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336B1 -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336B1
KR101323336B1 KR1020117018674A KR20117018674A KR101323336B1 KR 101323336 B1 KR101323336 B1 KR 101323336B1 KR 1020117018674 A KR1020117018674 A KR 1020117018674A KR 20117018674 A KR20117018674 A KR 20117018674A KR 101323336 B1 KR101323336 B1 KR 10132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elete delete
inertia
moment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109A (ko
Inventor
말테 로스해멜
욜레 이케마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1010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B62D7/224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acti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e.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조작 수단(100), 일례로 조향 휠(100)과 조향 장치의 서보 장치(120)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전달시키는 조향 칼럼(115)을 포함하는, 차량, 일례로 트럭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본 발명의 방법은, - 상기 회전 운동과 관련된 상기 조향 칼럼(115)의 회전 저항을 변경시키는 단계와, 그리고/또는 - 상기 회전 운동과 관련된 상기 조향 칼럼(115)의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키는 단계와, - 상기 변경을, 조작자, 일례로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그리고/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단계에 의해 특별히 구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및 차량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METHOD FOR VARIATION OF STEERING SENSATION IN A STEERING ARRANGEME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2항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22항, 제26항, 제27항, 제29항 각각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및 차량에도 관한 것이다.
특히 조향 휠, 조향 칼럼 등을 구비하는 기존의 장치의 구성은 정해진 조향감을 제공하는데, 이는, 종종, 도로 감각을 유지하면서 특히 조향 휠에서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절충안이기도 하다. 그러나 각 개인의 바람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은 극히 제한적이다.
"전자식 조향(steer by wire)" 방식의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의 시스템에서는 조작 수단, 즉 일반적으로 조향 휠이 차량의 기계적 조향 장치에 기계식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전자식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서는 조향감 또는 도로 감각이 기계식 조향 장치로부터 조향 휠로 거의 전달되지 않으며, 또한 이런 종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특히 안전을 위해 모의 조향 휠 감각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다소 복잡한 방식으로 행해져 왔다.
조향감 또는 조향 휠 감각은 각기 다른 운전자마다 바라는 바가 제각각이고, 트럭과 같은 중자동차와 관련해서는 특히나 더욱 그러하며, 차량의 조향 시스템과 관련된 차량의 특정 파라미터들과 일례로 각기 다른 차도와 같은 외부 파라미터들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상기 외부 파라미터들은 특히 도로 감각을 형성하는 데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 장치의 조향 휠과 이 조향 휠 이외의 것이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존의 지배적인 방식의 조향 장치에 있어서, 특히 각 개개인의 바람에 부합될 수 있도록 조향감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또 다른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청구항인 제1항 및 제12항에 따른 특징을 각각 갖는 방법 및 장치, 제22항, 제26항, 제27항, 제29항 따른 특징을 각각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및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장점들은 각 종속청구항에 특정된 것들에 의해 제공된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인 첨부된 도면과 결부시켜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 설명을 읽게 되면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향 칼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조향 칼럼의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키기 위한 도 1에 따른 장치의 두 가지 다른 방식의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조향감의 변경을 위한 차량 보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조향감의 변경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 가지 방식의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제어 유닛의 한 가지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장치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향 칼럼의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향 칼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00은 차량, 일례로 트럭의 조향 장치(110)에 있어서의 조향 휠 형태의 조작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조향 장치는 조향 장치의 서보 장치(120)와 조향 휠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전달시키는 조향 칼럼(115)을 포함한다. 조향 휠은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조작 수단의 일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방식의 것에 있어서, 조향 칼럼은, 조향 휠 위치를 설정하는 능력을 발휘하며 일례로 유니버설 조인트(116)들에 의해 상호 관절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칼럼 요소(117, 118)를 포함하는 형태의 것이다. 도면 부호 119는 상기 조향 휠을 지지하는 칼럼 요소(117)용 베어링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 베어링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조향감, 즉 조향 휠 감각을 본 발명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조향 장치에는 조향 칼럼(115)의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를 각각 변경시키는 장치(130, 14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 운동과 관련된 회전 저항을 변경시키는 회전 저항 변경 장치(130)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칼럼 요소(117, 118)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131)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도면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131)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칼럼 요소에 부속된 브레이크 디스크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형태의 마찰 발생 장치(132)와,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해서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바람직하기로는 전기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마찰 요소를 포함한다. 이와 다른 마찰 발생 방안들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131)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칼럼 요소에 대해 작용하도록 구성된 자기유변성 댐퍼 장치(magnetorheological damper device)(133)를 포함하고, 위와 같은 브레이크 작용은 전기 수단에 의해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조향 칼럼의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키는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40)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운동을 전달받는 추 장치(weight device)(141)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추 장치의 추의 재분포에 의해 관성 모멘트가 바뀐다. 도 2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추 장치들은 이들 추 장치의 회전 축선(215)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질러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칭으로 배치된 추 요소(210)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향 칼럼의 회전 운동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 요소로 전달된다. 이러한 운동은, 예를 들면, 나사 형성된 스핀들(220)이 바람직하기로는 전기 모터(230)에 의해서 상기 추 요소들을 관통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서, 추 요소들이 동시에 서로를 향해서 움직이며 또한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추 각각과 협동하는 스핀들의 부분(221, 222)들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나사를 형성시킨다.
일례로 추 장치로 대표되고 있는 방식의 장치들은 조향 칼럼 안이나 위에 설치되거나 혹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조향 칼럼을 따라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회전 운동 전달을 위해 기어 박스(610, 710)를 거쳐서 조향 칼럼에 연결된다. 그러나 조향감이 특히 기어 박스에 내의 유격에 의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전자의 경우, 즉 조향 칼럼 안이나 위에 바로 설치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방식의 것에 따르면, 회전 저항 파라미터 및 관성 저항 파라미터를 각각 변경시키는 장치(130, 140)는 조작자가, 일례로 차량 운전자가 설정할 수 있는데, 이들 장치에는, 상기 파라미터들을 소망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 수단(138, 148)에 대해 작용하게 한 단부 제어 수단(139, 149), 일례로 푸시 버튼, 회로 브레이커 등과 같이 조작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것들이 설치된다.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조작 수단(138, 148)을 전기식으로 구성해서 작동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로 바람직한 경우로서,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방식의 것에 따르면, 전자 제어 유닛(300)은 특히 현재의 구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받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구동 상황 또는 조작자에 의해 요청된 조향감을 포함하는 신호들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300)은 회전 저항 및/또는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 수단에 대해 작동하는 근거로서 상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나타낸 방식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링크"라는 용어는 광전자 통신 배선과 같은 물리적 연결이나, 무선 연결(wireless connection), 무전 링크(radio link), 극초단파 링크(microwave link) 등과 같이 비물리적 연결일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도 3은 차량의 보조 시스템(399)의 한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는데, 상기 보조 시스템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조향 칼럼(115)을 구비하는 조향 장치(110)를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300은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300)은, 그 목적을 위해서, 조작자 및 센서(311)를 위한, 특히 회전 저항의 변경을 위한 회전 저항 변경 장치(130)와 관성 모멘트의 변경을 위한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40)를 설정하기 위한, 변경 수단(310)에 신호 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300)은 또한 회전 저항 변경 장치(130) 및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40) 각각을 위한 조작 수단(138, 148)에도 신호 연결되는데, 이 조작 수단(138, 148)은 상기 회전 저항 변경 장치 및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30, 140)에 의해 구성된다.
한 가지 예로 든 방식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상기 전자 제어 유닛(300)에 의해 개시되고 제어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300)은, 일례로, 차량의 전자 ECU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외부 컴퓨터(315)에 의해 개시되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컴퓨터는 링크(320)를 거쳐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3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임의의 적절한 방식에 의해, 일례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전자 제어 유닛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외부 컴퓨터(315)와 전자 제어 유닛(300) 간의 통신은 일부를 무선으로 하거나 혹은 전체를 무선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한 가지 방식에 따르면, 링크(335)를 거쳐서 통신 단말기(3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컴퓨터(315)도 마찬가지로 링크(336)를 거쳐서 통신 단말기(3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제어 유닛과 협동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기(330)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된 정보, 일례로 구동 상황 특징들과 조향감 파라미터들의 현재 상태를 받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그 정보를 표시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조향감, 즉 조향 휠 감각을 변경시키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 방법은 차량의 전자 제어 유닛(300), 일례로 ECU(electronic engine control unit)에서 이 제어 유닛에 의한 조향감 설정 요청을 담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데이터 신호(IDS)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계인 s410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요청된 설정은 조작자, 즉 운전자마다 다른 개별적인 요구들에도 기초하는데, 이 요구는 그 당시에 구체적으로 소망하는 조향감 설정이거나 혹은 사전에 결정된 것일 수 있다. s410 단계에 이어 s415 단계가 이어진다.
s415 단계는, 제어 유닛에서, 현재의 조향감 설정을 요청된 조향감 설정과 비교하는 것이다. 현재의 조향감 설정이 소망하는 조향감 설정에 일치하면, 본 발명 방법은 종료되어서 새로운 요청을 담은 새로운 입력 데이터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부터 받기 전까지는 그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
s415 단계에서 현재의 조향감 설정과 요청된 조향감 설정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면, 후속하는 s420 단계가 실행된다.
s420 단계에서, 전자 제어 유닛(300)은 요청된 조향감에 대응하는 조향감으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회전 저항 변경 장치 및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30, 140)용의 조작 수단으로 보낸다. 그 후, 본 발명의 방법이 종료되고, 전자 제어 유닛(300)이 새로운 요청을 담은 새로운 입력 신호를 받기 전까지는 그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
새로운 신호들은 상기 제어 유닛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간헐적이고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조작자의 소망에 따른 요청이 있게 되어도 새로운 입력 신호가 제공된다. 또한, 새로운 입력 신호는 일례로 구동 상황의 변경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기도 하는데, 이는 조향감을 구동 상황의 변경에 부합되도록 하는 요청이다.
도 5는 전자 제어 유닛(300)의 일 실시예의 다이어그램을 보이고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을 이 설명 부분에서는 "상기 장치"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상기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520), 데이터 처리 장치(510), 그리고 읽기/쓰기 메모리(550)를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520)는, 상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일례로 작동 시스템을 저장한 제1 메모리 요소(5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버스 제어 유닛, 직렬 통신 포트, I/O 수단, A/D 컨버터, 시간 및 일자 제공 및 전송 유닛, 이벤트 카운터, 그리고 방해 제어 유닛(interruption control unit)(미도시)도 포함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520)는 제2 메모리 요소(540)도 구비한다.
컴퓨터 프로그램(P)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향감, 즉 조향 휠 감각을 변경시키는 루틴을 포함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별도의 메모리(560) 및/또는 읽기/쓰기 메모리(550)에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나 혹은 압축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60)는, 일례로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또는 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메모리(550, 560)와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품화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51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고 함은, 데이터 처리 유닛(510)이 별도의 메모리(5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 혹은 읽기/쓰기 메모리(5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510)는 데이터 버스(515)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 포트(599)와 통신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520)는 데이터 버스(512)를 거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510)와 통신하게 구성되어 있다. 별도의 메모리(560)는 데이터 버스(511)를 거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510)와 통신하게 구성되어 있다. 읽기/쓰기 메모리(550)는 데이터 버스(514)를 거쳐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510)와 통신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감 변경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는 ECU의 메모리(550, 560)에 저장된다. 상기 ECU의 메모리(550, 560)에는 입력 데이터도 저장되며, 그 입력 데이터는 장치(130, 140)를 위한 설정 상태로서 사용되어서, 현재의 구동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회전 저항 변경 장치 및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30, 140)를 위한 조작 수단에 작용하는 출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데이터, 일례로 입력 데이터 신호(IDS)가 담고 있는 데이터는 데이터 포트(599)가 일례로 각 변경 수단으로부터 받게 되고, 그 데이터는 제2 메모리 요소(540)에 임시 저장된다. 수신된 입력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면, 데이터 처리 장치(5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드 실행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510)는 조향감을 요청된 대로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의 여러 부분들은 별도의 메모리(560) 또는 읽기/쓰기 메모리(5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510)에 의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면,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의 여러 부분들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태양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전자 제어 유닛 또는 이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된 또 다른 컴퓨터가 도 4에 특정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독취 가능 수단(computer-readable mea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감을 변경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독취 가능 매체에도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의 조향감을 변경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일례로 차량용의 밀폐된 전자 제어 유닛 또는 차량 외부 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터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설명 내용에 실제로 충분하게 나타내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그리고 차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서 많은 실질적인 장점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향감, 즉 조향 휠 감각을 변경시키기 위한 융통성이 크고 정확한 기술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작자, 즉 차량 운전자가 변경 수단, 일례로 푸시 버튼 등과 같은 것을 가지고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를 바라는 대로 자유롭게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향감의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에 대한 설정 명령을 내리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조향감이 현재의 구동 상황에 사전 결정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맞추어지고, 구동 상황에 대한 정보가 차량의 내부 제어 시스템의 센서들로부터 제어 유닛으로 공급되거나 혹은 조작자에 의해 지시될 수 있으며, 조향감 설정을 일례로 차량 제작자의 경험에 비추어서, 혹은 조작자 등의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를 설정하는 장치는 전기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나온 신호로 제어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향 칼럼은 상호 관절 연결된 칼럼 요소(117, 118)들을 구비한 관절 연결된 구성이고,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키는 장치(130, 140)는 조향 휠에 가장 근접한 조향 칼럼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조향감을 자동 혹은 수동으로 변경시키는 데 있어 유리한 몇 가지 예시적인 상황들은 다음과 같다.
- 오늘날의 트럭의 전방 차축에 있는 하부 스프링 장치(down-springing)로 인해 많은 피드백이 필요하고 조향 각도의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강성 제동 조종.
- 일례로, 당해 차량의 전방에 있는 차량들을 검출하고 그 차량과의 상호 이격 거리를 감시하는 적응성 순항 제어에 의한, 예측 가능 강성 제동 조종.
- 회피 조종(일례로, 예측 가능 회피 조종).
- 자동차 도로 주행, 고속도로 주행, 도심 교통 정체와, 그에 대한 조종.
- 안티스키드(antiskid) 시스템이 결합된 경우.
- 일례로 공기 서스펜션 제어 시스템에 의해 검출된 노면이 열악한(결함 있는) 경우.
- 일례로 외기 온도가 -5℃에서 +4℃의 범위에 있음이 검출된 경우에, 노면이 미끄럽거나 노면에서 미끌리는 위험이 있는 경우.

Claims (30)

  1. 조향 휠과 조향 장치의 서보 장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전달시키는 조향 칼럼을 포함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조향감 설정 요청을 담고 있는 입력 신호를 받는 단계와,
    - 상기 단계에서 요청된 조향감 설정을 현재의 조향감 설정과 비교하여, 그 요청된 조향감 설정이 현재의 조향감 설정과 일치하면, 새로운 조향감 설정 요청 신호를 받기 전까지 현재의 조향감 설정을 유지하는 단계와,
    - 상기 요청된 조향감 설정이 현재의 조향감 설정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 운동과 관련된 상기 조향 칼럼(115)의 회전 저항을 브레이크 장치(131)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변경시키는 것과, 상기 회전 운동과 관련된 상기 조향 칼럼(115)의 관성 모멘트를, 회전 운동을 전달받는 장치(140)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변경시키는 것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감 설정 요청은, 상기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를 설정하는 조작 장치(138, 148)에 대해 작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139, 149)을 거쳐서 조작자에 의해서, 또는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를 설정하는 조작 수단(138, 148)에 대해 작용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300)에 의한 요청에 따라서 행해지고,
    상기 새로운 조향감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제어 유닛에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가지고 간헐적이고 연속적으로 제공되며, 조작자의 소망에 따른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새로운 조향감 설정 요청 신호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향 칼럼의 회전 저항을 변경시키는 것은 마찰 발생 방식의 브레이크 장치(13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조향 칼럼의 회전 저항을 변경시키는 것은 자기유변성 댐퍼 장치 방식의 브레이크 장치(13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4.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향 칼럼의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키는 것은, 관성 모멘트가 추의 재분포에 의해 변경되도록 구성된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1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조향 칼럼의 관성 모멘트를 변경시키는 것은, 조향 칼럼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는 상기 관성 모멘트 변경 장치의 회전 축선(215)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 요소(210)가 움직임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300)에 의한 조향감 설정 요청은 자동적이고 미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한 조향감 설정 요청은 현재의 구동 상황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한 변경은 조작자의 개별적인 소망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항 및 관성 모멘트의 변경은, 조향 휠에 최근접하고 직접 연결된 조향 칼럼 요소(117)에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17018674A 2009-02-10 2010-01-26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KR101323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950067-9 2009-02-10
SE0950067A SE533473C2 (sv) 2009-02-10 2009-02-10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ordonsstyrning, datorprogram, dator jämte fordon
PCT/SE2010/050068 WO2010093309A1 (en) 2009-02-10 2010-01-26 Method and arrangement for steering of a vehicle, computer program, computer and a vehic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286A Division KR101577371B1 (ko) 2009-02-10 2010-01-26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장치, 조향감을 변경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109A KR20110104109A (ko) 2011-09-21
KR101323336B1 true KR101323336B1 (ko) 2013-10-30

Family

ID=425619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286A KR101577371B1 (ko) 2009-02-10 2010-01-26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장치, 조향감을 변경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및 차량
KR1020117018674A KR101323336B1 (ko) 2009-02-10 2010-01-26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286A KR101577371B1 (ko) 2009-02-10 2010-01-26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장치, 조향감을 변경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및 차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58950B2 (ko)
EP (1) EP2396212B1 (ko)
JP (1) JP5661650B2 (ko)
KR (2) KR101577371B1 (ko)
CN (1) CN102317139A (ko)
BR (1) BRPI1004344A2 (ko)
RU (1) RU2490155C2 (ko)
SE (1) SE533473C2 (ko)
WO (1) WO2010093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105A (ko) * 2016-03-25 2017-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0179A1 (de) * 2001-04-24 2002-10-31 Merck Patent Gmbh Farbige Pigmente
SE534469C2 (sv) * 2010-01-11 2011-09-06 Scania Cv Ab Anordning för aktiv styrning av ett lastfordon och styrinrättning med sådan anordning
JP6258639B2 (ja) * 2013-09-04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回避支援装置及び衝突回避支援方法
CN104608820B (zh) * 2015-02-02 2017-01-04 合肥工业大学 一种汽车转向减振器最佳阻尼工作特性的标定方法
USD773071S1 (en) * 2015-05-22 2016-11-29 Sony Corporation Cell sorter
US9937952B2 (en) * 2015-05-26 2018-04-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s and vehicle systems for restricting rotation of a vehicle steering system
DE102017200600B3 (de) 2017-01-17 2018-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Kraftfahrzeugs während des Fahrzeugbetriebs
US20190375446A1 (en) * 2018-06-07 2019-1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eering wheel alignment and motion control
CN108974114A (zh) * 2018-06-25 2018-12-11 刘志坤 一种车辆转向传动装置
CN109436082A (zh) * 2018-10-29 2019-03-08 安徽得力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431A (en) 1996-06-06 1998-05-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power steering system
JP2003175849A (ja) 2001-12-12 2003-06-24 Koyo Seiko Co Ltd 車両の操舵装置
WO2006123839A1 (ja) 2005-05-20 2006-11-23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2007030703A (ja) 2005-07-27 2007-02-08 Toyota Motor Corp 操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1974U (ko) * 1986-02-14 1987-08-20
US4771846A (en) * 1986-09-22 1988-09-20 Trw Inc. Apparatus for establishing steering feel
JPS63110164U (ko) * 1987-01-12 1988-07-15
JPS6441474U (ko) * 1987-04-15 1989-03-13
JPS6411883U (ko) * 1987-07-14 1989-01-23
JPH01262254A (ja) * 1988-04-13 1989-10-19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738169B2 (ja) * 1991-06-14 1998-04-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舵取り装置
JP2003034255A (ja) * 2001-05-18 2003-02-04 Koyo Seiko Co Ltd 電動式動力舵取装置
US6910699B2 (en) * 2003-05-30 2005-06-28 Deere & Company Magnetorheological fluid brake and force-feedback system for a steering mechanism
JP2005029013A (ja) * 2003-07-14 2005-02-03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6899196B2 (en) * 2003-10-16 2005-05-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river interface system for steer-by-wire system
JP2005324774A (ja) * 2004-04-12 2005-11-24 Toyota Motor Corp ダンピングフォース発生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0599279B1 (ko) * 2004-05-10 2006-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
US7823708B2 (en) * 2005-11-02 2010-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gnetorheological damping device for reduction or elimination of vibration in steering systems
DE102006060514A1 (de) * 2006-12-21 2008-06-26 Daimler Ag Bedien- und Anzeigesystem für ein Niveauregelungssystem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für einen Reisebus oder ein Nutz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431A (en) 1996-06-06 1998-05-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power steering system
JP2003175849A (ja) 2001-12-12 2003-06-24 Koyo Seiko Co Ltd 車両の操舵装置
WO2006123839A1 (ja) 2005-05-20 2006-11-23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JP2007030703A (ja) 2005-07-27 2007-02-08 Toyota Motor Corp 操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105A (ko) * 2016-03-25 2017-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72101B1 (ko) * 2016-03-25 2023-08-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309A1 (en) 2010-08-19
JP5661650B2 (ja) 2015-01-28
EP2396212A4 (en) 2013-08-07
SE533473C2 (sv) 2010-10-05
US8958950B2 (en) 2015-02-17
BRPI1004344A2 (pt) 2018-02-06
KR101577371B1 (ko) 2015-12-14
RU2011137455A (ru) 2013-03-20
KR20110104109A (ko) 2011-09-21
CN102317139A (zh) 2012-01-11
US20110276228A1 (en) 2011-11-10
EP2396212B1 (en) 2014-06-25
JP2012517374A (ja) 2012-08-02
SE0950067A1 (sv) 2010-08-11
RU2490155C2 (ru) 2013-08-20
KR20130098442A (ko) 2013-09-04
EP2396212A1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336B1 (ko) 차량의 조향 장치에서의 조향감을 변경시키는 방법
KR101786542B1 (ko)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JP446163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操舵特性設定装置およびその設定方法
CN107000782B (zh) 转向装置以及用于控制转向装置的方法
CN110745178A (zh) 线控转向反馈扭矩
JP2000072023A (ja) 自動車用かじ取りシステム
JP2020083261A (ja) 操舵判定装置及び自動運転システム
CN107472352A (zh) 方向盘控制
CN109415086B (zh) 进出弯道时具有不同阻尼的线控转向系统
US2020019868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eer-by-wire steering system in a motor vehicle and steer-by-wire steering system
JP2021502923A (ja) 車両の少なくとも1つの車両コンポーネントを検査する方法
US1148540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eer-by-wire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limiter for reaching a safety level
EP3283187A1 (en) Steering stabilizing system with automatic parameter download for a model vehicle
CN113242827B (zh) 用于确定线控转向系统的转向感的方法
CN112601691B (zh) 线控转向式机动车辆转向系统的转向齿条力优化的转向感
CN115092185A (zh) 自动驾驶车辆的动态避障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JP4147854B2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6882400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および自動運転制御方法
KR101911480B1 (ko) 운전자 조종력 피드백 방식의 차량 시뮬레이터 조향 장치
KR101280080B1 (ko) 차량의 상태에 따라 가변 기어비를 적용하는 방법 및 능동 조향 장치
TWI727685B (zh) 高爾夫球車線控驅動系統
WO2024069691A1 (ja) 自動車
CN116476915A (zh) 线控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存储介质
CN118103279A (zh) 用于控制车辆的电动转向装置以及车辆、特别是机动车辆
CN114572301A (zh) 无扭矩传感器的基于动态交通工具模型的辅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