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415A -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415A
KR20230087415A KR1020230037610A KR20230037610A KR20230087415A KR 20230087415 A KR20230087415 A KR 20230087415A KR 1020230037610 A KR1020230037610 A KR 1020230037610A KR 20230037610 A KR20230037610 A KR 20230037610A KR 20230087415 A KR20230087415 A KR 2023008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exible display
disposed
suppor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규
유준선
Original Assignee
유상규
유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규, 유준선 filed Critical 유상규
Publication of KR2023008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지거나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적어도 상기 힌지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접혀진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 FOLDING TYPE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력에 의해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접혀지거나 전개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은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즉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터치 입력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체가 서로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첩 부분이 곡률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힌지모듈이 현재 개발되고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의 경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종류와 신축성 등에 따라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의 내경과 외경의 차에 의해, 본체와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이격 및 면적 불일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폴딩 및 언폴딩 또는 터치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폴딩하기 위한 힌지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두꺼우며, 폴딩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전개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잘못 전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8-0071900 공개특허 10-2017-002268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폴딩하기 위한 힌지부의 구조가 단순하고 얇게 하여도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터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폴딩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전개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잘못 전개됨이 없이 평평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폴딩 또는 다중 폴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와; 적어도 상기 힌지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패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패널에 연결되면서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회전공간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치되며, 상기 회전공간부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힌지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개의 상기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덮으면서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상기 판스프링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도 함께 폴딩되되, 상기 판스프링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그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원호 형상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유도하면서 지지한다.
상기 판스프링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함께 안쪽으로 접혀지거나 바깥쪽으로 접혀진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스트립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연결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는 다수개의 상기 제1패널, 제2패널 및 힌지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다수개의 상기 제1패널, 제2패널 및 힌지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중 폴딩되어 웨어러블 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폐루프의 링 형상을 이루는 상기 본체는 어느 한부분이 분리되어 개루프 형상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부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소재에 인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상기 탄성패드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패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접혀진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폴딩되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힌지부가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그 반대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단면이 유선형을 이루면서 접혀지고, 접혀진 상기 본체의 안쪽에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유선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단면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형성된 유선형의 공간에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단면이 유선형으로 접혀진 형상을 유지시킨다.
상기 지지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 보호패널, 자판, 게임패드, 터치패널, 보조화면, 각도조절홈, 보조배터리, 카메라, 수납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배치된 방향(X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Y축 방향)인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여 Y축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폴딩되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휘어진 상기 힌지부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치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는 휴대단말기 액세서리가 분리 가능하게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후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 또는 본체의 둘레에는 플랜지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가 접혀지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교합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돌기부는 외곽에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대 또는 본체의 측면을 덮어 상기 지지대 또는 본체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가 폴딩되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전개되었을 때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주름없이 평평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터치할 때 터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힌지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제작하지 않고 단순하게 제작하더라도,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터치 등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휘어짐 없이 터치 동작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 힌지 결합된 지지대에 의해, 상기 힌지부의 폴딩시 상기 힌지부가 두께가 커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 또는 상기 힌지부의 안쪽에 빈공간이 발생할 경우, 그 빈공간에 상기 지지대(보조배터리, 터치펜 등)가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거나 낙하시 상기 빈공간에 상기 지지대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호 이격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눌리거나 상기 힌지부의 안쪽에 형성된 빈공간으로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가 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한 후 고정시켜, 상기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가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가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폴딩 과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폴딩 과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한 상태의 측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가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폴딩 및 언폴딩되는 것으로써, 본체(10)와,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와, 지지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제1패널(11)과, 제2패널(12)과, 힌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3)는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제1패널(11), 제2패널(12) 및 힌지부(13)가 각각 1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패널(11), 제2패널(12) 및 힌지부(13)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상기 힌지부(13)에 의해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상호 연결되면서 다중 폴딩됨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링 형태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호 연결되어 폐루프의 링 형상을 이루는 상기 본체(10)는 어느 한부분이 분리되어 개루프 형상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별도의 락킹부재가 장착되어, 전개된 상기 본체(10)의 양 끝단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가 여러번 꺽이는 다중 폴딩 구조를 이용해 손목에 차는 웨어러블 형태의 휴대단말기를 제작할 수도 있고, 다중 폴딩 구조 중 특정지점의 폴딩구조를 180도로 회전가능 하게 하여 링 형태의 휴대단말기를 휴대용 폴딩형 휴대단말기도 상호 전환해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3)의 꺽이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10)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부(13)는 1개의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공간부(13a)는 오목하게 또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3)는, 링스프링 또는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힌지부(13)는 고무, 실리콘, 섬유 등의 탄성소재의 내부에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진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적어도 상기 힌지부(13)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힌지부(13)만을 덮거나 또는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의 상부를 덮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30)는 판스프링(31)과 탄성패드(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판스프링(31)은 일단이 상기 제1패널(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패널(12)에 연결되면서 상기 힌지부(13)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스프링(31)은 상기 회전공간부(13a)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공간부(13a)의 상부에서 터치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가압할 때, 상기 회전공간부(13a)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판스프링(31)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는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홈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공간부(13a)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인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터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공간부(13a)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는 상기 회전공간부(13a)의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그 사이에 상기 판스프링(31)이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공간부(13a)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상기 회전공간부(13a)로 함몰되지 않고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인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터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폴딩될 때, 상기 판스프링(31)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도 함께 폴딩되는데, 이때 상기 판스프링(31)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그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원호 형상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유도하면서 지지한다.
상기 판스프링(31)은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폴딩될 때, 상기 힌지부(13)의 상부에서 곡면을 이루며 휘어지기 때문에,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되면서 원호 형상으로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31)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안쪽으로 접혀지거나 바깥쪽으로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판스프링(31)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바깥쪽으로 접혀지는 아웃폴딩타입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판스프링(31)은 1개의 넓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장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타입으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의 도면에서, 상기 판스프링(31)은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스트립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패널(11) 및 제2패널(12)에 연결된다.
상기 판스프링(31)이 넓은 판이 아닌 다수개의 스트립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의 폴딩시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상기 본체(10)에 작용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본체(10)에 폴딩되었을 때,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전개되려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면, 상기 본체(10)에 별도의 잠금부재 등을 장착하여, 상기 본체(10)가 폴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31)은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스프링(31)은 상기 제1패널(11) 및/또는 제2패널(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본체(10)의 폴딩시 상기 판스프링(31)이 휘어지게 되는데, 상기 판스프링(31)의 양단이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에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힌지부(13)의 회전중심점과 상기 판스프링(31)의 거리차로 인해, 상기 판스프링(31)이 원호형상으로 부드럽게 휘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판스프링(31)이 상기 제1패널(11) 및/또는 제2패널(12)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게 되면, 상기 본체(10)의 폴딩시 상기 판스프링(31)이 미끄러지면서 상기 판스프링(31)이 원호현상으로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파손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패드(32)는 고무, 플라스틱, 섬유, 복합소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패드(32)는 상기 판스프링(31)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패드(32)는 상기 본체(10) 및 판스프링(31)의 구조 등에 의해 평평하지 않은 면을 평평하게 변환시켜, 그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가 상기 탄성패드(32)의 평평한 면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패드(32)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무늬와 구멍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32)는 시트류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패드(32)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와 일체형을 이룰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불량률 및 단가가 상승될 확률이 높고, 부품의 교체 편의성 등을 위해서 상기 탄성패드(32)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와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패드(32)는 외부 충격시 힘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여, 상기 본체(10) 또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보호하고, 상기 본체(10)에 존재하는 틈을 메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화면 평판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31)은 휴대단말기가 낙하되었을 때, 상기 탄성패드(32)와 함께 완충 효과를 발휘하여 휴대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저감시킨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는 상기 탄성패드(32)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패드(3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양측에는 별도의 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상기 탄성패드(3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폴딩시 폴딩 각도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이동할 수 있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개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고정시키는 부분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평평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30)는 판스프링(31)과 탄성패드(32)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판스프링(31)만으로 이루어거나 탄성패드(32)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폴딩되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전개되었을 때 주름없이 평평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터치할 때 터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30)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힌지부(13)의 구조를 복잡하게 제작하지 않고 단순하게 제작하더라도, 상기 지지부재(30)가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터치 등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가압시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휘어짐 없이 터치 동작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가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힌지부(14)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10)가 안쪽 및/또는 바깥쪽으로 원활하게 폴딩되도록 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4)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개 이상의 샤프트로 구성된 힌지부(14)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수개의 샤프트로 구성된 상기 힌지부(14)는 다수개의 샤프트 사이에 이격부(14a)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31)은 다수개의 상기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부(14a)를 덮으면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14a)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가압하였을 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하부가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가 상기 이격부(14a)가 형성된 홈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판스프링(31)에 의해 2개 이상의 샤프트로 구성된 상기 힌지부(14)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도,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상기 지지부재(30)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폴딩 과정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와, 힌지부(13)와, 지지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 및 힌지부(14)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힌지부(14)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회전하여 폴딩되었을 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상부에서 접혀진 상기 본체(10)의 안쪽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40)는 단면이 평판형상, 유선형상, 타원형상, 풍선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패널(11) 또는 제2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40)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보호하는 보호패널, 자판, 게임패드, 터치패널, 보조화면, 각도조절홈, 보조배터리, 카메라, 수납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40)가 수납함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수납함의 내부에는 이어폰, 터치팬, 접속단자 등의 악세사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를 회전시켜 상기 제1패널(11) 또는 제2패널(12)의 상부에 배치한 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폴딩시키면,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상부에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13)의 폴딩시 상기 힌지부(13)가 두께가 커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할 경우, 그 빈공간에 보조배터리 등의 상기 지지대(40)가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거나 낙하시 상기 빈공간에 상기 지지대(40)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호 이격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빈공간으로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본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단면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힌지부(13)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힌지부(13)가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그 반대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단면이 유선형을 이루면서 접혀진다.
그리고, 접혀진 상기 본체(10)의 안쪽에는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유선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형성된 유선형의 공간에 단면이 유선형을 이루는 상기 지지대(40)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단면이 유선형으로 접혀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그립감이 우수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 형성된 유선형의 공간에 유선형의 단면을 갖는 지지대(40)가 삽입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을 모두 메워, 충격에 따른 파손방지 및 이물질 등이 그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충격 등에 따른 파손 방지를 위해, 상기 지지대(40)에는 별도의 고무 등의 탄성판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배치되어 그 빈공간을 메울 수 있으면, 상술한 형상 이외에 대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기능 이외에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앞쪽으로 또는 뒷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후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0)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제1패널(11) 또는 제2패널(12)에 대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이외에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전면 또는 후면으로 360도 접혀진 상태를 구현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40) 또는 본체(10)의 둘레에는 플랜지돌기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돌기부는 상기 지지대(40) 또는 본체(1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가 접혀져 상기 지지대(40)가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배치되어 교합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돌기부는 외곽에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대(40) 또는 본체(10)의 측면을 덮어 상기 지지대(40) 또는 본체(10)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의 둘레에 플랜지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지대(40)를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배치한 후 상기 본체(10)를 접게 되면, 상기 플랜지돌기부가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에 끼워진 상기 지지대(40)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지지대(4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 반대로 상기 지지대(40)에 상기 플랜지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40)에 형성된 플랜지돌기부가 상기 제1패널(10) 및/또는 제2패널(20)의 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플랜지돌기부에 의해 상기 지지대(40)와 본체(10)가 상대적으로 요철 결합을 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돌기부가 상기 본체(40) 및/또는 지지대(10)의 측면을 한번 더 덮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지지부재)이 추가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의 폴딩 과정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지지대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4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패널(11)과 제2패널(12)이 배치된 방향(X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Y축 방향)인 상기 힌지부(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40)는 막대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힌지부(13)의 일측에서 Y축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볼조인트 등의 결합방식을 통해 Y축 방향으로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를 회전하여 Y축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13)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한 후,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폴딩시키면,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상부에서 휘어진 상기 힌지부(14)의 안쪽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부(14)의 폴딩시 상기 힌지부(14)가 두께가 커 상기 힌지부(14)의 안쪽에 빈공간이 발생할 경우, 그 빈공간에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대(40)가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거나 낙하시 상기 힌지부(14)의 안쪽에 형성된 빈공간이 상기 지지부(40)에 의해 채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힌지부(14)가 빈공간으로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단순히 막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힌지부(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홀더부(41)와, 상기 홀더부(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치펜(42)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펜(42)을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를 터치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0)의 폴딩시 상기 힌지부(14) 안쪽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거나 본체(10)가 외력에 의해 눌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힌지부(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홀더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부(41)의 내부에는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접속단자, 이어폰 등)가 분리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홀더부(41)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그 내부에 이어폰 등의 액세서리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상부 뿐만 아니라,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40)는 다양한 각도로 조절된 후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에서는 상기 지지대(4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본체(10)를 지지하고 있지만, 상기 지지대(40)가 일정 각도로 조절된 후 그 각도를 유지하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40)가 길이방향으로 지면에 전체적으로 접하면서 본체(10)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20)의 반대방향이 아닌 앞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지지대(40)의 길이방향면이 지면에 접하면서 상기 플레서블디스플레이(20)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지지부재)이 추가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제1패널, 12 : 제2패널, 13, 14 : 힌지부, 13a : 회전공간부, 14a : 이격부,
20 : 플렉서블디스플레이,
30 : 지지부재, 31 : 판스프링, 32 : 탄성패드,
40 : 지지대, 41 : 홀더부, 42 : 터치펜.

Claims (25)

  1.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와;
    적어도 상기 힌지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1패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패널에 연결되면서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의 회전을 위한 회전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회전공간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배치되며,
    상기 회전공간부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개의 상기 샤프트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를 덮으면서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의 상부에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가압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상기 판스프링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도 함께 폴딩되되,
    상기 판스프링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면서 그 상부에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원호 형상으로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유도하면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및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함께 안쪽으로 접혀지거나 바깥쪽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스트립 타입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개의 상기 제1패널, 제2패널 및 힌지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다수개의 상기 제1패널, 제2패널 및 힌지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중 폴딩되어 웨어러블 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폐루프의 링 형상을 이루는 상기 본체는 어느 한부분이 분리되어 개루프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탄성소재에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4.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상기 탄성패드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패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6.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외력에 의해 폴딩 및 언폴딩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될 때 함께 접혀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접혀진 상기 본체의 안쪽에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여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폴딩되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패널 또는 제2패널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폴딩되었을 때 상기 힌지부가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그 반대편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단면이 유선형을 이루면서 접혀지고,
    접혀진 상기 본체의 안쪽에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유선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단면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형성된 유선형의 공간에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단면이 유선형으로 접혀진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0. 제 17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 보호패널, 자판, 게임패드, 터치패널, 보조화면, 각도조절홈, 보조배터리, 카메라, 수납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이 배치된 방향(X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Y축 방향)인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여 Y축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폴딩되면,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휘어진 상기 힌지부의 안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터치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는 휴대단말기 액세서리가 분리 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4. 제 17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후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또는 본체의 둘레에는 플랜지돌기부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가 접혀지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제1패널과 제2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교합되었을 때, 상기 플랜지돌기부는 외곽에 배치되면서 상기 지지대 또는 본체의 측면을 덮어 상기 지지대 또는 본체의 측면 일부 또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KR1020230037610A 2018-03-30 2023-03-22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KR20230087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6925 2018-03-30
KR1020180036925 2018-03-30
KR1020190028910 2019-03-13
KR20190028910 2019-03-13
KR1020190035882A KR20190114863A (ko) 2018-03-30 2019-03-28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82A Division KR20190114863A (ko) 2018-03-30 2019-03-28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415A true KR20230087415A (ko) 2023-06-16

Family

ID=682065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82A KR20190114863A (ko) 2018-03-30 2019-03-28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KR1020230037610A KR20230087415A (ko) 2018-03-30 2023-03-22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882A KR20190114863A (ko) 2018-03-30 2019-03-28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148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128A (ko) * 2020-07-24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30064444A (ko) * 2021-11-03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763703B2 (en) 2021-11-03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KR20240046366A (ko) * 2022-09-30 202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85A (ko) 2015-08-21 2017-03-02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85A (ko) 2015-08-21 2017-03-02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863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87415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JP2022518987A (ja) ディスプレイフォールディング型携帯端末機
WO2018196290A1 (zh) 折叠式显示装置
KR1025886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45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1157B1 (ko) 접이식단말기 커버장치
JP3174558U (ja) 多機能保護ケース
KR101027096B1 (ko)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US1026154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ing function between photovoltaic cell panel and display panel
KR20180071900A (ko)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20160108182A (ko) 단일면 폴딩장치
KR20150096946A (ko) 힌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346022B1 (ko) 사이드 커버가 회전하는 폴드 케이스
US11278114B2 (en) Portable reading stand
CN208924305U (zh) 一种折叠屏手机壳
KR2017014259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101901621B1 (ko)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KR20200112331A (ko) 디스플레이 변환가능 폴딩형 휴대단말기
US1135712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20050532A1 (en) Keyboard with an independent bracket
JP4102768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KR20210073248A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폴더블 폰
KR20160107940A (ko) 단일면 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