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57Y1 -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57Y1
KR200480557Y1 KR2020150002330U KR20150002330U KR200480557Y1 KR 200480557 Y1 KR200480557 Y1 KR 200480557Y1 KR 2020150002330 U KR2020150002330 U KR 2020150002330U KR 20150002330 U KR20150002330 U KR 20150002330U KR 200480557 Y1 KR200480557 Y1 KR 200480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fitting
fitting protrusion
fitti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익상
Original Assignee
조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익상 filed Critical 조익상
Priority to KR2020150002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측면부를 둘러싸는 내부 보호 부재 및 내부 보호 부재의 측면을 파지하도록 둘러싸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형성된 외부 보호 부재를 포함하되,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 결합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스윙(swing) 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MOBILE PROTECTION CASE}
본 고안은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는 손에 들기 편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전화뿐만 아니라 정보처리도 가능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전면을 크게 차지하는 형태의 모바일 기기들이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고 나오고 있다.
또한, 모바일 컨텐츠 산업이 발달하면서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수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야외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회사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횟수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휴대하기 쉽도록 가볍고 얇은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 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성이 크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보호하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을 가진 케이스가 나오고 있으나, 이러한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는 외부의 충격이나 파손 위험을 줄이는 기능만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모바일 기기로 컨텐츠를 편리하게 사용하거나 감상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해야 한다. 다만, 종래에는 선행기술과 같이 핸드폰에 결합시켜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핸드폰으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모바일 기기에서 적용되는 보호 케이스 중에서 거치 기능할 수 있는 제품도 있으나, 전면의 디스플레이를 가리는 부분을 접어 이용하는 것으로 무거울 뿐만 아니라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는 거치 기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1631호 2005. 9. 15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기기를 2 중으로 보호하면서 구성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효과적으로 세우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측면부를 둘러싸는 내부 보호 부재 및 상기 내부 보호 부재의 측면을 파지하도록 둘러싸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형성된 외부 보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스윙(swing)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제1 끼움홀, 상기 제1 끼움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끼움돌기의 이동로가 이동하는 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의 일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상기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상기 제1 끼움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내부 보호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끼움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만입되는 복수 개의 만입홀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만입홀 사이에 상기 끼움돌기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돌기부에 걸려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 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중첩되는 단부가 상기 내부 보호 부재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보호 부재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모바일 기기에 밀착되는 연성의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보호 부재는 상기 내부 보호 부재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밀착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외부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모바일 기기의 전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를 간편하게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다.
또한, 2 중으로 둘러싸는 케이스 구성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손상없이 모바일 기기를 지지하고 세울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부 보호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외부 보호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2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끼움돌기와 끼움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결합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내부 보호 부재,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결합상태 일례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내부 보호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외부 보호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모바일 기기(M)의 외면에 가해지는 손상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모바일 기기(M)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보호한다.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모바일 기기(M)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는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폰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가 전면에 구비된 모바일 전자 기기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내부 보호 부재(10)와 외부 보호 부재(100)로 구성되어 모바일 기기(M)를 2중으로 보호한다.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의 후면부와 측면부를 둘러싸며 보호한다. 그러나,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만 둘러싸며 보호할 수도 있다. 외부 보호 부재(100)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내부 보호 부재(10)를 지지한다. 특히, 외부 보호 부재(10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구성되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결합 형태를 변화시켜 모바일 기기(M)가 세워지도록 지지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와 후면부에 접하면서 둘러싼다. 다만,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모바일 기기(M)의 전면부는 측면부와 인접한 전면부의 외곽 둘레만 내부 보호 부재(10)가 둘러싼다. 또한,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에서 카메라 창 또는 충전 커넥터 등과 같은 외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내부 보호 부재(1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고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에 밀착되게 부착되나, 약한 힘으로도 쉽게 모바일 기기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모바일 기기(M)의 후면부와 측면부에 가해지는 외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M)의 전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모바일 기기(M)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는 모바일 기기(M)와 외부 보호 부재(100)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한다.
내부 보호 부재(10)는 전면 보호부(11), 측면 보호부(13) 및 후면 보호부(15)를 포함하며,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전면 보호부(11)는 얇은 판형의 띠로, 모바일 기기(M)의 전면부의 외곽 둘레를 둘러싼다. 후면 보호부(15)는 얇은 판형으로 모바일 기기(M)의 후면부 전체를 덮는다. 측면 보호부(13)는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5)를 연결하면서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를 둘러싸며,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를 그대로 본 딴 형태를 가진다.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5)는 외부 보호 부재(100)의 전면 및 후면를 덮도록 연장된다. 측면 보호부(13)는 외부 보호 부재(100)와 결합되는 결합홈(17)이 측면보호부와 전면 보호부(11) 사이와 측면 보호부(13)와 후면 보호부(15)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외부 보호 부재(100)는 결합홈(17)에 끼워져 내부 보호 부재(10)와 결합된다. 특히, 결합홈(17)은 전면 보호부(11) 및 후면 보호부(15)와 측면 보호부(13)가 각각 연결되는 곳에 외부 보호 부재(100)가 끼워지도록 측면 보호부(13)의 전체 둘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 보호 부재(10)는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와 후면부가 보호되도록 둘러싸면서, 내부 보호 부재(10)와 결합되는 외부 보호 부재(100)의 전면과 후면을 덮어 보호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보호 부재(100)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을 파지하도록 둘러싼다. 이에,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에 결합되어 내부 보호 부재(10)를 지지한다. 외부 보호 부재(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모바일 기기(M)를 세워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단단한 재질로, 복합 재질일 수 있다.
외부 보호 부재(10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가 결합되어 각 측면이 모두 연결된 폐회로 형태를 가진다. 다만,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서로 마주하여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을 둘러싸며,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각 단부가 서로 중첩되어 내부 보호 부재(10)의 각 측면을 둘러싼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기기(M)의 형태에 따라 내부 보호 부재(10),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형태는 ㄷ 자형에 국한되지 않고 일측면이 개방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보호 부재(10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와의 결합 형태를 변화시켜 모바일 기기(M)가 세워지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힌지 결합되며,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 중 어느 하나가 스윙(SWING) 운동을 한다. 이에,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사이의 각도를 조절되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사이의 결합 형태를 변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제1 부재(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제2 부재(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는 일측이 내부 보호 부재(10)의 일측면에 접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각 단부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일측면에 인접하는 타측면들의 일부면을 둘러싼다.
제1 부재(110)는 제1 전면부(110a), 제1 측면부(110b) 및 제1 후면부(110c)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측면부(110b)는 내측면이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전면부(110a)와 제1 후면부(110c)는 제1 측면부(110b)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전면부(110a)와 제1 후면부(110c)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에 형성된 결합홈(17)에 삽입되어 제1 부재(110)와 내부 보호 부재(10)를 결합시킨다.
또한, 제1 부재(110)는 제2 부재의 끝단면과 만나는 면에 체결홈(115)이 형성된다. 체결홈(115)은 제2 부재의 끝단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29)와 결합된다. 이에,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효과적으로 고정 결합된다.
제1 부재(110)의 각 단부의 일측에는 끼움돌기(113)가 형성된다. 끼움돌기(113)는 제2 부재(120)의 단부를 향해 돌출된다. 끼움돌기(113)는 그 단면이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일변이 인접한 다른 변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끼움돌기(113)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때, 처음 위치와 회전된 위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끼움돌기(113)가 처음 위치를 중심으로 45°회전하면, 처음 위치에서 끼움돌기(113)의 둘레변과 45°위치에서 끼움돌기(113)의 둘레변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끼움홀(121)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13)를 회전각마다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부재(120)는 제1 부재(110)와 마주하며 내부 보호 부재(10)에 결합된다. 즉, 일측이 내부 보호 부재(10)의 일측에 마주하는 타측면에 접하고,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각 단부는 인접하는 타측면들의 일부면을 둘러싼다.
제2 부재(120)는 제2 전면부(120a), 제2 측면부(120b) 및 제2 후면부(120c)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측면부(120b)는 내측면이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2 전면부(120a)와 제2 후면부(120c)는 제2 측면부(120b)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전면부(120a)와 제2 후면부(120c)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에 형성된 결합홈(17)에 삽입되어 제2 부재(120)와 내부 보호 부재(10)를 결합시킨다. 또한, 제2 부재(120)의 끝단면에는 제1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홈(115)를 향하여 돌출된 체결돌기(129)가 형성된다.
제2 부재(120)의 각 단부의 일측에는 끼움홀(121)이 형성된다. 끼움홀(121)은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삽입되어 이동하거나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끼움홀(121)은 끼움돌기(113)가 담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단부를 벗어나 돌출되지 않도록 끼움홀(121)의 외형에 맞도록 끼움돌기(11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끼움홀(121)에 삽입된 끼움돌기(113)의 외면과 제2 부재(120)의 외면이 동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홀(121)은 제1 끼움홀(123), 이동홀(125) 및 제2 끼움홀(127)을 포함하며,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 끼움홀(123)은 제1 끼움홀(123), 이동홀(125) 및 제2 끼움홀(127) 중에서 제2 부재(120)의 단부의 가장 끝에 위치하며, 끼움돌기(113)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끼움홀(12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만입되는 복수 개의 만입홀(128)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만입홀(128) 사이에 끼움돌기(113)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124)가 형성된다. 특히, 만입홀(128)은 제1 끼움홀(123)을 n개(n은 0이 아닌 자연수)로 방사 분할하여 끼움돌기(113)가 n번 회전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끼움돌기(113)가 회전할 각도를 정하여 제1 끼움홀(123)을 분할하여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제1 끼움홀(123)은 일변이 인접한 다른 일변보다 긴 끼움돌기(113)가 45°마다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내측면을 45°마다 끼움돌기(113)의 둘레면을 따라 만입홀(128)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끼움홀(123)은 끼움돌기(113)가 회전시 고정되지 않는 단순한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홀(125)은 제1 끼움홀(123)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끼움돌기(113)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동홀(125)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사이의 이동 거리에 따라 연장되는 길이가 달라진다. 또한, 이동홀(125)의 연장 방향도 제1 부재(110) 또는 제2 부재(1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홀(125)은 제2 부재(120)의 단부가 위치한 모바일 기기(M)의 일변의 방향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홀(127)은 이동홀(125)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끼움돌기(113)와 결합된다. 제2 끼움홀(127)은 제1 끼움홀(123), 이동홀(125) 및 제2 끼움홀(127) 중에서 제2 부재(120)의 단부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 즉, 제2 끼움홀(127)은 이동홀(125)을 중심으로 제1 끼움홀(123)에 맞은 편에 위치한다. 이에, 끼움돌기(113)는 이동홀(125)을 따라 제1 끼움홀(123)과 제2 끼움홀(127) 사이를 이동한다. 제2 끼움홀(127)은 끼움돌기(113)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끼움돌기(113)의 둘레변을 따라 내측면이 형성된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2 끼움홀(127)은 끼움돌기(113)가 회전가능하도록 제1 끼움홀(123)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와 제2 부재(120)의 끼움홀(121)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결합시키고, 서로 결합된 채로 내부 보호 부재(10)의 외측으로 제1 부재(110)가 이동하도록 하고, 제1 외부 보호부재가 끼움돌기(11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끼움돌기(113)와 끼움홀(121)의 결합 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외부 보호 부재(100)의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의 끼움돌기(113)와 끼움홀(12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도 7은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2 끼움홀(127)에 결합된 상태이다. 제2 부재(120)의 가장 안측에 위치한 제2 끼움홀(127)에 끼움돌기(113)가 결합되면, 외부 보호 부재(100)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보호부의 모든 면에 접하면서 둘러싼다. 이에 외부 보호 부재(100)는 내부 보호 부재(10)를 둘러싸며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M)를 보호하는 케이스 형태를 가진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1 끼움홀(123)에 결합된 상태이다. 끼움돌기(113)는 이동홀(125)을 따라 제1 끼움홀(123)로 이동함으로써, 제1 부재(110)를 이동시킨다. 이에, 제1 부재(110)의 일측은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와 떨어지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1 끼움홀(123)에서 90°회전한 상태이다. 끼움돌기(113)가 이동홀(125)을 거쳐 제1 끼움홀(123)에 결합된 원상태에서 90°회전되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90°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는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1 끼움홀(123)에서 135°회전한 상태이다. 끼움돌기(113)가 이동홀(125)을 거쳐 제1 끼움홀(123)에 결합된 원상태에서 135°회전되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45°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끼움돌기(113)와 끼움홀(121)을 이용하여 제1 부재(110)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특히, 제1 부재(110)를 회전시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부재(110)는 모바일 기기(M)의 뒤로 이동되어 모바일을 세워 지지한다.
다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전면 보호부(11)와 후면 보호부(15)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각 전면부(110a,120a)와 후면부110c,120c)를 덮는다. 따라서, 제1 부재(110)가 회전하면 후면 보호부(15)에 걸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제1 부재(110)의 단부와 제2 부재(120)의 단부는 아래와 같이 결합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결합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의 내부 보호 부재(10),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결합상태 일례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각단부가 중첩되는 데, 제1 부재(110)와 중첩되는 제2 부재(120)의 단부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각 단부가 중첩되어 결합되더라도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각 측면은 어긋남없이 각각 동일면상에 형성된다.
특히,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각 단부는 중첩되는 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가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제2 부재(120)와 제1 부재(110)가 중첩되는 단부의 두께는 중첩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보다 더 얇게 형성되며,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경사면을 가진 경사 구간(X11 , X21), 경사 구간의 전방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제1 수평 구간(X12 , X22), 및 경사 구간의 후방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제2 수평 구간(X13 , X23)을 포함한다.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 구간(X12)은 제2 부재(120)의 제2 수평 구간(X23)과 맞물리며, 제1 부재(110)의 제2 수평 구간(X13)은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구간(X22)과 맞물린다.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 구간(X12)에 끼움돌기(113)가 형성되며,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 구간(X12)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H11)가 제2 수평구간(X13)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H12)보다 두껍다. 따라서, 제1 부재(110)의 경사 구간(X11)은 제1 수평 구간(X12)에서 제2 수평 구간(X13)으로 갈수록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가 점점 얇아진다.
제2 부재(120)의 제2 수평 구간(X23)은 제2 끼움홀(127)이 형성되며,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된다.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구간(X22)은 제1 끼움홀(123)이 형성되며,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두께가 제2 수평구간(X23)보다 두껍다. 따라서, 제2 부재(120)의 경사구간(X21)은 제2 수평구간(X23)에서 제1 수평구간(X22)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진다. 제2 부재(120)에 형성된 이동홀(125)은 제1 끼움홀(123)과 제2 끼움홀(127)을 연결하는 통로이므로, 제1 수평구간(X22)과 경사구간(X21)을 거쳐 제2 수평구간(X23)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돌기(113)가 제2 끼움홀(127)에 결합되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단부가 맞물려 중첩되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가 180°각을 이루면서 동일면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1 끼움홀(123)과 결합되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구간(X12)이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 구간(X22) 위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부재(110)는 이동홀(125)을 따라 끼움돌기(113)가 이동한 만큼 이동되며,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구간(X22)의 두께와 제2 수평구간(X23)의 두께의 차이만큼 제1 부재(110)의 내측면의 위치가 변화한다.
또한,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1 끼움홀(123)에서 90°회전하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구간(X12)이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 구간(X22) 위에서 90°회전한다. 즉, 제1 부재(110)가 90°회전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는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구간(X12)의 거리가 제2 부재(120)의 제2 전면부(120a)의 외측면와 제2 후면부(120c)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제2 부재(120)의 제2 후면부(120c)의 외측면의 위치에는 제1 부재(110)의 경사 구간(X11) 또는 제2 수평 구간(X13)이 지나가게 된다.
제1 부재(110)는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구간(X12)의 두께(H11)와 제2 수평구간(X13)의 두께(H12) 차이가 제2 부재(120)의 내측부터 내부 보호 부재(10)의 후면 보호부(15)의 끝단까지의 높이(L)와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구간(X22)의 두께(H21) 차이보다 크게 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부재(110)가 회전할 때 내부 보호 부재(10)의 후면 보호부(1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내부 보호 부재(10)의 후면 보호부(15)가 외부 보호 부재(100)의 후면을 덮기 때문에, 내부 보호 부재(10)의 후면 보호부의 높이(L)가 제2 부재(120)의 제1 수평구간(X22)의 두께보다 더 높아서 제1 부재(110)가 회전시 걸릴 수 있는 데, 제1 부재(110)는 제1 부재(110)의 제1 수평구간(X12)의 두께와 제2 수평구간(X13)의 두께 차이가 크면 내부 보호 부재(10)의 후면 보호부(15)에 걸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모바일 기기(M)를 둘러싸는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와 결합된 외부 보호 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구성되어 내부 보호 부재(10)의 측면 보호부(13)를 지지하거나, 모바일 기기(M)가 세워지도록 지지한다.
이 하에서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의 작동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도 1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M)를 손에 들고 다니거나 보관을 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보호 케이스는 일반적인 밀페형의 케이스 형태를 가진다. 즉,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제1 부재(110) 단부와 제2 부재(120) 단부가 맞물려 중첩된 상태로 내부 보호 부재(10)에 결합되어 모바일 기기(M)를 둘러싸고 지지한다.
모바일 기기(M)를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부재(110)를 내부 보호 부재(10)와 일측면이 떨어지도록 이동시킨 후 회전시켜 모바일 기기(M)가 제1 부재(110)에 의해 세워 지탱하도록 한다.
특히,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가 제2 부재(120)의 제1 끼움홀(123)에서 다양한 각도를 회전되고 고정됨에 따라 제1 부재(110)는 제2 부재(120)와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모바일 기기(M)를 세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1)는 끼움돌기(113)가 형성된 제1 부재(110)가 이동하고 회전하여 제2 부재(120)와 다양한 각도를 형성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하고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110)의 단부가 내부 보호 부재(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면, 제2 부재(120)를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부재(110)의 끼움돌기(113)를 고정시킨 후, 끼움홀(121)이 이동하고 회전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모바일 기기
10: 내부 보호 부재
11: 전면 보호부 13: 측면 보호부
15: 후면 보호부
100: 외부 보호 부재
110: 제1 부재
113: 끼움돌기 115: 체결홈
120: 제2 부재
121: 끼움홀
123: 제1 끼움홀 125: 이동홀
127: 제2 끼움홀
129: 체결돌기

Claims (7)

  1. 모바일 기기의 측면부를 둘러싸는 내부 보호 부재; 및
    상기 내부 보호 부재의 측면을 파지하도록 둘러싸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형성된 외부 보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가 스윙(swing) 운동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를 향하여 돌출된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끼움돌기와 힌지 결합되는 제1 끼움홀, 상기 제1 끼움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끼움돌기의 이동로가 되는 이동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일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상기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이동홀을 따라 상기 제1 끼움홀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내부 보호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끼움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만입되는 복수 개의 만입홀을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만입홀 사이에 상기 끼움돌기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돌기부에 걸려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 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중첩되는 단부가 상기 내부 보호 부재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호 부재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모바일 기기에 밀착되는 연성의 가요성 재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호 부재는 상기 내부 보호 부재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밀착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성의 재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KR2020150002330U 2015-04-10 2015-04-10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KR200480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30U KR200480557Y1 (ko) 2015-04-10 2015-04-10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30U KR200480557Y1 (ko) 2015-04-10 2015-04-10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57Y1 true KR200480557Y1 (ko) 2016-06-08

Family

ID=5613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30U KR200480557Y1 (ko) 2015-04-10 2015-04-10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5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81B1 (ko) * 2012-09-27 2013-03-06 영광정공(주) 완충부재와 장식부재가 분리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15307B1 (ko) 2012-12-21 2014-07-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81B1 (ko) * 2012-09-27 2013-03-06 영광정공(주) 완충부재와 장식부재가 분리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15307B1 (ko) 2012-12-21 2014-07-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메모리폼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5778B2 (en) Hinge and mobile terminal
US10064298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9007300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1735010B1 (ko) 링 케이스
KR102305923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2017028568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70290177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3180649B1 (en) Compact folding architecture for head mounted device
KR101452868B1 (ko)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6022B1 (ko) 사이드 커버가 회전하는 폴드 케이스
US8805461B2 (en)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devices
KR200496143Y1 (ko) 폴더블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유닛
KR20230087415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US11770150B2 (en) Mobile phone shell with camera protection device
KR20210101863A (ko) 폴더블 장치용 보호 케이스
KR200480557Y1 (ko) 모바일 기기 보호 케이스
US10355733B2 (en) Protectiv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1622775B1 (ko) 이어폰 고정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JP436696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2498795B1 (ko) 롤러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KR101402087B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43003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2544188B1 (ko) 폴더블 힌지 결합 구조를 갖는 모바일 단말 보호용 케이스
KR200427212Y1 (ko) 이동기기 케이스 구조
CN220173297U (zh) 一种防遮挡镜头支架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