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232B1 -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232B1
KR101322232B1 KR1020110025717A KR20110025717A KR101322232B1 KR 101322232 B1 KR101322232 B1 KR 101322232B1 KR 1020110025717 A KR1020110025717 A KR 1020110025717A KR 20110025717 A KR20110025717 A KR 20110025717A KR 101322232 B1 KR101322232 B1 KR 101322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extract
seaweed
composition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139A (ko
Inventor
김창무
배은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2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2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3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plant or animal materials of unknown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항산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효능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발휘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에 따라, 자유 라디칼, 특히 활성산소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질환 및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분야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Antioxidation Comprising Extract of Agarum Clathratum}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일본, 한국이 특산이며 한국에서는 서해안의 백령도에서 동해안 끝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해조류의 경우 자유 라디칼과 다른 과산화물을 생성할 수 있는 빛과 고농도 산소에 노출되어 있어서 엽록체막 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광역학적 손상을 받기 쉽게 되어있다. 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산소와 엽록체막의 불포화지방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조류에서 이런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은 해조류 내에 항산화적 기작과 항산화 성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Matsukawa, R. et al., J. Appl . Phycol ., 9:29, 1997).
사람 몸의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는 활성산소라는 화학적인 입자가 부수적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활성산소 들은 끊임없이 몸의 구성 세포들을 공격해 손상을 입히는데 이것을 산화라고 한다. 활성산소에 의한 손상들은 인체의 자연 치유력에 의해 회복되지만, 회복능력 이상의 손상들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될 경우 일생을 통하여 만성적으로 유해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유해 작용은 세포나 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키며 질병 및 노화의 원인이 된다.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은 하나 이상의 짝을 이루지 못한 전자를 가지고 있는 분자로서 다른 분자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안정화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유 라디칼은 수명이 수천 분의 일초 정도로 짧아 매우 불안정하고 공격적이며 강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으로, 그 종류로는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 radical),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및 과산화수소(H2O2)와 지질과 산화에 따라 발생하는 알콕실 라디칼(alkoxyl radical) 등이 있는데 이들은 생체에 치명적인 산소독성을 일으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즉, 이들 활성 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서 노화는 물론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 심장질환,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 질환, 염증, 류마티스 및 자기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유 라디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체내에는 일련의 산화 보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보호 시스템으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레이즈제(catalase) 등의 효소와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vitamin E), 베타-카로틴(β-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e C) 및 클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최근 항산화제와 관련된 연구는 식품공업, 발효공업 및 의약산업 분야, 농업 분야 등 다방면의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경제 산업적 측면에서 매우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항산화제가 독성 및 사용상의 한계로 인하여 활성물질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강한 활성을 지닌 신규한 천연 항산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해조류-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의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해조류-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구멍쇠미역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의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은 일본의 훗카이도, 쿠릴 열도, 아메리카 태평양연안, 베링 해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 중부 이북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뿌리는 가는 섬유상이며, 줄기는 원주상 내지 편원형이다. 길이는 약 2-3 ㎝, 지름은 3-4 ㎜, 엽상부는 타원형, 길이는 30-60 ㎜, 폭은 20-30 ㎝, 기부는 심장형이며 파상으로 주름이 생긴다. 엽면에는 대소의 구멍이 있는데 중륵에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은 크고 가장자리 가까운 곳의 것과 하부의 것은 작다. 중륵은 다소 두껍고 잎의 양면에 융기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구멍쇠미역 추출물’은 구멍쇠미역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엽면, 중륵, 줄기 및 뿌리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멍쇠미역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구멍쇠미역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구멍쇠미역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구멍쇠미역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구멍쇠미역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메탄올을 구멍쇠미역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앙한 물질에 포함된 자유 라디칼(free redical)에 대한 소거능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태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의 양이온 라디칼(radical)을 제거하는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DPPH(2,2-diphenyl-1- picrylhydrazyl)의 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Fe(Ⅲ)을 Fe(Ⅱ)로 환원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작용에 의하여 단일쇄(single strand) 또는 이중쇄(double strand) 뉴클레오타이드가 파괴(breakage)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멍쇠미역을 메탄올에 침지하여 믹서기로 마쇄하고 24-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구멍쇠미역을 Whatman No.4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메탄올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또는 바이러스로부터 분리(seperated)된 DNA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DNA 보존용 조성물이다. 상기 DNA는 단일쇄(single strand) 또는 이중쇄(double strand) 뉴클레오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a)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식품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구멍쇠미역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항산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에서의 구멍쇠미역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를 소거하는 효능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발휘하는 특징을 가진다.
(ⅲ)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에 따라, 자유 라디칼, 특히 활성산소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질환 및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분야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 활성에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험 재료 및 방법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의 추출물 제조
구멍쇠미역(국립생물자원관, 대한민국)의 건조 중량을 측정한 후, 메탄올에 침지하여 믹서기로 마쇄하고 24-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구멍쇠미역을 Whatman No.4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메탄올을 감압 농축하여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표 1). 그 다음,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용기에 넣어 냉장 보관하였다.
구분 채취량(dry weight, g) 추출물 량(g)
1 19.74 2.69
ABTS(2,2'- azino - bis (3- ethylbenzthiazoline -6- sulphonic acid ) 라디칼 양이온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는 항산화제에 의해 ABTS 라디칼(Sigma-aldrich, A3219)이 무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구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 Sigma-Aldrich, B1253), 천연 항산화제인 카페익산(caffeic acid; Sigma-Aldrich, 60018)과 토코페롤의 유도체인 트롤록스(trolox; Sigma-Aldrich, 238813)를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ABTS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3차 증류수에 7 mM의 농도로 ABTS를 놓인 용액에 포타슘 퍼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2.45 mM의 농도로 첨가하여 잘 용해시킨 후, 12시간 실온조건의 암실에서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190 ㎕ ABTS 용액에 10 ㎕ 샘플 또는 양성대조구를 넣고 7분간 반응시킨 후, UV-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2,2- diphenyl -1- picrylhydrazyl ) 라디칼 소거 활성
중앙에 질소를 갖는 합성된 DPPH(Sigma-aldrich, 257621)는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프리라디칼로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 전자를 내어주면서 라디칼이 소멸되고 색이 변하는 특성이 있다. 양성 대조구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 천연 항산화제인 카페익산(caffeic acid)과 토코페롤의 유도체인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분석을 위해 DPPH 시약을 에탄올에 6.3 ㎎/50 ㎖의 농도로 녹여 DPPH 용액을 제조하였다. 90 ㎕ DPPH 용액에 10 ㎕ 샘플 또는 양성대조구를 넣은 후, 10분간 반응시킨 후 UV-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 ( reducing power activity ) 측정
Fe(Ⅲ)을 Fe(Ⅱ)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항산화활성 평가법으로 프로톤 공여에 의한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700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이 클수록 환원력이 높은 항산화 화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 대조구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butylated hydroxyanisol), 천연 항산화제인 카페익산(caffeic acid)과 토코페롤의 유도체인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환원력 측정을 위해 50 ㎕ 포스페이트 버퍼(0.2M, pH 6.6), 50 ㎕ 포타슘 페리시아니드(1% potassium ferricyanide; Sigma-Aldrich, 702587), 샘플 또는 양성대조구 20 ㎕를 혼합한 후 50℃에서 20분간 반응 후, 50 ㎕ TCA(trichloroacetic acid, 10%; Sigma-Aldrich, T9159)를 넣고 3,000 x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100 ㎕ 원심분리 상층액, 100 ㎕ 3차 증류수, 20 ㎕ 페릭 클로라이드(ferric chloride 0.1%; Sigma-Aldrich, 702587)를 넣고 UV-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NA 단일쇄 파괴( breakage ) 저해활성
포함된 반응계에서 철은 펜톤(Fenton) 반응을 촉매하여 강력한 산화제인 하이드로록시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그러므로 펜톤 반응을 저해하는 화합물은 하이드로록시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으며, 또는 반응성이 큰 철을 킬레이션하여 펜톤 반응이 진행되지 못하게 한다. 펜톤 반응 저해 활성은 철과 과산화수소 존재 하에서 DNA 단일쇄 파괴(single strand breakage: SSB) 방법을 이용하였다. 시료의 양은 0.5 ㎎/㎖ 농도로 사용하였다.
6 ㎕ Tris-HCl 버퍼(10mM), 4 ㎕ FeSO4(0.25mM), 4 ㎕ H2O2(1mM), 4 ㎕ DNA(pBR322의 supercoilded DNA; Roche 사) 및 2 ㎕ 샘플을 혼합하여 25℃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0 ㎕ 스탑 솔루션(4 M 유레아, 50% 수크로우스, 50 mM EDTA 및 0.1% 브로모페놀 블루)을 넣어 반응을 멈추게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10 ㎕ 샘플과 2 ㎕ 로딩 스타(5:1)를 잘 섞어준 뒤 전기영동을 통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멍쇠미역은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 활성에 있어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A 및 트롤록스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분 ABTS (%)
(1 ㎎/㎖)
DPPH (%)
(1 ㎎/㎖)
환원력
(5 ㎎/㎖)
구멍쇠미역
( Agarum clathratum )
6 14 0.58
BHA 70 68 1.74
Trolox 70 71 1.81
또한, 구멍쇠 추출물의 DNA 단일쇄 파괴 저해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전반적으로 DNA 단일쇄 파괴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구멍쇠미역을 메탄올에 침지하여 믹서기로 마쇄하고 24-48시간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구멍쇠미역을 Whatman No.4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고, 메탄올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된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또는 바이러스로부터 분리(seperated)된 DNA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DNA 보존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NA는 단일쇄(single strand) 또는 이중쇄(double strand) 뉴클레오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또는 바이러스로부터 분리(seperated)된 DNA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DNA 보존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25717A 2011-03-23 2011-03-23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22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17A KR101322232B1 (ko) 2011-03-23 2011-03-23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17A KR101322232B1 (ko) 2011-03-23 2011-03-23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39A KR20120108139A (ko) 2012-10-05
KR101322232B1 true KR101322232B1 (ko) 2013-10-28

Family

ID=4727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17A KR101322232B1 (ko) 2011-03-23 2011-03-23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2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208B1 (ko) 2005-06-15 2007-07-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역 포자엽에서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물질과 분리 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208B1 (ko) 2005-06-15 2007-07-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역 포자엽에서 분리한 신규한 항산화 물질과 분리 정제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5권, 제8호, 1097-1101쪽 (2006)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5권, 제8호, 1097-1101쪽 (2006)*
한국영양식량학회지, 제23권, 제6호, 959-963쪽 (199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39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ild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inn. var. abbreviata Ser.) in Taiwan
Fernández-Agulló et al. Influence of solvent on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walnut (Juglans regia L.) green husk extracts
Chedea et al. Resveratrol: from diet to topical usage
Masella et al. Protocatechuic acid and human disease prevention: biological activities and molecular mechanisms
Oke et al. Protective effect of two edible mushrooms against oxidative cell damage and their phenolic composition
Pal et al.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ild edible mushroom, Pleurotus squarrosulus (Mont.) Singer
Abbès et al.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date syrup
Abd El-Baky et al. Characterization of nutraceutical compounds in blue green alga Spirulina maxima
Ahmed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and simultaneous HPLC-DAD profiling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Moringa oleifera Lam. leaves grown in Bangladesh
KR101332803B1 (ko) 계피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298042B1 (ko)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Abou-Elella et al.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s well as in vitro cytotoxic activities of extracts of Anastatica hierochuntica (Kaff Maryam) against HeLa cell lines
Conde et al. Extrac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plant foods
Kesraoui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e and bound phenolic compounds from Posidonia oceanica (l.) Delile leaves
KR20180116052A (ko) 유산균 발효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당뇨 조성물
KR101244752B1 (ko) 피부 미백, 노화 방지, 항산화 및 항균성 화장료 조성물
Khan et al. Radish (Raphanus Sativus): Potential antioxidant role of bioactive compounds extracted from radish leaves-A review
KR101718190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7492B1 (ko) 폴리페놀산화효소를 이용한 갈산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 조성물
KR20070023845A (ko) 백과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232B1 (ko)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iran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ity of seeds of Psoralea corylifolia L
WO2008066370A1 (en) Nephelium lappaceum extracts for cosmeceutical and nutraceutical applications
BR112021003857A2 (pt) extrato botânico para cuidados com a pele
KR20150141028A (ko) 항산화물질 함유 칼라꼬마감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