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043B1 -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043B1
KR101320043B1 KR1020110119305A KR20110119305A KR101320043B1 KR 101320043 B1 KR101320043 B1 KR 101320043B1 KR 1020110119305 A KR1020110119305 A KR 1020110119305A KR 20110119305 A KR20110119305 A KR 20110119305A KR 101320043 B1 KR101320043 B1 KR 10132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type walking
frame
walking aid
lif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715A (ko
Inventor
권대갑
임지영
도덕호
양훈민
강대원
이재학
김자경
차진영
박근창
민서정
강현재
이예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1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은 양끝단이 지면에 맞닿도록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지주프레임과, 소정의 폭 간격으로 상기 지주프레임을 연결, 결속하는 링크프레임 이외에,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한 리프트 바를 포함하는 것으로, 수동에서부터 전동식까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과 회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 바로부터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혼자 보행을 위한 이동은 물론, 의자나 소파 등으로부터 앉거나 일어서는 일상생활 중의 동작까지 보조함으로써, 별다른 도움없이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Walking Aided Apparatus of lifting type}
본 발명은 노약자들의 거동을 도와줄 수 있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립을 도울 수 있는 리프트 바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로한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혼자서 걷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도구나 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도구 또는 기구로써 지팡이와 보행기를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팡이는 소정 각도로 굴절된 막대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보행기는 일정 높이의 프레임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며, 프레임 상부에는 보행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손잡이를 잡은 채로 프레임에 의지하면서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보행기는 보행자의 보행속도 및 보행 간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별도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으로, 기계적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자세전환 즉,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보조하는 기술구성을 갖추고 있지 않아 중증 환자들의 경우 혼자서 스스로 이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한계를 안고 있다.
이러한 종래 보행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형태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특허공보 제527,870호(2005.11.03,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공개특허공보 제104,785호(2011.09.23, 이하 '종래기술 2'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 1 및 2는 모두 보행이 곤란한 이용자가 보조자의 도움없이 이동은 물론, 앉거나 일어서는 등의 동작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점에서 먼저 언급한 종래 보행기의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는 면이 전혀 없지 않다.
다만, 상기의 종래기술 1 및 2는 이용자의 독립적인 거동 및 보행을 위한 기술적 장치에만 몰두한 나머지 실질적인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그에 따른 이동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 1 및 2는 모두 복잡하고 육중한 기계장치를 도입함에 따라 연약한 힘으로 쉽게 다룰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기술 1에 비해 종래기술 2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량감이 다소 경감되는 면이 없지않으나, 고가의 기구적 장치로 인해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접어 두더라도 사용자가 양손으로 손잡이만을 의지한 채 일어서거나 앉을 수밖에 없는 기계적 구조로 인한 사용상의 편의성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무엇보다도 간편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이 도모되는 리프트 바를 통해 사용자가 혼자서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동식 구동력을 통해 사용자의 근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범위를 더 넓히는 것이 가능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간소한 기구 구조로부터 제조가 간편하고, 경량화로 사용자의 취급이 훨씬 더 용이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은 양끝단이 지면에 맞닿도록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지주프레임과, 소정의 폭 간격으로 상기 지주프레임을 연결, 결속하는 링크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트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트 바는 상기 지주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가이드레일 상의 트랙 롤러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의 작동이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프트 바는 전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소정의 작동력이 인계되는 전동식으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탈부착이 자유로운 충전식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는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최소의 동력으로부터 최대의 출력을 도모함으로써, 상기 리프트 바의 견인력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의 근력 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주프레임은 끝단 부위에 휠캡을 구비하고, 상기 휠캡 내에는 휠을 포함하는 소정의 이동수단이 구성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의 휠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에 누르는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휠캡 속으로 함입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지주프레임의 상단 내측 지면으로부터 수직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과 회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 바로부터 행동거지가 불편한 사용자가 혼자서 보행을 위한 이동은 물론, 앉거나 일어서는 등의 일상의 행위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견고하면서 중량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지주프레임 및 링크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채택, 적용함으로써, 보행시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수동식을 떠나 전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한 전동식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근력까지 보조하는 등 이용자의 범위를 확대하는 기술적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탄성지지된 이동수단 및 휠캡으로부터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하지 않고도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술구성의 단순화로 제조공정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전동모터로부터 사용자가 의자 등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 보조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의 에너지 소비효율을 높이는 등의 기술적 효과도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리프트 바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이동 및 보행보조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트랙롤러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대한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의 기술구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전반을 구성하는 지주프레임(10)과 링크프레임(20) 외에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내측,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함께 회동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트 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혼자 보행을 위한 이동은 물론, 의자나 소파 등으로부터 앉거나 일어서는 일상생활 중의 동작까지 보조함으로써, 별다른 도움없이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하는 등의 기술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본체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양끝단이 지면과 맞닿는 형태 예를 들면, 도 1 내지 3에서처럼 일체를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봉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일체를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형태의 상기 지주프레임(10)은 상단이 손잡이를 구성하고, 내구성 면에서 견고성을 발휘한다.
상기 링크프레임(20)은 좌우 양측의 상기 지주프레임(10)을 소정의 폭 간격으로 연결,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처럼 소정 형상의 절곡 봉과 일자형 봉으로 구성된 형태나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일체를 "ㄷ"자형으로 절곡시킨 봉 형태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지주프레임(10) 및 링크프레임(20) 간의 결합은 용접, 리벳,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나사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다.
상기 지주프레임(10) 및 링크프레임(20) 양자 모두를 "ㄷ"자형 봉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 제조공정이나 조립과정상의 간소화를 통한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링크프레임(20)은 상기 지주프레임(10) 간의 상하 양단의 2단 구조를 채택하여 본체 전반의 사용수명 즉, 내구성 향상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상생활 중 사용자가 앉거나 일어서야 하는 동작을 다른 사람의 힘을 빌리지 않고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일종의 보조장치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1에서와 같은 수동형 또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전동형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만, 구동방식에 관계없이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내측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내측에 고정 배치된 복수의 가이드레일(11) 상에서 슬라이드 및 회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양 지주단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으로 각각 고정, 배치된 형태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양 지주단 중 한쪽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정위치로부터 거리가 먼 쪽의 지주단 상단에 길이방향 즉,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각각 고정, 배치된다.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홈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범위가 안내 또는 제한되는 트랙 롤러(11a)에 의해 복수의 두 지점이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트랙 롤러(11a)에 대응하는 상기 리프트 바(30)의 양쪽 결합부위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에서처럼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드 가능한 홈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 바(30)의 회동 범위를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손잡이와 거의 평행한 위치에서 연직 방향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만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과 트랙 롤러(11a)의 일단 부위 즉,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홈 속에 장착되는 부위 간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 관련 기구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LM가이드레일과 같은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랙 롤러(11a)는 도 6에서처럼 상기 가이드레일(11)의 홈 속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몸체에 소정의 회동자가 결합, 구성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트 바(30)의 작동 즉, 상기 가이드레일(11) 상에서의 슬라이드와 동시에 회동을 병행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리프트 바(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든 실시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랙 롤러(11a)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구형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대응하는 홈을 상기 리프트 바(30)의 대응 위치에 마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리프트 바(3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나 소파와 같은 것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을 보조할 때, 손과 겨드랑이 부위로 체중을 견인할 수 있어 다소 안정적이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 바(30)의 소정 부위 특히, 자세전환시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안착되는 부위와 같은 곳에는 소정의 쿠션(33)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쿠션(33)은 스펀지나 적당한 탄력성을 가지는 부드러운 재질의 특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 중에 유발될 수 있는 통증까지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프트 바(30)는 도 2나 도 3에서처럼 전동모터(40)와 소정의 동력전달수단(5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 보조시 근력부담이 덜하도록 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40) 및 동력전달수단(50)은 도 2에서처럼 상기 링크프레임(20) 상에 장착하는 형태 또는, 도 3에서처럼 상기 링크프레임(20) 상의 적당한 위치에 소정 형태의 배치판(21)을 구비하여 장착하는 형태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상기 전동모터(40)에서 기인되는 작동력을 상기 리프트 바(30)로 인계하기 위한 것으로, 기어조합을 포함하는 복수의 샤프트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계층이 노약자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장치 전반의 중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의 경우에는 소정 두께의 와이어와 같은 작동줄(51)로 실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줄(51)은 양끝단이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과 상기 리프트 바(30)를 각각 연결하는 형태로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소정 형태의 연결핀(31)을 더 구비하여 상기 작동줄(51) 끝단을 연결상태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핀(31)은 상기 작동줄(51)의 고정상태를 단단히 할 뿐 아니라, 작동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와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핀(31)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으로 상기 작동줄(51)을 통과시켜 고정한 후 상기 리프트 바(31)의 일단 부위에 결합, 고정할 수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에서 소정의 작동력을 양쪽으로 분산시켜 전달하는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전동모터(40)에서 인계되는 작동력에 따른 상기 리프트 바(3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술적 특징을 발휘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권취롤(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쪽으로의 풀림과 감김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롤(41) 상에 감긴다. 예를 들면, 상기 권취롤(41)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하나의 작동줄(51)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리프트 바(30)의 양쪽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 또는, 상기 권취롤(41)의 관통공에 매듭지어진 각각의 작동줄(51)이 상기 권취롤(4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구성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소정의 줄안내편(52)을 더 포함하여 도 3에서처럼 상기 작동줄(51)의 배치상태를 소정 형태로 안내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줄안내편(52)은 회전형 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상기 전동모터(40)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42)는 충전가능한 형태를 적용하여 탈부착이 자유롭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상기 전동모터(4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스위치(32)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이나 상기 링크프레임(20) 또는 상기 리프트 바(30)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면, 상기 리프트 바(30)와 같은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작동스위치(32)는 회전방향별로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도 2나 도 3에서처럼 상기 권취롤(41)로부터 상기 작동줄(51)을 풀어주는 스위치와 감아주는 스위치를 각각 별도로 구성가능하다.
예를 들어, 풀어주는 스위치를 앉거나 일어서는 자세 전환시 사용자의 정위치에서 가까운 상기 리프트 바(30) 상에 배치했다면, 감아주는 스위치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리프트 바(30) 상의 위치, 그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자세 전환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리프트 바(30) 상에 팔을 걸쳐 올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작동스위치(32)의 배치로부터 본 발명의 사용자는 자세 전환에 필요한 동작과 더불어 작동을 위한 스위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동모터(40)는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43)를 포함하여 상기 리프트 바(30)의 견인을 위한 기동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어박스(43)는 작은 전력으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일종의 감속기어장치와 같은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도 1이나 도 2에서처럼 끝단 부위에 소정의 패킹(12a)으로 이동시 충격을 완화하는 형태나, 도 3에서처럼 끝단 부위에 소정의 휠캡(12)을 형성하고, 상기 휠캡(12) 내에는 휠(61)을 포함하는 이동수단(60)을 더 구비하여 이동성을 높이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60)의 휠(61)은 상황에 따라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내외로 함입 또는, 돌출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스프링(62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62)에 결합, 구성하여 누르는 힘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대(62)의 스프링(62a)이 압축 또는 신장하면서 이동을 위한 상기 휠(61)의 작동이 상기 휠캡(12)에 의해 저지되거나 가동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60)은 도 5의 우측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한번에 이동가능한 소정 폭의 거리만큼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밀어 옮길 때에는 상기 휠(61)이 상기 휠캡(12)의 끝단 밖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적정거리만큼 옮겨진 본 발명에 따른 본체를 짚고 사용자의 몸을 옮길 때에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부위 등을 누르는 힘이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므로 이로 인해 상기 탄성지지대(62)의 스프링(62a)이 압축되면서 상기 탄성지지대(62)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내부로 함입된다. 그리고, 상기 휠(61)은 상기 휠캡(12)의 끝단이 지면과 맞닿으면서 미끄러지는 작동이 방지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신체 또는 체중의 일부를 상기 지주프레임(10)에 의지한 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휠캡(12)은 끝단 부위의 마찰력을 높이는 소정의 패킹(12a)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12a)은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동시에 충격완화로 상기 휠캡(12)의 끝단 형상을 보호하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병행하게 된다.
상기 패킹(12a)은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형상이나 상기 휠캡(12)의 끝단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에 따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또는 변형 실시가능한 정도까지 아울러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지주프레임 11 : 가이드레일
11a: 트랙 롤러 12 : 휠캡
12a: 패킹 20 : 링크프레임
21 : 배치판 30 : 리프트 바
31 : 연결핀 32 : 작동스위치
33 : 쿠션 40 : 전동모터
41 : 권취롤 42 : 배터리
43 : 기어박스 50 : 동력전달수단
51 : 작동줄 52 : 줄안내편
60 : 이동수단 61 : 휠
62 : 탄성지지대 62a: 스프링

Claims (17)

  1. 양끝단이 지면에 맞닿도록 양쪽 측면에 각각 구비된 지주프레임(10)과;
    상기 지주프레임(10)을 폭 간격으로 연결, 결속하는 링크프레임(20);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단 내측에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구성된 리프트 바(30)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내측 각각 지면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11) 상의 트랙 롤러(11a)에 의해 결합,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링크프레임(20) 상에 장착된 전동모터(40)의 작동력을 인계하는 동력전달수단(50)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과 상기 리프트 바(30)에 연결된 작동줄(51)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작동줄(51)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핀(31)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줄(51)은 상기 전동모터(40)의 권취롤(41)에서 상기 리프트 바(30)까지 한 쌍으로 연결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50)은 상기 작동줄(51)의 배치상태를 안내하는 줄안내편(52)을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줄안내편(52)은 회전형 롤러 형태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40)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42)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상기 전동모터(4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32)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40)는 감속을 위한 기어박스(43)를 포함하는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3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10) 및 링크프레임(20)은 "ㄷ"자형 구조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프레임(20)은 상기 지주프레임(10) 간의 상하 양단에 결속되는 2단 구조로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5.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10)은 끝단 부위에 휠캡(12)을 구비하고, 상기 휠캡(12) 내에는 휠(61)을 포함하는 이동수단(60)이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60)의 휠(61)은 상기 지주프레임(10)의 끝단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62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62)에 결합, 구성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휠캡(12)의 끝단에는 마찰력을 높이는 패킹(12a)이 구비된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KR1020110119305A 2011-11-16 2011-11-16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KR10132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05A KR101320043B1 (ko) 2011-11-16 2011-11-16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305A KR101320043B1 (ko) 2011-11-16 2011-11-16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15A KR20130053715A (ko) 2013-05-24
KR101320043B1 true KR101320043B1 (ko) 2013-10-18

Family

ID=4866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305A KR101320043B1 (ko) 2011-11-16 2011-11-16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44B1 (ko) * 2014-01-24 2015-06-05 한국과학기술원 보행보조장치
KR20190051239A (ko) 2017-11-06 2019-05-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311B1 (ko) *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견인장치
CN107997667A (zh) * 2018-01-19 2018-05-08 陶金 一种如厕支架
KR102295864B1 (ko) * 2019-12-10 2021-08-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947A (en) * 1990-05-14 1991-01-22 Ethridge Kenneth L Patient assist device
JPH1094566A (ja) * 1996-09-24 1998-04-14 Onda Kinzoku Kogyo Kk 介護用リフト装置
JPH1147205A (ja) * 1997-07-30 1999-02-23 Bariafurii Kanazawa:Kk 歩行補助器の休息具
JP2006158918A (ja) * 2004-12-07 2006-06-22 Eiichi Takeda 立ち居補助歩行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947A (en) * 1990-05-14 1991-01-22 Ethridge Kenneth L Patient assist device
JPH1094566A (ja) * 1996-09-24 1998-04-14 Onda Kinzoku Kogyo Kk 介護用リフト装置
JPH1147205A (ja) * 1997-07-30 1999-02-23 Bariafurii Kanazawa:Kk 歩行補助器の休息具
JP2006158918A (ja) * 2004-12-07 2006-06-22 Eiichi Takeda 立ち居補助歩行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44B1 (ko) * 2014-01-24 2015-06-05 한국과학기술원 보행보조장치
KR20190051239A (ko) 2017-11-06 2019-05-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 장치
US11219568B2 (en) 2017-11-06 2022-01-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tanding assistanc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715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043B1 (ko)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US8955871B2 (en) Transfer and locomotion apparatus
US10130535B2 (en) Four bar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lowering, exercise and self-propelled transit
CN111166586B (zh) 一种护理吊举装置
TWI589287B (zh) Moving car
CA2881930C (en) Patient repositioning system
JP7190783B2 (ja) 歩行車
CN113370191B (zh) 一种物资搬运外骨骼助力机器人
JP6851732B2 (ja) 歩行補助装置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TWM509032U (zh) 移位復健裝置
KR102295864B1 (ko) 보행보조기
CN211485543U (zh) 一种楼梯滚轮装置及与其组合使用的行走辅助装置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CN208492626U (zh) 一种带氧气瓶的站立和行走辅助装置
KR20120002374A (ko) 보행 보조차
JP2000233002A (ja) 歩行器
CN214713357U (zh) 一种帕金森病用的行走辅助装置
CN214435293U (zh) 一种养老用辅助行走装置
JP6749153B2 (ja) 歩行補助装置
CN115741642A (zh) 基于负重转移的被动式上肢助力搬运外骨骼
TWI566767B (zh) Safe walker
TW201306817A (zh) 復健輪椅
EP3395316A1 (en) Multirobot for transport and rehabilitation
JP2021109004A (ja) 起立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