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011B1 -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011B1
KR101321011B1 KR1020110127331A KR20110127331A KR101321011B1 KR 101321011 B1 KR101321011 B1 KR 101321011B1 KR 1020110127331 A KR1020110127331 A KR 1020110127331A KR 20110127331 A KR20110127331 A KR 20110127331A KR 101321011 B1 KR101321011 B1 KR 10132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texture
skin
cell culture
stem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988A (ko
Inventor
김정아
김문주
원보미
곽택종
한종섭
장민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1012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0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결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피부결 개선 효과가 종래의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비해 현저히 우수하다.

Description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kin microrelief}
본 발명은 피부결 개선에 효과적인 유효성분, 이를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결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기관 중 연령에 대한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기관으로 이러한 연령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는 피부를 구성하는 각질층, 표피, 진피 전체에서 발생한다. 피부 표면의 형태인 피부결(skin microrelief)은 미세한 선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미세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연령별·부위별로 유의하게 다르다. 피부결은 선의 깊이에 따라 1차(약 20-100 μm), 2차(약 5-40 μm), 3차(약 0.5 μm) 라인으로 구분되며, 좋은 피부일수록 각 라인들이 그물형태의 네트워크구조를 이루며 선들이 만나서 생기는 다각형과 별 모양(star formation)이 뚜렷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 12:103-114, 1999).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또는 피부가 손상됨에 따라 촘촘하던 미세라인의 네트워크 구조가 무너져 미세 라인(2차, 3차 등)은 사라지고 1차 라인은 더욱 깊어져 주름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10: 129-138, 1984,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5:189-194, 1999). 즉,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나타나는 대표적인 징후인 주름은 이미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미세한 변화의 축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결의 개선 효과가 종래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또는 이를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결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 외에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또는 이를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결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SH-폴리펩타이드-7,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또는 이를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결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일정 시간 동안 피부에 적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종래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비하여 피부 거칠기 개선에 월등히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결을 이루는 라인들이 형성하는 3차원 네트워크구조를 개선하는바 라인들이 만나서 생기는 다각형과 별 모양(star formation)을 뚜렷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성물의 피부결 개선 효과가 피부에 적용하는 시간에 비례하여 나타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피부결(skin microrelief)"은 피부 표면의 미세한 선에 의해 형성된 3차원 미세구조를 의미한다. 탄력, 주름, 보습 등과는 별개로 피부 상태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결은 노화가 시작되기 전에 노화를 감지할 수 있는 노화의 신뢰성 있는 지표가 된다. 아울러, 피부결은 단순히 거칠고 매끄러운 피부 표면의 상태가 아닌 피부 속 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겉으로 보이는 피부 표면의 피부결은 피부 전체 구조체에서 밖으로 드러난 일부분일 뿐, 피부결이 손상되었다는 것은 피부속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결을 단순히 피부 표면의 문제가 아니라 각질층, 표피, 진피의 손상 문제로 보고, 각질층, 표피, 진피의 피부 상태를 회복하여 3차원 미세 구조인 피부결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산삼 줄기세포배양액(Panax Ginseng Meristem Cell Culture Conditioned Media)과 은행 줄기세포배양액(Ginkgo Biloba Meristem Cell Culture Conditioned Media)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식물의 형성층에서 줄기세포만을 분리,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및 은행 줄기세포배양액의 함량은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각각 0.001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 0.1 - 10 중량부이다. 0.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기대했던 것에 비해 효과가 미진하였으며, 20 중량부 초과에서는 제품 장기 안정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Geranylgeranyl Isopropanol) 성분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쥬비니티™(Juvinity™)(Sederma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쥬비니티™의 함량은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01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0.1 - 10 중량부이다. 쥬비니티™ 는 0.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부 초과에서는 첨가용량에 대한 효과의 차이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제제의 안정성이 나쁘게 되어 사용하기 어렵다.
쥬비니티™에는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외에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쥬비니티™ 내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의 함량은 약 2%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의 함량은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0002 - 0.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0.002 - 0.2 중량부이다.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은 0.00002 중량부 미만에서는 효과가 미미하며, 0.4 중량부 초과에서는 첨가용량에 대한 효과의 차이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제제의 안정성이 나쁘게 되어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SH-폴리펩타이드-7(SH-polypeptide-7)은 인간 성장 호르몬 수용체(Human Growth Hormone receptor)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로, SH-폴리펩타이드-7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hGH-SP™ (Regeron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hGH-SP™의 함량은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01 -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 0.1 - 10 중량부이다. 0.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기대했던 것에 비해 효과가 미진하였으며 20 중량부 초과에서는 제품 장기 안정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hGH-SP™에는 SH-폴리펩타이드-7 외에 레시틴, 소듐포스페이트, 소듐클로라이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및 페녹시에탄올이 포함되어 있으며, hGH-SP™ 내 SH-폴리펩타이드-7의 함량은 약 0.0017%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SH-폴리펩타이드-7의 함량은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1.7*10-8 - 0.0003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0.0000017 0.00017 중량부이다. SH-폴리펩타이드-7은 1.7*10-8 중량부 미만에서는 기대했던 것에 비해 효과가 미진하였으며, 0.00034 중량부 초과에서는 제품 장기 안정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비타민 B3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함량은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1 -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0.5 - 5 중량부이다.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 초과에서는 첨가용량에 대한 효과의 차이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자극이 우려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우레아 및 D-판테놀의 함량은 각각 전체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1 -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각각 우레아는 0.1 - 5 중량부, 및 D-판테놀은 0.1 - 4 중량부이다.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부 초과에서는 첨가용량에 대한 효과의 차이가 효율적이지 못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자극이 우려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성분으로서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이 포함된 경우(실시예 3), 종래의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아울러,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 외에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4 - 7), 상기 4가지 유효성분만을 포함한 경우에 비해 더욱 우수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으로서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SH-폴리펩타이드-7,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 7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실시예 1, 2), 가장 우수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도 1, 도 2).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적용한 시간에 비례하여 피부거칠기 파라미터 Rmax 및 Rz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적용한 시간에 비례하여 피부결 개선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은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피부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 외에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피부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SH-폴리펩타이드-7,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피부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연고제, 경고제, 스프레이제, 현탁액, 유액, 크림, 젤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료 조성물,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바디 화장료 조성물, 면도용 화장료 조성물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면도용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는 애프터셰이브 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 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젤타입 에센스로 제조하였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통상적인 제조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조성물의 성상은 서로 다른 제형의 어떠한 성상에도 적용이 용이하고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젤타입 에센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 외에 농글리세린 1 - 5 중량부, 헥실렌글라이콜 0.1 - 3 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2 중량% 수용액) 8 - 12 중량부, 에탄올 1- 5 중량부,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 - 9 중량부,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001 - 1 중량부, 트로메타민 (10 중량% 수용액) 1 -3 중량부, 향료,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 외에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이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마스크, 연고제, 또는 코팅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 외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보조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및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면서도, 피부 거칠기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결을 이루는 라인들이 형성하는 3차원 네트워크구조를 개선하여 라인들이 만나서 생기는 다각형과 별 모양(star formation)을 뚜렷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피부거칠기 파라미터 Rmax 변화 및 Rz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피부결을 이루는 미세라인 구조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는 7가지 유효성분인,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JuvinityTM), SH-폴리펩타이드-7(hGH-SPTM),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을 모두 배합하여 제조하였고, 실시예 3은 7가지 유효성분 중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을 제외한 4가지 유효성분, 즉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JuvinityTM), 및 SH-폴리펩타이드-7(hGH-SPTM)만을 배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4는 7가지 유효성분 중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제외한 6가지 유효성분, 즉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JuvinityTM), 및 SH-폴리펩타이드-7(hGH-SPTM)에 우레아 및 D-판테놀을 배합하여 제조하였고, 실시예 5는 7가지 유효성분 중 우레아를 제외한 6가지 성분, 즉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JuvinityTM), SH-폴리펩타이드-7 (hGH-SPTM)에 D-판테놀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배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6은 7가지 유효성분 중 D-판테놀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제외한 5가지 성분, 즉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JuvinityTM), SH-폴리펩타이드-7(hGH-SPTM)에 우레아를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은 7가지 유효성분 중 우레아 및 D-판테놀을 제외한 5가지 유효성분, 즉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 이소프로판올(JuvinityTM), SH-폴리펩타이드-7(hGH-SPTM)에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1은 7가지 유효성분을 모두 빼고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은 표 1의 조성에 따라 수상과 에탄올상을 45℃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수상에 에탄올상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4000 내지 5000rpm으로 2 내지 4분간 교반후 이어서 중화제를 서서히 투입하여 4000 내지 5000rpm으로 다시 4 내지 5분간 교반하여 냉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 함량
구분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수상 정제수
농글리세린
헥실렌글라이콜
나이아신아마이드
D-판테놀
우레아
카르복시비닐폴리머
(2중량% 수용액)
산삼줄기세포배양액
은행줄기세포배양액
hGH-SPTM
합100
3.0
1.5
2.0
1.0
2.0
10.0

1.0
1.0
2.0
합100
3.0
1.5
5.0
3.0
4.0
10.0

5.0
5.0
5.0
합100
3.0
1.5
-
-
-
10.0

1.0
1.0
2.0
합100
3.0
1.5
-
1.0
2.0
10.0

1.0
1.0
2.0
합100
3.0
1.5
2.0
1.0
-
10.0

1.0
1.0
2.0
합100
3.0
1.5
-
-
2.0
10.0

1.0
1.0
2.0
합100
3.0
1.5
2.0
-
-
10.0

1.0
1.0
2.0
합100
3.0
1.5
-
-
-
10.0

-
-
-
알코올상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Juvinity
향료
3.0
7.0
0.5

1.0
적량
3.0
7.0
0.5

5.0
적량
3.0
7.0
0.5

1.0
적량
3.0
7.0
0.5

1.0
적량
3.0
7.0
0.5

1.0
적량
3.0
7.0
0.5

1.0
적량
3.0
7.0
0.5

1.0
적량
3.0
7.0
0.5

-
적량
중화제 트로메타민
(10%중량수용액)
2.0 2.0 2.0 2.0 2.0 2.0 2.0 2.0
[ 실험예 ]
실험예 1. 피부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 여 5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7 모두의 경우에서,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JuvinityTM), SH-폴리펩타이드-7(hGH-SPTM),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 상기 7가지 유효성분이 모두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과 자극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상기 7가지 유효성분을 1이상 포함한 조성물 모두가 피부에 무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1차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50
50
50
50
50
50
50
50
-
-
-
-
-
-
-
-
-
-
-
-
-
-
-
-
-
1
1
2
1
1
-
1
50
49
49
48
49
49
50
49
0.00
0.02
0.02
0.04
0.02
0.02
0.00
0.02
* 판정 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 [{(+-)수×1} + {(+)수×2} + {(++)수×3}]/피시험자수
실험예 2. 피부결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피부결 개선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40~50대 여성 22명에게 시험제품을 6주간 1일 2회 얼굴전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사용 3주 후(3W)와 6주 후(6W) 각 평가 시점에서 3D 피부 촬영장치(PRIMOS PICO)를 이용하여 뺨 측면부위의 피부거칠기(SKIN ROUGHNESS)을 촬영하고 분석하였다. 피부거칠기 파라미터 Rmax(최대높이) 및 파라미터 Rz(평균거칠기)를 측정하였는바, 각각 피부거칠기 파라미터 Rmax(최대높이)는 표면을 기준 길이만큼 채취하여 제일 높은 산과 제일 깊은 골을 접하는 두 평행선간의 거리를 의미하며, 파라미터 Rz(평균거칠기)는 단면곡선의 평균선과 평행한 임의직선(기준선)을 긋고 가장 높은 5개 산의 기준선으로부터 거리의 평균값과 가장 낮은 5개 골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의 평균값과의 차이를 의미하는 수치로, 거칠수록 Rmax값, Rz값은 큰 값을 나타낸다.
피부거칠기 파라미터 분석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사용 전에 비해 피부결이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개선되었으며, 모든 평가 시점(3주차 및 6주차)에서 비교예 1보다 높은 개선율을 보였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6주 경과 후 피부결 파라미터 Rmax값은 사용 전에 비해 6.77%, Rz값은 6.80% 감소하였다(도 1).
또한, 피부결 미세라인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표면의 주형(Replica)을 제작하여 영상을 분석한 결과, 6주 경과 후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미세라인 구조가 확연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도 2).
또한, 6주 경과후 면접을 통한 피부결 개선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와 육안적 소견을 종합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부결 개선효과
구 분 효과 있음 약간 효과 있음 모르겠다 효과 없음
실시예1 15/22 4/22 3/22 0/22
실시예2 16/22 5/22 1/22 0/22
실시예3 7/22 5/22 6/22 4/22
실시예4 10/22 7/22 2/22 3/22
실시예5 11/22 6/22 1/22 4/22
실시예6 10/22 6/22 2/22 4/22
실시예7 11/22 4/22 5/22 2/22
비교예1 0/22 1/22 2/22 19/22
위의 결과를 보면 피부결 개선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효과 있음' 및 '약간 효과 있음'이 실시예 1의 경우 86 %, 실시예 2는 95% 였으며, 유효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약 4.5 % 정도였다. 유효성분이 일부만 들어있는 실시예 3은 약 55%, 실시예 4는 77%, 실시예 5는 77%, 실시예 6은 73%, 실시예 7은 68% 의 효과를 나타내어, 유효성분이 일부 또는 전부 들어있는 실시예들은 모두 비교예 1에 비해 피부결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가지 유효성분을 모두 포함한 경우(실시예 1 내지 2)에 피부결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SH-폴리펩타이드-7,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배양액은 식물의 형성층에서 분리 및 배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은행 줄기세포배양액, 산삼 줄기세포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및 SH-폴리펩타이드-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결을 개선하는 방법.
  6. 삭제
KR1020110127331A 2011-11-30 2011-11-30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KR10132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31A KR101321011B1 (ko) 2011-11-30 2011-11-30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331A KR101321011B1 (ko) 2011-11-30 2011-11-30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88A KR20130060988A (ko) 2013-06-10
KR101321011B1 true KR101321011B1 (ko) 2013-10-23

Family

ID=4885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331A KR101321011B1 (ko) 2011-11-30 2011-11-30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241B1 (ko) * 2020-11-03 2021-06-03 (주)진셀팜 피부 외용제 테스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963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운화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00127724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운화 은행나무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방법
KR20110092880A (ko) * 2010-02-10 2011-08-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마섬유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또는 지성피부 조절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9963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운화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방지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00127724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운화 은행나무과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 및 이의 분리방법
KR20110092880A (ko) * 2010-02-10 2011-08-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마섬유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또는 지성피부 조절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derma사 JUVINITY 관련(2010.4.) *
Sederma사 JUVINITY 관련(201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988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793B1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US2006023373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1 collagen and/or elastin
KR101453610B1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0250A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EP3205345A1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artemisia umbelliformis extract
KR10247297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21011B1 (ko)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
US10568830B2 (en)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stimula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20160020874A (ko) 피부 유연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2015008714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16612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81226B1 (ko) 레바우디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6389141A (zh) 用于改善皮肤的组合物
KR20170025352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7206039A (zh) 含高山黄芩提取物的用于美白肌肤的组合物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20160054681A (ko) 원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570987B1 (ko)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04368B1 (ko)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1452582B1 (ko) 테트라하이드로팔마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EP312754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lpine wormwood
KR102406459B1 (ko) 잣잎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291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