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117B1 - 고기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117B1
KR101322117B1 KR1020110139115A KR20110139115A KR101322117B1 KR 101322117 B1 KR101322117 B1 KR 101322117B1 KR 1020110139115 A KR1020110139115 A KR 1020110139115A KR 20110139115 A KR20110139115 A KR 20110139115A KR 101322117 B1 KR101322117 B1 KR 10132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meat
pair
ove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732A (ko
Inventor
이완규
Original Assignee
이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규 filed Critical 이완규
Priority to KR1020110139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1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고기를 구울 때 화덕내의 열원(熱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火力)의 세기 또는 고기가 익혀지는 정도에 맞추어 구이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고기의 익힘정도를 최적(最適)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고기 구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4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 사이의 상부에는 장착판이 결합된 본체부와; 내부에 숯불이나 히터 등의 열원(熱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상의 장착판상에 탑재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화덕과; 상기 화덕의 양측단 바깥쪽으로부터 화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제자리 회전되는 한 쌍의 리드스크류와;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체인에 의하여 서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휠과; 상기 한 쌍의 체인휠중 어느 한 쪽의 체인휠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해당 체인휠에 직접 회전력을 부여하는 핸들과;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핸들의 조작에 따라 체인휠과 결합된 리드스크류가 회전될 때 리드스크류의 중심쪽으로 이동되거나 리드스크류의 전후 양단쪽으로 이동되면서 승강(昇降)되어 화덕의 상부면에 대한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승강부재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굽고자 하는 고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화덕내에 수용된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에 의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고기 구이장치{APPARATUS FOR ROASTING MEAT}
본 발명은 고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를 구울 때 화덕내의 열원(熱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火力)의 세기 또는 고기가 익혀지는 정도에 맞추어 구이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고기의 익힘정도를 최적(最適)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이 윤택해지고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면서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각종 고기류 및 생선류의 섭취량이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육류의 조리방법 또한 탕이나 찜 같은 전통적인 방법으로부터 탈피하여 불에 구워 익혀 먹는 방법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한편, 각종 고기류를 불에 구워 익혀 먹는 방식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38638호와 같이, 숯불 같은 열원이 수용된 화덕의 상부에 구이판을 올려 놓고, 상기 구이판상에 굽고자 하는 고기류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화력을 이용하여 고기류를 익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고기 구이방식에서는 화력이 과도하게 세거나 구이판이 과도하게 달구어진 경우 고기의 내부가 익지 않은 상태에서 겉부분만 과도하게 타는 현상이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고기를 굽는 중간에 화력을 빈번하게 조절하거나 구이판을 자주 교체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야외에서 고기를 구워 조리하는 경우 상기한 화덕내 열원에 대한 화력조절이 쉽지 않기 때문에 고기를 최적의 상태로 굽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기를 구울 때 화덕내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의 세기 또는 고기가 익혀지는 정도에 맞추어 구이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한 새로운 고기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기의 익힘정도를 최적(最適)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고기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4개의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 사이의 상부에는 장착판이 결합된 본체부와; 내부에 숯불이나 히터 등의 열원(熱源)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상의 장착판상에 탑재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화덕과; 상기 화덕의 양측단 바깥쪽으로부터 화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제자리 회전되는 한 쌍의 리드스크류와;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체인에 의하여 서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휠과; 상기 한 쌍의 체인휠중 어느 한 쪽의 체인휠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해당 체인휠에 직접 회전력을 부여하는 핸들과;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핸들의 조작에 따라 체인휠과 결합된 리드스크류가 회전될 때 리드스크류의 중심쪽으로 이동되거나 리드스크류의 전후 양단쪽으로 이동되면서 승강(昇降)되어 화덕의 상부면에 대한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승강부재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굽고자 하는 고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화덕내에 수용된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에 의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부재는 4개로 이루어진 작동편이 마름모꼴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 작동편의 양단이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방향중심선과 동일 중심선상에 놓여지는 선단과 후단의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리드스크류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라 리드스크류의 중심쪽 또는 전후 양단쪽으로 직선이동되는 이동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방향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아랫쪽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는 장착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장착봉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이 고정·결합되는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의 길이방향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윗쪽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의 윗부분에는 구이판이 결합되는 한 쌍의 구이판탑재부가 고정·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구이판탑재부중 어느 한 쪽의 구이판탑재부에는 구이판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치봉이 끼워지는 거치봉끼움홈이 형성되고, 반대쪽 구이판탑재부에는 구이판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치봉이 얹혀지도록 하는 거치봉안착홈이 형성되어 구이판이 구이판탑재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덕의 전면 하부에는 굽고자 하는 고기나 각종 채소류 또는 양념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선반이 돌출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고기를 구울 때 화덕내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의 세기 또는 고기가 익혀지는 정도에 맞추어 구이판을 적절한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서 고기가 타지 않게 되며, 고기의 익힘정도를 최적(最適)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기 구이장치(10)에서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4개의 지지대(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12) 사이의 상부에는 장착판(14)이 결합된 본체부(16)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16)의 창착판(14)상에는 내부에 숯불이나 히터 등의 열원(熱源:18a)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의 화덕(18)이 탑재되며, 상기 화덕(18)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통기공(2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덕(18)의 양측단 바깥쪽으로부터 화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외력의 인가에 따라 제자리 회전되는 한 쌍의 리드스크류(22)가 가로질러 설치되는데, 상기 리드스크류(22)의 외주면의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22a)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22)의 선단부에는 체인(24)에 의하여 서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휠(26)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체인휠(26)중 어느 한 쪽의 체인휠의 전면에는 해당 체인휠에 직접 회전력을 부여하는 핸들(28)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22)에는 핸들(28)의 조작에 따라 체인휠(26)과 결합된 리드스크류(22)가 회전될 때 리드스크류(22)의 중심쪽으로 이동되거나 리드스크류(22)의 전후 양단쪽으로 이동되면서 승강(昇降)되어 화덕(18)의 상부면에 대한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30)가 결합된다.
또, 상기 한 쌍의 승강부재(30) 사이에는 굽고자 하는 고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화덕(18)내에 수용된 열원(18a)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에 의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32)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부재(30)는 4개로 이루어진 작동편(30a)이 마름모꼴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 작동편(30a)의 양단이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리드스크류(22)의 길이방향중심선과 동일 중심선상에 놓여지는 선단과 후단의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2)에 나사결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리드스크류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라 리드스크류의 중심쪽 또는 전후 양단쪽으로 직선이동되는 이동나사부(30b)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리드스크류(22)의 길이방향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아랫쪽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는 장착판(14)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장착봉(3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36)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22)의 길이방향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윗쪽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의 윗부분에는 구이판(32)이 결합되는 한 쌍의 구이판탑재부(38)가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구이판탑재부(38)중 어느 한 쪽의 구이판탑재부에는 구이판(3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치봉(32a)이 끼워지는 거치봉끼움홈(38a)이 형성되고, 반대쪽 구이판탑재부에는 구이판(32)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치봉(32a)이 얹혀지도록 하는 거치봉안착홈(38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이판(32)은 구이판탑재부(38)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덕(18)의 전면 하부에는 굽고자 하는 고기나 각종 채소류 또는 양념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선반(40)이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12)의 하단에는 바퀴(42)를 설치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고기를 굽고자 하는 경우 화덕(18)의 내부에 숯불 등의 열원(18a)을 담아 상기 열원(18a)으로부터 발생된 화력이 화덕(18)의 개방된 상부면의 윗쪽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이판(32)상에 굽고자 하는 고기 또는 채소 등을 얼려 놓으면 화덕(18)내의 열원(18a)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에 의하여 고기나 채소류가 익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열원(18a)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이 너무 세어 고기가 과도하게 구워지거나 탈 우려가 있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체인휠(26)의 전면에 설치된 핸들(28)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그 작용힘에 의하여 체인(24)으로 연결된 양쪽의 체인휠(26)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각각의 체인휠(26)에 고정결합된 리드스크류(22)가 제자리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리드스크류(22)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나사결합된 승강부재(30)상의 이동나사부(30b)가 리드스크류(22)의 나사부(22a)를 따라 리드스크류의 중심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승강부재(30)를 구성하는 작동편(30a)이 힌지결합부의 절첩작용에 의하여 리드스크류(22)의 중심쪽으로 모아지게 되고, 그 결과 승강부재상(30)의 구이판탑재부(38)에 결합된 구이판(32)이 화덕(18)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일정 높이 만큼 상승됨에 따라 고기나 채소가 과도하게 익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28)을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드스크류(22)가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제자리 회전되고, 상기 승강부재(30)상의 이동나사부(30b)는 리드스크류(22)의 전단과 후단쪽으로 이동되면서 작동편(30a)이 벌어지게 되며, ㄱ그 결과 승강부재(30)상의 구이판탑재부(38)에 결합된 구이판(32)은 아랫쪽으로 하강되면서 화덕(18)의 상부면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20)을 통하여 화덕(18)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열원(18a)이 꺼지거나 화력이 약해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화덕(18)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 선반(40)에 굽고자 하는 고기나 채소 또는 양념용기를 미리 배치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지지대(12)의 하단에 바퀴(42)가 설치되는 경우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한편, 고기를 굽고난 후 구이판(32)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구이판(32)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측 구이판탑재부(38)상의 거치봉안착홈(38b)에 얹혀진 거치봉(32a)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당기면 반대쪽의 거치봉이 반대쪽 구이판탑재부(38)상의 거치봉끼움홈(38a)에 끼워진 거치봉이 빠지면서 구이판(32)이 결합상태로부터 분리된다.
12 : 지지대 14 : 장착판
16 : 본체부 18 : 화덕
22 : 리드스크류 22a : 나사부
24 : 체인 26 : 체인휠
28 : 핸들 30 : 승강부재
30a : 작동편 30b : 이동나사부
32 : 구이판 32a : 거치봉
38 : 구이판탑재부 38a : 거치봉끼움홈
38b : 거치봉안착홈 40 : 선반
42 : 바퀴.

Claims (4)

  1. 수직으로 세워지는 4개의 지지대(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12) 사이의 상부에는 장착판(14)이 결합된 본체부(16)와;
    내부에 숯불이나 히터 등의 열원(熱源:18a)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막혀 있는 함체(函體)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6)상의 장착판(14)상에 탑재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통기공(20)이 형성된 화덕(18)과;
    상기 화덕(18)의 양측단 바깥쪽으로부터 화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외주면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나사부(22a)가 형성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제자리 회전되는 한 쌍의 리드스크류(22)와;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22)의 선단부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체인(24)에 의하여 서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휠(26)과;
    상기 한 쌍의 체인휠(26)중 어느 한 쪽의 체인휠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해당 체인휠에 직접 회전력을 부여하는 핸들(28)과;
    상기 각각의 리드스크류(22)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핸들(28)의 조작에 따라 체인휠(26)과 결합된 리드스크류(22)가 회전될 때 리드스크류(22)의 중심쪽으로 이동되거나 리드스크류(22)의 전후 양단쪽으로 이동되면서 승강(昇降)되어 화덕(18)의 상부면에 대한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30)와:
    상기 한 쌍의 승강부재(30)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굽고자 하는 고기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화덕(18)내에 수용된 열원(18a)으로부터 발생되는 화력에 의하여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30)는 4개로 이루어진 작동편(30a)이 마름모꼴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 작동편(30a)의 양단이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22)의 길이방향중심선과 동일 중심선상에 놓여지는 선단과 후단의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리드스크류(22)에 나사결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리드스크류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라 리드스크류의 중심쪽 또는 전후 양단쪽으로 직선이동되는 이동나사부(30b)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류(22)의 길이방향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아랫쪽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는 장착판(14)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장착봉(3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36)이 고정·결합되는 한편;
    상기 리드스크류(22)의 길이방향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윗쪽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의 윗부분에는 구이판(32)이 결합되는 한 쌍의 구이판탑재부(38)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이판탑재부(38)중 어느 한 쪽의 구이판탑재부에는 구이판(32)의 일측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치봉(32a)이 끼워지는 거치봉끼움홈(38a)이 형성되고;
    반대쪽 구이판탑재부(38)에는 구이판(32)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치봉(32a)이 얹혀지도록 하는 거치봉안착홈(38b)이 형성되어 구이판(32)이 구이판탑재부(38)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18)의 전면 하부에는 굽고자 하는 고기나 각종 채소류 또는 양념용기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선반(40)이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KR1020110139115A 2011-12-21 2011-12-21 고기 구이장치 KR101322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15A KR101322117B1 (ko) 2011-12-21 2011-12-21 고기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15A KR101322117B1 (ko) 2011-12-21 2011-12-21 고기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32A KR20130071732A (ko) 2013-07-01
KR101322117B1 true KR101322117B1 (ko) 2013-10-28

Family

ID=4898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15A KR101322117B1 (ko) 2011-12-21 2011-12-21 고기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404B1 (ko) 2017-06-09 2019-07-30 이진희 어육류 조리용 가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491814Y1 (ko) 2019-09-16 2020-06-09 김남억 승강식 고기구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48A (ko) * 2002-03-29 2002-04-17 권태균 고기 구이기의 숯불제어장치
KR20100047461A (ko) * 2008-10-29 2010-05-10 진영완 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48A (ko) * 2002-03-29 2002-04-17 권태균 고기 구이기의 숯불제어장치
KR20100047461A (ko) * 2008-10-29 2010-05-10 진영완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32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456B1 (ko)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JP7204262B2 (ja) 携帯性及び取扱性の容易な携帯用炭火焼き器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CN105072958A (zh) 烹饪设备
KR100701252B1 (ko) 고기구이테이블
KR200486690Y1 (ko) 화력 조절 기능을 갖는 숯불구이기
KR101322117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646205B1 (ko) 오븐의 기능이 구비된 장작구이기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JP3123961U (ja) 昇降装置付加熱調理器
KR20200123965A (ko) 피구이물을 뒤집어 골고루 익힘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50002469U (ko) 탄화방지용 보조구이판이 구비된 구이판
KR102007604B1 (ko)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US20150150414A1 (en) Extendable outdoor cooking grill
KR200491814Y1 (ko) 승강식 고기구이장치
KR100927370B1 (ko) 다용도 자동 승하강 구이장치
KR101719614B1 (ko) 구이용 장치
KR101156632B1 (ko) 바베큐용 오븐조리기
KR20160100482A (ko) Led조명 서랍형 구이기
KR200433973Y1 (ko) 야외용 바비큐 구이통
KR101515228B1 (ko) 바비큐 그릴
RU2779233C1 (ru) Способ терморади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110119303A (ko) 숯불구이기
CN217723279U (zh) 多功能无烟炉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