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580B1 -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580B1
KR101321580B1 KR1020100024032A KR20100024032A KR101321580B1 KR 101321580 B1 KR101321580 B1 KR 101321580B1 KR 1020100024032 A KR1020100024032 A KR 1020100024032A KR 20100024032 A KR20100024032 A KR 20100024032A KR 101321580 B1 KR101321580 B1 KR 10132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extrusion
parts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028A (ko
Inventor
이현옥
김현도
이섭주
최장현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58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압출안정성이 높은 ABS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압출용으로 사용되는 ABS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ABS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 0.05~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압출 가공 시 안정성이 부여되고 최종 성형품의 우수한 열 안정성이 요구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xtrusion st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본 발명은 열안정성 및 압출안정성이 높은 ABS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압출용으로 사용되는 ABS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등의 재료로 내충격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성형가공이 용이한 ABS 수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ABS 수지는 압출 가공이나 사출 성형 시 외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영향을 받아 분해되거나, 열에 의한 산화반응을 일으키면서 제품의 색상이 어두워지고, 표면에 긁힌 자국(Die line)이 생성된다. 더욱이 수지를 압출하여 압출 시트를 만드는 2차 가공공정이 있는 경우, 표면 불량이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또한 ABS 수지에 사용되는 그라프트 ABS 수지는 보통 유화중합으로 제조된다.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입자 직경이 보통 0.05~0.15㎛ 사이의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사용하여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 단량체에 열분해 개시제 및 레독스 개시제 등 라디칼 생성개시제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시킨다. 그런 다음 산 또는 염을 투입하여 콜로이드 상태의 라텍스를 응고하여 탈수, 건조 과정의 공정을 거쳐 미세분말의 형태로 제조한다. 이 때 투입되는 산은 황산, 초산 등이 사용되며. 탈수 건조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수지 내에 존재하게 되면서, ABS 수지 제조 시 수지의 가교화를 촉진시켜 표면에 긁힌 자국(Die line), 단단한 입자(Fish eye)등의 표면 불량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산소와 열 및 산에 의한 열화 탄화 및 가교화를 보완하기 위하여 산화방지제가 첨가되는 방안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출용 제품의 경우, 압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체류시간이 길어져 열에 의한 변색 정도가 클 뿐만 아니라, 대부분 백색의 상태로 압출됨으로 인해 가공 전후 변색에 의한 색상 변화 정도가 심해, 새로운 개선 방안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 변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ABS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열 변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트 압출용 ABS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열 변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트 압출용 ABS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열 변색도가 낮은 새로운 ABS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압출용 수지가 ABS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 0.05~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출용 ABS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압출용 수지이며, 바람직하게는 멜트 인덱스(Melt Index:MI)로 표현되는 유동성이 220 ℃, 10 kg 조건에서 1-10, 바람직하게는 2-8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ABS 수지는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평균직경이 0.25㎛이상 0.4㎛미만의 그라프트 중합입자 20~40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함유 공중합체 수지 60~80중량 %로 이루어지는 압출용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 및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 0.05~0.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균직경이 0.25㎛이상 0.4㎛미만의 그라프트 중합입자는 평균입경이 0.25 ~ 0.4㎛이고, 겔 함량이 80 ~ 95 중량%인 고무라텍스를 열교환기를 통해 50~70℃로 투여하고, 여기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레독스 개시제, 활성화제,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를 일괄 동시 투여 하여 반응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단계의 모든 첨가물이 투여 됨과 동시에 상기 반응물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로 이루어진 단량체, 하이드로 퍼옥사이드계 레독스 개시제, 유화제를 연속 투여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의 반응물을 75℃ 이상으로 유지하여 더욱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비닐시안계 함유 공중합체 수지는 시안화비닐화합물과 방향족 비닐화합물의 공중합체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괴상중합으로 제조하며, 선형, 또는 가지가 있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시안화비닐화합물 20~40 중량부, 방향족 비닐화합물 60~8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분자량이 다른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수지를 상호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압출시 수지의 유동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160,000인 SAN, 중량평균분자량이 160,000~190,000인 SA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출용 ABS 수지는 열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지된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레독스 중합된 ABS 수지에 적합하고, 2가 금속화합물에 의한 열안정성 효과가 좋은 힌더드 페놀계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1차 산화방지제로 기능하며, 상업화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옥타데실-3-(3,5-디-터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티오에스터계 화합물는 2차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를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제조 시 1,2차 산화방지제의 양은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0.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의 양이 0.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저분자량의 증가로 인하여 잔류모노머 양의 증가, 물성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되면 수지 가교화의 방지효과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은 수지의 압출가공 안정성 및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ABS 수지에 부가된다. 상기 화합물은 ABS의 최종 수지 제조 시 발생되는 잔류 가스, 화합물 등 외관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성분과의 반응을 통해, 반응성이 없거나 약한 화합물로 변화시킨다. 또한 수지 내에 남아있는 산기를 중화시켜 수지의 가교화를 방지하여 압출 가공 시 수지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가 금속화합물은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0.5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수지의 압출 가공시 안정성을 부여하기 불충분하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충격 특성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2가 금속화합물의 입도는 평균입도가 0.5~5㎛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초과 되는 입자가 없으며, 평균 입도가 1㎛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도가 5㎛를 초과할 시는 수지 성형 시 표면에 긁힌 자국 등의 표면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가 금속 화합물은 2가 금속 산화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알카리 토금속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압출용 ABS 조성물을 힌더드 페놀계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 및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 0.05~0.5 중량부와 함께 압출하여 수지의 내열변색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힌더드 페놀계 및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 및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 0.05~0.5 중량부를 포함하는 ABS 압출 시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2가 금속 산화물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 0.05~0.5 중량부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로 이루어진 열변색특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산화방지제와 함께 평균 입도가 0.5~5㎛인 2가 금속화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우수한 열안정성 및 압출 가공 시 수지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ABS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경우로도 본 발명이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
평균직경이 0.25㎛이상 0.4㎛미만의 그라프트 중합입자(a)의 제조
부타디엔 고무 65 중량부에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부와 스티렌 7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를 그라프트 유화중합하였다.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입자의 고무의 용량 평균 직경은 약 0.35㎛ 였다.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b1 )의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이 175,000이며,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6~28 중량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b1)를 제조하였다.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b2 )의 제조
중량평균 분자량이 160,000이며,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30~35 중량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b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a),(b1),(b2)의 중량 비율이 30, 20, 50 이 되도록 혼합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도가 1㎛인 산화마그네슘 0.1 중량부와 산화방지제로 옥타데실-3-(3,5-디-터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 중량부와 디라우릴티오디 프로피오네이트 0.3 중량부 및 활제를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230℃ 트윈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7ⅹ5㎝ color 시편을 만들어 color를 측정하여 열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열안정성의 관찰은 수지를 3회 연속 압출하여 초기 color와의 변색 정도를 판단하였으며, 200℃ 오븐에 펠렛을 넣은 후 2시간 후 꺼내어 color의 변색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독일 하케(Haake)사에서 제작한 토크 레오미터의 혼련장비를 이용하여, 250℃, 50rpm에서 50분 동안 혼련하면서 토크값을 관찰하여 압출 가공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수지의 용융이 이루어진 600초 에서 관찰이 끝나는 시점 중 최대 또는 최소 토크를 비교하여 토크 변화량을 구하여 압출 가공안정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지의 가교화가 진행되면 토크가 증가하며, 수지의 분해가 일어나면 토크가 감소한다. 따라서 압출 가공시 안정성이 좋은 수지는 초기 토크 값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torque = 600초의 torque 값 -(최대 토크 또는 최소 토크)
실시예 2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도를 0.5 마이크론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도를 3 마이크론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도를 5 마이크론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을 0.0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산화마그네슘 0.1 중량부 대신 산화칼슘 0.3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을 0.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이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을 0.01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을 0.7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산화마그네슘의 평균 입도를 7 마이크론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a),(b1),(b2)의 중량 비율이 30, 20, 50 이 되도록 혼합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마그네슘 대신 평균입도가 1㎛인 개질된 탈크 0.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 2 3 4 5 6 7
1회압출 color(?E) - - - - - - -
2회압출 color(?E) 0.3 0.3 0.3 0.3 0.4 0.3 0.3
3회압출 color(?E) 1.0 1.0 1.0 1.0 1.1 0.9 0.9
Haake 토크 변화값 0.6 0.6 0.6 0.6 0.7 0.5 0.5
충격(1/4inch) 26 26 26 26 26 21 19
Sheet 표면 상태 1) x x
200℃ 2시간 후 color 2)
1)표면의 상태 : ㅇ :양호, x : 긁힌 자국등이 많음, △ : 긁힌 자국이 다소 있음
2)오븐 체류 후 색 변화 관찰: ㅇ :색 변화 없음, x : 색이 노랗게 변함, △: 색이 다소 변함
비교예
1 2 3 4 5
1회압출 color(?E) - - - - -
2회압출 color(?E) 0.9 0.7 0.3 0.3 0.7
3회압출 color(?E) 1.8 1.5 0.9 1.0 1.8
Haake 토크 변화값 1.0 0.8 0.5 0.6 0.6
충격(1/4inch) 27 27 18 26 16
Sheet 표면 상태 1) x x
200℃ 2시간 후 color 2) x
표1에의 실시 예와 비교 예를 비교 분석한 결과, 2가 금속화합물을 혼합할 시 압출안정성이 좋으며, 평균입도가 1㎛인 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여 ABS 수지를 제조 할 경우, 압출 가공안정성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평균직경이 0.25㎛이상 0.4㎛미만의 그라프트 중합입자 20~40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60~80중량 %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190,000인 SAN인 압출용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평균 입도가 5㎛인 산화마그네슘 0.05~0.5 중량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압출용 ABS수지는 멜트인덱스가 220 ℃, 10 kg 조건에서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용 ABS수지는 힌더드 페놀계,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평균직경이 0.25㎛이상 0.4㎛미만의 그라프트 중합입자 20~40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60~80중량 %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190,000인 SAN이며, 멜트인덱스가 220 ℃, 10 kg 조건에서 2-8인 ABS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평균 입도가 5㎛인 산화마그네슘 0.05~0.5 중량부와 힌더드 페놀계, 티오에스터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열가소성 시트.

KR1020100024032A 2010-03-18 2010-03-18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132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32A KR101321580B1 (ko) 2010-03-18 2010-03-18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032A KR101321580B1 (ko) 2010-03-18 2010-03-18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028A KR20110105028A (ko) 2011-09-26
KR101321580B1 true KR101321580B1 (ko) 2013-10-30

Family

ID=4495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032A KR101321580B1 (ko) 2010-03-18 2010-03-18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63A (ja) * 1990-04-24 1992-01-10 Toyo Ink Mfg Co Ltd 樹脂組成物
JPH1160857A (ja) * 1997-08-18 1999-03-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ブロー成形品
KR20040057408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 및 분체 특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0760457B1 (ko) 2005-12-30 2007-10-04 제일모직주식회사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abs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363A (ja) * 1990-04-24 1992-01-10 Toyo Ink Mfg Co Ltd 樹脂組成物
JPH1160857A (ja) * 1997-08-18 1999-03-0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ブロー成形品
KR20040057408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 및 분체 특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0760457B1 (ko) 2005-12-30 2007-10-04 제일모직주식회사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abs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028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4261A (ko)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2745572A (zh) 一种耐热老化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37843B1 (ko)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20100032558A (ko) 난연성, 착색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04942B1 (ko) 투명도와 내충격 강도가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1957854B1 (ko)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056931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가공조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950013150B1 (ko) 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조성물
KR101154413B1 (ko) 가공조제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
KR101827613B1 (ko)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21580B1 (ko) 압출 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9990030804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200044570A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제조방법
KR101671297B1 (ko) 내충격성과 착색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540542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662370B1 (ko) 아크릴레이트-공액디엔-방향족비닐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20210037565A (ko)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3709B1 (ko)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55101B1 (ko) 외관 및 백색도가 우수한 높은 고무함량을 갖는 san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KR100557701B1 (ko) 저온 충격성 및 압출 안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57039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020044387A (ko)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38373A (ko) Mbs계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102419952B1 (ko)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586515B1 (ko)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