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494B1 -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 Google Patents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94B1
KR101322494B1 KR1020120031039A KR20120031039A KR101322494B1 KR 101322494 B1 KR101322494 B1 KR 101322494B1 KR 1020120031039 A KR1020120031039 A KR 1020120031039A KR 20120031039 A KR20120031039 A KR 20120031039A KR 101322494 B1 KR101322494 B1 KR 10132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ashing
conveyor
water
wa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363A (ko
Inventor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4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공정 중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세척 후 박스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한 후에 건조공정을 수행하여 건조공정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박스(B)가 이송되는 세척용 컨베이어(110) 및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B)를 세척시키는 세척수 공급수단(120)을 갖는 세척부(100)와; 상기 박스(B)가 세척되어 나오는 곳인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선으로 기울어져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B)의 모서리 부분이 부딪히면서 1차로 물기를 제거시켜 줌과 더불어 상기 세척된 박스(B)를 반회전(180°)시켜 주는 물기제거용 경사판(200)과;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의해 1차 물기가 제거된 상기 박스(B)의 상면이 반회전(180°)되어 바닥면에 부딪혀 2차로 물기를 제거시켜 줌과 더불어 이송시키는 제 1컨베이어(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Box washer with which the moisture removal means are equipped}
본 발명은 세척공정 중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세척 후 박스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한 후에 건조공정을 수행하여 건조공정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 부품, 식료품 또는 농수산물 등의 보관이나 운반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박스의 경우 수납되는 제품에서 떨어지는 흙 등의 이물질이 묻기 때문에 일정 사용회수마다 세척을 해주어야 하며, 이때 이용되는 것이 박스세척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박스세척기를 나타낸 공정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박스세척기의 공정 중 세척공정을 수행하는 세척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박스세척기는 그 구성이 크게 세척부(10)와 건조부(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세척부(10)는 세척용 컨베이어(11) 및 그 세척용 컨베이어(11)의 상·하부에 각각 세척노즐들이 구비된 세척공급관(12)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세척용 컨베이어(11)는 중앙 부분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 체인 타입의 컨베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세척공급관(12)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공급관(12)을 세척용 컨베이어(11)의 하부에도 설치하는 이유는 강하게 분사되는 세척수가 박스(B)의 수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 및 바닥면에도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함이다.
이 때문에, 세척부(10)에서 이송되는 박스들은 수납공간이 지면 쪽에 위치되게 즉, 엎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건조부(20)는 세척부(10)로부터 세척된 박스(B)들이 유입되어 이송되는 건조용 컨베이어(21), 건조용 컨베이어(21)의 상부에 설치되는 건조용 송풍팬(22)으로 이루어져 있어, 건조용 송풍팬(22)을 통해 전달되는 바람에 의해 세척된 박스(B)의 건조가 수행되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박스세척기는 세척부(10)에서 세척된 박스(B)에는 세척수가 다량 묻어 있기 때문에 건조부(20)에서 건조 수행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공정 중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세척 후 박스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한 후에 건조공정을 수행하여 건조공정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는, 박스가 이송되는 세척용 컨베이어 및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를 세척시키는 세척수 공급수단을 갖는 세척부와; 상기 박스가 세척되어 나오는 곳인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의 모서리 부분이 부딪히면서 1차로 물기가 제거됨과 더불어 상기 세척된 박스가 반회전(180°)되도록 사선으로 기울어진 물기제거용 경사판과;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에 의해 반회전되는 상기 박스의 바닥면이 부딪혀 2차로 물기가 제거됨과 더불어 이송시키는 제 1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지면의 기울기와 예각을 갖게 기울어진 중계이송 컨베이어이고, 상기 중계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2차로 물기가 제거된 박스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건조용 컨베이어 및 상기 건조용 컨베이어의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된 박스를 건조시키는 송풍팬을 갖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에는,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 쪽에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선단이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의 하면 일측에 힌지연결되는 회동대와; 상측이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의 하면 타측에 연결되고, 하측이 바닥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에는, 상기 세척부의 세척용 컨베이어와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의 상측 테두리면이 접촉 시 완충되면서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으로 낙하되게 안내하는 보조완충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완충부는, 상기 세척된 박스의 상측 테두리면이 접촉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세척공정 중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세척 후 박스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한 후에 건조공정을 수행하여 건조공정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박스세척기를 나타낸 공정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박스세척기의 공정 중 세척공정을 수행하는 세척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를 나타낸 공정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공정 및 건조공정의 수행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를 나타낸 공정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공정 및 건조공정의 수행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는 크게 세척부(100), 물기제거용 경사판(200), 제 1컨베이어(300) 및 건조부(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세척부(100)는 박스(B)가 이송되는 세척용 컨베이어(110) 및 세척용 컨베이어(110) 부근에 설치되어 박스(B)를 세척시키는 세척수 공급수단(120)을 갖는다.
여기서, 세척수 공급수단(12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세척공정을 최소 두 개의 공정으로 분류하고, 한쪽의 공정에서는 상측에만 설치되어 박스(B)의 하면만 세척하고, 나머지 한쪽의 공정에서는 하측에만 설치되어 박스(B)의 내부면을 세척하는 등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위치시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공급수단(120)이 하측에 위치할 경우 세척이 용이하도록 세척용 컨베이어(110)는 중앙 부분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 체인 타입의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은 박스(B)가 세척되어 나오는 곳인 세척용 컨베이어(1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선으로 기울어져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된 박스(B)의 모서리 부분이 부딪히면서 1차로 물기가 제거되게 유도함과 더불어 세척된 박스(B)가 반회전(180°)되게 안내하여 주는 부재이다.
여기서,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기울기 정도는 세척용 컨베이어(110)의 기울기와 둔각을 갖는 정도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경우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된 박스(B)가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기울기에 의해 원활하게 반회전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때,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으로 낙하되는 세척된 박스(B)의 모서리 부분이 그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부딪히기 때문에 동적 충격이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어 파손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된 박스(B) 쪽에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완충부(600)를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설치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설치되는 완충부(600)의 세부구성은 선단이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하면 일측에 힌지연결되는 회동대(610)와, 상측이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하면 타측에 연결되고, 하측이 바닥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620)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낙하되는 세척된 박스(B)의 모서리 부분이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동적 충격이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흡수되고, 그 흡수되는 동적 충격 중 일부가 탄성스프링(620)을 탄성 압착시키는데 소모됨으로써, 낙하로 인해 박스(B)에 전달되는 동적 충격을 최소화시켜 준다.
이와 더불어, 세척부(100)의 세척용 컨베이어(110)와 물기제거용 경사판(200) 사이에도 보조완충부(700)를 설치하여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세척된 박스(B)의 상측 테두리면이 접촉 시 완충되면서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으로 낙하됨으로써, 자유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동적 충격의 세기를 감소시켜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보조완충부(700)의 세부구성은 세척된 박스(B)의 상측 테두리면이 접촉되는 지지롤러(710)와, 지지롤러(7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720)와, 지지대(720)의 하측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7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컨베이어(300)는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의해 반회전 되는 박스(B)의 바닥면이 부딪혀 2차로 물기를 제거시켜 줌과 더불어 후술되는 건조부(400)로 이송되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제 1컨베이어(300)는 지면의 기울기와 예각을 갖게 기울어진 중계이송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박스(B)는 후술되는 건조부(400)로 이송된다.
상기 건조부(400)는 2차로 물기가 제거된 박스(B)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건조용 컨베이어(410) 및 건조용 컨베이어(410)의 부근에 설치되어 세척된 박스(B)를 건조시키는 송풍팬(420)을 갖아 건조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를 이용하여 박스(B)를 세척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세척부(100)의 세척용 컨베이어(110) 상에서 이송되는 박스(B)는 엎어진 상태로 이송되는데 이는, 박스(B)의 수납공간인 내부면의 세척 시 그 세척되는 세척수가 바로 흐르게 하기 위함이며, 세척수 공급수단(120)을 통해 세척된 박스(B)는 물기제거용 경사판(200) 쪽으로 자유낙하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자유낙하되는 박스(B)는 상측 테두리면이 보조완충부(700)에 접촉됨으로써, 보조완충부(700)가 동적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면서 탄성압착 된다.
이로 인해, 자유낙하로 인해 발생되는 동적 충격의 세기가 감소된 박스(B)는 사선으로 기울어진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모서리 부분이 부딪히면서 그 충격에 의해 1차로 물기를 제거된다.
이때, 낙하되는 박스(B)의 모서리 부분이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동적 충격이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흡수되고, 그 흡수되는 동적 충격 중 일부가 완충부(600)에 흡수되고, 그 흡수된 동적 충격으로 인해 완충부(600)가 설치된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낙하로 인해 박스(B)에 전달되는 동적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유도한다.
또한, 박스(B)는 사선으로 기울어진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의해 반회전(180°)되면서 제 1컨베이어(300)인 중계이송 컨베이어로 이송되고, 그 이송되는 박스(B)는 건조부(400) 쪽으로 이송된다.
도 6을 참조하여, 건조부(400)는 박스(B)에 잔존하는 세척수인 잔류 세척수를 건조수단인 송풍팬(420)을 이용하여 송풍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박스(B)의 세척과정을 완료한다.
100 : 세척부 110 : 세척용 컨베이어
120 : 세척수 공급수단 200 : 물기 제거용 경사판
300 : 제 1컨베이어 400 : 건조부
410 : 건조용 컨베이어 420 : 송풍팬
600 : 완충부 610 : 회동대
620,730 : 탄성스프링 700 : 보조완충부
710 : 지지롤러 720 : 지지대

Claims (6)

  1. 박스(B)가 이송되는 세척용 컨베이어(110) 및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B)를 세척시키는 세척수 공급수단(120)을 갖는 세척부(100)와;
    상기 박스(B)가 세척되어 나오는 곳인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B)의 모서리 부분이 부딪히면서 1차로 물기가 제거됨과 더불어 상기 세척된 박스(B)가 반회전(180°)되도록 사선으로 기울어진 물기제거용 경사판(200)과;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의해 반회전되는 상기 박스(B)의 바닥면이 부딪혀 2차로 물기가 제거됨과 더불어 이송시키는 제 1컨베이어(300)과;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B) 쪽에 완충기능을 제공하는 완충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600)는, 선단이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하면 일측에 힌지연결되는 회동대(610)와; 상측이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의 하면 타측에 연결되고, 하측이 바닥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6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300)는 지면의 기울기와 예각을 갖게 기울어진 중계이송 컨베이어이고,
    상기 중계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2차로 물기가 제거된 박스(B)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건조용 컨베이어(410) 및 상기 건조용 컨베이어(410)의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된 박스(B)를 건조시키는 송풍팬(420)을 갖는 건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100)의 세척용 컨베이어(110)와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용 컨베이어(110)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세척된 박스(B)의 상측 테두리면이 접촉 시 완충되면서 상기 물기제거용 경사판(200)으로 낙하되게 안내하는 보조완충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완충부(700)는, 상기 세척된 박스(B)의 상측 테두리면이 접촉되는 지지롤러(710)와;
    상기 지지롤러(7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720)와;
    상기 지지대(720)의 하측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7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KR1020120031039A 2012-03-27 2012-03-27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KR10132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39A KR101322494B1 (ko) 2012-03-27 2012-03-27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039A KR101322494B1 (ko) 2012-03-27 2012-03-27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63A KR20130109363A (ko) 2013-10-08
KR101322494B1 true KR101322494B1 (ko) 2013-10-28

Family

ID=4963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039A KR101322494B1 (ko) 2012-03-27 2012-03-27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3768B (zh) * 2018-10-29 2021-07-13 杭州方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制剂制造器械的清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293U (ko) * 1985-12-25 1987-07-10
JPH0448951U (ko) * 1990-08-28 1992-04-24
JPH0715636U (ja) * 1993-08-25 1995-03-17 株式会社共進牧場 プラスチックケースの反転装置
KR20120012192A (ko) * 2010-07-30 2012-02-09 (주)진공플랜트 연속 박스 세척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8293U (ko) * 1985-12-25 1987-07-10
JPH0448951U (ko) * 1990-08-28 1992-04-24
JPH0715636U (ja) * 1993-08-25 1995-03-17 株式会社共進牧場 プラスチックケースの反転装置
KR20120012192A (ko) * 2010-07-30 2012-02-09 (주)진공플랜트 연속 박스 세척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63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494B1 (ko) 물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박스세척기
KR20150009178A (ko) 용기용 먼지 제거장치
CN104550117A (zh) 软磁铁氧体超声波清洗机
CN207645167U (zh) 一种谷物提升机
CN105314174A (zh) 一种食品包装用清洁设备
CN204384241U (zh) 下料装置
KR20120026931A (ko) 과일세척장치
KR20090105233A (ko) 컨베이어벨트의 세척장치
CN209406956U (zh) 一种用于扒鸡生产的安全型清洗烘干设备
CN206981245U (zh) 果实分捡净化前处理设备
KR101344338B1 (ko)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JP2007333233A (ja) 除水機
CN211108743U (zh) 一种计算机主机的防震动运输装置
CN209489458U (zh) 一种精细洗菜气泡清洗机
CN211569463U (zh) 一种花生输送装置
CN102745175A (zh) 一种汽车自动清洗装置
CN208863855U (zh) 一种防止磕碰的家具防护罩
JP2018202359A (ja) 物流容器の洗浄方法
KR101183215B1 (ko) 트레이 세척부가 마련된 농산물 선별장치
CN218126305U (zh) 一种清理设备
NL2015323B1 (en) A crate washing device having lateral guiding means and a method.
KR200157384Y1 (ko) 세척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과일 선별기용 컨베이어
CN204737312U (zh) 一种石料输送装置
FI112166B (fi) Tarjottimien pesukone
CN207741522U (zh) 一种豆芽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