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278B1 -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278B1
KR101972278B1 KR1020180151419A KR20180151419A KR101972278B1 KR 101972278 B1 KR101972278 B1 KR 101972278B1 KR 1020180151419 A KR1020180151419 A KR 1020180151419A KR 20180151419 A KR20180151419 A KR 20180151419A KR 101972278 B1 KR101972278 B1 KR 10197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dust
branching
gas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구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네오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에어텍 filed Critical (주)네오에어텍
Priority to KR102018015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78B1/ko
Priority to CN201980078536.6A priority patent/CN113195105B/zh
Priority to PCT/KR2019/014894 priority patent/WO20201115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3/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flow following a screw-thread type line remains unchanged ; Devices in which one of the two discharge ducts returns centrally through the vortex chamber, a reverse-flow vortex being prevented by bulkheads in the central discharge duct
    • B04C3/06Construction of inlets or outlets to the vortex chamber

Landscapes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는,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함진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을 관통한 채, 상기 함진 가스를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스유입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함진 가스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사이클론 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과 연통되고,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나선형 선회류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Dust collector using multi-cyclone module}
본 발명은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함진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 중의 공기 또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가진 먼지를 포집하기 위하여 흡입 팬 또는 송풍 팬에 의하여 나선형 선회류(vortex)를 형성한 사이클론에 의하여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먼지의 포집효율을 높이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사이클론을 이용한 미세먼지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은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가 복잡하거나 먼지 제거용 필터 등의 부품들을 교환하는 등의 유지보수 및 구조의 복잡성에 따른 설계 제작비용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집진장치 중에서 여과 필터 집진장치는 0.01㎛의 미세먼지인 경우도 95% 이상의 집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 필터 집진장치는 여과 조작이 진행됨에 따라 여과 필터에 포집되는 먼지층이 두꺼워지면서 압력 손실이 높아져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탈진(Pulsing & Cleaning) 조작에 의해 여과 필터 표면에 포집되어 있는 먼지를 털어 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여과 필터 집진장치에 부과되는 먼지 부하량이 높으면 압력 손실이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여과 필터 집진장치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장치의 전단에 원심력 집진장치(Cyclone)를 설치하여 먼저 최대한 먼지 입자들을 포집함으로써, 먼지에 의한 여과 필터 집진장치의 부하량을 감소시켜왔다.
그러나, 전단에 설치되는 원심력 집진장치는 자체의 성능이 낮고 또한 운전 유지의 부주의로 인해 집진장치가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2228호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심력과 필터 원리가 하나의 장치로 조합된 고효율 일체형 원심 여과 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효율 일체형 원심 여과 집진장치는 증유연소 공정, 폐기물 소각로 공정, 시멘트 제조 업종 및 제철제강 공정 등의 먼지 발생 공정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유입되는 먼지 입자들을 원심력 원리에 의해 집진하고, 여기에서 집진되지 않은 미세먼지 입자들은 상부의 여과 필터로 집진하는 두 가지 장치의 집진원리가 단일 기기로 접목 조합된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효율 일체형 원심여과 집진장치는 외통에서 원심력에 의해 큰 먼지 입자가 걸려진 공기가 내통을 통해 여과 필터 측으로 상승할 때 여과 필터에서 걸려져 최하부에 있는 먼지 저장소로 낙하하는 미세먼지를 재상승시킴으로써 여과 필터에 의해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고, 여과 필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통의 하부에 있는 먼지 저장소의 먼지가 외통의 내벽면을 따라 하강 회류한 후 다시 여과 필터가 있는 상부 공간으로 상승 회류하는 기류에 의해 재상승하여 외통의 원심력에 의한 여과 효율을 떨어뜨리고, 여과 필터 측으로 유동하는 먼지 량을 증가시켜 여과 필터의 수명과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320293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하여 일정 공간 내의 함진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는,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함진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을 관통한 채, 상기 함진 가스를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스유입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함진 가스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사이클론 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과 연통되고,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나선형 선회류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 모듈은, 내경이 상이한 복수의 사이클론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가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부를 경유하면서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부는,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결된 메인사이클론부와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N(N은 자연수)번 분기(分岐)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을 규정하며,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포집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하부형성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을 규정하며,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 모듈을 통해 경유한 함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부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를 통해 분기된 서브사이클론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가스유입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로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로부터 발생된 기류의 상기 사이클론 모듈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 및 상기 임펠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경로제공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포집부는, 상기 함진 가스 내의 유해물질이 포집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와 상기 사이클론 모듈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상기 수집부로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 및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상기 유해물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N은 3이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메인사이클론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1-1 분기부, 상기 제1-1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1-1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1-2 분기부 및 상기 제1-2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1-2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1-3 분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1 분기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와 연통되는 제1-1a 분기부 및 제1-1b 분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분기부는, 상기 제1-1a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2a 분기부 및 제1-2b 분기부, 상기 제1-1b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2c 분기부 및 제1-2d 분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3 분기부는, 상기 제1-2a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a 분기부 및 제1-3b 분기부, 상기 제1-2b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c 분기부 및 제1-3d 분기부, 상기 제1-2c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e 분기부 및 제1-3f 분기부, 상기 제1-2d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g 분기부 및 제1-3h 분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N은 4이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메인사이클론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1 분기부, 상기 제2-1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2-1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2 분기부, 상기 제2-2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2-2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3 분기부 및 상기 제2-3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2-3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4 분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N은 6이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메인사이클론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3-1 분기부, 상기 제3-1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3-1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3-2 분기부, 상기 제3-2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3-2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3-3 분기부, 상기 제3-3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3-3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3-4 분기부, 상기 제3-4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3-4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3-5 분기부 및 상기 제3-5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제3-5 분기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3-6 분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결된 M(M은 자연수)개의 집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M개의 집진부 각각에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M개의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측에는 상기 M개의 포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M개의 집진부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는 K(K는 자연수)개의 집진보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K개의 집진보조부 각각에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이 수용되며, 상기 K개의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측에는 상기 K개의 포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배치된 채,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함진 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및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을 기초로, 상기 가스유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이 기 설정된 측정량보다 클 경우, 상기 가스유입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 가스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 또는 공간 내의 환경에 따라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복수개 병렬 조합함으로써, 다중 사이클론 모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장착된 위치로부터 회동 가능한 임펠러부를 적용하여, 일정 공간 내의 특정 위치의 함진 가스를 필터링하여,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의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사이클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가스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포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먼지측정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30)을 이용한 집진 장치(1, 이하, 집진 장치)는, 일정 공간에 배치되어, 일정 공간 내의 함진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다중 사이클론에 의하여 유해물질(예: 먼지)를 포집함과 동시에 포집된 유해물질이 장치 내의 부재와 충돌하여 장치의 하부로 낙하되도록 하고, 장치 하부에 위치한 포집부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 장치이다.
본 발명의 집진 장치(1)는, 베이스부(10), 가스유입부(20), 사이클론 모듈(30) 및 포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일 수 있다.
상기 가스유입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면을 관통한 채, 상기 함진 가스를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스 이동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유입부(20)의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의 진입로 형태는 단면이 원형, 다각형,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 모듈(30)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가스유입부(20)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함진 가스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30)과 연통되고,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나선형 선회류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진 장치(1)는, 상기 가스유입부(20)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의 수용공간으로 이동한 함진 가스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한 사이클론 모듈(30)을 경유하는 중에, 함진 가스 내의 유해물질을 걸러내어, 포집부(40)에 포집하고, 유해물질이 걸러진 가스를 다시 외부로 방출하는 집진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집진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각각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의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장치(1)의 베이스부(10)는, 수용부(11), 하부형성부(13) 및 상부형성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는, 상기 수용공간을 규정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30)을 수용할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는, 굴곡면을 포함하는 원통형, 다면체 등일 수 있다.
상기 하부형성부(13)는, 상기 수용부(11)의 하부면을 규정하며,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H1)을 통해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포집부(4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통홀(H1)은,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이다.
상기 상부형성부(15)는, 상기 수용부(11)의 상부면을 규정하며,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관통홀(H2)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 모듈(30)을 통해 경유한 함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홀(H2)은,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이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옆면은 상기 수용부(11)에 의해 규정되고, 상측면은 상기 상부형성부(15)에 의해 규정되며, 하측면은 상기 하부형성부(13)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가스유입부(20)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를 통해 분기된 서브사이클론부(3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관통홀(H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사이클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장치(1)의 사이클론 모듈(30)은, 내경이 상이한 복수의 사이클론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유입부(20)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가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부를 경유하면서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부는, 상기 가스유입부(20)와 연결된 메인사이클론부(31)와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로부터 N(N은 자연수)번 분기(二分岐)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가 분기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32)는 이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또한,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가 분기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32)의 내경은 메인사이클론부(31)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같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메인사이클론부(31)가 분기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32)의 내경이 분기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N이 3인 경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32a)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2a)로부터 분기되는 제1-1 분기부(321-1), 상기 제1-1 분기부(321-1)로부터 분기되는 제1-2 분기부(321-2) 및 상기 제1-2 분기부(321-2)로부터 분기되는 제1-3 분기부(32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분기부(321-1)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a)와 연통되는 제1-1a 분기부(321-1a) 및 제1-1b 분기부(32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a 분기부(321-1a) 및 상기 제1-1b 분기부(321-1b)의 내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2 분기부(321-2)는, 상기 제1-1a 분기부(321-1a)와 연통되는 제1-2a 분기부(321-2a) 및 제1-2b 분기부(321-2b), 상기 제1-1b 분기부(321-1b)와 연통되는 제1-2c 분기부(321-2c) 및 제1-2d 분기부(321-2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a 분기부(321-2a), 상기 제1-2b 분기부(321-2b), 상기 제1-2c 분기부(321-2c) 및 상기 제1-2d 분기부(321-2d)의 내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3 분기부(321-3)는, 상기 제1-2a 분기부(321-2a)와 연통되는 제1-3a 분기부(321-3a) 및 제1-3b 분기부(321-3b), 상기 제1-2b 분기부(321-2b)와 연통되는 제1-3c 분기부(321-3c) 및 제1-3d 분기부(321-3d), 상기 제1-2c 분기부(321-2c)와 연통되는 제1-3e 분기부(321-3e) 및 제1-3f 분기부(321-3f), 상기 제1-2d 분기부(321-2d)와 연통되는 제1-3g 분기부(321-3g) 및 제1-3h 분기부(321-3h)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3a 분기부(321-3a), 상기 제1-3b 분기부(321-3b), 상기 제1-3c 분기부(321-3c), 상기 제1-3d 분기부(321-3d), 상기 제1-3e 분기부(321-3e), 상기 제1-3f 분기부(321-3f), 상기 제1-3g 분기부(321-3g) 및 상기 제1-3h 분기부(321-3h)의 내경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이 4인 경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32b)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b)로부터 분기되는 제2-1 분기부(322-1), 상기 제2-1 분기부(322-1)로부터 분기되는 제2-2 분기부(322-2), 상기 제2-2 분기부(322-2)로부터 분기되는 제2-3 분기부(322-3) 및 상기 제2-3 분기부(322-3)로부터 분기되는 제2-4 분기부(322-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1 분기부(322-1)는 2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2 분기부(322-2)는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2-3 분기부(322-3)는 8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4 분기부(322-4)는 16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이 6인 경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32c)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31c)로부터 분기되는 제3-1 분기부(323-1), 상기 제3-1 분기부(323-1)로부터 분기되는 제3-2 분기부(323-2), 상기 제3-2 분기부(323-2)로부터 분기되는 제3-3 분기부(323-3), 상기 제3-3 분기부(323-3)로부터 분기되는 제3-4 분기부(323-4), 상기 제3-4 분기부(323-4)로부터 분기되는 제3-5 분기부(323-5) 및 상기 제3-5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6 분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1 분기부(323-1)는 2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2 분기부(323-2)는 4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3-3 분기부(323-3)는 8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4 분기부(323-4)는 16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3-5 분기부(323-5)는 32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6 분기부는 6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N이 3인 경우, 4인 경우, 6인 경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로서, 메인사이클론부(31)로부터 분기되는 횟수인 N은 2, 5, 7, 8, 9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클론 모듈은 베이스부의 속이 빈 수용공간에 수용된 관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속이 모두 메워진 수용공간 내에 사이클론 모듈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가스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장치(1)의 가스유입부(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부(21), 상기 임펠러부(21)로부터 발생된 기류의 상기 사이클론 모듈(30)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23) 및 상기 임펠러부(21)를 지지하는 지지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부(21)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연결된 채,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에 의한 일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펠러부(21)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해 나선형 선회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임펠러부(21)는, 상기 경로제공부(23)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로제공부(23)는, 상기 임펠러부(21)의 회동과는 무관하게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임펠러부(21)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상기 사이클론 모듈(30)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임펠러부(21)는, 상기 경로제공부(23)를 축으로 상기 지지부(25)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임펠러부(21)에 의한 외기의 경로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부(21)는, 상기 경로제공부(23)를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여, 본 발명의 집진 장치(1)가 위치한 일정 공간의 특정 부분에 위치한 함진 가스를 흡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일정 공간 내에 함진 가스를 발생 시키는 가스발생장치가 배치된 경우, 상기 임펠러부(21)가 일정 공간 내에 위치한 가스발생장치를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스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함진 가스 내의 유해물질의 확산을 늦출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포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장치(1)의 포집부(40)는, 상기 함진 가스 내의 유해물질이 포집되는 수집부(41), 상기 수집부(41)와 상기 사이클론 모듈(30)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30)로부터 상기 수집부(41)로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43) 및 상기 수집부(41)에 수집된 상기 유해물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4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하측단 또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30)의 하측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3)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30)로부터 상기 수집부(41)로의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사이클론 모듈(30) 내의 유해물질이 상기 수집부(41)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43)는, 상기 임펠러부(21)가 작동 중에는 구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부(21)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임펠러부(21)의 작동 중에 상기 사이클론 모듈(30) 내의 상승 선회류를 상기 흡입부(43)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이클론 모듈(30) 내의 유해물질은, 상기 임펠러부(21)의 작동이 멈춘 후에, 자중에 의해 상기 수집부(41)로 수집될 수 있으나, 상기 흡입부(43)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30) 내의 벽면 등에 잔류한 유해물질까지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는, 상기 수집부(41)에 수집된 유해물질의 무게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수집부(41)의 교체 또는 수집부(41) 내의 유해물질 수거 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집부(41) 내의 유해물질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무게센서를 적용하였으나, 상기 수집부(41) 내의 유해물질 양을 측정하기 위한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먼지측정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장치(1)는, 먼지측정부(50) 및 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측정부(5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외측에 배치된 채,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함진 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먼지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을 기초로, 상기 가스유입부(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먼지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이 기 설정된 측정량 보다 클 경우, 상기 가스유입부(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집진 장치(1)의 자동화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로 온/오프에 의한 동작 명령 없이, 제어부(60)에 의한 측정 결과 값을 기초로 자동으로 일정 공간 내의 먼지(유해물질)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먼지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 밈세먼지 농도 측정량이 기 설정된 측정량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가스유입부(20)의 구동이 정지 또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집진 장치(1)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2)는 베이스부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집진 장치(1)와 동일하므로, 이하 베이스부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2)의 베이스부(110)는, 가스유입부(120)와 연결된 M(M은 자연수)개의 집진부(11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집진부(110a) 각각에는 사이클론 모듈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집진 장치(1)의 베이스부(10)는 M이 2인 경우로, 집진부가 2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10)는 M이 4인 경우로, 집진부(110a)가 4개인 경우이다.
참고적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집진 장치(1)의 사이클론 모듈(30)은, 메인사이클론부(31)로부터 6번 분기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32)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일례로 도시한 것일 뿐,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2, 3, 4, 5번 등 분기된 서브사이클론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2)의 사이클론 모듈(130)은, 메인사이클론부(131)로부터 3번 분기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132)가 적용되었으나, 이는 일례로 도시한 것일 뿐,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2, 4, 5, 6번 등 분기된 서브사이클론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M개의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측에는 상기 M개의 포집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서는 하부의 포집부(140)가 1개로 도시되었으나, M이 4인 경우, 다시 말해 집진부가 4개인 경우, 각각의 하부에 포집부가 형성되어 포집부가 4개여도 무방하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의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3)는 베이스부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집진 장치(2)와 동일하므로, 이하 베이스부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베이스부(210)는, 상기 M개의 집진부(210a)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는 K(K는 자연수)개의 집진보조부(21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K개의 집진보조부(210b) 각각에는 사이클론 모듈(23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M이 4이고, K가 4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4개의 집진부(210a)에 적용된 사이클론 모듈은, N이 2인 경우이고, 4개의 집진보조부(210b)에 적용된 사이클론 모듈은 N이 4인 경우이다.
여기서, 집진부(210a)에 적용된 사이클론 모듈은, 집진보조부(210b)의 개수에 종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진보조부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는, 집진부에 적용된 사이클론 모듈은, N이 1이고, 집진보조부의 개수가 8개인 경우에는, 집진부에 적용된 사이클론 모듈의 N은 3이다.
이는, 집진부에 의해 분기된 서브사이클론부의 개수와 집진보조부의 개수가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집진보조부(210b)에 적용된 사이클론 모듈은 N이 4인 경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K개의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측에는 상기 K개의 포집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집진보조부에서 수집된 유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10: 베이스부
11: 수용부
13: 하부형성부
H1: 제1 관통홀
15: 상부형성부
H2: 제2 관통홀
20: 가스유입부
21: 임펠러부
23: 경로제공부
25: 지지부
30: 사이클론 모듈
31: 메인사이클론부
32: 서브사이클론부
40: 포집부
41: 수집부
43: 흡입부
50: 먼지측정부
60: 제어부

Claims (10)

  1.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함진 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을 관통한 채, 상기 함진 가스를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스유입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함진 가스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사이클론 모듈;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과 연통되고,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나선형 선회류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클론 모듈은,
    내경이 상이한 복수의 사이클론부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가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부를 경유하면서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사이클론부는,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결된 메인사이클론부와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N(N은 자연수)번 분기(分岐)되어 형성되는 서브사이클론부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을 규정하며, 하부면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통해 상기 함진 가스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상기 포집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하부형성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면을 규정하며, 관통되어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사이클론 모듈을 통해 경유한 함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상부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유입부로 유입된 상기 함진 가스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를 통해 분기된 서브사이클론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가스유입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로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임펠러부, 상기 임펠러부로부터 발생된 기류의 상기 사이클론 모듈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제공부 및 상기 임펠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경로제공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함진 가스 내의 유해물질이 포집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와 상기 사이클론 모듈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사이클론 모듈로부터 상기 수집부로의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 및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상기 유해물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3이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분기되는 제1-1 분기부, 상기 제1-1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1-2 분기부 및 상기 제1-2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1-3 분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1 분기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와 연통되는 제1-1a 분기부 및 제1-1b 분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분기부는,
    상기 제1-1a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2a 분기부 및 제1-2b 분기부, 상기 제1-1b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2c 분기부 및 제1-2d 분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3 분기부는,
    상기 제1-2a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a 분기부 및 제1-3b 분기부, 상기 제1-2b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c 분기부 및 제1-3d 분기부, 상기 제1-2c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e 분기부 및 제1-3f 분기부, 상기 제1-2d 분기부와 연통되는 제1-3g 분기부 및 제1-3h 분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4이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1 분기부, 상기 제2-1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2 분기부, 상기 제2-2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3 분기부 및 상기 제2-3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2-4 분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6이며,
    상기 서브사이클론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1 분기부, 상기 제3-1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2 분기부, 상기 제3-2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3 분기부, 상기 제3-3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4 분기부, 상기 제3-4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5 분기부 및 상기 제3-5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제3-6 분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결된 M(M은 자연수)개의 집진부를 구비하며,
    상기 M개의 집진부 각각에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이 수용되고,
    상기 M개의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측에는 상기 M개의 포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M개의 집진부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는 K(K는 자연수)개의 집진보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K개의 집진보조부 각각에는 상기 사이클론 모듈이 수용되며,
    상기 K개의 사이클론 모듈의 하부측에는 상기 K개의 포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배치된 채, 상기 수용공간 외부의 함진 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측정부; 및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을 기초로, 상기 가스유입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이 기 설정된 측정량 보다 클 경우, 상기 가스유입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20180151419A 2018-11-29 2018-11-29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197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419A KR101972278B1 (ko) 2018-11-29 2018-11-29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CN201980078536.6A CN113195105B (zh) 2018-11-29 2019-11-05 使用多旋风模块的集尘装置
PCT/KR2019/014894 WO2020111553A1 (ko) 2018-11-29 2019-11-05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419A KR101972278B1 (ko) 2018-11-29 2018-11-29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278B1 true KR101972278B1 (ko) 2019-04-24

Family

ID=6628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419A KR101972278B1 (ko) 2018-11-29 2018-11-29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72278B1 (ko)
CN (1) CN113195105B (ko)
WO (1) WO20201115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553A1 (ko) * 2018-11-29 2020-06-04 (주)네오에어텍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60A (ja) * 2001-12-28 2003-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20080289140A1 (en) * 2005-05-27 2008-11-27 Dyson Technology Limite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1320293B1 (ko) 2013-02-26 2013-10-23 주식회사 제이텍 집진장치
KR20180035460A (ko) * 2016-09-29 2018-04-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63026B1 (ko) * 2018-01-04 2018-05-30 주식회사 포스코휴먼스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50980C1 (ru) * 1992-02-17 1995-12-27 Гроднен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Азот" им.С.О.Притыцкого Газожидкостный сепаратор
KR200246790Y1 (ko) * 2001-05-31 2001-10-17 대신기연 주식회사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처리장치
KR100536503B1 (ko) * 2003-09-09 2005-12-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분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667874B1 (ko) * 2005-10-10 2007-0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4096643A (zh) * 2014-03-14 2014-10-15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分级排气与进气的两级旋风分离器串联系统
KR101972278B1 (ko) * 2018-11-29 2019-04-24 (주)네오에어텍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060A (ja) * 2001-12-28 2003-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20080289140A1 (en) * 2005-05-27 2008-11-27 Dyson Technology Limite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1320293B1 (ko) 2013-02-26 2013-10-23 주식회사 제이텍 집진장치
KR20180035460A (ko) * 2016-09-29 2018-04-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63026B1 (ko) * 2018-01-04 2018-05-30 주식회사 포스코휴먼스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553A1 (ko) * 2018-11-29 2020-06-04 (주)네오에어텍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5105B (zh) 2023-03-10
WO2020111553A1 (ko) 2020-06-04
CN113195105A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445B1 (ko) 모듈화된 하이브리드 집진장치
KR100483545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379215B1 (ko)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KR100757384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CN101020164B (zh) 电动工具旋风除尘装置
KR101972278B1 (ko) 다중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20010001213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AU2007219290B2 (en) Dust-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KR20060031445A (ko) 다중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1863026B1 (ko) 다중 사이클론을 이용한 집진 장치
KR100378881B1 (ko) 원심력과 관성을 이용한 입자 분리 포집기
CN1091053A (zh) 组合式消烟除尘脱硫装置
KR102204943B1 (ko) 공기 청정 장치
CN205832792U (zh) 多级旋流式超净除尘装置
KR102582572B1 (ko) 공기 청정 장치
CN209005473U (zh) 粉尘处理装置及轨道线路作业装置
KR20210030181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200109051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287172B1 (ko) 복수의 사이클론 모듈을 이용한 집진 장치
CN205597849U (zh) 旋风集尘装置和具备该旋风集尘装置的电动吸尘器
KR102226725B1 (ko) 공기 청정 장치
CN216062582U (zh) 一种专用旋风分离过滤器
KR20210034439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210026786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210034441A (ko) 공기 청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