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07B1 -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07B1
KR101415307B1 KR1020120150193A KR20120150193A KR101415307B1 KR 101415307 B1 KR101415307 B1 KR 101415307B1 KR 1020120150193 A KR1020120150193 A KR 1020120150193A KR 20120150193 A KR20120150193 A KR 20120150193A KR 101415307 B1 KR101415307 B1 KR 10141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martphone
supporting
memory foam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955A (ko
Inventor
곽진
권민석
류호석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3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X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은 스마트폰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의 중앙부에 각각 제 1힌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1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높고 타측부는 낮은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2프레임은 스마트폰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의 중앙부에 각각 제 2힌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2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낮고 타측부는 높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SMART PHONE CASE USING MEMORY FOAM}
본 발명은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폼의 특성상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대로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하여 만족스러운 그립감을 제고할 수 있고, 뛰어난 충격흡수성을 통해 외부로부터 충격을 완화시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스마트폰이 도입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사용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스마트폰이 증가함에 따라 개성이 강한 현대인들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액세서리 등을 통하여 개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액세서리에 대한 시장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폰 액세서리는 휴대전화 고리, 플라스틱 케이스 정도가 전부였다. 하지만 가죽케이스, 보호필름, 배터리, 이어폰 등 종류가 다양해졌다. 이를 통하여 스마트폰이 나오기 이전의 새로운 액세서리 시장이 열리게 되었다.
그 중 스마트폰 케이스는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스마트폰 케이스를 사용하여도 떨어트릴 경우 디스플레이가 파손되어 수리비용이 막대하게 소비된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 딱딱하고 손에 불편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장기간동안 사용되면 외형 변형이 쉽게 되어 보호 기능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도록 한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폼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외형적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X자 프레임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X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프레임은 스마트폰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의 중앙부에 각각 제 1힌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1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높고 타측부는 낮은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2프레임은 스마트폰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의 중앙부에 각각 제 2힌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2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낮고 타측부는 높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에서, 높은 쪽에 위치한 일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면을 지지하는 제 1상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고, 낮은 쪽에 위치하는 타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 1하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에서, 낮은 쪽에 위치한 일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 2하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고, 높은 쪽에 위치하는 타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면을 지지하는 제 2상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프레임의 제 1힌지부가 제 2프레임의 제 2힌지부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메모리폼 재질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폼 재질의 사용으로 높은 충격 흡수력을 얻을 수 있고, X자 프레임 형태를 통해 사용자 손모양의 형태의 기억과 외형 변형에 따른 보호 기능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는 안전성과 편리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1. 안전성 : 메모리폼의 특징 중 하나인 충격 흡수 능력은 값 비싼 스마트폰을 외부보호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메모리폼의 개발 배경 자체가 우주비행사들의 충격 완화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큰 충격에도 95%에 가까운 충격 흡수율을 보여준다. 이는 기존의 충격 흡수 전용케이스보다 가볍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X자 프레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스마트폰의 오랜 장착으로 인한 외형 변형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제공한다.
2. 편리성 :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 때 그립감이 좋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는 대로 형태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사용하면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며, 장시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손의 피로감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X자 프레임 형태를 사용하여 탈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와 스마트폰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에 형태에 대응하도록 메모리폼의 보호 소재로 채택되었으며, 상기 스마트폰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마트폰의 상하부와 양측면부를 감싸는 구조이며, 스마트폰 양측면부에 위치하는 키의 작동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메모리폼은 사용자에게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는데, 이를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여 충격 흡수 등 사용자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손을 쥐었을 때 압력을 가하는 대로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그립감을 제공한다. 이를 사용하면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 것이며,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 손의 피로감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기존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따른 알맞은 크기를 제작하여 판매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오래 사용할 경우 외형 변형으로 인한 보호 기능 상실이라는 단점을 지닌다. 하지만 본 발명은 메모리폼을 통한 X자 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하며, 외형적으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방식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와 스마트폰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1)는 메모리폼 재질로 프레임을 형성한 것으로서, 케이스(1)의 내부에 스마트폰(3)을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스마트폰(3)을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는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이 펼쳐진 상태에서 X자 형상으로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스(1)의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을 X자 형태로 펼친 상태에서 그 내부로 스마트폰을 밀어넣은 후에, 다시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의 양단부를 누르면 스마트폰(3)이 도 1과 같이 장착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케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는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프레임(10)은 스마트폰(3)의 형상과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는데, 스마트폰(3)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10)의 중앙부에 각각 제 1힌지부(11a, 11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프레임(10)은 각각의 제 1힌지부(11a, 11b)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높고 타측부는 낮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스마트폰(3)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10)에서, 높은 쪽에 위치한 일측부에는 스마트폰(3)의 일측부 디스플레이면을 지지하는 제 1상부받침턱(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낮은 쪽에 위치하는 타측부에는 스마트폰(3)의 타측부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 1하부받침턱(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프레임(20)은 스마트폰(3)의 형상과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는데, 스마트폰(3)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20)의 중앙부에 각각 제 2힌지부(21a, 21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프레임(20)은 각각의 제 2힌지부(21a, 21b)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낮고 타측부는 높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스마트폰(3)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20)에서, 낮은 쪽에 위치한 일측부에는 스마트폰(3)의 일측부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 2하부받침턱(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높은 쪽에 위치하는 타측부에는 스마트폰(3)의 타측부 디스플레이면을 지지하는 제 2상부받침턱(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은 X형상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 1프레임(10)의 제 1힌지부(11a, 11b)가 제 2프레임(20)의 제 2힌지부(21a, 21b)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힌지핀(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은 메모리폼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프레임의 보강을 위하여 보강부재(30)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0)는 철심 또는 얇은 판재가 될 수 있지만, 그 재질이나 형상은 선택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3)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케이스(1)를 X자 형태로 펼치게 된다. 그러면,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펼쳐지게 되고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의 사이의 일측부를 통해 스마트폰(3)을 삽입하여 케이스(1)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1프레임(10)과 제 2프레임(20)의 양측부를 상호간에 서로 압입하여 누르게 되면,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이 닫히게 되고, 스마트폰(3)이 케이스(1) 내부에 장착되게 된다.
이렇게 장착된 스마트폰(3)은 메모리폼 재질의 케이스(1)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를 받을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 항상 용이하게 탈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케이스 3: 스마트폰
10: 제 1프레임 11a, 11b: 제 1힌지부
15: 제 1하부받침턱 17: 제 1상부받침턱
20: 제 2프레임 21a, 21b: 제 2힌지부
25: 제 2하부받침턱 27: 제 2상부받침턱
30: 보강부재 31: 힌지핀

Claims (4)

  1. 스마트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X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 1프레임 및 제 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은 메모리폼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 1프레임은 스마트폰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의 중앙부에 각각 제 1힌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1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높고 타측부는 낮은 프레임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프레임은 스마트폰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의 중앙부에 각각 제 2힌지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2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는 낮고 타측부는 높은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마트폰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 1프레임에서, 높은 쪽에 위치한 일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면을 지지하는 제 1상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고, 낮은 쪽에 위치하는 타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 1하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제 2프레임에서, 낮은 쪽에 위치한 일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 2하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고, 높은 쪽에 위치하는 타측부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면을 지지하는 제 2상부받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의 제 1힌지부가 제 2프레임의 제 2힌지부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의 내부에는 보강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20150193A 2012-12-21 2012-12-21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1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93A KR101415307B1 (ko) 2012-12-21 2012-12-21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93A KR101415307B1 (ko) 2012-12-21 2012-12-21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955A KR20140081955A (ko) 2014-07-02
KR101415307B1 true KR101415307B1 (ko) 2014-07-07

Family

ID=5173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193A KR101415307B1 (ko) 2012-12-21 2012-12-21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557Y1 (ko) 2015-04-10 2016-06-08 조익상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19U (ko) * 1998-09-29 1998-12-05 양영석 신축성 핸드폰 케이스
JP2001258629A (ja) 2000-03-21 2001-09-25 Niikura Seisakusho:Kk 袋物用の口金
JP2001286320A (ja) * 2000-04-07 2001-10-16 Cre Art Inc スタンド機能付き収納ケース
KR101118708B1 (ko) 2010-07-16 2012-02-28 (주)중앙티앤씨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19U (ko) * 1998-09-29 1998-12-05 양영석 신축성 핸드폰 케이스
JP2001258629A (ja) 2000-03-21 2001-09-25 Niikura Seisakusho:Kk 袋物用の口金
JP2001286320A (ja) * 2000-04-07 2001-10-16 Cre Art Inc スタンド機能付き収納ケース
KR101118708B1 (ko) 2010-07-16 2012-02-28 (주)중앙티앤씨 휴대폰용 범퍼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557Y1 (ko) 2015-04-10 2016-06-08 조익상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955A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038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65394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KR101263014B1 (ko) 에어 쿠션이 장착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101415307B1 (ko)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3279Y1 (ko) 보강구조를 가지는 휴대폰 보호용 커버
KR200472846Y1 (ko) 스티치를 갖는 가죽베이스가 일체로 결합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239281B1 (ko) 완충부재와 장식부재가 분리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622775B1 (ko) 이어폰 고정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CN105996372A (zh) 二合一防摔防滑的手机保护套
CN202818418U (zh) 手机趣味护角套
KR200461407Y1 (ko) 휴대폰 케이스
CN108008532A (zh) Vr眼镜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180083496A (ko) 휴대전화 파손 방지 케이스
KR20130001381U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CN204859273U (zh) 超薄软胶气囊手机保护套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KR101474960B1 (ko) 핸드폰 케이스
KR20200076898A (ko) 스마트폰 케이스
CN206686242U (zh) 一种新型超薄二合一手机壳
JP3185351U (ja) 携帯端末用保護ケース
CN102763960A (zh) 减震手机套
CN209517269U (zh) 一种结构改良的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