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936B1 -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장치 - Google Patents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936B1
KR101323936B1 KR1020077015975A KR20077015975A KR101323936B1 KR 101323936 B1 KR101323936 B1 KR 101323936B1 KR 1020077015975 A KR1020077015975 A KR 1020077015975A KR 20077015975 A KR20077015975 A KR 20077015975A KR 101323936 B1 KR101323936 B1 KR 10132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ridging device
slats
joi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705A (ko
Inventor
베른트 울리히
Original Assignee
마게바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332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239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게바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마게바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7011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pr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교대 (2) 와 상부구조 (3) 사이에 배치된 신축 조인트 (4) 를 위한 브리징 장치에서,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는 조인트 갭을 브리지하는 여러 개의 가로대 (5) 가 연장되며, 상기 가로대들은 교대에 및 상부구조에 지지된다.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는 조인트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슬래트 (7) 가 배치되며, 상기 슬래트들은 각각 가로대들의 적어도 한 부분 상에 지지된다. 슬래트들 간의 간격은 스프링 장비들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프링 장비들에는 해당 슬래트들이 이어진다. 개별 스프링 장비들은 장치의 내부에서의 그 배치에 따라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조인트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기울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 장치 {BRIDGING DEVICE FOR AN EXPANSION JOINT IN A STRUCTURE FIT FOR TRAFFIC}
본 발명은, 하기의 특징들을 갖는,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교대 (abutment) 와 상부구조 (superstructure) 사이에 배치된 신축 조인트 (expansion joint) 를 위한 브리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는 조인트 갭 (joint gap) 을 브리지하는 여러 개의 가로대들 (cross-members) 이 연장되며, 상기 가로대들은 교대에 및 상부구조에 지지된다;
-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는 조인트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슬래트들 (slats) 이 배치되며, 상기 슬래트들은 각각 가로대들의 적어도 한 부분 상에 지지된다;
- 슬래트들 간의 간격은 스프링 장비들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프링 장비들에는 해당 슬래트들이 이어진다.
특히 교량 건축에 이용되는 상기 상술된 유형의 브리징 장치는 여러 가지의 실시들에서 알려져 있다. 이때, 가로대들이 한쪽에서 단단히 클램핑되거나 (예컨대 DE 19607593 A1 참조) 또는 교대에 뿐만 아니라 상부구조에도 슬라이딩하며 지지될 수 있음으로써 (예컨대 DE 3201751 C2 참조), 변화 가능성들은 예컨대 가로대의 설치와 관련하여 존재한다. 슬래트들은 모든 가로대들 상에 슬라이딩하며 지지될 수 있다; 또는, 개별 또는 모든 슬래트들은, 각각 상부구조에서뿐만 아니라 교대에서도 슬라이딩하며 지지되는 할당된 가로대들과 단단히 연결되며, 이 경우 나머지 가로대들 상에서의 슬래트들의 슬라이딩하는 지지는 가능하긴 하나 강제적인 것은 아니다. 이때, 제어 체인의 형태로 잇달아 접속된 스프링 장비들은 슬래트들 간의 가능한 한 균일한 간격을 보장해야 한다. 상기 언급된 스프링 장비들을 통한 슬래트 간격들의 이러한 제어는, 있을 수 있는 억압으로부터 생길 수 있는 손상에 대해 훨씬 덜 민감하다는 점에서, 정확하게 똑같은 슬래트 간격들을 보장하는 슬래트-강제 제어 (예컨대 EP 0215980 A1 참조) 보다 월등하다. 상기 억압은 구조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매우 큰 브리징 장치에서 가로대의 제한된 가능한 비스듬한 위치로 인해) 외부적인 영향들로 인해 (예컨대: 슬라이딩면에서의 오염으로 인한 슬래트의 걸림, 오염 또는 이물질 (예컨대, 돌) 로 인한 개별 갭의 차단 등) 생길 수 있다.
좁은 조인트 폭에서는, 상기 상술된 유형의 공지의 브리징 장치가 전적으로 그 적합함을 입증해보였다. 하지만 중간의, 그리고 특히 큰 조인트 폭에서는, 각각 2 개의 서로 인접된 슬래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개별 갭들의 폭에서 너무나 큰 차이를 저지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들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언급될 수 있는 것은 특히 가로대들 상에서의 슬래트들의 지지의 영역에서 마찰이 없는 슬라이딩 재료의 사용 및/또는 보다 큰 또는 보다 강한 제어 스프링을 통한 제어력의 상승이다. 이 조치들은 비용이 더 많이 들며, 매우 큰 조인트 폭을 위해 정해진 브리징 장치에서 허용 치수를 넘는 개별 갭들의 매우 문제가 되는 열림을 안전하게 저지할 수 없다.
후자는, 특히 큰 조인트 폭을 위해 마련된 공지의 상기 상술된 브리징 장치에서, 개별 갭들의 폭을 제한하는 스톱 (stop) 의 추가적인 사용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활성화된 스톱들을 통한 서로 인접된 슬래트들의 기계적인 커플링은, 마모를 촉진하며 작용하는 현저한 동적 부하를 그 결과로 갖는다; 그 밖에, 스톱들은, 최대 허용 갭 폭보다 아래에서 개별 갭들의 갭 폭의 균일화에 기여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허용 치수를 넘어선 개별 갭 (single gap) 들의 열림이 일반적으로 단지 제어 스프링들만을 통해, 즉 이를 위해 스톱들이 필요하지 않고 신뢰성 있게 피해짐으로써, 구조적이며 제조 기술적으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특히 매우 큰 조인트 폭에 특히 적합한, 상기 상술된 유형의 브리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브리징 장치의 나머지 작동 영역들에서도, 예컨대 비교적 적은 조인트 폭에서, 개별 갭들의 갭 폭들을 균일화하는 작용이 생기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상기 상술된 유형의 브리징 장치에서, 개별 스프링 장비들이 장치의 내부에서의 그 배치에 따라 상이한 제어력 (controlling force) 들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조인트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기울기 (gradient) 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제어 체인 (control chain) 의 방향으로의 개별 스프링 장비들의 상이한 제어력들은 특히, 가로대들 상에서의 슬래트들의 슬라이딩하는 지지에서 슬래트들과 가로대들 사이에 작용하며, 조인트 폭의 변화로 인한 슬래트들의 추적시 극복되어야 하고, 슬래트 마다 합산되는 마찰력들의 고려를 허락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트들과 가로대들 사이에 작용하며, 변화하는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들의 보상 운동 (compensation movement) 을 저지하고, 한쪽에서 클램핑된 가로대들의 경우에는 한 조인트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조인트 가장자리로 합산되며, 양쪽에서 슬라이딩하며 지지된 가로대들의 경우에는 양 조인트 가장자리들로부터 조인트 중앙 쪽으로 합산되는 마찰력들은, 조인트의 폭에 걸쳐 변화하는 제어력들에 의해 보상된다. 제어 체인의 방향으로 상이한 (합산된) 마찰력들에, 큰 조인트 폭들의 작동 영역에서 스프링 장비들에 의해 제공된 제어력들을 적합하게 맞춤으로써, 제어력들과 각각 극복되어야 하는 마찰력들 사이의 힘 평형이 근사적으로 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리는 브리징 장치의 개별 갭들의 허용되지 않게 큰 열림이 저지된다.
무엇보다도, 특히 큰 조인트 폭들을 위해 디자인되며, 그리고 이에 따라 특히 큰 수량의 (예컨대, 15 개 이상) 슬래트를 구비하는 통상의 브리징 장치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일반적으로 단지 제어력 기울기의 본 발명에 따른 목표된 (targeted) 조정에 의해서만, 그러므로 슬래트들의 강제 제어 없이, 또한 스톱들의 사용 없이, 허용 치수를 넘어선 개별 갭들의 열림은 신뢰성 있게 저지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 관점에서만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전적으로 놀라운 결과를 나타내는데, 즉 본 발명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전제 조건들 하에서 브리징 장치의 다른 작동 상태들에서도 (예컨대, 비교적 적은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들의 균일화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징 장치에서 각각 가로대들의 받침대들 중 하나는 클램핑부로서 실시되고 다른 것은 슬라이딩하며 실시되면, 제어력의 기울기는 목적에 부합되게 전체 조인트 폭에 걸쳐 연장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스프링 장비들이 최대 조인트 폭에서 각각 슬래트 간격의 감소의 의미에서 작용하는 응력을 구비하면, 제어력 기울기는,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이 가로대들의 클램핑부로부터 가로대들의 슬라이딩하는 받침대 방향으로 증가하는 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정반대인, 최대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의 확대의 의미에서 작용하는 스프링 장비들의 응력의 경우에는, 기울기는 반대 방향으로 뻗는다. 전술한 내용은, 스프링 유닛들이 본 발명의 그 밖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최대 허용 조인트 폭과 최소 허용 조인트 폭 사이에 놓여 있는 공칭위치 (nominal position) 에서 본질적으로 응력이 없는지 (stress-free), 또는 하지만 브리징 장치의 전체 작업 영역에 걸쳐 같은 방향으로 슬래트 간격의 감소 또는 확대의 의미에서 작용하는 응력을 구비하는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유효하다.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중심에 배치된 슬래트의 양쪽에 2 개의 반대 제어력 기울기가 우세하는 조건하에, 2 개의 쪽에, 즉 교대에서뿐만 아니라 상부구조에서도 슬라이딩하는 가로대의 받침대의 경우에 유효하다. 특히, 이 경우에, 스프링 장비들이 최대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의 감소의 의미에서의 응력을 구비하는 한,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조인트 중앙으로부터 조인트 가장자리들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 개선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들은, 스프링 장비들이 상기 실시의 의미에서 최대 허용 조인트 폭과 최소 허용 조인트 폭 사이에 놓여 있는 공칭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응력이 없고,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비들이 상이한 강성 (stiffness) 들, 즉 가파름이 서로 다른 힘-경로-특성곡선들을 구비하면 나타난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제어력 기울기는 큰 조인트 폭들의 영역에서의 조인트의 열림 시뿐만 아니라 적은 조인트 폭들의 영역에서의 조인트의 닫힘 시에도 균일화하면서 슬래트 간격들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최소 조인트 폭 가까이 있는 작동 위치들에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슬래트들의 기계적인 접촉이 효과적으로 배제된다.
스프링 장비들이, 상기 상술된 추가의 장점을 포기하고, 최대 허용 조인트 폭과 최소 허용 조인트 폭 사이에 놓여 있는 공칭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응력이 없는 게 아니라, 오히려 브리징 장치의 전체 작동 영역에 걸쳐 응력을 받는 브리징 장치에서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는 스프링 유닛들이 상이한 강성들을 구비하는 것이라, 오히려 제어력 기울기에 상응하여 강도에서 서로 달리 초기응력을 받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현 가능한 상기 상술된 장점들은, 가로대들이 양쪽에, 즉 교대에뿐만 아니라 상부구조에도 슬라이딩하며 지지되면 특히 뚜렷하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각각 합산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력 기울기를 통해 보상될 수 있는 마찰력들이 2 등분되기 때문이다. 결과는, 예정 위치로부터 슬래트의 특히 적은 편차이다. 상기 상술된 원칙들의 적용하에, 양쪽에서 슬라이딩하며 지지된 가로대들을 갖는 이러한 브리징 장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스프링 장비들이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며, 이때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2 개의 반대 제어력 기울기를 통해 각각 조인트 갭의 중앙으로부터 그 가장자리들 방향으로 - 스프링 유닛들의 응력의 방향에 좌우되어 -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한다. 스프링 장비들이 최대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의 감소의 의미에서 작용하는 응력을 구비하면,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가로대들의 중앙으로부터 조인트 가장자리들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와는 달리, 최대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의 확대의 의미에서의 스프링 장비들의 응력에서는,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가로대들의 중앙으로부터 조인트 가장자리들 방향으로 감소한다.
모든 슬래트들이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에 배치된 하나를 제외한 모든 슬래트들이 슬라이딩하며 가로대들 상에 지지되면, 가로대들의 양쪽에서 슬라이딩하는 설치에서, 상기 가로대들은, 본 발명의 다시금 다른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조인트 중앙과 관련된 그 중점이 현재의 조인트 폭에 관계없이 일정한 식으로 강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예컨대, 슬래트들로부터의 강제 제어로부터 알려져 있는 로프 (rope) 제어들이 고려된다. 가로대들의 이러한 강제 제어는, 모든 슬래트들이 슬라이딩하며 가로대들 상에 지지되면, 즉 중앙 슬래트도 가로대들과 강성적으로 (rigidly) 연결되지 않으면 유리하다. 반면, 대부분의 실제로 중대한 적용예들에서, 가로대들의 이런 유형의 강제 제어를 포기할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그 밖에, 슬래트들 또는 여러 개의 슬래트들이, 각각 상이하며 양쪽에서 슬라이딩하며 지지된 가로대들과 단단히 연결되며, 또한 그러므로 가로대들은 변화하는 조인트 폭에서 상이한 치수로 옮겨지는 브리징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해서도 적합하다; 왜냐하면 여기에서도 가로대들과 상부구조 또는 교대 사이에서 제어 체인의 방향으로 합산되는 마찰력들은 본 발명의 이용하에 힘 평형의 의미에서 보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극도로 큰 조인트 폭을 위해 디자인된 브리징 장치에서는 (예컨대, 30 개 또는 이 이상의 슬래트들), 슬래트들의 일부, 예컨대 5 % 와 15 % 사이의 몫이 간헐적인 배치에서 강제 제어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통해 스프링을 수단으로 제어되면 유리할 수 있다. 즉, 무엇보다도 각 10 번째 슬래트는 강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래트들의 강제 제어를 위해 그 자체가 알려져 있는 조치들, 예컨대 로프 제어들이 다시금 제공된다.
특정한 전제 조건들 하에서 개별 스프링 장비들에 의한 상이한 제어력들의 제공은 각각의 스프링 유닛들의 강도가 서로 다른 초기응력에 의해 실현될 수 있거나 또는 스프링 장비들이 가파름이 서로 다른 힘-경로-특성곡선들을 갖는 상이한 스프링 유닛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장비들이 상이한 강성들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은 이미 상기에서 상술되었다. 상이한 강성들을 갖는 스프링 장비들을 제공하기 위한 그 밖의 가능성은, 스프링 장비들이 동일한 스프링 유닛들을 상이한 수량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상이한 스프링 유닛들을 포함하는 데에 있으며, 상기 상이한 스프링 유닛들의 스프링 요소들 (예컨대, 엘라스토머 블록들) 은 상이한 힘-경로-특성곡선들 (예컨대, 상이한 치수들 또는 상이한 재료 선택에 의해) 을 구비한다. 상기 상술된 조치들은 필요할 경우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제어력 기울기에 의해 야기된 제어력의 최대 전체 경사는, 특히 브리징 장치의 제조방식 (가로대들이 한쪽에서 또는 양쪽에서 슬라이딩하며 설치됨), 슬래트 수량 및 가로대들 상에서의 슬래트들의 슬라이딩 특성과 같은 일련의 영향 크기에 좌우된다. 즉, 전체 경사는 일반적으로 슬래트의 수량 및 슬래트들의 슬라이딩 설치의 마찰계수 상승과 함께 증가한다.
본 발명은 아주 상이한 실시의 스프링 장비들과 함께 전환될 수 있다. 이때, 특히 좋은 결과는, 엘라스토머 스프링으로서 실시된 스프링 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프링 장비들을 갖고 실현될 수 있으며, 이때 상응하는 엘라스토머 블록들은 특히 전단하중을 받는다. 이 점에서 제조 크기 및 비용과 관련하여 특히 선호되는 본 발명의 개선예의 탁월함은, 2 개의 인접된 스프링 장비들의 스프링 유닛들이 각각 3 개의 인접된 슬래트들 중 중간 것과 강성적으로 연결된 플레이트를 통해 커플 (couple) 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인접된 양 슬래트들이 엘라스토머 블록들의 형태의 추력 스프링들을 통해 이어짐으로써 나타난다. 엘라스토머 블록들은 바람직하게는 최소 갭 폭과 최대 갭 폭 사이에 놓여 있는 브리징 장치의 중립적인 위치에서 응력이 없다 (상기 참조).
본 발명의 그 밖의 관점에 따르면, 스프링 장비들은, 각각 2 개의 서로 인접된 가로대들 사이에 배치된 여러 개의 제어 필드 (control field) 상에 분배되어 배치된 스프링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여러 가지의 제어 필드들에서 개별 제어 필드들의 제어 체인의 내부에서 제어력 내의 비약적인 상승들은 서로 엇갈린다. 이는, 동일한 스프링 요소들의 사용에서도 (이는 비용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전체 장치의 범위에서, 상기 전체 장치의 제어력의 거의 또는 완전히 같은 모양의 기울기의 결과와 함께 개별 제어 필드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어력 점프들의 평탄하게 하기를 허락한다.
명백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어력은 결정적인 기울기에 따라 개별 갭 마다 강제로 증가해야만 하거나 또는 감소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오히려,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여러 개의 서로 인접된 슬래트들은, 그것들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비들이, 일치하는 제어력들에 디자인되는 의미에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최적인 제어력 특성으로부터의 이와 연결된 편차는 납득할 수 있으며, 비용 절약에 의해 정당화된다.
마찬가지로 단지 명백히 하기 위해 지적되어야 하는 점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징 장치에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보충적인 안전 조치로서 추가적인 스톱 방식의 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장치들은 표준 기능의 고장의 경우 허용 치수를 넘는 개별 갭들의 국부적인 열림을 저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표준 작동에서는 실행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본 발명을 위해 특징적인 제어 체인의 실시로 인해 슬래트들의 적어도 가능한 한 균일한 간격 두기 및 허용 범위 내부에서의 특히 개별 갭 폭들의 엄수는 단지 제어 필드들에 의해 보장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조인트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지른 가로대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징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브리징 장치의 2 개의 가로대들 사이에 놓인 영역의 저면도,
도 3 은 선 (III-III) 에 따라 도 1 및 도 2 에 따른 브리징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교량의 교대 (2) 와 상부구조 (3) 사이에 배치된 신축 조인트 (4) 를 위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브리징 장치 (1) 는 여러 개의 가로대 (5) 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대들은 - 조인트 갭을 브리지하면서 - 상부구조 (3) 와 교대 (2) 사이에 연장되고, 교대에 및 상부구조에 지지된다. 이때, 가로대 (5) 들은 상부구조 (3) 에 클램핑된다; 반면, 교대 (2) 에는 가로대들의 슬라이딩하는 받침대 (6) 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는 교대 (2) 와 관련하여 가로대 (5) 의 그 종방향에서의 상대운동 (이중 화살표 (A)) 을 허락한다. 교대 (2) 와 상부구조 (3) 사이에는 다수의 슬래트 (7) 가 배치되며, 상기 슬래트들은 조인트의 종방향 (이중 화살표 (B)) 으로 뻗어 있고, 가로대 (5) 상에 슬라이딩하며 지지된다. 슬래트의 떼어짐을 방지하는 쌓기 및 기울어짐이 없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슬래트들의 각각은 죔쇠 (8) 에 조립되며, 상기 죔쇠들은 가로대 (5) 를 빙 둘러싸고, 상기 죔쇠들에는 가로대의 할당된 슬라이딩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블록 (9, 10) 이 설치되 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들 중 가로대의 아래에 배치된 것들은 유닛 (unit) 의 초기응력에도 쓰인다. 각각 2 개의 서로 인접된 슬래트들 (7) 간의 간격은 스프링 장비 (11) 들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프링 장비들에는 해당 슬래트들이 이어진다. 모든 스프링 장비들 (11) 의 전체는, 교대 (2) 로부터 상부구조 (3) 까지 연장되는 제어 체인을 형성한다.
상기 상술된 범위에서, 도면에 따른 브리징 장치는 충분히 알려진 선행기술에 일치하며, 따라서 이점에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각각의 스프링 장비 (11) 는 다수의 스프링 유닛 (12) 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유닛들은 조인트의 종방향 (B) 으로 분배되고, 각각 가로대들 (5)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양 가로대들 (51 과 52) 사이의 - 상부구조 (3) 로부터 볼 때 - 12 번째 슬래트 (712) 와 13 번째 슬래트 (713) 사이에는 양 스프링 유닛들 (1212-13,1 와 1212-13,2) 이 작용한다. 상응하는 스프링 장비 (1112-13) 의 그 밖의 스프링 유닛들은 그 밖의 가로대들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유닛 (1212-13,1) 은, 웨브 (14) 를 통해 단단히 슬래트 (713) 와 연결된 플레이트 (13) 및 엘라스토머 스프링 (1612-13) 의 형태의 스프링 요소 (1512-13) 를 포함한다. 상기 엘라스토머 스프링은 전단하중을 받으며,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엘라스토머 스프링은 아래에서는 플레이트 (13) 와 연결되고, 위에서는 슬래트 (712) 의 하면에 고정된다. 스프링 유닛 (1212-13,2) 은, 상응하는 방식으로 웨 브를 통해 단단히 슬래트 (712) 와 연결된 플레이트 (17) 및 전단하중을 받은 2 개의 엘라스토머 스프링의 형태의 2 개의 스프링 요소들을 포함한다. 슬래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들여다 볼 때, 수직축 둘레의 운동량으로부터, 각각의 슬래트들 사이에 작용하는 제어력들의 자유로운 분배를 얻기 위해, 스프링 요소들은 가능한 한 대칭으로 배치된다.
전체 스프링 시스템의 가능한 한 콤팩트한 실시를 고려하여, 상기 언급된 플레이트들의 각각은 2 개의 서로 인접된 스프링 유닛들에 할당된다. 즉, 플레이트 (13) 는 슬래트 (713) 을 넘어서 슬래트 (714) 아래까지 연장된다; 스프링 요소 (1513-14) 를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스프링 (1613-14) 도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엘라스토머 스프링은 슬래트 (714) 의 하면에 고정된다.
교대 (2) 및 상부구조 (3) 에 제어 체인을 잇기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2 개의 슬래트들 간의 연결을 위한 것과 마찬가지가 적용된다. 상부구조 (3) 와 인접 슬래트 (71)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비 (11u-1) 는, 각각 2 개의 서로 인접된 가로대들 사이에 스프링 유닛 (12u-1) 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유닛은, 웨브 (19) 를 통해 단단히 슬래트 (71) 와 연결된 플레이트 (18) 및 전단하중을 받은 2 개의 엘라스토머 스프링 (16u-1) 의 형태의 2 개의 스프링 요소들 (15u-1) 을 포함한다. 상기 엘라스토머 스프링들은 위에서 대응 플레이트 (20) 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대응 플레이트는 까치발 (21) 을 통해 단단히 상부구조 (3) 와 연결된다. 26 번째 슬래트 (726) 와 교대 (2) 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비 (1126-W) 의 경우에, 스프링 유닛 (1226-W) 은 전단하중을 받은 4 개의 엘라스토머 스프링을 포함한다.
특히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스프링 장비 (11) 들은 장치의 내부에서의 그 배치에 따라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한다. 즉, 상부구조 (3) 로부터 교대 (2) 방향으로 스프링 유닛 (12) 당 마련된 스프링 요소 (15) 들의 수량의 증가를 통해 스프링 유닛 (12) 들의 강성은 상부구조 (3) 로부터 교대 (2) 방향으로 증가하며, 따라서 결과적으로 스프링 장비 (12) 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조인트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기울기를 구비한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필드의 내부에서, 제어력은 상부구조 (3) 로부터 교대 (2) 방향으로 2 개의 점프에서, 즉 11 번째 슬래트 (711) 와 20 번째 슬래트 (720) 에서 올라간다. 전체 장치의 내부에서, 즉 모든 제어 필드들에 걸쳐 분배되어 배치된 개별 제어 체인들을 포함하여 제어력 기울기의 균일화를 위해, 다른 제어 필드들에서의 제어력 점프들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필드의 제어력 점프들로 옮겨진다.
본 도면은 최대 허용 조인트 폭과 최소 허용 조인트 폭 사이에 놓여 있는 공칭위치에서의 브리징 장치를 보이고 있다. 도 3 에는 스프링 유닛 (12) 들이 상기 공칭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응력이 없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 장비 (11) 들은 상기 공칭위치보다 위쪽에 할당된 조인트 폭에서는 슬래트 간격의 감소의 의미에서 응력을 구비하며, 상기 공칭위치보다 아래쪽에 할당된 조인트 폭 에서는 슬래트 간격의 확대의 의미에서 응력을 구비한다.

Claims (23)

  1. 하기의 특징들을 갖는:
    -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는 조인트 갭을 브리지하는 여러 개의 가로대 (5) 가 연장되며, 상기 가로대들은 교대에 및 상부구조에 지지되고;
    - 교대와 상부구조 사이에는 조인트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슬래트 (7) 가 배치되며, 상기 슬래트들은 각각 가로대들의 적어도 한 부분 상에 지지되고;
    - 슬래트들 간의 간격은 스프링 장비 (11) 들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스프링 장비들에는 해당 슬래트들이 이어지는,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교대 (2) 와 상부구조 (3) 사이에 배치된 신축 조인트 (4) 를 위한 브리징 장치에 있어서,
    개별 스프링 장비들은 장치의 내부에서의 그 배치에 따라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조인트의 종방향 (B) 에 대해 가로질러 기울기에 의하여 상이한 제어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가로대 (5) 들의 받침대들 중 하나는 클램핑부로서 실시되며, 다른 것은 슬라이딩하며 실시되고, 이때 제어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제어력의 기울기는 전체 조인트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비 (11) 들은 최대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의 감소를 유발하는 응력을 구비하며,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가로대 (5) 들의 클램핑부로부터 상기 가로대들의 슬라이딩하는 받침대 (6)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대 (5) 들은 교대 (2) 에 및 상부구조 (3) 에 슬라이딩하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가로대들의 중앙의 양쪽에, 제어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2 개의 반대 제어력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비들은 최대의 조인트 폭에서 슬래트 간격의 감소를 유발하는 응력을 구비하며, 스프링 장비들의 각각의 제어력은 가로대들의 중앙으로부터 조인트 가장자리들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대 (5) 들은, 조인트 중앙과 관련된 상기 가로대들의 중점이 현재의 조인트 폭에 관계없이 일정한 방식으로 강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비 (11) 들은, 최대 허용 조인트 폭과 최소 허용 조인트 폭 사이에 놓여 있는 공칭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응력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슬래트 (7) 들은 슬라이딩하며 가로대 (5) 들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래트 (7) 들의 일부는 간헐적인 배치에서 강제 제어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통해 스프링을 수단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된 슬래트들의 몫은 5 % 와 15 %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 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최대한, 본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된 슬래트는 가로대들과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슬래트들은, 각각 상이한 가로대들과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비 (11) 들은 상이한 강성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이한 강성들을 구비하는 스프링 장비 (11) 들은 동일한 스프링 유닛들을 상이한 수량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이한 강성들을 구비하는 스프링 장비 (11) 들은 가파름이 서로 다른 힘-경 로-특성곡선들을 갖는 상이한 스프링 유닛 (12) 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가파름이 서로 다른 힘-경로-특성곡선들을 구비하는 스프링 유닛들은 동일한 스프링 요소들을 상이한 수량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제어력들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비 (11) 들은, 강도에서 서로 달리 초기응력을 받은 스프링 유닛 (12) 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19. 삭제
  2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비 (11) 들은, 엘라스토머 스프링 (16) 으로서 실시된 스프링 요소 (15) 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인접된 스프링 장비 (11) 들의 스프링 유닛 (12) 들은 구조적으로 커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2 개의 인접된 스프링 장비 (11) 들의 스프링 유닛 (12) 들은 각각 3 개의 인접된 슬래트 (7) 들 중 중간 것과 강성적으로 연결된 플레이트 (13, 17) 를 통해 커플되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인접된 양 슬래트들이 스프링 요소 (15) 들을 통해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비 (11) 들은 스프링 유닛 (12) 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유닛들은 각각, 각각 2 개의 서로 인접된 가로대 (5) 들 사이에 배치된 제어 필드들 상에 분배되어 배치되고, 이때 여러 가지 제어 필드들에서 개별 제어 필드들의 제어 체인의 내부에서 제어력 내의 비약적인 상승들은 서로 엇갈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징 장치.
KR1020077015975A 2005-01-12 2006-01-10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장치 KR101323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0533A EP1710351A1 (de) 2005-01-12 2005-01-12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eine Dehnfuge in einem befahrbaren Bauwerk
EP05000533.9 2005-01-12
PCT/EP2006/000135 WO2006074892A1 (de) 2005-01-12 2006-01-10 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eine dehnfuge in einem befahrbaren bauwerk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836A Division KR20130088194A (ko) 2005-01-12 2006-01-10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705A KR20070114705A (ko) 2007-12-04
KR101323936B1 true KR101323936B1 (ko) 2013-10-31

Family

ID=349332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836A KR20130088194A (ko) 2005-01-12 2006-01-10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 장치
KR1020077015975A KR101323936B1 (ko) 2005-01-12 2006-01-10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836A KR20130088194A (ko) 2005-01-12 2006-01-10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1710351A1 (ko)
KR (2) KR20130088194A (ko)
CN (1) CN100572672C (ko)
DE (1) DE502006003178D1 (ko)
WO (1) WO2006074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8B1 (ko) * 2008-01-22 2010-05-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라이버시-인지 편재적 시스템을 위한 편재적 피쓰리피기반의 프라이버시 정책 협상방법
DE102012023129B3 (de) * 2012-11-27 2013-12-12 Mageba S.A. Dehnfugen-Überbrückungsvorrichtung
CN103590330A (zh) * 2013-11-25 2014-02-19 柳州东方工程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单支撑横梁特大位移量桥梁伸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992A (ko) * 2000-11-01 2002-05-08 강호규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9454A3 (de) * 1980-05-03 1981-12-09 Kober AG Fugenüberbrückungsvorrichtung für Dehnfugen in Brücken oder dergleichen
DE3201751C2 (de) 1982-01-21 1986-10-02 Friedrich Maurer Söhne GmbH & Co KG, 8000 München Fugenüberbrückungsvorrichtung
EP0215980A1 (de) 1985-09-23 1987-04-01 Marcel Vecchi Lamellenübergang für Dehnfugen an Brücken o. dgl.
DE19607593A1 (de) 1996-02-29 1997-09-04 Hermann Wegener Fahrbahnüberga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992A (ko) * 2000-11-01 2002-05-08 강호규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6353B1 (de) 2009-03-18
KR20070114705A (ko) 2007-12-04
KR20130088194A (ko) 2013-08-07
DE502006003178D1 (de) 2009-04-30
WO2006074892A1 (de) 2006-07-20
EP1836353A1 (de) 2007-09-26
EP1710351A1 (de) 2006-10-11
CN100572672C (zh) 2009-12-23
CN101160436A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936B1 (ko) 통행할 수 있는 건축물에서 신축 조인트를 위한 브리징장치
US9540774B2 (en) Expansion joint bridging device
CA2423578C (en) Expansion joint system for accommodation of large movement in multiple directions
US4516284A (en) Bridging arrangement for expansion joints in the carriageways of bridges or the like
KR102034502B1 (ko) 미끄럼판과 이탈방지판을 이용한 온도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4236670B2 (ja) 落橋防止構造
US6931807B2 (en) Bridging device for joint gaps
KR20150139557A (ko)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US4123815A (en) Fixed point elastomeric bridge bearing and bridge assembly
US3854159A (en) Composite expansion joint assembly
RU2140505C1 (ru) Рамный элемент
JPS5949367B2 (ja) 道路等特に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橋路のための装置
ITVR20100034U1 (it) Supporto modulare
HU219096B (hu) Átjáró hidak vagy hasonlók tágulási hézagaihoz
KR200262486Y1 (ko) 구면형 교좌장치
US5600860A (en) Dilation joint for bridges and viaducts
GB2147031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acing of the plates on a bridging arrangement for expansion joints in, for example, bridges
KR200279265Y1 (ko) 임시도로용 가교의 처짐 방지구조
WO2000079055A1 (en) Bridge joint
JP4167172B2 (ja) 橋桁上の軌道スラブ版の伸縮構造
KR100544334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EP0633358A1 (de) Vorrichtung zum Überbrücken einer Dehnungsfuge in einer Fahrbahn, insbesondere von Brücken
KR101058613B1 (ko) 하천 횡단 교량의 경간 내 단순지지 중앙 상부구조물의 가동 힌지점 구조, 고정 힌지점 구조 및 이러한 힌지점을 가지는 하천 횡단 다경간 교량
DE102021102703A1 (de) Bauwerk
KR100625229B1 (ko) 낙교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