용기도 금속 재질이므로, 스프레이 분사제의 압력이 작용되는 환경 하에서, 이형 재질에 따른 열수축 또는 열팽창 차이에 의한 실링 문제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분사 용기에서는 이형 재질에 따른 열수축 또는 열팽창 차이로 인하여, 밀봉 결합부와 외부용기입구 사이에 신축성 소재의 밀봉소재가 개재되더라도, 장시간 사용된 이후에 신축성 소재에서 반복된 하중에 의한 열화 또는 부분적으로 딱딱해지는 경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열수축 또는 열팽창에 따라 스프레이 분사제가 외부용기의 밖으로 미세하게 유출되고, 이러한 유출에 의한 스프레이 분사제의 압력 저하로 인하여, 분사 용기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특허문헌에서는 외부용기의 상단 내부로 상기 밀봉 결합부의 하단이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인바운드 코킹(inbound caulking)만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벌어지는 구조의 밀봉 결합부에 밀착된 비금속 재질의 외부용기의 해당부위가 금속 재질의 밀봉 결합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열팽창되어서, 미세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특허문헌의 외부용기는 제작 당시 또는 제작 후 시험 당시에는 인바운드 코킹만으로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열부하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오랜 시간 사용 이후 재활용하려 할 때, 상기 신축성 소재의 열화 또는 경화 현상과 금속 소재와 비금속 소재간 열팽창 또는 열수축으로 인하여 밀봉 성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바운드코킹부 및 아웃바운드코킹부로 금속 소재의 마운틴컵과 비금속 소재의 외부용기의 결합시킴으로써, 이형 재질에 따른 열수축 및 열팽창에 모두 대응하여 견고한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소재의 마운틴컵과, 상기 마운틴컵의 캡부에 결합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결합되고 분사하려는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밸브하우징 및 상기 내부용기를 내부에 배치시켜서 이중 용기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마운틴컵에 결합되고 압축기체가 충전되는 외부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비금속 소재로서 기체투과장치의 측정 한계에 대응하는 산소투과도를 갖고,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외부용기입구는 상기 마운틴컵의 인바운드코킹부와 아웃바운드코킹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서, 상기 인바운드코킹부 및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를 통해서 상기 마운틴컵에 이중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산소투과도는 0 이상 10-3 barrer(여기서, 1barrer은 10-10[cm3(STP)·cm/cm2·s·cmHg]) 중에서 선택된 수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내용물은 친환경 원료로서 상기 내부용기 내부에 압력 20 ~ 40 kgf/㎠으로 급속 충전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체는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사이 공간에 압력 6 ~ 9 kgf/㎠로 주입된다.
또한, 상기 마운틴컵은 금속판재의 절곡 성형에 의해 제작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마운틴컵의 중앙에 위치한 파이프구멍과, 상기 파이프구멍이 형성된 상기 캡부의 상면과, 상기 캡부의 상면의 외곽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상기 캡부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측면의 하단부가 절곡되어서 U자 웨이브 단면 형상의 상기 인바운드코킹부 쪽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바운드코킹부의 외측 상단이 역U자 웨이브 단면 형상의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 쪽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바운드코킹부는 상기 외부용기입구의 하부쪽 저면에서 상기 외부용기의 바깥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밀하게 밀착 및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는 상기 외부용기입구의 상부 및 외측 테두리를 감싸듯이 상기 외부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밀하게 밀착 및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입구는 외부용기입구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입구는 상기 마운틴컵에 장착된 제 3 개스킷에 밀착되도록, 상기 외부용기입구의 상면테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 3 비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세정제, 살균제, 살충제, 공기청정제, 방향제, 진통 소염제, 인체용 뿌리는 피부질환치료제, 소독제, 선블록 스프레이, 선태닝 스프레이, 쉐이브 크림 또는 젤, 헤어 스프레이 또는 젤, 오일 바디 스프레이, 폼클리너, 화장수, 향수, 윤활제 및 잉크 제품류, 도료 및 차량 도장류, 식품류 중 어느 하나의 제품에 대응하는 용기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사각통, 삼각통, 원통, 팔각통, 원뿔통, 압력용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에 의하면, 외부용기와 마운틴컵을 인바운드코킹부 및 아웃바운드코킹부와 같이 이중 밀봉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밀봉력을 극대화하면서 이형 재질간 열수축 및 열팽창에도 불구하고 틈새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용기입구가 그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서, 아웃바운드코킹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안정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용기입구가 연장부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와 밸브하우징을 분리 구성한 후 상호 결합시키되, 이때 팽창 또는 수축이 용이한 비금속 소재로 내부용기를 형성시키고, 내용물 주입시의 순간적인 압력하중에 견딜 수 있는 정도로 강한 비금속 소재(예: HDPE)로 밸브하우징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 주입시의 밸브하우징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가 내부용기입구와 내부용기몸체의 사이에 일체형의 너트형 보강부를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서, 제조 장치의 나사 결합 툴로 내부용기를 밸브하우징에 용이하고 신속하며 신뢰성 있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입구의 상면테두리에서 돌출된 제 2 비드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서, 내부용기입구와 밸브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된 제 2 개스킷과의 접촉 면적 증대를 통해서 내용물 주입시의 순간적인 압력하중 하에서도 신뢰성 있는 밀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하우징의 상면테두리에서 돌출된 제 1 비드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서, 밸브하우징과 마운틴컵의 사이에 개재된 제 1 개스킷과의 접촉 면적 증대를 통해서, 비금속 소재인 밸브하우징과 금속 재질인 마운틴컵의 열팽창 차이에도 불구하고 역시 신뢰성 있는 밀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용기입구의 상면테두리에서 돌출된 제 3 비드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서, 마운틴컵에 장착된 제 3 개스킷과의 접촉 면적 증대를 통해서, 신뢰성 있는 내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개스킷, 제 2 개스킷 및 제 3 개스킷의 소재를 국방병기나 인공위성 등 고도의 산업기계에서 특수하게 사용되는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로 사용함에 따라서, 내압성, 내열성, 내유성, 내약품성, 내식성, 내스팀성, 내오존성, 내후성, 압축영구 뒤틀림성, 저온 내성, 가스불투과성에 상응한 실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가 신축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이루어진 것과, 유연성 및 적응성(flexible)이 뛰어난 연질 플라스틱 소재[예: 연질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나이트릴(nitrile), 부틸(butyl),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에 따른 오염물 발생으로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가 신축성 또는 유연성이 뛰어남에 따라서 분사장치를 통해 내용물이 거의 소진되었을 때, 그 내용물의 잔존량을 1% 미만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분사장치를 판매하는 기업의 경제적 편익과 사용자 제품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가 위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서, 내용물의 성분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이므로 잔존량 및 오염을 확인할 수 있고, 내용물 원료의 재충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가 비금속, 즉 플라스틱 소재로서 가격이 금속 재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고, 인젝션 블로우 방식으로 제작 경제상 불량률이 거의 없이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용기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용물의 잔량 문제와 내용물의 화학적 변질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여서, 제조 공정상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제품을 국내 자체 제작하여 관련 업체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분사장치의 해외시장 진출로 인한 외화 수입으로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제품으로 국가적 녹색 환경 부담금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제품의 재활용으로 인한 폐기물처리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용기를 제외한 분사장치의 분해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부용기의 내부용기입구와 제 1 밸브하우징간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용기를 제외한 분사장치의 분해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부용기의 내부용기입구와 제 1 밸브하우징간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용기를 제외한 분사장치의 분해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제품인 분사장치는 인체에 영향을 주는 가스의 유해성 및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한 환경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친환경 원료 또는 원액인 내용물(M)을 내부용기(100)에 충전하고, 스프레이 분사제 또는 추진제인 압축기체(G)를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분사하려는 내용물(M)은 소진 이후, 분사장치의 재활용을 위하여 재충전될 수 있다.
이런 본 실시예는 내용물(M)의 충전이나, 장기간 사용 또는 재활용시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에 충전되는 압축기체(G)의 신뢰성 있는 밀봉 상태 유지를 위하여, 내부용기(100) 내부에 고압으로 친환경 원료인 내용물(M)을 고압(예: 압력 20 ~ 40 kgf/㎠)으로 급속 충전할 때 밸브하우징(300)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하우징(300) 및 외부용기(200)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와 같이 비금속 소재로 성형되어 있는 반면, 마운틴컵(40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외부용기(200)는 투명 또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 즉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외부용기(200)가 제작되는 경우에는 투시창을 두어서 내부용기(200)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외부용기(200)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도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용기(200)는 가정용으로 세정제, 살균제, 살충제, 공기청정제, 방향제와, 제약 및 의학 제품용으로 각종 진통 소염제, 인체용 뿌리는 피부질환치료제, 소독제와, 화장품용으로 선블록 스프레이, 선태닝 스프레이, 쉐이브 크림 또는 젤, 헤어 스프레이 또는 젤, 오일 바디 스프레이, 폼크리너, 화장수, 향수의 용기 형상 및 구조에 대응하게 성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더 나아가서, 외부용기(200)는 윤활제 및 잉크 제품류(예: 세정제, 잉크제트 스프레이)와, 도료 및 차량 도장류(예: 각종 페인트 스프레이 및 차량용 미끄럼 방지제)와, 식품류(예: 식용 기름 제품, 각종 소스 제품, 각종 양념 제품, 각종 잼 제품, 각종 버터 및 초콜릿 등)의 용기 형상 및 구조에 대응하게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용기(200)의 형상, 크기 또는 구조는 사각통, 삼각통, 원통, 팔각통, 원뿔통, 압력용기 중 어느 하나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산소투과도는 벽두께에 비례하거나 소재 종류에 따라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용기(200), 내부용기(100) 및 밸브하우징(300)에 대하여 산소투과도가 매우 낮고 분사장치의 양산에 최적화된 소재를 사용한다. 또한, 산소투과도를 고려하여 외부용기(200), 내부용기(100) 및 밸브하우징(300)은 벽두께 2 ~ 3mm, 또는 상기 벽두께 치수 이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외부용기(200), 내부용기(100) 및 밸브하우징(300)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용기에 비하여 매우 낮은 산소투과도를 갖거나, 바람직하게, 기체투과장치를 통한 산소차단실험시 기체투과장치의 측정 한계(예: 10-3 barrer 이하)에 대응하는 산소투과도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체투과시험에서는 단위 "barrer"을 사용하고, 이때, 1barrer은 10-10[cm3(STP)·cm/cm2·s·cmHg]로 표기할 수 있다. 예컨대, PDMS(실리콘 소재의 산소투과도는 약 103 barrer(산소 투과 많음)이고, 플라스틱 맥주용기 등의 산소투과도는 약 10-3 barrer 이하(산소 투과 매우작음)이다.
본 실시예의 외부용기(200)의 산소투과도는 0 이상 10-3 barrer 이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외부용기(200)를 통해서 내부용기(100)의 내부의 각종 스프레이 제품 내용물(M)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밸브하우징(300)의 밸브 개폐는 마운틴컵(400)의 위쪽에 위치한 버튼(500)의 푸시 동작 또는 탄성력에 의한 원위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용기 구조로서 주름 형상 또는 별(star)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내용물(M)이 충전되기 전에 주름이 지면서 쪼그라지거나 축소된 상태이나, 내용물(M)이 일단 내부용기(100)의 내부에 충전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팽창 또는 확장될 수 있다.
마운틴컵(400)은 외부용기(200)의 외부용기입구(210)를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버튼(500)은 통상적인 스프레이 제품과 유사 또는 동일한 인서트 구조물인 스프레이용 노즐(510)과 결합된다. 이런 버튼(500)에는 노즐(510)과 관통하게 연결된 버튼 내부 공간 구조물(520)이 형성된다.
이너파이프(530)는 버튼(500)과 분리되어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버튼(500)은 이너파이프(530)를 밸브하우징(300)에 일체로 구비되어서 파이프구멍(411)을 통해 돌출된 매일 타입(male type) 분사장치와, 이너파이프(530)가 밸브하우징(300)의 스템(450)에 착탈될 수 있는 피매일 타입(female type) 분사장치에 겸용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버튼 내부 공간 구조물(520)은 이너파이프(530)의 일측 단부(예: 상단부)와 관통하게 결합된다.
이너파이프(530)의 타측 단부(예: 하단부)는 마운틴컵(400) 및 제 1 개스킷(440)을 통과하여 밸브 개폐용 피스톤에 해당하는 스템(450)(stem)에 체결된다.
마운틴컵(400)은 금속판재의 절곡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마운틴컵(400)은 그의 중앙에서 절곡 형성된 캡부(410)를 갖는다.
캡부(410)는 마운틴컵(400)의 중앙에 위치한 파이프구멍(411)과, 상기 파이프구멍(411)이 형성된 캡부(410)의 상면(412)과, 상기 캡부(410)의 상면(412)의 외곽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캡부(410)의 측면(413)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이프구멍(411)은 이너파이프(530)의 타측 단부가 통과하거나, 이너파이프(53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는 공간일 수 있다.
캡부(410)의 측면(413)의 하단부는 절곡되어서 U자 웨이브 단면 형상의 인바운드코킹부(420) 쪽으로 연결된다. 인바운드코킹부(420)의 외측 상단은 역U자 웨이브 단면 형상의 아웃바운드코킹부(430) 쪽으로 연결된다.
밸브하우징(300)은 마운틴컵(400)의 캡부(410)에 결합된다.
밸브하우징(300)의 내부에는 스템(450) 및 스프링(460)이 결합된다. 여기서, 스프링(460)은 그의 탄성력을 통해 스템(450)을 밸브하우징(300) 내에서 제 1 개스킷(440)의 저면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3 개스킷(470)은 일종의 아우터 개스킷(outer gasket)으로서, 마운틴컵(400)의 인바운코킹부(420)와 아웃바운드코킹부(430)의 사이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00)는 앞서 도 1을 통해 언급한 외부용기의 내부에서 상기 마운틴컵(400)의 아래에 배치된다. 즉, 내부용기(100)는 밸브하우징(300)에 결합되고, 밸브하우징(300)은 마운틴컵(400)에 결합된다.
밸브하우징(300)은 하기의 내부용기(100)의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월등하게 강하고 내구성이 좋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가시광선이 투과 가능한 투명 또는 일부 투과 가능한 불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의 사용과 결합 방식은 스프링(450) 및 스프링(460)을 밸브하우징(300)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밸브하우징(300) 자체가 내부용기(100)와 다른 내구성 강한 소재로 성형될 수 있음으로써, 금속 소재인 마운틴컵(400)과 대등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하여, 종래 기술에서 내용물 주입시의 순간적인 압력하중에 의해 밸브하우징(300)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제 2 개스킷(150)을 개재한 상태에서 밸브하우징(300)의 하우징하부(31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는 내부용기(100)의 내부용기입구(130)와 상기 밸브하우징(300)의 하우징하부(310)의 결합이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개스킷(440), 제 2 개스킷(150) 및 제 3 개스킷(470)은 불소 고무(fluoro elastomers)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 1 개스킷(440), 제 2 개스킷(150) 및 제 3 개스킷(470)은 에피크롤로하이드린 폴리머(epichlorohydrin polymer), EPM(ethylene propylene monom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IIR(isobutylene sioprene rubber), HNBR(hydrogenated nitrile butadiene rubber)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부용기의 내부용기입구와 제 1 밸브하우징간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밸브하우징(300)에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하우징하부(310), 경계부(320), 밸브통로부(330), 하우징연결부(340), 하우징상부(350)가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하부(310)는 내부용기(100)의 내부용기입구(130)와의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을 위해서, 하우징하부(310)의 내주면에 암나사(31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하부(310)는 그의 하단부 내측 코너에서 하우징하부(31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코너홈(311)을 더 포함한다. 코너홈(311)의 벽 두께는 코너홈(311)이 없는 하우징하부(310)의 하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된다. 따라서, 밸브하우징(300)이 자동화 공정을 통해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 될 때, 하우징하부(310)의 하단부에 발생 가능한 조립 응력 하중이 분산되게 하여서, 하우징하부(310)에서 크랙 또는 파단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경계부(320)는 하우징하부(310)의 상측 부위를 일체형으로 덮고, 중앙에 통로구멍(321)을 갖는다. 이러한 경계부(320)의 통로구멍(321)을 통해서 내부용기(100)의 내용물이 유동될 수 있다.
밸브통로부(330)는 내부용기입구의 내부에 위치되고, 통로구멍(321)의 테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밸브통로부(330)는 내부용기(100)의 내용물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역할과, 그 내용물에 인가된 압력이 과도하게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된 부위쪽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및, 내부용기입구(130)의 내주면의 안쪽에 비접촉 상태로 위치하다가, 내부용기입구(130)의 열수축 변형 또는 나사결합시 발생 가능한 비틀림 응력 변형이 발생될 때, 내부용기입구(130)를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하우징연결부(340)는 하우징하부(310)보다 작은 원통 벽체 구조로서 상기 경계부(320)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도 2에 도시된 스프링(460)의 안착을 위한 단턱(32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우징연결부(340)는 스프링(460)의 결합 또는 안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연결부(340)는 하우징하부(310)보다 작거나, 스프링(460)의 직경에 대응한 내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프링(460)의 압축 또는 신장 작동을 신뢰성 있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하우징상부(350)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하우징연결부(34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상부(350)는 하우징연결부(340)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하부(31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상부(350)는 도 2에 도시된 마운틴컵(400)의 캡부(410)의 내부에 위치한 제 1 개스킷(440)에 밀착되도록,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상부(350)의 상면테두리에 형성된 제 1 비드(351)를 더 포함한다.
제 1 비드(351)는 하우징상부(350)의 상면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된 링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 1 비드(351)는 그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게 하우징상부(350)의 상면테두리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개스킷(440)에 대한 밀착 면적이 증대되어서 밀폐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상부(350)는 그의 내주면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상부(350)의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된 복수개의 스템가이드(352)를 갖는다.
하우징상부(350)의 스템가이드(352)의 안쪽 공간에는 앞서 도 2를 통해 언급한 밸브 개폐용 피스톤에 해당하는 스템(450)이 결합된다. 스템(450)은 스템가이드(352)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상부(350)의 내주면 전체에 접촉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줄어들 수 있고, 원활하고 신뢰성 있는 스템(45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하우징상부(350)는 하우징상부(35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결합홈(353)을 포함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00)는 내용물의 충전 또는 방출을 위해 반복적인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하고,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소재의 내부용기몸체(110)와, 수나사(134)가 형성된 내부용기입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용기입구(130)의 수나사(134)는 밸브하우징(300)의 하우징하부(310)에 마련된 암나사(314)에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을 통해 서로 고정 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내부용기(100)는 하우징하부(310)의 내부에 위치한 제 2 개스킷(150)에 밀착되도록, 내부용기입구(130)의 상면테두리에 형성된 제 2 비드(131)를 포함한다. 제 2 비드(131)도 그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게 내부용기입구(130)의 상면테두리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서, 제 2 개스킷(150)에 대한 밀착 면적이 증대되어서 밀폐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00)는 내부용기입구(130)와 내부용기몸체(110)의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너트형 보강부(120)를 포함한다. 너트형 보강부(120)는 내부용기입구(130)의 주변을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너트형 보강부(120)의 외부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너트형 보강부(120)의 내부 형상은 내부용기입구(130)와 내부용기몸체(110)를 서로 신뢰성 있게 연결시켜주도록, 내부용기(100)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너트형 보강부(120)는 작업자의 렌치 또는 공장 자동화 설비의 툴에 끼워져서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시 회전력을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내부용기(100)와 밸브하우징(300)의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 또는 해당 공장 자동화 설비는 밸브하우징(300)의 하우징하부의 내부에 제 2 개스킷(150)을 결합한다.
또한, 해당 공장 자동화 설비는 너트형 보강부(120)를 통해서 회전력을 내부용기(100) 쪽으로 전달하면서, 내부용기(100)와 밸브하우징(300)을 서로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 시킨다.
이후, 스프링(460) 및 스템(450)이 밸브하우징(300)의 내부에 결합된다.
또한, 제 1 개스킷(440)은 마운틴컵(400)의 캡부(410)의 내부에 안착된다.
이후, 밸브하우징(300)의 하우징상부(350)는 마운틴컵(400)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캡부(410)에 삽입된다.
공장 자동화 설비의 코킹 장치는 캡부(410)의 측면 일부에 대한 코킹 과정(F1)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절곡부위(414)를 형성한다. 이때 절곡부위(414)는 결합홈(353)에 압착 및 고정된다.
또한, 이너파이프(530)는 마운틴컵(400)의 캡부(410)의 파이프구멍(411)과, 제 1 개스킷(440)의 중심구멍을 통과하여, 스템(450)의 내부 결합 돌기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위와 같이 결합된 밸브캡내부용기 조립체는 외부용기(200)와 결합된다.
즉, 이너파이프(130), 제 2 개스킷(150), 제 1 개스킷(440), 스템(450), 스프링(460), 밸브하우징(300) 및 내부용기(100)로 이루어진 상기 밸브캡내부용기 조립체에서 내부용기(100)는 외부용기(200)의 내부쪽으로 삽입되고, 마운틴컵(400)은 외부용기(200)의 외부용기입구(210) 위에 위치된다.
이때, 외부용기(200)의 외부용기입구(210)는 마운틴컵(400)의 인바운드코킹부(420)와 아웃바운드코킹부(430)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이형 재질, 즉 비금속 재질의 외부용기입구(210)와 금속 재질의 마운틴컵(400)을 견고하게 밀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바운드코킹부(420)와 아웃바운드코킹부(430)는 이중 밀봉 구조를 실현한다.
이후, 고압의 질소와 같은 압축기체(G)의 주입 및 이중 밀봉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설비는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사이에 압축기체(G)를 주입하고, 인바운드코킹 과정(F2)을 수행한다. 아웃바운드코킹 과정(F3)은 인바운드코킹 과정(F2) 후 곧바로 수행되거나, 하기의 내용물 주입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질소와 같은 압축기체(G)의 주입 및 이중 밀봉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설비는 순서 변경을 통해서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사이에 압축기체(G)를 주입하고, 아웃바운드코킹 과정(F3)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바운드코킹 과정(F2)은 아웃바운드코킹 과정(F3) 후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아웃바운드코킹 과정(F3)과 인바운드코킹 과정(F2)의 적용 순서는 제품 종류 또는 압력 영향을 고려하여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용기(200)는 마운틴컵(400)에 장착된 제 3 개스킷(470)에 밀착되도록, 외부용기입구(210)의 상면테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 3 비드(211)를 포함한다. 제 3 비드(211)도 그의 돌출된 형상에 대응하게 외부용기입구(210)의 상면테두리 면적을 확장시키고, 제 3 개스킷(470)의 안쪽으로 파고드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서, 제 3 개스킷(470)에 대한 밀착 면적이 증대되고, 실링 상태 유지가 견고하게 되어서 밀폐 성능 및 내압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압축기체(G)는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의 사이 공간에 압력 6 ~ 9 kgf/㎠로 주입된다.
이와 동시에, 마운틴컵(400)의 인바운드코킹부(420)는 외부용기(200)의 외부용기입구(210)의 하부쪽 저면에서 외부용기(200)의 바깥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밀하게 밀착 및 고정된다. 또한, 마운틴컵(400)의 아웃바운드코킹부(430)는 외부용기입구(210)의 상부 및 외측 테두리를 감싸듯이 외부용기(200)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밀하게 밀착 및 고정된다. 즉, 아웃바운드코킹부(430)의 끝단은 외부용기입구(210)의 저부까지 감싸도록 절곡된다.
또한, 내용물(M)은 압축기체(G)의 압력보다 큰 압력 20 ~ 40 kgf/㎠에 의해서 내부용기(100)의 내부로 주입 또는 급속 충전된다. 이에 따라서 내용물(M)이 충전되기 전 축소된 상태의 내부용기(100)(미 도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팽창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버튼(500)은 이너파이프(530)에 결합된다.
금속 재질의 마운틴컵(400)과 비금속 재질의 외부용기(200)간 열팽창 차이로 인하여, 외부용기입구(210)를 포함한 외부용기(200)가 상대적으로 팽창되는 것은 아웃바운드코킹부(430)를 통해 억제될 수 있고, 반면, 외부용기입구(210)를 포함한 외부용기(200)가 상대적으로 수축되는 것은 인바운드코킹부(420)를 통해 억제될 수 있다.
이렇게 이형 재질로 인한 열팽창 차이가 아웃바운드코킹부(430) 및 인바운드코킹부(420)를 통해 억제되는 반면, 이형 재질간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완벽한 밀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제품 생산 또는 양산시 불량률 증가 요인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주입된 압축기체(G)의 압력 6 ~ 9 kgf/㎠는 상기 완벽한 밀봉 상태 유지를 통해 압력 저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분사장치의 내용물(M)만을 재 보충하는 것만으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한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템(450)은 스프링(46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제 1 개스킷(440)의 저면에 밀착되어 있고, 이는 밸브 폐쇄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버튼(500)을 하향으로 누른다. 제 1 개스킷(440)의 중심구멍은 이너파이프(530)의 이동 중에 이너파이프(530)와 밀착하여 실링 상태를 유지한다.
버튼(500)의 하향 이동에 따라서, 이너파이프(530)는 아래로 이동하고, 이너파이프(530)에 결합된 스템(450)의 상단부와 제 1 개스킷(440)의 저면 사이가 이격되고, 이는 밸브 개방 상태를 의미한다.
즉, 밸브 개방 상태에서는 개방 공간(H)이 밸브하우징(300)의 내부에 형성되어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 사이의 압축기체(G)의 압력과 대기 압력과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용기(100)의 내용물(M)이 내부용기입구(130), 밸브하우징(300)의 밸브통로부(330), 개방 공간(H), 이너파이프(530) 및 버튼(500)의 노즐(510)을 통해 대기 중으로 분사된다(S).
만일,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버튼(500)에서 손가락을 땔 경우, 밸브하우징(300) 내부의 스프링(4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템(45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서, 스템(450)의 상단부와 제 1 개스킷(440)의 저면이 서로 밀착 및 폐쇄된다.
즉, 사용자는 통상적인 스프레이 제품과 같이 버튼(500)을 누를 때마다 내부용기(100)의 내용물(M)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하우징(300)과 내부용기입구는 나사산 없이 서로 면접촉 상태로 결합된 후 초음파용착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00)는 소재 변경을 통해서, 예컨대, 연질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니트릴(nitrile), 부틸(butyl),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중 하나의 소재로도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용기(100)는 주름이 없는 연질의 용기 몸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앞서 언급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에 비해 수축 및 팽창이 더욱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내부용기(100)는 밴딩결합을 통해서 내부용기입구와 밸브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내부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나사결합 또는 트위스트결합을 통해 상호 결합되었으나, 밴딩결합 또는 초음파용착에 의한 결합을 통해서 밸브하우징(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밴딩결합은 나사산 없는 내부용기입구를 밸브하우징(300)에 끼운 다음, 고정용 밴드 또는 와이어로 내부용기입구의 외부를 감싸거나 감아서 서로 밀착시키는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외부용기(200a)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종 제품의 용기 형상 및 구조에 대응하게 성형된 것으로서, 예컨대 팔각통이거나, 팔각통의 중공단면에 대응한 통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외부용기(200a)의 바닥면에는 외부용기(200a)의 내측 공간쪽으로 솟아오른 압력지지부(201)가 형성되어서, 압축기체(G)에 대항하여 외부용기(200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외부용기(200b)는 삼각형 중공단면의 통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즉, 외부용기(200b)는 원뿔통 또는 삼각통의 형상을 갖는다.
외부용기(200b)의 외부용기입구(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바운드코킹부(420) 및 아웃바운드코킹부(430)를 구비하여 이중 밀봉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예에 따른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역시 다른 외부용기(200c)는 사각형 중공단면의 통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즉, 외부용기(200c)는 사각통의 형상을 갖는다.
특히, 외부용기(200c)의 외부용기입구(210a)가 외부용기입구(210a)의 두께(J)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높이(K)를 갖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마운틴컵(400)의 아웃바운드코킹부(430a)와 외부용기입구(210a)간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안정된 체결력을 발휘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입구(210a) 자체의 내구성도 증가되어, 압축기체(G)의 충전시 또는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M)을 충전할 때에도, 외부용기입구(210a)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0,100a : 내부용기 110 : 내부용기몸체
120 : 너트형 보강부 130,130a : 내부용기입구
131 : 제 2 비드 150 : 제 2 개스킷
200,200a,200b,200c : 외부용기 210,210a : 외부용기입구
211 : 제 3 비드 300 : 밸브하우징
351 : 제 1 비드 400 : 마운틴컵
410 : 캡부 420 : 인바운드코킹부
430,430a : 아웃바운드코킹부 440 : 제 1 개스킷
450 : 스템 460 : 스프링
470 : 제 3 개스킷 500 : 버튼
510 : 노즐 530 : 이너파이프
120 : 너트형 보강부 130,130a : 내부용기입구
131 : 제 2 비드 150 : 제 2 개스킷
200,200a,200b,200c : 외부용기 210,210a : 외부용기입구
211 : 제 3 비드 300 : 밸브하우징
351 : 제 1 비드 400 : 마운틴컵
410 : 캡부 420 : 인바운드코킹부
430,430a : 아웃바운드코킹부 440 : 제 1 개스킷
450 : 스템 460 : 스프링
470 : 제 3 개스킷 500 : 버튼
510 : 노즐 530 : 이너파이프
Claims (11)
- 금속 소재의 마운틴컵과, 상기 마운틴컵의 캡부에 결합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에 결합되고 분사하려는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밸브하우징 및 상기 내부용기를 내부에 배치시켜서 이중 용기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마운틴컵에 결합되고 압축기체가 충전되는 외부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비금속 소재로서, 0 이상 10-3 barrer 이하의 산소투과도를 갖고,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외부용기입구는 상기 마운틴컵의 인바운드코킹부와 아웃바운드코킹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서, 상기 인바운드코킹부 및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를 통해서 상기 마운틴컵에 이중으로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체는 상기 내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의 사이 공간에 압력 6 ~ 9 kgf/㎠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친환경 원료로서 상기 내부용기 내부에 압력 20 ~ 40 kgf/㎠으로 급속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틴컵은 금속판재의 절곡 성형에 의해 제작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마운틴컵의 중앙에 위치한 파이프구멍과, 상기 파이프구멍이 형성된 상기 캡부의 상면과, 상기 캡부의 상면의 외곽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상기 캡부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측면의 하단부가 절곡되어서 U자 웨이브 단면 형상의 상기 인바운드코킹부 쪽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바운드코킹부의 외측 상단이 역U자 웨이브 단면 형상의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 쪽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바운드코킹부는 상기 외부용기입구의 하부쪽 저면에서 상기 외부용기의 바깥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밀하게 밀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바운드코킹부는 상기 외부용기입구의 상부 및 외측 테두리를 감싸듯이 상기 외부용기의 안쪽 방향으로 가압되어 기밀하게 밀착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0264A KR101653375B1 (ko) | 2014-11-17 | 2014-11-17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PCT/KR2015/002947 WO2016056714A1 (ko) | 2014-10-07 | 2015-03-26 | 비금속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0264A KR101653375B1 (ko) | 2014-11-17 | 2014-11-17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9081A KR20160059081A (ko) | 2016-05-26 |
KR101653375B1 true KR101653375B1 (ko) | 2016-09-05 |
Family
ID=5610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0264A KR101653375B1 (ko) | 2014-10-07 | 2014-11-17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337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3291B1 (ko) * | 2017-12-06 | 2019-04-29 | 주식회사 종우실업 | 리필형 화장품 용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26964A1 (en) * | 2003-05-12 | 2004-11-18 | Bourque Steven M. | Systems for dispensing multi-component products |
US20130270295A1 (en) * | 2012-04-16 | 2013-10-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lastic Packages For Dispensing Aerosol Products Having Improved Crazing Resistance And Sustainabilit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74948B2 (ja) * | 1994-07-12 | 2002-04-15 | 株式会社ダイゾー | 二重エヤゾール装置の製造法および二重エヤゾール容器 |
KR101320000B1 (ko) | 2012-11-09 | 2013-10-18 | 박정희 |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
KR101324530B1 (ko) | 2012-11-09 | 2013-11-01 | 박정희 | 재활용 가능한 내부 확인 이중 구조 분사 용기 제조방법 |
-
2014
- 2014-11-17 KR KR1020140160264A patent/KR1016533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26964A1 (en) * | 2003-05-12 | 2004-11-18 | Bourque Steven M. | Systems for dispensing multi-component products |
US20130270295A1 (en) * | 2012-04-16 | 2013-10-1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lastic Packages For Dispensing Aerosol Products Having Improved Crazing Resistance And Sustainabi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9081A (ko) | 2016-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32955B2 (en) | Compressible valve for a pressurized container | |
US7708171B2 (en) | Pressure control device | |
CN109476414B (zh) | 气溶胶分配器 | |
AU2017368159B2 (en) | Pressurized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plastic bottle | |
US20160377186A1 (en) | Compressible valve and actuator for a pressurized container | |
WO2016056714A1 (ko) | 비금속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 | |
KR101653375B1 (ko)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 |
US10427863B2 (en) | Aerosol container, and details thereof | |
KR101645651B1 (ko)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내부용기 | |
KR101046327B1 (ko) |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 |
JP5560035B2 (ja) | 内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重エアゾール製品 | |
US10486892B1 (en) | Packages and arrays of packages for plastic aerosol dispensers | |
JP7021945B2 (ja) | ネジキャップ付きの吐出容器 | |
KR101645657B1 (ko) | 비금속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의한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제조장치 및 방법 | |
JP5001680B2 (ja) | チューブ容器用の加圧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圧式チューブ製品 | |
US20120292546A1 (en) | Multi-position valve assemblies | |
KR20160032057A (ko) | 압축 분사 용기 | |
JP3441202B2 (ja) | 二重エヤゾール容器 | |
KR20180001141U (ko) |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저장용기 | |
JP3984033B2 (ja) | 加圧容器のシール構造 | |
JP2018188180A (ja) | 吐出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