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609B1 -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609B1
KR101997609B1 KR1020190007724A KR20190007724A KR101997609B1 KR 101997609 B1 KR101997609 B1 KR 101997609B1 KR 1020190007724 A KR1020190007724 A KR 1020190007724A KR 20190007724 A KR20190007724 A KR 20190007724A KR 101997609 B1 KR101997609 B1 KR 10199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oxide
dust
filter
exhaust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주영
정현일
허민창
박진배
Original Assignee
대구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그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구그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01D46/0068
    • B01D46/00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를 스택에 설치되는 집진필터와 백필터를 이용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한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철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의 배출통로인 스택(Stack)의 상부 개방부에 설치되는 집진케이싱; 상기 집진케이싱의 내경부에 장착되어 철산화물 등이 포함된 배기가스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는 반경류 팬; 상기 집진케이싱의 상부 개방부에 장착되어 철산화물 등을 여과하는 집진필터; 상기 집진케이싱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기구에 장착된 측면 배기관; 및 상기 측면 배기관에 장착링을 매개로 기밀유지 및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DEVICE FOR COLLECTING IRON OXIDE AND DUST IN THE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를 스택(Stack)에 설치되는 집진필터 및 백필터를 이용하여 포집시킬 수 있도록 한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화력발전은 천연가스 등을 사용하여 1차로 가스터빈을 가동하여 발전하고,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열을 다시 배열회수보일러(HRSG)에 통과시켜 증기를 생산하여 2차로 증기터빈을 가동하여 발전하는 방식인데, 열효율이 기존 화력보다 10% 정도 높다는 점과 공해가 적고 정지했다가 다시 가동하는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긴급한 전력계통을 위해 주로 도심주변에 건설되고 있으며, 1992년 11월에 준공된 서인천 복합화력발전소를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서 복합화력발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도심주변에 건설되는 복합화력발전소는 배열회수보일러(HRSG)의 내부의 부식물 등의 제거를 위한 정기적인 예방정비검사(overhaul)를 위해 그 특성상 정지와 기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발전의 기동 후 정지시에는 배열회수보일러(HRSG)의 열교환튜브의 내부 표면에 철산화물이 생성되고, 이 철산화물은 발전을 재기동할 때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박리된 후 미세한 입자상태로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통로인 스택(Stack)으로 배출되어, 결국에는 발전소의 주변에 설치된 철구조물이나 주차중인 자동차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등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하여 미세먼지의 감축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복합화력발전소의 발전정지 후 재기동하는 냉간기동시 초기에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철산화물의 분진이 일시적으로 다량 배출되고 있어 그 배출되는 분진량이 전부하의 경우에 평상시 정상운전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므로 이러한 철산화물의 배출로 인하여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철산화물의 분진에 의한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배열회수보일러의 철산화물 집진장치' 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34613호 및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9060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 다공성 필터부재를 설치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철산화물 등 미세입자를 여과 집진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필터부재에 포집입자가 축적됨에 따라 차압이 커지게 되어 배압이 상승하게 되고, 배압이 상승하게 되면 배기가스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해 가스터빈의 출력저하 및 발전설비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심각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롤 형태의 필터부재를 배열회수보일러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필터부재 교체시에는 발전설비를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134613호(2012.12.1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90602호(2014.04.2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합화력발전소의 배열회수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등을 포집함에 있어 가스터빈의 배압의 상승을 최소화함과 함께 발전설비의 정상운전중에도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배출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의 배출통로인 스택(Stack)의 상부 개방부에 설치되는 집진케이싱과; 상기 집진케이싱의 내부에 장착되어 철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에 원심력을 인가하여 백필터 입구부로 안내하는 반경류 팬과; 상기 집진케이싱의 상부 개방부에 장착되어 철산화물을 여과 포집하는 집진필터와; 상기 집진케이싱 내경면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기구에 장착된 측면 배기관과; 상기 측면 배기관에 장착링에 의하여 기밀유지 및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집진케이싱의 상부에는 집진필터의 설치 및 집진필터로의 에어공급을 위하여 링형상의 제1파이프 및 제1파이프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직선형 제2파이프로 된 원뿔형상의 펄스에어 헤더가 장착되고, 펄스에어 헤더의 제2파이프에는 집진필터에 여과 포집된 철산화물을 에어분사로 탈락해주는 다수의 펄스에어 인젝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필터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 간의 공간부에 연결되는 격자형 철망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펄스에어 헤더의 상단부에는 집진필터로부터 탈락된 철산화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상부 배기관이 연결되고, 상부 배기관에는 측면 배기관으로 연통 가능하게 연장되어 연결되는 분기 배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필터의 하부에는 포집된 철산화물을 포집박스로 유도하는 포집물 배출관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집진케이싱의 외경부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앵커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고, 상기 스택의 외경부에는 잠금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동하는 앵커가 잠금턱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구에는 슬라이드 개폐구조 또는 버터플라이 개폐구조를 갖는 차단댐퍼가 장착되며, 상기 측면 배기관의 내부에는 배기가스를 백필터로 흡입하는 흡입팬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의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여과 포집할 수 있고, 집진필터 등의 장치로 인한 가스터빈 배압의 상승을 최소화하여 발전출력 및 발전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차단댐퍼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전의 정상운전중에도 백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집진필터에 여과 포집된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를 에어분사로 탈락시켜 백필터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집진필터의 수명을 연장함과 함께 철산화물 등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고정 앵커부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의 포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부호 10은 스택(Stack)을 지시한다.
상기 스택(Stack; 10)은 복합화력발전소의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외부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그 상부는 외기와 연통되는 개방부로 형성되어 있다.
발명의 배경의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합화력발전소는 배열회수보일러(HRSG) 내부의 정기적인 예방정비검사(overhaul)를 위해 장기간 정지후 재기동하게 되는데, 장기간 정지되는 기간동안 배열회수보일러(HRSG)의 열교환튜브의 외부 표면에 대기중 습기와의 접촉에 의해 다량의 철산화물이 생성되는 바, 이 철산화물은 발전을 재기동할 때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박리된 후 미세한 입자상태로 변환하여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통로인 상기 스택(10)의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택(10)을 통해 배기가스가 외기로 배출되면, 배기가스에 포함된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이 발전소의 주변에 설치된 철구조물이나 주차중인 자동차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된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의 최종 배출통로인 스택(10)에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한 포집장치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산화물 등이 포함된 배기가스의 배출통로인 스택(10)의 상부 개방부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철산화물 등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원통형 구조물인 집진케이싱(20)이 설치된다.
상기 집진케이싱(20)은 원통형의 철 구조물로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스택(10)의 위로 들어올려 안착시킨 다음, 클램프, 볼트, 브라켓, 앵커 등 통상의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케이싱(20)의 외경부에 형성된 지지핀에 연결되며, 스프링(24)에 의하여 작동되는 앵커(26)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고, 상기 스택(10)의 외경부에는 잠금턱(1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26)가 스프링(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잠금턱(12)에 걸리게 하여 체결하거나 해제되게 함으로써 상기 스택(10)에 대한 집진케이싱(2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집진케이싱(20)의 내부에는 모터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반경류 팬(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반경류 팬(30)은 스택(10)으로부터 위로 배출되는 철산화물 등을 포함한 배기가스에 원심력을 인가하여 백필터(60)의 입구부 즉, 집진케이싱(20)의 내경면에 형성된 배기구(22)로 안내하여 배출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집진케이싱(20)의 상부 개방부에는 집진필터(40)가 장착되며, 이 집진필터(40)는 스택(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을 여과 포집하게 된다.
상기 집진케이싱(20)의 내경면에는 철산화물 등 미세먼지를 배기구(22)측으로 안내하는 안내편(23)이 배기구(22)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반경류 팬(30)에 의해 집진케이싱(20) 내경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철산화물과 스택(10) 내의 배기가스 상승기류에 의해 내경면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철산화물을 배기구(22) 입구로 유도하여 백필터(60)로 포집되는 철산화물의 양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 배기구(22)의 출구에는 측면 배기관(50)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된다.
상기 측면 배기관(50)의 하단부에는 장착링(62)에 의하여 기밀유지 및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백필터(60)가 장착되며, 이 백필터(60)는 발전하는 가스터빈의 배압 저하 및 스택 구조강도를 고려하여 6~12개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스택(10)으로부터 위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는 집진케이싱(20)의 상부 개방부에 장착되는 집진필터(40)에 의하여 여과 포집될 수 있고, 상기 반경류 팬(30)의 작동에 의하여 집진케이싱(20)의 내경면으로 안내되는 배기가스 중의 철산화물 등은 배기구(22) 및 측면 배기관(50)을 통과하여 백필터(60)에 의해 여과되어 포집된다.
이때, 상기 집진필터(40)에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이 계속 쌓이게 되면 집진필터(40)의 여과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집진필터(40)의 여과성능 유지 및 수명 연장을 위하여 여과 포집되어 있는 철산화물 등을 펄스에어분사(Pulse Air Cleaning)로 탈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산화물이나 미세먼지 등 포집물의 분리성능을 높이기 위해 충격 및 진동을 인가하는 에어 녹커(Knocker)나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의 기계적 장치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집진케이싱(20)의 상부에는 집진필터(40)의 설치 및 집진필터(40)로의 에어공급을 위하여 링형상의 제1파이프(71) 및 이 제1파이프(71)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제2파이프(72)로 구성된 원뿔형상을 이루는 펄스에어 헤더(70)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펄스에어 헤더(70)의 제2파이프(72)에는 집진필터(40)에 여과된 철산화물 등을 에어분사 압력으로 탈락해주기 위한 다수의 펄스에어 인젝터(73)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집진필터(40)는 제1파이프(71)와 제2파이프(72) 간의 공간부에 연결되는 격자형 철망(74)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펄스에어 헤더(70)의 상단 꼭지점 부분에는 집진필터(40)로부터 에어압력에 의한 에어분사로 탈락된 철산화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상부 배기관(75)이 연결되고, 이 상부 배기관(75)에는 측면 배기관(50)으로 연통 가능하게 연장되어 연결되는 분기 배기관(76)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필터(40)에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이 여과 포집되어 일정한 수준으로 쌓이게 되면 공기압축기와 같은 에어공급수단(미도시됨)에 의하여 상기 펄스에어 헤더(70)의 제1 및 제2파이프(71,72)로 에어를 공급하여 공급된 에어가 상기 펄스에어 인젝터(73)로부터 집진필터(40)로 분사됨으로써 집진필터(40)에 여과 포집된 철산화물 등이 에어분사에 의하여 탈락된다.
이어서, 상기 집진필터(40)로부터 에어압력에 의하여 탈락된 철산화물 등이 상부 배기관(75)과 분기 배기관(76)을 통하여 측면 배기관(50)으로 흡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면 배기관(50)의 내부에는 모터구동형 흡입팬(52)이 장착됨으로써, 집진필터(40)로부터 에어압으로 탈락된 철산화물 등이 흡입팬(52)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부 배기관(75)과 분기 배기관(76)을 거쳐 측면 배기관(50)으로 원활하게 흡입되게 해주며, 또한 백필터(60) 쪽으로 흡입되는 포집량을 증가시켜 집진필터(40)의 세정주기를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연이어, 상기 측면 배기관(50) 내로 흡입된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은 백필터(60)에 여과되어 용이하게 포집된다.
한편, 상기 백필터(60)는 발전정지 후 재기동하는 냉간기동시 및 정상운전시에 차단댐퍼(28)를 개폐하여 철산화물 등을 포집하는 것인데, 재기동하는 냉간기동시에 다량으로 배출되는 철산화물을 반경류팬(30)에 의해 안내편(23)이 형성된 다수의 배기구(22)로 배출되게 하여 철산화물 등을 포집하고, 정상운전중에도 미세먼지 등을 포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22)에는 루버셔터식, 슬라이드식 또는 버터플라이식 개폐구조를 갖는 차단댐퍼(28)가 장착되며, 상기 차단댐퍼(28)는 냉간기동이나 정상운전 중에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의 포집이 필요할 때 열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집진케이싱(20)의 둘레면에는 점검창(8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점검창(82)은 반경류 팬의 작동상태 등 장치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정상운전 중 돌발상황시 점검창(82)을 개방하여 배기가스 비상 배출 및 차압 저감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백필터(60)의 하부에는 포집물 배출관(64)이 연결되고, 포집물 배출관(64)의 하단부에는 포집박스(66)를 연결함으로써 백필터(60)에 포집된 철산화물 등이 포집물 배출관(64)을 통하여 포집박스(66)에 최종 수집되도록 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단지 집진케이싱(20)의 집진필터(40)를 원뿔형상이 아닌 평면형상의 구조로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집진케이싱(20)의 상부 개방부에 평면형상의 루프 타입 집진필터(4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하다고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등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집진필터 등의 장치로 인한 가스터빈의 배압의 상승을 최소화함과 함께 집진필터에 포집된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을 에어압으로 탈락시켜서 백필터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집진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등의 포집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10 : 스택 12 : 잠금턱
20 : 집진케이싱 22 : 배기구
23 : 안내편 26 : 앵커
28 : 차단댐퍼 30 : 반경류 팬
40 : 집진필터 50 : 측면 배기관
52 : 흡입팬 60 : 백필터
62 : 장착링 64 : 포집물 배출관
66 : 포집박스 70 : 펄스에어 헤더
71 : 제1파이프 72 : 제2파이프
73 : 펄스에어 인젝터 74 : 격자형 철망
75 : 상부 배기관 76 : 분기 배기관
80 : 플랫폼 82 : 점검창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철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의 배출통로인 스택(Stack; 10)의 상부 개방부에 설치되는 집진케이싱(20)과; 상기 집진케이싱(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철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를 백필터(60) 입구부인 배기구(22)로 안내하는 반경류 팬(30)과; 상기 집진케이싱(20)의 상부 개방부에 장착되어 철산화물을 여과 포집하는 집진필터(40)와; 상기 집진케이싱(20) 내경면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배기구(22)에 장착된 측면 배기관(50)과; 상기 측면 배기관(50)에 장착링(62)에 의하여 기밀유지 및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필터(60);로 구성된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싱(20)의 상부에는 집진필터(40)의 설치 및 집진필터(40)로의 에어공급을 위한 링형상의 제1파이프(71) 및 다수의 제2파이프(72)로 된 원뿔형상의 펄스에어 헤더(70)가 장착되고, 상기 펄스에어 헤더(70)의 제2파이프(72)에는 집진필터(40)에 포집된 철산화물을 에어분사로 탈락해주는 다수의 펄스에어 인젝터(73)가 장착되며, 상기 펄스에어 헤더(70)의 상단부에는 집진필터(40)로부터 탈락된 철산화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상부 배기관(75)이 연결되고, 상부 배기관(75)에는 측면 배기관(50)으로 연통 가능하게 연장되는 분기 배기관(76)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07724A 2019-01-21 2019-01-21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KR10199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24A KR101997609B1 (ko) 2019-01-21 2019-01-21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24A KR101997609B1 (ko) 2019-01-21 2019-01-21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609B1 true KR101997609B1 (ko) 2019-07-08

Family

ID=6725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724A KR101997609B1 (ko) 2019-01-21 2019-01-21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6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613A (ko) 2011-06-03 2012-12-12 (주)신텍 배열회수 보일러의 철산화물 집진장치
KR101320293B1 (ko) * 2013-02-26 2013-10-23 주식회사 제이텍 집진장치
KR101390602B1 (ko) 2012-09-04 2014-04-29 주식회사 이엠코 배열회수 보일러 철산화물 고효율 집진장치
KR101719793B1 (ko) * 2017-01-13 2017-04-05 주식회사 대성제이테크 백 필터를 이용한 저중심용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613A (ko) 2011-06-03 2012-12-12 (주)신텍 배열회수 보일러의 철산화물 집진장치
KR101390602B1 (ko) 2012-09-04 2014-04-29 주식회사 이엠코 배열회수 보일러 철산화물 고효율 집진장치
KR101320293B1 (ko) * 2013-02-26 2013-10-23 주식회사 제이텍 집진장치
KR101719793B1 (ko) * 2017-01-13 2017-04-05 주식회사 대성제이테크 백 필터를 이용한 저중심용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6792B1 (en) Filtering chamber for gas turbines and method of maintenance thereof
CN101972572A (zh) 分室反吹除尘器
KR102054427B1 (ko)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의 포집장치
KR20120134613A (ko) 배열회수 보일러의 철산화물 집진장치
KR101997609B1 (ko)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CN207024913U (zh) 一种排烟管道清灰装置
CN112604441A (zh) 一种锌粉尘防爆除尘系统装置
KR102160159B1 (ko) 배열회수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철산화물 및 미세먼지 포집장치
CN207413074U (zh) 燃煤锅炉电袋除尘器
CN201572589U (zh) 一种整体式旋风过滤除尘器
CN214862257U (zh) 一种分室气箱脉冲布袋除尘器
CN210786700U (zh) 一种对流式吹吸除尘装置
CN85106741A (zh) 一种适用于潜孔钻机的除尘器
CN210699335U (zh) 一种主动抑尘型矿山除尘设备
CN205649952U (zh) 一种多孔陶瓷除尘器应急旁路装置
CN202336276U (zh) 前袋后电的组合分流除尘器
CN216039664U (zh) 一种立式的高炉除尘器
CN220159526U (zh) 一种高效除尘装置
CN108236816A (zh) 以压缩空气为清灰动力的布袋除尘装置及除尘方法
CN109833675A (zh) 一种高效多功能除尘器
CN217567923U (zh) 热电厂空气煤尘通风过滤清理结构
CN209005422U (zh) 一种改进型袋式除尘器
CN220194389U (zh) 一种玻纤袋式除尘装置
CN211245959U (zh) 一种高效烟气净化装置
CN219735365U (zh) 一种锅炉尾气脱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