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525B1 -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525B1
KR101498525B1 KR1020130092896A KR20130092896A KR101498525B1 KR 101498525 B1 KR101498525 B1 KR 101498525B1 KR 1020130092896 A KR1020130092896 A KR 1020130092896A KR 20130092896 A KR20130092896 A KR 20130092896A KR 101498525 B1 KR101498525 B1 KR 10149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ver
cover frame
protectiv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078A (ko
Inventor
영 현 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09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5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커버(1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00)는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프레임(110)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가장자리는 돌출되어 테두리(111)를 형성하고 외측면과 내측면의 테두리(111) 내측으로 피혁이나 직물 및 수지에서 선택되는 보호시트가 부착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휴대폰의 전면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커버의 외측면에 대한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형성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MOBILE PHONE CASE COVER}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케이스에 연결되면서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강도가 높고 미려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에 대해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휴대폰의 보호케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일단에는 휴대폰이 장착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를 개폐하여 휴대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살펴보면, 보호케이스(2)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서 휴대폰을 감싸듯이 장착할 수 있도록 되고, 커버(1)는 합성수지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의 앞면과 뒷면에 피혁이나 직물 또는 수지 등의 시트(3)가 부착되어 이 시트가 일체로서 보호케이스와 연결되어 보호케이스와 커버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합성수지재의 커버는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휴대폰에 다른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몸체 보다는 액정 화면이 있는 전면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 합성수지의 커버는 그러한 액정 화면을 보호하기에는 강도가 너무 약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휴대폰 보호케이스 및 커버의 조합은 다양한 디자인의 제공에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서 획일적인 디자인만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는 커버에 부착되는 피혁이나 직물 등의 시트가 보호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시트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커버의 일측면은 시트가 연결되는 형태가 획일화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시트에 변화를 줄 수 없으며, 특히 커버와 보호케이스가 단절된 독립적인 디자인을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폰의 앞면 즉, 액정화면 부분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커버가 독립적인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에 연결되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의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된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가장자리는 돌출되어 테두리를 형성하고 외측면과 내측면의 테두리 내측으로 피혁이나 직물 및 수지에서 선택되는 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의 중앙에는 공간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에 보강시트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시트의 내측면으로 비닐시트가 부착되고 그 내측면 및 커버 프레임의 외측면으로 보호시트가 각각 부착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프레임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유지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면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테두리의 단절된 외관에 의해 보다 뚜렷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독립적인 보호시트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내부 투시창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내부 투시창의 주연부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호시트가 부착되는 부분과 경계를 둘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보강시트는 지류 등에 의해 보다 가벼운 재질로 충진되어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보호시트에 의해 커버의 내측면에 포켓이 마련될 경우 포켓의 내면을 보호하여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 보호시트가 일 측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보호케이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 보호시트에 연결시트가 부착 연결되어 상기 보호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상기 연결시트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커버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가 제거된 형태로 된다.
또한, 상기 연결시트가 연결되어 겹쳐지는 부분에는 커버 프레임에 단턱이 형성되어 연결시트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커버 프레임에서, 내측면 보호시트와 연결시트가 겹쳐지는 부분에 접착층을 마련하고, 상기 내측면 보호시트와 연결시트가 겹쳐지는 부분을 상기 접착층에 대하여 봉재 처리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상기 접착층을 수용하기 위한 봉재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를 이루는 커버 프레임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커버 프레임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휴대폰의 앞면 즉, 액정화면 부분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내측면 보호시트가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연결되도록 하여, 커버 프레임의 테두리가 보호시트 및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단절된 듯한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커버가 독립적인 디자인을 갖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외측면 보호시트를 독립적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미려한 커버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버의 내측면 보호시트와 연결시트를 접착층과 더불어 봉재 처리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시트를 연결함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케이스 및 커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및 커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보호케이스의 연결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을 일례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버 프레임 내측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시트의 연결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C-C부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시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시트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 및 커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와 보호케이스의 연결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프레임의 내측면을 일례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커버 프레임 내측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케이스(200)용 커버(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프레임(11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외측면 보호시트(130)와 내측면 보호시트(14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보호케이스(200)와 연결시트(1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커버 프레임(110)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가장자리는 돌출되어 테두리(111)를 형성하고 외측면과 내측면의 테두리(111) 내측으로 각각 외측면 보호시트(130)와 내측면 보호시트(140)가 부착된다.
상기 보호시트는 피혁이나 직물, 수지 및 지류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10)에는 내부 투시창(112)을 비롯하여 휴대폰의 사양에 따라 필요한 여러 형상의 구멍들이 임의의 위치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측 및 내측 주연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외측면 및 내측면에 부착되는 외측면 보호시트(130)와 단절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커버 프레임의 중앙에는 공간부(113)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113)에 도 6에서와 같이 보강시트(150)가 매입 설치되며, 상기 보강시트(150)의 내측면으로 비닐시트(160)가 부착되고 그 내측면 및 커버 프레임(110)의 외측면으로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외측면 보호시트(130)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 보강시트(150)는 압축된 종이재를 사용하게 되며, 합성수지나 기타 경질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닐시트(160)는 커버의 내측면에 포켓이 형성될 경우 포켓에 출입되는 각종 재료에 의해 보강시트나 보호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커버(100)의 내측면 보호시트(140)는 더 연장되어 보호케이스(200)와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의 일 측 테두리가 없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내측면 보호시트(140)가 통과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내측면 보호시트(140)는 별도의 연결시트(170)에 의해 보호케이스(200)에 연결되는데, 이 연결시트(170)는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일 측에서 상기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겹쳐진 상태에서 접착 고정되어 연결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시트(170)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들로서, 우선 도 9를 살펴보면,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일 측 단부에 근접하여 봉재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가 부분적으로 겹쳐져서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봉재홈(114)에 놓이게 되는데, 이 때 봉재홈(114)에는 접착층(115)이 주입되어 경화되고, 이 접착층(115)에 대하여 상기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의 겹쳐진 부분을 봉재(180) 처리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접착층(115)에 대하여 봉재 처리하게 되면, 봉재선(180)에 의해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가 서로 긴밀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봉재홈(114)의 내부에서 경화된 접착층(115)에 의해 봉재선(180)이 또한 강하게 고정된 상태로 되어 연결시트(17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일 측 단부에는 단턱(1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턱(116)의 내측에는 봉재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가 부분적으로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에 놓여지게 되며, 이 때 봉재홈(114)에는 접착층(115)이 주입되어 경화되고 이 접착층(115)에 대하여 상기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의 겹쳐진 부분을 봉재(180)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연결시트(170)는 경화된 접착층(115)에 봉재선(180)이 지지되어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시트(170)의 연결 단부가 단턱(116)에 안착되어 내측면 보호시트(140)와의 겹쳐진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됨이 없이 평면적인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안정감 있는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에서와 같이 단턱(116)이 형성되어 이 단턱(116)에 연결시트(170)의 연결 단부가 안착되도록 한 것으로서 단지 별도의 봉재홈(114)이 없이 단턱(116)에 접착층(115)을 직접 형성하여 이 접착층(115)에 대해서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의 겹쳐진 부분을 봉재(180)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봉재선(180)은 접착층(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연결시트(170)의 연결 상태가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봉재 처리에 있어서 봉재선은 필요에 따라 두 줄 이상으로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프레임(110)에 대하여 연결시트(170)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면서, 커버 프레임(110)의 외곽선을 살려서 연결시트와 단절된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측으로 부착되는 보호시트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특히 커버 프레임이나 보호시트 및 연결시트 등의 구성은 적용되는 휴대폰의 사양이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 커버 200 ; 보호케이스
110 ; 커버 프레임 111 ; 테두리
112 ; 내부 투시창 113 ; 공간부
114 ; 봉재홈 115 ; 접착층
116 ; 단턱 130 ; 외측면 보호시트
140 ; 내측면 보호시트 150 ; 보강시트
160 ; 비닐시트 170 ; 연결시트

Claims (10)

  1. 휴대폰 보호케이스와 상기 보호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커버(1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00)는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보호시트가 부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된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프레임(110)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가장자리는 돌출되어 테두리(111)를 형성하고 외측면과 내측면의 테두리(111) 내측으로 피혁이나 직물 및 수지에서 선택되는 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10)의 중앙에는 공간부(113)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113)에 보강시트(150)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시트(150)의 내측면으로 비닐시트(160)가 부착되고 그 내측면 및 커버 프레임(110)의 외측면으로 보호시트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보호시트(140)에 연결시트(170)가 부착 연결되어 상기 보호케이스(20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시트(17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 테두리가 제거된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보호시트(140)에 연결시트(170)가 부착 연결되어 상기 보호케이스(200)에 연결되도록 되고, 상기 연결시트(170)가 연결되어 겹쳐지는 부분에는 커버 프레임(110)에 단턱(116)이 형성되어 연결시트(17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에서,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가 겹쳐지는 부분에 접착층(115)을 마련하고, 상기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가 겹쳐지는 부분을 상기 접착층(115)에 대하여 봉재 처리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에는 상기 접착층(115)을 수용하기 위한 봉재홈(114)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10)의 내측면 보호시트(140)에 연결시트(170)가 부착 연결되어 상기 보호케이스(200)에 연결되도록 되고, 상기 연결시트(170)가 연결되어 겹쳐지는 부분에는 커버 프레임(110)에 단턱(116)이 형성되어 연결시트(170)의 단부를 수용토록 하며, 상기 단턱(116)의 일단에는 봉재홈(114)이 형성되고 이 봉재홈(114)에 접착층(115)이 마련되어 상기 내측면 보호시트(140)와 연결시트(170)의 겹쳐진 부분을 상기 접착층(115)에 봉재 처리하여 고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용 커버.

KR1020130092896A 2013-08-06 2013-08-06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KR10149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896A KR101498525B1 (ko) 2013-08-06 2013-08-06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896A KR101498525B1 (ko) 2013-08-06 2013-08-06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078A KR20150017078A (ko) 2015-02-16
KR101498525B1 true KR101498525B1 (ko) 2015-03-26

Family

ID=5304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896A KR101498525B1 (ko) 2013-08-06 2013-08-06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140B (en) * 2015-07-02 2019-06-19 Panasonic Ip Man Co Ltd Cover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2386034B1 (ko) 2015-10-13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된 외부 하우징의 제조 방법
USD934556S1 (en) 2018-12-18 2021-11-02 Brian Eremita Fitted cellular phone case
USD934221S1 (en) 2018-12-26 2021-10-26 Brian Eremita Fitted accessible case for a cellular phone
USD934557S1 (en) 2018-12-26 2021-11-02 Brian Eremita Fitted cellular phone c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35A (ko) * 2010-05-11 2011-11-17 (주)금오전자 휴대폰 케이스
KR20120117367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포레스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07073B1 (ko) 2013-02-28 2013-09-11 정선희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35A (ko) * 2010-05-11 2011-11-17 (주)금오전자 휴대폰 케이스
KR20120117367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포레스코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07073B1 (ko) 2013-02-28 2013-09-11 정선희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078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525B1 (ko) 휴대폰 케이스용 커버
CN107205533B (zh) 用于壳体端口的桥形加强件
CN204906449U (zh) 便携式电子设备用保护件
US8465053B2 (en) Protective shield
CA2814672A1 (en) Flexible impact protective cases and methods of making
US20140202603A1 (en) Golf club head cover
KR200465844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5114U (ko) 차량용 도어 보호대
US9196229B1 (en) Piano desk cover
CN105996372A (zh) 二合一防摔防滑的手机保护套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471119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91657Y1 (ko) 호환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1415307B1 (ko)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US1098789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US20180118296A1 (en) Motorcycle retractable top
KR200491910Y1 (ko) 자석 착탈형 앨범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KR101703035B1 (ko) 탈부착이 용이한 포켓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0476086Y1 (ko) 탈착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2022337B1 (ko) 휴대폰 부착용 카드 케이스
KR20140001672U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7229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2012199773A (ja) 電子機器用カバー部材および電池蓋
JP3132461U (ja) 液晶テレビ画面用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