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293B1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293B1
KR101320293B1 KR1020130020784A KR20130020784A KR101320293B1 KR 101320293 B1 KR101320293 B1 KR 101320293B1 KR 1020130020784 A KR1020130020784 A KR 1020130020784A KR 20130020784 A KR20130020784 A KR 20130020784A KR 101320293 B1 KR101320293 B1 KR 10132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filter body
dust
cyclone
cyclo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연석
장두훈
이철규
임혜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텍
Priority to KR102013002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293B1/ko
Priority to CN201380027522.4A priority patent/CN104321124B/zh
Priority to PCT/KR2013/008772 priority patent/WO20141332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Abstract

집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집진장치는: 오염가스 유입관이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은 낙하하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상승하는 사이클론 바디와, 사이클론 바디 상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백필터를 다수 구비하며, 백필터를 통해 배기가스에서 미세분진을 걸러주는 백필터 바디와, 사이클론 바디와 백필터 바디의 내측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경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진장치{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클론 바디와 백필터 바디를 일체로 연결하여 공간을 줄이고, 백필터 바디를 2개 영역으로 나눠 고압 공기를 공급하므로 백필터 청소가 고루 이루어지며, 백필터 바디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점검부를 통해 점검하므로 점검작업이 용이한 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발전소용 보일러, 가열로, 폐기물 소각로 등에서 발생되는 배출 오염가스에서 그을음과 먼지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공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 및 액체 미립자를 제거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한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필터에 의해 집진하는 기계식 필터집진장치, 분진에 일정량의 전하를 주어 정전기를 띄우게 하여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 연소가스를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비중이 무거운 것은 바깥쪽 벽에 부딪히게 하여 포집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등이 있으며, 주로 소각로에서는 사이클론 집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오염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유입덕트에서 유입된 이물질을 사이클론 방식으로 회전하여 분진은 낙하시키고, 배기가스는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사이클론 바디와, 사이클론 바디의 상측에 구비되고, 미세먼지를 재차 걸려주는 백필터가 다수 구비되는 백필터 바디와, 백필터 바디에서 알측으로 연결되고, 미세먼지가 걸러진 청정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집진실 하측으로 낙하한 분진은 로터리밸브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고, 백필터의 표면에 묻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배유로가 백필터 바디 상부 내측에 수평으로 다수 배열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 등록한 특허등록공보 제10-1035729호(발명의 명칭: 미분탄 복합 집진장치)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바디와 백필터 바디가 일체로 연결되지 않고, 가이드 바디의 내장부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제작이 어렵고, 집진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백필터 바디 내에 구비된 백필터를 분리가 어려워 백필터를 점검하거나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압축공기 공급유로가 백필터 바디 일측에만 구비되므로 분배유로의 입구측과 자유단측의 압력 차이로 백필터의 저면 노즐로 공급되는 분사압력이 달라 백필터 청소가 고루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분배유로가 압축 공기 공급유로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분배유로 교체 및 수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이클론 바디와 백필터 바디의 둘레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여 집진장치의 전체 높이 및 공간을 줄이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필터 바디 상측 부위를 2개 영역을 나눠 고압 공기를 분할하여 양측에서 각각 공급하므로 분배관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압을 균일화하여 전체 백필터 청소가 고루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필터 바디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점검부를 통해 백필터를 점검하므로 백필터의 점거 및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관을 결합부를 통해 분리 및 장착함으로써 교체 및 수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오염가스 유입관이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은 낙하하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상승하는 사이클론 바디; 상기 사이클론 바디 상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백필터를 다수 구비하며, 상기 백필터를 통해 배기가스에서 미세분진을 걸러주는 백필터 바디; 및 상기 사이클론 바디와 상기 백필터 바디의 내측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경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염가스 유입관의 단면은, 원통형, 타원형, 스팟형 및 반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론 바디와 상기 백필터 바디는, 직경이 동일한 원통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막부는, 상기 사이클론 바디와 상기 백필터 바디의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바디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오염가스 유입관의 유입부위와 인접 배치되고, 상기 오염가스 유입관의 유입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보다 높은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필터 바디는, 상기 백필터 바디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부를 검검하고 부품을 교체하게 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백필터 바디 상측에 다수의 개방공간을 갖도록 교차 형태로 마련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테두리 상에 각각 이격되게 안치되어 상기 개방공간마다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프레임부재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체결부재; 상기 덮개부재 상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체결부재에 삽입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눌러 상기 덮개부재를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필터 바디에는, 상기 백필터에 묻은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분진 제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분진 제거부는, 공압원; 상기 공압원과 연결되고, 상기 백필터 바디 외부에 대응되도록 한 쌍 배치되는 헤더; 및 상기 헤더에 수평으로 중심 부위까지 대칭되게 각각 연결되고, 하부에 노즐을 구비하는 분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관은,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백필터 바디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배관의 진입측과 상기 헤더의 배출측과 플랜지 방식으로 접촉되어 다수 결속되는 결속부재; 지지패널의 상측에 중심부위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분배관의 단부를 차단하고,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사이클론 바디와 백필터 바디의 둘레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여 집진장치의 전체 높이 및 공간을 줄이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필터부 상측 부위를 2개 영역을 나눠 고압 공기를 분할하여 공급하므로 분배관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압을 균일화하여 전체 백필터 청소가 고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필터 바디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점검부를 통해 백필터를 점검하므로 백필터의 점거 및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분배관을 결합부를 통해 분리 및 장착함으로써 교체 및 수리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점검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점검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분배관 상측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분배관의 일부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오염가스 유입관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점검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점검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분배관 상측 평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분배관의 일부 분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오염가스 유입관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바디(10), 백필터 바디(20) 및 경막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바디(10)는 집진장치(100)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오염가스 유입관(12)이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은 낙하하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상승시킨다.
오염가스 유입관(12)는 발전소용 보일러, 가열로, 폐기물 소각로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가스를 사이클론 바디(10)로 유도하여 유입하는 관이다.
오염가스 유입관(12)는 사이클론 바디(10)가 사이클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이클론 바디(10)의 외측 접선 방향으로 연결된다.
오염가스 유입관(12)으로 유입된 오염가스는 사이클론 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오리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조대 분진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조대분진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미세 분진을 포함한 상태로 중심부에서 상승한다.
사이클론 바디(10)는 사이클론 작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이클론 바디(10)의 하부는 점차적으로 반경이 축소되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부(14)에 로터리밸브(16)가 구비되어 분진의 배출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배출부(14)로 배출된 분진은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통해 소정의 장소로 이송되어 폐기 처리된다.
오염가스 유입관(12)의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타원형, 스팟형 및 반타원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도 7의 첫 번째 도면은 원통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사용되는 형태이고, 도 7의 두 번째 도면은 타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의 세 번째 도면은 스팟형을 도시하고 있다. 스팟형은 사각형에 상,하면부를 반구형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도 7의 네 번째 도면은 반타원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외측 부위가 직사각형이고, 내측 부위가 반타원형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형상이다.
오염가스 유입관(12)의 형상은 상기한 4가지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백필터 바디(20)는 집진장치(1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사이클론 바디(10) 상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백필터(22)를 다수 구비하며, 백필터(22)를 통해 배기가스에서 미세분진을 걸러준다.
백필터 바디(20)의 상부 일측에는 백필터(22)에서 미세분진을 걸러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18)가 구비된다.
백필터(22)는 백필터 바디(2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패널(24)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패널(24)은 백필터(22)의 설치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차단하도록 백필터 바디(20) 상측 내부를 가로 방향으로 차단한다.
사이클론 바디(10)와 백필터 바디(20)는, 직경이 동일한 원통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이클론 바디(10)와 백필터 바디(20)는 일체화하여 상하로 연결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하 높이를 축소할 수 있어 공간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경막부(30)는 사이클론 바디(10)와 백필터 바디(20)의 내측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상부와 하부를 구분한다.
경막부(30)는 오염가스 유입관(12)을 통해 사이클론 바디(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가스가 사이클론 바디(10)의 내주면을 타고 하측 방향으로 사이클론 회전하면서 조대 입자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사이크론 바디(10)의 하측으로 분리되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중심부를 통해 상측으로 배출된다.
경막부(30)는 경사부(32) 및 수직부(34)를 포함한다.
경사부(32)는 사이클론 바디(10)와 백필터 바디(20)의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성이다.
경사부(32)는 오염가스 유입관(12)을 통해 사이클론 바디(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가스가 경사부(32)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접촉되게 함으로써 회오리 형태의 사이클론 회전이 더욱더 촉진되도록 도와준다.
수직부(34)는 경사부(32)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이클론 바디(10)의 내면과 이격 배치된다.
수직부(34)는 사이클론 바디(10)보다 훨씬 작은 원통 형상으로 경사부(32)의 하단부에서 하측이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사이클론 바디(10) 내부에 구비된다.
한편, 오염가스 유입관(12)으로 유입된 오염가스는 사이클론 바디(10)의 내벽면을 타고 회오리 형태로 회전하여 하강함에 따라 조대 분진은 원심력과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하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중심부위에서 상승하여 수직부(34)의 중심을 거쳐 경사부(32)에서 확장된다. 연이어, 백필터(22)에서 미세분진마저 걸려지게 되고, 미세분진이 완전하게 제거된 청정 배기가스는 배기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경사부(32)는 오염가스 유입관(12)의 유입부위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오염가스 유입관(12)의 하측 유입부위는 수직부(34)의 하단부보다 높게 배치된다. 그 이유는 오염가스 유입관(12)으로 유입된 오염가스가 사이클론 바디(10)의 내주면과 경사부(32) 및 수직부(34)의 외주면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유입되어 사이클론 회전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백필터 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백필터(22)는 일정시간 사용함에 따라 표면에 미세분진 부착되므로 수시로 점검하거나 교체해야 한다.
그래서, 백필터 바디(20)는, 백필터 바디(20)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부를 검검하고 부품을 교체하게 하는 점검부(40)를 구비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부(40)는 백필터 바디(2) 상측에 커버 형태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다.
점검부(40)는 프레임부재(42) 및 덮개부재(44)를 포함한다.
프레임부재(42)는 백필터 바디(20) 상측에 다수의 개방공간을 갖도록 교차 형태로 마련된다.
즉, 프레임부재(42)는, 백필터 바디(2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제1프레임부재(42a)와, 제1프레임부재(42a)의 측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백필터 바디(20)의 내주면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프레임부재(42b)와, 제1프레임부재(42a) 및 제2프레임부재(42b)와 연결되고, 백필터 바디(20)의 원주 내측에 구비되는 제3프레임부재(4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제2,제3프레임부재(42a,42b,42c)가 상호 연결되면서 다수 개의 개방공간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개방공간을 통해 내부를 점감하거나 백필터(22) 또는 후술하는 분배관(66) 등을 교체할 수 있다.
덮개부재(44)는 프레임부재(42)의 테두리 상에 각각 이격되게 안치되어 개방공간마다 개폐 가능하게 다수 개가 구비된다. 즉, 덮개부재(44)는 개방공간의 개수에 맞게 구비된다.
각각의 덮개부재(44)는 양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한 쌍의 손잡이(46)를 구비한다.
손잡이(46)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덮개부재(44)에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된다.
손잡이(46)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덮개부재(44)는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2개 영역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영역마다 다수 개 구비된다.
덮개부재(44)를 다수 개 구비한 이유는 덮개부재(44) 마다 개방공간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내부 점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덮여 있는 어느 하나의 덮개부재(44)를 밟고서 손잡이(46)를 이용하여 다른 하나의 덮개부재(44)를 들어올려 개방한 후, 개방공간을 통해 원하는 위치의 점검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덮개부재(44)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프레임부재(42)의 테두리, 즉 개방공간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으로 돌출된 단차부(43)가 형성된다.
단차부(43)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덮개부재(44)의 저면에는 단차부(43)의 상면에 밀착 접촉되게 하는 시일링부재(48)가 구비된다.
시일링부재(48)는 고무테이프 또는 실리콘테이프 등일 수 있다.
덮개부재(44)가 프레임부재(42) 상에 단순하게 안치되는 경우, 센 바람 또는 태풍 등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덮개부재(44)를 프레임부재(42)에서 구속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덮개부재(44)는, 구속부(50)에 의해 프레임부재(42)에 장착된다.
구속부(50)는 프레임부재(42)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체결부재(52)와, 덮개부재(44) 상에 이웃하는 덮개부재(44)와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체결부재(52)에 삽입되는 가압부재(54)와, 제1체결부재(52)에 결합되어 가압부재(54)를 눌러 덮개부재(44)를 가압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56)를 포함한다.
제1체결부재(52)는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부재이고, 프레임부재(42)상에 용접 또는 체결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5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가압부재(54)는 사각 판재로서,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52)가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가압부재(5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체결부재(56)는 너트에 고리가 일체로 고정된 아이너트로서,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 조립할 수 있다. 제2체결부재(56)는 일반적인 너트일 수도 있다.
제2체결부재(56)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필터 바디(20)에는, 백필터(22) 및 백필터(22)를 지지하는 지지패널(24)에 묻은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분진 제거부(60)가 구비된다.
미세분진 제거부(60)는, 공압원(62)과, 공압원(62)과 연결되고, 백필터 바디(20) 외부에 대응되도록 한 쌍 배치되는 헤더(64)와, 헤더(64)에 수평으로 중심 부위까지 대칭되게 각각 연결되고, 하부에 노즐(68)을 구비하는 분배관(66)을 포함한다.
공압원(62)은 헤더(6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1개의 공압원(62)이 2개의 헤더(64)에 연결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한 쌍의 헤더(64)에 각각 연결되도록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헤더(64)는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분배관(66)으로 골고루 분배할 수 있는 압축공기 공급유로이다.
분배관(66)은 헤더(64)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다수 연결되어 백필터 바디(20) 내부로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하부에 구비된 노즐(68)에서 압축 공기를 하측으로 분사하여 백필터(22)의 외측 표면에 묻은 미세분진을 분리한다.
백필터(22)의 외측 표면에서 분리된 미세분진은 하측으로 낙하하고, 사이클론 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조대 분진과 더불어 배출부(14)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노즐(68)은 백필터(22)의 표면에 부착된 미세분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사지게 구비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분배관(66)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분배관(66)은 각각의 헤더(64)에서 백필터 바디(20)의 중심부위까지만 연결되어 진입 측과 단부 측의 압축공기 압력을 최대한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노즐(68)을 통해 분사되는 분사압력을 균일화하여 백필터(22)에서의 미세분진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분배관(66)을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노즐(68)이 파손되거나 분배관(66)에 이상이 발생하여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분배관(66)은, 결합부(70)에 의해 백필터 바디(10)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합부(70)는, 분배관(66)의 진입측과 헤더(64)의 배출측과 플랜지 방식으로 접촉되어 다수 결속되는 결속부재(72)와, 지지패널(24)의 상측에 중심부위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지지부재(74)와, 분배관(66)의 단부를 차단하고, 절곡되어 지지부재(74)에 볼팅 결합되는 차단부재(76)를 포함한다.
결속부재(72)는 헤더(64)의 배출측 플랜지와 분배관(66)의 진입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볼팅 결합시키는 다수의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결속부재(72)는 다양한 다른 체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74)는 백필터 바디(20)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양단부가 백필터 바디(2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지지패널(24) 상에 배치된다.
지지부재(74)는 분배관(66)이 백필터(22)와 상측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설정 높이를 갖는다. 지지부재(74)는 본 실시 예에서 에이치(H)빔을 적용한다.
지지부재(7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차단부재(76)는 지지부재(74)에 접촉되는 절곡 부위에 일측이 개방된 장홀(78)을 형성한다. 이 장홀(78)에 볼트가 삽입되고 하측에서 너트가 체결되어 차단부재(76)를 지지부재(74)에 고정한다. 차단부재(76)를 지지부재(74)에 조립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지지부재(74)는 프레임부재(42)중에서 제1프레임부재(42a)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덮개부재(44)를 개방한 후, 개방공간을 통해 분배관(66) 또는 백필터(22)의 교체 및 점검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사이클론 바디 12 : 오염가스 유입관
14 ; 배출부 16 : 로터리밸브
20 : 백필터 바디 22 : 백필터
24 : 지지패널 30 : 경막부
32 : 경사부 34 : 수직부
40 : 점검부 42 : 프레임부재
43 : 단차부 44 : 덮개부재
50 : 점검부 52 : 제1체결부재
54 : 가압부재 56 : 제2체결부재
60 : 미세분진 제거부 62 : 공압원
64 : 헤더 66 ; 분배관
68 : 노즐 70 : 결합부
72 : 결속부재 74 : 지지부재
76 : 차단부재 100 : 집진장치

Claims (13)

  1. 오염가스 유입관이 일측에 구비되어 분진은 낙하하고 미세분진을 포함한 배기가스는 상승하는 사이클론 바디;
    상기 사이클론 바디 상측과 연결되고 내부에 백필터를 다수 구비하며, 상기 백필터를 통해 배기가스에서 미세분진을 걸러주는 백필터 바디; 및
    상기 사이클론 바디와 상기 백필터 바디의 내측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는 경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필터 바디는, 상기 백필터 바디의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부를 검검하고 부품을 교체하게 하는 점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부는, 상기 백필터 바디 상측에 다수의 개방공간을 갖도록 교차 형태로 마련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테두리 상에 각각 이격되게 안치되어 상기 개방공간마다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가스 유입관의 단면은, 원통형, 타원형, 스팟형 및 반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바디와 상기 백필터 바디는, 직경이 동일한 원통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막부는,
    상기 사이클론 바디와 상기 백필터 바디의 경계부위에서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 바디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오염가스 유입관의 유입부위와 인접 배치되고,
    상기 오염가스 유입관의 유입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보다 높은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프레임부재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체결부재;
    상기 덮개부재 상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체결부재에 삽입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눌러 상기 덮개부재를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필터 바디에는, 상기 백필터에 묻은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분진 제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진 제거부는,
    공압원;
    상기 공압원과 연결되고, 상기 백필터 바디 외부에 대응되도록 한 쌍 배치되는 헤더; 및
    상기 헤더에 수평으로 중심 부위까지 대칭되게 각각 연결되고, 하부에 노즐을 구비하는 분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백필터 바디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배관의 진입측과 상기 헤더의 배출측과 플랜지 방식으로 접촉되어 다수 결속되는 결속부재;
    지지패널의 상측에 중심부위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분배관의 단부를 차단하고,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1020130020784A 2013-02-26 2013-02-26 집진장치 KR10132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84A KR101320293B1 (ko) 2013-02-26 2013-02-26 집진장치
CN201380027522.4A CN104321124B (zh) 2013-02-26 2013-10-01 集尘装置
PCT/KR2013/008772 WO2014133238A1 (ko) 2013-02-26 2013-10-01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784A KR101320293B1 (ko) 2013-02-26 2013-02-26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293B1 true KR101320293B1 (ko) 2013-10-23

Family

ID=4963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784A KR101320293B1 (ko) 2013-02-26 2013-02-26 집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20293B1 (ko)
CN (1) CN104321124B (ko)
WO (1) WO201413323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75A (ko) 2014-07-21 2016-02-01 안진훈 발열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KR20160011274A (ko) 2014-07-21 2016-02-01 안진훈 분진필터가 구비된 집진장치
KR101688467B1 (ko) 2015-10-14 2016-12-23 주식회사 이에스엔지니어링 분산부를 구비하는 사이클론형 백필터 집진기
KR101972278B1 (ko) 2018-11-29 2019-04-24 (주)네오에어텍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1997609B1 (ko) * 2019-01-21 2019-07-08 대구그린파워 주식회사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KR102054738B1 (ko) 2019-09-06 2019-12-11 고성득 집진장치
EP3623033A1 (de) * 2018-09-13 2020-03-18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orrichtung zur entstaubung von konvertergas
KR102398148B1 (ko) * 2021-06-28 2022-05-17 권득용 소각처리 배출가스 정화용 대기오염 방지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3764A (zh) * 2014-11-27 2015-03-04 无锡华中科技有限公司 粉仓顶部除尘器
KR20170112216A (ko) * 2016-03-31 2017-10-12 (주)씨앤지테크 나노입자 또는 가스상 물질 처리용 챔버유닛
IT202000000562U1 (it) * 2020-02-06 2021-08-06 Sigma Ingegneria S R L Apparecchiatura di aspirazione e raccolta di residui di lavorazione
CN113713542A (zh) * 2021-08-20 2021-11-30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旋风和过滤复合型除尘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975A (ko) * 1995-12-04 1997-07-22 임백현 고성능 드럼필터 집진장치
KR100790481B1 (ko) * 2006-09-29 2008-01-02 (주)하이텍이엔지 집진장치
KR101035729B1 (ko) * 2010-12-29 2011-05-19 주식회사 제이텍 미분탄 복합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644B1 (ko) * 2000-02-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1259351A (zh) * 2007-12-14 2008-09-10 冯之军 一种布袋除尘器
CN201154264Y (zh) * 2007-12-24 2008-11-26 哈尔滨工业大学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分室定位反吹袋式除尘器
CN201596421U (zh) * 2010-01-14 2010-10-06 安徽帝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布袋除尘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975A (ko) * 1995-12-04 1997-07-22 임백현 고성능 드럼필터 집진장치
KR100790481B1 (ko) * 2006-09-29 2008-01-02 (주)하이텍이엔지 집진장치
KR101035729B1 (ko) * 2010-12-29 2011-05-19 주식회사 제이텍 미분탄 복합 집진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75A (ko) 2014-07-21 2016-02-01 안진훈 발열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KR20160011274A (ko) 2014-07-21 2016-02-01 안진훈 분진필터가 구비된 집진장치
KR101688467B1 (ko) 2015-10-14 2016-12-23 주식회사 이에스엔지니어링 분산부를 구비하는 사이클론형 백필터 집진기
EP3623033A1 (de) * 2018-09-13 2020-03-18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orrichtung zur entstaubung von konvertergas
WO2020052868A1 (de) * 2018-09-13 2020-03-19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orrichtung zur entstaubung von konvertergas
KR101972278B1 (ko) 2018-11-29 2019-04-24 (주)네오에어텍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1997609B1 (ko) * 2019-01-21 2019-07-08 대구그린파워 주식회사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KR102054738B1 (ko) 2019-09-06 2019-12-11 고성득 집진장치
KR102398148B1 (ko) * 2021-06-28 2022-05-17 권득용 소각처리 배출가스 정화용 대기오염 방지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21124B (zh) 2016-03-16
WO2014133238A1 (ko) 2014-09-04
CN104321124A (zh)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293B1 (ko) 집진장치
CA2965245C (en) Dust collector
KR20160023499A (ko) 집진장치
KR101917232B1 (ko) 집진기
EP2069043A1 (de) Abreinigbares filtersystem
KR20180010451A (ko) 비산쓰레기와 먼지를 필터링하는 집진장치
KR101573292B1 (ko) 일체형 원통 집진설비
KR20130020138A (ko) 원심분리식 집진장치
CN113058342B (zh) 一种便于在线实时清理的cvd炉过滤装置
KR20140136660A (ko) 이동형 원심 분리식 집진기
CN108115130B (zh) 用于激光选区熔化制造的气体循环净化连续作业设备
CN212091319U (zh) 一种带有y型滤筒骨架的滤筒式除尘器
CN208959515U (zh) 一种抛光类粉尘脉冲除尘器
CN112604441A (zh) 一种锌粉尘防爆除尘系统装置
KR101773021B1 (ko) 복합 사이클론 집진기
CN214486252U (zh) 一种脉冲型除尘净化装置
CN212091412U (zh) 一种易拆卸的滤筒式除尘器
KR20110067330A (ko) 분진제거장치
CN105903276A (zh) 一种降尘装置
KR102001630B1 (ko) 로터리 필터링 장치
CN205913889U (zh) 一种降尘装置
KR101188375B1 (ko) 복합 입자분리 장치
CN216500028U (zh) 一种具有快速清灰功能的静电除尘器
CN217015844U (zh) 一种滤筒式除尘器
CN203791188U (zh) 全自动骨灰整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