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669B1 -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669B1
KR101322669B1 KR1020087012175A KR20087012175A KR101322669B1 KR 101322669 B1 KR101322669 B1 KR 101322669B1 KR 1020087012175 A KR1020087012175 A KR 1020087012175A KR 20087012175 A KR20087012175 A KR 20087012175A KR 101322669 B1 KR101322669 B1 KR 10132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tic converter
exhaust gas
storage
regenerat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881A (ko
Inventor
프리데만 로르
루츠 마르크 루비슈
마르쿠스 쾨겔
율리안네 클루게
울리히 괴벨
Original Assignee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6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71Regulation of absorbents or adsorbents, e.g.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120 내지 250℃ 범위의 낮은 배기 가스 온도에서 비교적 장시간 동안 작동되는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는 상기 온도에서의 불완전 재생시 저장 용량이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촉매 변환기의 원래 저장 용량을 재수립하기 위해, 2-스테이지 재생이 제안되며, 여기서 저장 촉매는, 우선, 희박 모드로부터 풍부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낮은 배기 가스 온도에서 부분적으로 재생되며, 후속적으로 역시 풍부 배기 가스를 사용하여 완전 재생을 위해 엔진의 배기 가스 온도를 300 내지 400℃ 범위로 상승시킨다.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 디젤 엔진, 2-스테이지 재생, 저장 용량.

Description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작동방법 {Method for operating a nitrogen oxide storage catalyst in a diesel engine}
본 발명은 디젤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 배치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젤 엔진은 고도의 초화학양론적 공기/연료 혼합물로 작동된다. 이들의 배기 가스는 상응하는 높은 비율의 산소 약 3 내지 15용적%를 함유한다. 디젤 엔진은 오염물로서 질소 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 및 수트(soot)를 방출한다. 디젤 엔진의 질소 산화물 방출은 가솔린 엔진에 비해 낮지만, 법적 방출 한계치를 충족시키려면 배기 가스 후처리에 의해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추가로 더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디젤 배기 가스의 높은 산소 함량으로 인해, 디젤 배기 가스 속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은 화학양론적으로 작동하는 스파크-점화 엔진의 경우에서와 같이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를 동시에 산화시켜 질소를 형성하는 쓰리-웨이(three-way) 촉매 변환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환원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의 희박(lean) 배기 가스로부터 질소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소위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때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는 희박 배기 가스 속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질산염 형태로 저장한다.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작동 모드는 SAE 문헌 SAE 950809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는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 불활성 벌집형 바디, 일명 캐리어 바디(carrier body) 상의 피복물의 형태로 통상 도포되는 촉매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촉매 물질은 질소 산화물 저장 물질 및 촉매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상기 질소 산화물 저장 물질은 고분산 형태의 지지체 물질 상에 침착된 실제 질소 산화물 저장 성분으로 구성된다. 저장 성분으로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의 염기성 산화물이 주로 사용되지만, 특히 산화바륨이 사용되며, 이는 상응하는 질산염을 형성하기 위해 이산화질소와 반응한다.
촉매 활성 성분으로서, 통상 백금족 귀금속이 사용되며, 통상 이는 지지체 물질 상의 저장 성분과 함께 침착된다. 지지체 물질로서, 활성 고표면적 산화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촉매 활성 성분은 또한, 예를 들면, 활성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별도의 지지체 물질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촉매 활성 성분들의 과제는 희박 배기 가스 속의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를 이산화탄소 및 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촉매 활성 성분들은 또한 일산화질소의 산화를 촉매하여 이산화질소를 형성시키며, 이는 염기성 저장 물질들과 반응하여 질산염을 형성시킨다[저장 상(storage phase) 또는 희박 작동). 일산화 질소는 상기 저장 물질들과 함께 질산염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일산화질소는 엔진의 작동 조건에 따라 65 내지 95%의 비율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에 함유된다.
질소 산화물의 상기 저장 물질로의 축적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물질의 잔여 저장 용량이 감소되며, 따라서 상기 저장 물질은 때때로 재생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엔진은 풍부(rich) 공기/연료 혼합물[소위 재생 상(regeneration phase) 또는 풍부 작동)로 단시간 작동된다. 풍부 배기 가스 중의 환원 조건하에 질산염을 분해시켜 질소 산화물(NOx)을 형성하고, 이를 환원제로서 일산화질소, 수소 및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환원시켜 질소를 형성시키면서 물 및 이산화탄소를 형성시킨다.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작동 동안, 상기 저장 상과 재생 상은 규칙적으로 교대된다.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농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저장 상은 통상 1 내지 10분 유지되는 반면, 재생 상은 심지어 20초 미만으로 종결된다. 저장 상으로부터 재생 상으로의 최적 전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질소 산화물 센서를 저장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농도가 이미 정의된 한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 촉매 변환기의 재생이 개시된다. 상기 한계치는 통상 30 내지 100용적pp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용적pp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현재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작업 범위는 약 150 내지 500℃이다. 150℃ 미만에서는, 온도가 감소되면서 일산화질소의 이산화질소로의 산화 속도가 감소하고 촉매 변환기에서 고체상 반응이 느려짐으로 인해 질소 산화물이 더 이상 효율적으로 저장되지 않는다. 500℃ 초과시, 질산염으로서 저장된 질소 산화물은 더 이상 안정하지 않으며 질소 산화물로서 배기 가스 속으로 방출된다.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최적 작동 범위는 약 300 내지 400℃의 범위이다. 이는 희박 배기 가스에서 질소 산화물의 저장 뿐만 아니라 풍부 배기 가스에서 저장 촉매 변환기의 재생에도 적용된다.
디젤 배기 가스의 한 가지 특이점은 온도가 낮다는 점이다. 디젤 엔진의 부분 부하(part-load) 작동시, 배기 가스 온도는 통상 120 내지 250℃이다. 완전 부하시에만 경우에 따라 500℃까지 상승한다. 그러므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가 도시 주행시 장기 작동 상 동안 120 내지 250℃인 경우가 흔하다. 이 경우, 저장 촉매 변환기의 임박한 재생이 완전하게 수행되지 않고 오히려 특정 비율의 질소 산화물이 저장 촉매 변환기에 잔류함을 주목한다. 질소 산화물에 대한 저장 촉매 변환기의 저장 용량이 감소된다.
저장 용량 감소는 자연스럽게 저장 상 단축으로 유도된다. 재생 및 희박 작동으로의 전환 후, 후속 재생의 개시를 위한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산화질소 농도의 한계치 초과는 완전 재생된 저장 촉매 변환기에 비해 훨씬 신속하다.
저장 촉매 변환기를 증가된 배기 가스 온도에서 가능한 한 완전히 재생시키기 위해 재생 개시 전에 배기 가스 온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온도가 증가하는 동안, 전환될 수 없는 질소 산화물이 일찍 방출된다. 또한, 저장 상 동안, 질소 산화물이 열 탈착된 결과로서 짧은 승온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산화질소 방출이 관찰 된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방출은 수득 가능한 질소 산화물 전환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지 않은 질소 산화물 방출을 크게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젤 엔진 상의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에서,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는 저장 상과 재생 상이 교대로 작동하며, 저장 상에서 상기 촉매 변환기는 희박 공기/연료 혼합물로 엔진을 작동하는 동안 배기 가스 속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저장하고, 재생 상에서 상기 촉매 변환기는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질소 산화물 농도가 한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 풍부 공기/연료 혼합물로 엔진을 작동시킴으로써 재생된다. 상기 방법은 120 내지 250℃의 배기 가스 온도에서의 작동 상 동안 저장 촉매 변환기는 배기 가스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배기 가스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재생하고, 때때로, 이러한 재생 직후, 제2 재생 단계에서, 저장 촉매 변환기를 완전히 재생시키기 위해 배기 가스 온도를 300 내지 400℃의 범위로 추가로 상승시켜서 단단하게 결합된 질산염을 탈착 및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질소 산화물이 일찍 방출되지 않으면서 낮은 배기 가스 온도에서 작동되는 저장 촉매 변환기를 완전히 재생시키는 과제는 2-스테이지 재생이 때때로 수행된다는 점에서 해결된다. 이러한 재생의 제1 스테이지는 엔진이 희박 모드로부터 풍부 모드로 전환되면서 배기 가스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통상적인 재생에 상응한다. 상기 재생 단계 동안, 느슨하게 결합된 질소 산화물이 탈착 및 전환된다. 단단하게 결합된 질소 산화물 역시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통상적인 재생 단계 후, 배기 가스 온도를 상응하는 엔진 처리(engine measures)에 의해 300 내지 400℃의 범위로 상승시키면서 배기 가스는 동일한 수준의 풍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배기 가스 온도에서, 단단하게 결합된 질소 산화물 역시 촉매 변환기에서 탈착 및 전환된다. 이어서, 상기 엔진은 희박 모드로 다시 전환된다.
2-스테이지 재생은 재생시마다 수행될 필요는 없다. 2-스테이지 재생은 3회 내지 10회의 통상적인 재생 후 1회 개시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는, 희박 상의 기간은 낮은 배기 가스 온도에서의 불완전 재생의 결과로 저장 용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젤 엔진은 상기 저장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 배기 가스의 질소 산화물 농도가 소정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희박 모드로부터 풍부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희박 상의 기간을 단축시키면서 저장 용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저장 상의 기간을 위한 수치가 소정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2-스테이지 재생이 개시된다. 2-스테이지 재생의 개시를 위한 저장 상 기간 동안의 소정 값은 완전 재생된 저장 촉매 변환기에 대한 저장 상 기간의 4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계식 재생은 질소 산화물이 갑자기 집중적으로 탈착하지 않으면서 낮은 배기 가스 온도에서 장기간의 상을 거친 후 저장 촉매 변환기를 완전히 재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근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온도에서 저장 촉매 변환기에 NO를 부하한 후 NO가 완전 제거될 때까지 저장 촉매 변환기로부터의 열 탈착 측정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상이한 온도에서 저장 촉매 변환기에 NO를 부하한 후 NO가 50% 제거될 때까지 저장 촉매 변환기로부터의 열 탈착 측정치를 도시한다.
도 3은 175℃에서 부하 후 NO가 완전 제거될 때까지와 50% 제거될 때까지의 각각의 경우 저장 촉매 변환기로부터의 열 탈착 측정치를 비교 도시한다.
도 4는 200℃에서 부하 후 NO가 완전 제거될 때까지와 50% 제거될 때까지의 각각의 경우 저장 촉매 변환기로부터의 열 탈착 측정치를 비교 도시한다.
도 1 내지 4는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 상에 일산화질소 농도가 350ppm인 모델 배기 가스로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촉매 변환기에 질소 산화물을 부하한 후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일련의 열 탈착 곡선을 도시한다. 상기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는 질소 산화물 및 산화알루미늄의 저장을 위해 산화 바륨을 함유하며, 이는 백금 및 로듐으로 활성화되어, 희박 상(저장 상) 동안, 일산화질소를 산화시켜 이산화질소를 형성하고, 재생 상 동안, 방출된 질소 산화물을 환원시킨다.
촉매 변환기의 부하는 상이한 배기 가스 온도(흡착 온도)에서 수행된다. 표에 열거된 배기 가스 성분을 갖는 모델 가스는 엔진의 희박 작동과 풍부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배기 가스로서 작용한다.
상기 촉매 변환기는 처음에는 550℃에서 30분의 기간 동안 50,000h-1의 공간 속도(GHSV)에서 풍부 배기 가스 속에서 컨디셔닝되었다. 이어서, 희박 배기 가스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촉매 변환기가 냉각된다. 목적하는 흡착 온도에 도달한 후, NO 350용적ppm을 희박 배기 가스에 공급하였다. 각각의 부하 공정 개시시,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 측정 가능한 일산화질소의 농도는 촉매 변환기의 우수한 저장 용량으로 인해 실제적으로 0이었다. 부하가 증가됨에 따라,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질소 산화물 농도는 서서히 상승하였다. 촉매 변환기에 공급된 NO 농도의 50% 및 100%가 각각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 측정될 때까지 부하를 계속하였다.
이어서, 촉매 변환기를 희박 조건하에 각각의 경우 100℃의 탈착도 측정을 위한 개시 온도로 냉각시켰다. 질소 산화물의 탈착도, 즉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질소 산화물 농도는 모델 가스 온도의 함수로서 희박 조건하에 측정하며, 이는 이러한 목적으로 10℃/min의 속도로 상승하였다.
Figure 112008036110788-pct00001
일련의 제1 시험에서,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농도가 입력 농도(100%)와 동일해질 때까지 계속 부하하였다. 상기 상태는 질소 산화물로 포화될 때까지 촉매 변환기의 완전 부하에 상응한다.
측정된 탈착 곡선은 도 1에 도시하였다. 온도 증가에 따른 저장 용량 증가는 대략 300℃의 온도에서 최대치에 도달(곡선 d)한 다음, 열 탈착의 결과로서 다시 감소(곡선 e, 배기 가스 온도 350℃)한다는 것은 탈착 최대치의 높이로부터 알 수 있다.
일련의 제2 시험에서,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질소 산화물 농도가 입력 농도의 50%에 도달한 후 부하를 종결하였다. 관련된 탈착 곡선은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측정은, 원칙적으로, 저장 용량이 온도에 동일하게 의존함을 보여준다.
도 3 및 도 4에서, 각각 175℃(도 3, 곡선 a 및 곡선 f 측정) 및 200℃(도 4, 곡선 b 및 곡선 g 측정)의 부하 온도에서 도 1 및 도 2의 곡선을 서로 비교한다.
도 3 및 도 4는 탈착 곡선의 흥미로운 특성을 나타낸다. 이의 오른쪽 측면은 부하 동안의 배기 가스 온도와 무관한 반면, 탈착 개시(탈착 곡선의 왼쪽 측면)는 촉매 변환기의 단지 부분적 부하 하에 보다 고온으로 이동한다.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의 보다 높은 부하에서, 저장된 질소 산화물의 대부분이 매우 느슨하게 결합하며 200 내지 300℃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이미 열 탈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탈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느슨하게 결합된 비율은 풍부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배기 가스의 온도 증가 없이 초기에 재생된다. 그 후에야 배기 가스 온도가 증가하며, 질소 산화물의 보다 단단하게 결합된 부분도 재생된다.

Claims (4)

  1.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를 저장 상(storage phase)과 재생 상(regeneration phase)으로 교대로 작동시키며, 상기 저장 상에서 상기 촉매 변환기는 희박 공기/연료 혼합물로 상기 엔진을 작동하는 동안 상기 배기 가스 속에 함유된 질소 산화물을 저장하고, 상기 재생 상에서 상기 촉매 변환기는 상기 촉매 변환기의 다운스트림에서의 질소 산화물 농도가 한계치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 풍부 공기/연료 혼합물로 상기 엔진을 작동시킴으로써 재생되는 방법으로서,
    120 내지 250℃의 배기 가스 온도에서의 상기 재생 상 동안, 상기 저장 촉매 변환기는 상기 배기 가스 온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배기 가스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재생되고, 때때로, 이러한 재생 직후, 제2 재생 단계에서, 상기 저장 촉매 변환기를 완전히 재생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 가스 온도를 300 내지 400℃의 범위로 추가로 상승시켜서 단단하게 결합된 질산염을 탈착 및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를 저장 상과 재생 상으로 교대로 작동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단계가 3회 내지 10회의 재생 후 1회 개시되는 방식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를 저장 상과 재생 상으로 교대로 작동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상의 기간이 소정 값 미만으로 짧아지는 경우 상기 제2 재생 단계가 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를 저장 상과 재생 상으로 교대로 작동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단계를 개시하기 위한 상기 저장 상 기간에 대한 상기 소정 값이 완전히 재생된 저장 촉매 변환기에 대한 상기 저장 상 기간의 40 내지 70%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 변환기를 저장 상과 재생 상으로 교대로 작동시키는 방법.
KR1020087012175A 2005-10-21 2006-10-19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작동방법 KR101322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0517.1 2005-10-21
DE102005050517A DE102005050517A1 (de) 2005-10-21 2005-10-21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ickoxid-Speicherkatalysators an einem Dieselmotor
PCT/EP2006/010109 WO2007045482A1 (de) 2005-10-21 2006-10-19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tickoxid-speicherkatalysators an einem diesel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881A KR20080064881A (ko) 2008-07-09
KR101322669B1 true KR101322669B1 (ko) 2013-10-30

Family

ID=3767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175A KR101322669B1 (ko) 2005-10-21 2006-10-19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70577B2 (ko)
EP (1) EP1941134B1 (ko)
JP (1) JP5006882B2 (ko)
KR (1) KR101322669B1 (ko)
CN (1) CN101321935B (ko)
AT (1) ATE438024T1 (ko)
DE (2) DE102005050517A1 (ko)
RU (1) RU2412361C2 (ko)
WO (1) WO2007045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1285B2 (ja) * 2013-08-26 2016-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GB2538961B (en) * 2015-06-01 2017-10-11 Ford Global Tech Llc A method of adaptively controlling purging of a lean NOx trap
DE102016005968A1 (de) * 2016-05-13 2017-11-16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r Stickoxid-Speicherfähigkeit eines Katalysators eines Fahrzeugs
CN114837783B (zh) * 2021-06-18 2023-09-2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对lnt状态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851A (ja) * 1993-10-18 1995-06-2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124B2 (ja) * 1994-01-27 1999-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0538914B1 (ko) * 1997-04-09 2005-12-27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질소산화물 저장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E19843871B4 (de) * 1998-09-25 2005-05-04 Robert Bosch Gmbh Diagnose eines NOx-Speicherkatalysators mit nachgeschaltetem NOx-Sensor
DE19923498A1 (de) * 1999-05-21 2000-11-23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Regeneration eines NOx-Speicherkatalysators
JP2002188435A (ja) * 2000-10-12 2002-07-05 Toyota Motor Corp 排ガス浄化フィルタ
DE10103771A1 (de) * 2001-01-27 2002-08-14 Omg Ag & Co Kg Verfahren zur Wiederherstellung der katalytischen Aktivität eines Katalysators, welcher im Abgastrakt eines Dieselmotors angeordnet ist und wenigstens eine Oxidationsfunktion aufweist
ATE421375T1 (de) * 2002-07-31 2009-02-15 Umicore Ag & Co Kg Verfahren zur regenerierung eines stickoxid- speicherkatalysators
JP4289033B2 (ja) * 2003-06-13 2009-07-0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DE10361286B4 (de) * 2003-12-24 2013-09-19 Daimler Ag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s Stickoxid-Speicherkatalysators
KR100821793B1 (ko) * 2005-12-12 2008-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Ox 흡장촉매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851A (ja) * 1993-10-18 1995-06-2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0577B2 (en) 2010-03-02
JP5006882B2 (ja) 2012-08-22
ATE438024T1 (de) 2009-08-15
CN101321935B (zh) 2010-06-09
DE102005050517A1 (de) 2007-04-26
RU2008119690A (ru) 2009-11-27
EP1941134A1 (de) 2008-07-09
EP1941134B1 (de) 2009-07-29
US20090297415A1 (en) 2009-12-03
CN101321935A (zh) 2008-12-10
JP2009512805A (ja) 2009-03-26
KR20080064881A (ko) 2008-07-09
DE502006004407D1 (de) 2009-09-10
WO2007045482A1 (de) 2007-04-26
RU2412361C2 (ru) 2011-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217B1 (ko)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재생방법
JP6683680B2 (ja) 窒素酸化物還元用触媒
US81814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exhaust gas aftertreatment
JP5415481B2 (ja) 内燃機関の希薄排ガスから窒素酸化物およびカーボンブラック粒子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
CN201513221U (zh) 用在稀燃发动机中的后处理系统
JP2010516948A (ja) リーンエンジンの排ガス装置内のすすフィルタを再生する方法及びこのための排ガス装置
EP2094951A1 (en) Apparatus comprising lean burn ic engine and an exhaust system therefor
KR20160003125A (ko) Nox 저장 촉매의 탈황
JP2003536011A (ja) NOxトラップを包含するディーゼル排気機構
KR101322669B1 (ko) 디젤 엔진에서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작동방법
Millet et al. Synthetic gas bench study of a 4-way catalytic converter: Catalytic oxidation, NOx storage/reduction and impact of soot loading and regeneration
KR20140025677A (ko) Doc 재생주기 결정방법
CN113027571B (zh) 用于再激活排气后处理部件的方法和驱动设备
JPH10212933A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KR101226896B1 (ko) 질소 산화물 저장 촉매의 재생방법
JP4874093B2 (ja) 二酸化窒素の分解方法
JP2007113497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11441464B2 (en) Use of ozone with LNT and MnO2 catalyst for the treatment of residual pollutant for the exhaust gas of an internal engine combustion
US11686236B1 (en) Device for the reduction of ammonia and nitrogen oxides emissions
JP3896223B2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JPH11190210A (ja) 排ガス浄化制御装置
JP2006037790A (ja) ガスヒートポンプの排ガス浄化装置及び排ガス浄化方法
JPH10225637A (ja) ガス中の有害物質を減少するための触媒
RU2009101974A (ru)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яемой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регенерации термически состаренных накопительных каталитических нейтрализаторов оксидов азота 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ах с двигателем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работающим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на обедненных смес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