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653B1 - 차량측면 보호대 - Google Patents

차량측면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653B1
KR101319653B1 KR1020130044576A KR20130044576A KR101319653B1 KR 101319653 B1 KR101319653 B1 KR 101319653B1 KR 1020130044576 A KR1020130044576 A KR 1020130044576A KR 20130044576 A KR20130044576 A KR 20130044576A KR 101319653 B1 KR101319653 B1 KR 10131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aps
synthetic resin
magnet
vehicl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3004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하차시 차량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옆 차량의 측면에 흠집이나 충격으로 발생되는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 및 볼록과 오목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된 차량측면에 밀착되게 자석의 자기력으로 부착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측면 보호대 {Side guar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하차시 차량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옆 차량의 측면에 흠집이나 충격으로 발생되는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측면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승한 자는 보통 차량 하차시 차량문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옆 차량의 측면에 흠집이나 충격으로 발생되는 찌그러짐이 종종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차량측면 보호대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고, 차량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우레탄폼이나 스펀지와 같은 충격완화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종래의 충격완화재는 구부러짐 좋지 않아서 곡선형태의 차량측면에 밀착되게 부착할 수 없어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051호인 “자동차의 흠집 방지용 보호대”는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의 패드와, 상기 패드가 자동차의 외측 섀시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패드에는 자석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구부러짐을 좋게 하기 위해서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고 있지만 밀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고무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밀착되게 하는 기술은 없었다.
또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637호인 “차량도어용 보호패드”는 판 형태의 몸체로써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완충용패드, 상기 완충용패드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보호용패드, 상기 완충용패드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마그네틱을 수납한 지지용패드, 상기 지지용패드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 2 보호용패드, 상기 완충용패드, 제 1 보호용패드, 지지용패드 및 제 2 보호용패드가 결합된 외주면을 감싸며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도록 보호커버가 구비된 가이드 본체와; 상기 가이드본체 후방 어느 일측에, 선단 일측이 결합되고 자동차의 센터필러 또는 안전벨트 부위를 한 바퀴 감싸고 돌아온 바깥측 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선단 타측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분실방지용 벨트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 역시도 본체를 구성하기 위해서 제 1 보호용패드, 지지용패드, 제 2 보호용패드, 보호커버로 이루어져 있을 뿐, 차량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구조적 특징은 없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051호(2006. 04. 21. 등록)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637호(2008. 06. 17.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에 밀착되게 구조적으로 개선하여 자석의 자기력(磁氣力)을 통해 견고히 부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측면 보호대는 상부면에서 일정깊이까지 베어진 다수의 제 1 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 1 자석이 배치됨과 동시에 물리적 힘을 흡수하는 충격완화재와, 상기 다수의 홈에 삽입된 다수의 제 1 자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격완화재를 감싸는 부직포, 및 상기 충격완화재와 부직포에 물/습기를 비롯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싸는 합성수지외피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 및 볼록과 오목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된 차량측면에 밀착되게 자석의 자기력으로 부착하여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측면 보호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측면 보호대에 이탈방지끈이 더 구성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재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충격완화재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측면 보호대 구성도로서, 상기 차량측면 보호대(100)는 충격완화재(110)와 부직포(120) 및 합성수지외피(130)로 구성되며, 본 발명 차량측면 보호대(100)는 충격완화재(110)를 부직포(120)가 감싸고, 상기 부직포(120)를 합성수지외피(130)가 감싸는 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충격완화재(110)와 부직포(120) 및 합성수지외피(130)를 일부분만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측면 보호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완화재(110)와 부직포(120) 및 합성수지외피(130)에 이탈방지끈(1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충격완화재(110)는 상부면에서 일정깊이까지 베어진 다수의 제 1 틈(11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 1 자석(115)이 배치됨과 동시에 물리적 힘을 흡수한다.
즉, 상기 충격완화재(110)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틈(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차량측면 보호대(100)의 가로방향(길이방향)으로 베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길이방향)으로 베어져 형성되는 이유는 차량측면이 통상적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 및 볼록과 오목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런 형태에 맞게 차량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가로방향(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 1 틈(111)이 형성됨에 따라 쉽게 휨을 갖기 때문에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 및 볼록과 오목이 조합된 형태의 차량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방향(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 1 틈(11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과 교차하도록 일정깊이까지 베어진 다수의 제 2 틈(113)이 함께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컨대, 국내외 SUV(Sport Utility Vehicle)의 측면은 상당히 굴곡이 많은 형태로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SUV 측면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측면 보호대를 부착할 경우에 종래의 차량측면 보호대와 SUV 사이에 매우 많은 공간이 형성되어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자석의 자기력이 약해져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 또는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과 다수의 제 2 틈(113)이 함께 형성되면 휨이 좋아지기 때문에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 및 볼록과 오목이 조합된 형태의 차량측면에 보다 더 밀착되게 구성됨으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을 사선방향으로 형성하고 다수의 제 2 틈(113)을 상기 사선방향에 대해서 다수의 제 1 틈(111)과 교차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다수의 제 1 틈(111)과 다수의 제 2 틈(113)이 형성되면 충격완화재(110)는 휨이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작용함으로 볼록 또는 오목한 형태 및 볼록과 오목이 조합된 형태의 차량에 밀착된다.
결국, 가로방향(길이방향)이든 사선방향이든 충격완화재(110)는 다수의 제 1 틈(111)과 교차하도록 일정깊이까지 베어진 다수의 제 2 틈(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과 다수의 제 2 틈(113)은 끝단이 첨예하고 상기 첨예한 끝단부터 상부면까지 베어져 형성된 공간(114)의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과 다수의 제 2 틈(113)은 단면으로 살펴볼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A와 같이 볼록한 면을 갖는 차량측면은 공간(114)이 더 넓어지면서 차량A에 밀착되고, 차량B와 같이 오목한 면을 갖는 차량측면은 공간(114)이 좁아지면서 차량B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114)이 형성됨에 따라 오목한 차량측면 즉, 차량B와 같은 경우에 더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다음, 상기 충격완화재(110)는 상기 하부면에 일정깊이를 갖는 다수의 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홈(112) 각각에 상기 제 1 자석(115)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다수의 홈(112, 원형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홈(112) 각각에 제 1 자석(115)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틈(111) 또는 다수의 제 1 틈(111)과 다수의 제 2 틈(113)이 형성된 본 발명 차량측면 보호대(100)가 차량에 밀착되면 제 1 자석(115)에서 발생되는 자기력(磁氣力)에 의하여 차량에 부착된다.
이때, 종래의 자석을 이용한 차량측면 보호대는 두께가 얇은 자석을 단순히 배열한 것이어서 차량측면 부착시 자기력이 약하여 잘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은 일정깊이를 갖는 다수의 홈(112)이 상기 충격완화재(110)의 하부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일정깊이에 삽입될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제 1 자석(115)을 구비할 수 있음으로 종래의 차량측면 보호대 보다 강한 자기력이 발생되어 차량측면에 부착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충격완화재(110)는 스펀지, 고무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물리적 힘을 흡수하게 된다.
예컨대, 하차시 무의식중에 차량문을 순간적으로 강하게 열게 되면 옆 차량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데 이때 충격(물리적 힘)을 흡수함과 동시에 차량문을 열게 되는 과정에서 옆 차량에 흠집이 발생될 수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펀지, 합성수지, 고무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부직포(120)는 상기 다수의 홈(112) 각각에 삽입된 다수의 제 1 자석(115)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격완화재(110)를 감싼다.
즉, 상기 제 1 자석(115)은 다수의 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됨을 유지하지만 상기 제 1 자석(115)이 차량에 부착되고 분리되는 과정에서 자기력이 강하여 상기 다수의 홈(112)으로부터 자석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120)로 상기 충격완화재(110)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외피(130)는 충격완화재(110)와 부직포(120)에 물/습기를 비롯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싼다.
예컨대, 본 발명 차량측면 보호대(100)는 주행 중에도 사용할 수 있겠지만 보통은 주차 후 장착하고 주행시 탈착하는 것이 보통인데, 야외에 주차한 경우 비/눈과 같은 환경적인 상황을 비롯하여 사람에 의해서 음료수가 묻거나 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충격완화재(110)와 부직포(120)를 보호하기 위해서 최종적으로 합성수지외피(130)로 감싸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차량측면 보호대(100)를 구성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끈(140)을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상기 이탈방지끈(140)은 한 측은 합성수지외피(130)에 결합되고 다른 한 측은 차량 내부에 부착되는 제 2 자석(14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 자석(141)은 차량 내부의 금속성 프레임에 부착한 후 차량문을 닫으면 차량문과 자동차 본체 사이 틈에 걸리게 되어 혹시 차량측면 보호대(100)가 차량과 분리되어도 차량 내부에서 이탈방지끈(140)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을 방지한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측면 보호대 110 : 충격완화재
111 : 제 1 틈 112 : 홈
113 : 제 2 틈 114 : 공간
115 : 제 1 자석 120 : 부직포
130 : 합성수지외피 140 : 이탈방지끈
141 : 제 2 자석

Claims (5)

  1. 상부면에서 일정깊이까지 베어진 다수의 제 1 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의 제 1 자석이 배치됨과 동시에 물리적 힘을 흡수하며, 상기 다수의 제 1 틈과 교차하도록 일정깊이까지 베어진 다수의 제 2 틈이 형성된 충격완화재와;
    상기 다수의 홈에 삽입된 다수의 제 1 자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충격완화재를 감싸는 부직포; 및
    상기 충격완화재와 부직포에 물/습기를 비롯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싸는 합성수지외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측면 보호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측은 합성수지외피에 결합되고 다른 한 측은 차량 내부에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구비된 이탈방지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측면 보호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재는
    상기 하부면에 일정깊이를 갖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홈 각각에 상기 제 1 자석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측면 보호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틈은
    끝단이 첨예하고 상기 첨예한 끝단부터 상부면까지 베어져 형성되는 공간의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측면 보호대.
KR1020130044576A 2013-04-23 2013-04-23 차량측면 보호대 KR10131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576A KR101319653B1 (ko) 2013-04-23 2013-04-23 차량측면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576A KR101319653B1 (ko) 2013-04-23 2013-04-23 차량측면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653B1 true KR101319653B1 (ko) 2013-10-17

Family

ID=4963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576A KR101319653B1 (ko) 2013-04-23 2013-04-23 차량측면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57B1 (ko) * 2022-03-10 2022-07-14 경동물류(주) 지게차 후방 안전 보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24B1 (ko) * 2006-11-28 2008-01-02 조복성 자동차용 도어가드
KR200440637Y1 (ko) * 2007-06-22 2008-06-23 선거성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24B1 (ko) * 2006-11-28 2008-01-02 조복성 자동차용 도어가드
KR200440637Y1 (ko) * 2007-06-22 2008-06-23 선거성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57B1 (ko) * 2022-03-10 2022-07-14 경동물류(주) 지게차 후방 안전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601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6547316B2 (en) Fender panel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 having walker protection function
US7740294B2 (en) Protective vehicle cover
US20150123412A1 (en) Door guard for vehicle
US8702136B2 (en) Vehicle door protector
KR101319653B1 (ko) 차량측면 보호대
US20120227294A1 (en) Automobile Protection Device
KR101498525B1 (ko)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KR20120119701A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KR101653655B1 (ko) 자동차 도어 보호가드
KR102087262B1 (ko) 가드레일의 전이구간용 충격흡수장치
KR20060107483A (ko) 중앙분리대의 롤러형 완충장치
KR200494943Y1 (ko) 차량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가드
KR101140172B1 (ko) 차량의 임팩트패드용 발포 금형구조
CA2639844C (en) Removable resilient vehicle protection assembly
KR101802978B1 (ko) 자동차 외관 보호장치
KR200268107Y1 (ko) 도로용 안전 방호 휀스
KR100625287B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160085502A (ko)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의 모서리 케이스
KR200481638Y1 (ko) 차량용 보호 가드
KR101758480B1 (ko) 자동차용 도어
US20210155089A1 (en) Vehicle Glass Protective Cover
KR20060058255A (ko) 소음방지용 그레이팅 패드
KR20090097554A (ko) 주차장 자동차 보호 장치
CN207670356U (zh) 一种新型汽车保险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