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444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444A
KR20230064444A KR1020210150034A KR20210150034A KR20230064444A KR 20230064444 A KR20230064444 A KR 20230064444A KR 1020210150034 A KR1020210150034 A KR 1020210150034A KR 20210150034 A KR20210150034 A KR 20210150034A KR 20230064444 A KR20230064444 A KR 2023006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nic device
power
main bod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원명
강정일
서강문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444A/ko
Priority to PCT/KR2022/013203 priority patent/WO2023080415A1/ko
Priority to US17/967,547 priority patent/US11763703B2/en
Publication of KR2023006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8Mounting of power suppl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Abstract

전원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원 공급 장치는, 본체 및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AC 전원을 입력받는 제1 회로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본체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회로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 및 제1 회로와 제2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APPARATUS}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더블한 2개의 하우징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장치는, 본체 내부에 전원 공급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최근, 전자 장치가 고성능화, 대형화됨에 따라 소모 전력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의 부피가 증가하여, 전원 공급 장치가 내장된 전자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었다.
즉, 전원 공급 장치의 구조가 전자 장치의 두께를 결정하게 되어, 전자 장치의 컴팩트한 두께와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제약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폴더블한 2개의 하우징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AC 전원을 입력받는 제1 회로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상기 본체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회로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 및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금속 와이어 또는 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 및 상기 힌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힌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힌지 하우징를 경유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1 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일면에 상기 제1 회로가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일면에 상기 제2 회로가 배치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은 상기 제2 기판의 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제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미디어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영상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도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배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DC 전원 출력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전원 입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DC 전원 출력 포트 및 상기 DC 전원 입력 포트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DC 전원 출력 포트와 상기 본체의 DC 전원 입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스탠드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배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너비는, 상기 스탠드의 너비와 같거나 상기 스탠드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본체의 배면을 연결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사이각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본체를 벽에 고정시키는 월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배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전원 공급 장치의 펼쳐진 상태, 접힌 상태,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전원 공급 장치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전원 공급 장치의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스탠드형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은 벽걸이형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가 형성된 전원 공급 장치가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원 공급 장치가 와이어 부재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원 공급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전원 공급 장치의 펼쳐진 상태, 접힌 상태,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는 제1 하우징(100), 제2 하우징(200), 힌지 모듈(300) 및 플렉서블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AC 전원 입력 포트(P1)를 통하여 AC 전원을 입력받는 제1 회로(110)를 수용할 수 있다. AC 전원 입력 포트(P1)는 제1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AC 전원 입력 포트(P1)는 외부 상용 전원(예를 들어, 콘센트)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AC 전원이 AC 전원 입력 포트(P1)를 통하여 제1 회로(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DC 전원 출력 포트(P2)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회로(210)를 수용할 수 있다.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원이 DC 전원 출력 포트(P2)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형상 및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210) 중 적어도 하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1 회로(110)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제2 회로(210)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210)가 함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힌지 모듈(300)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00)은 힌지 모듈(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하우징(200)도 힌지 모듈(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 접힌 상태, 완전히 접힌 상태 중 하나의 상태가 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400)는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400)는, 금속 와이어 또는 연성 회로 기판(FCB, Flexible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부재(400)는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폴딩된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 회로(110, 210)를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힌지 모듈(300)은 힌지 하우징(310) 및 힌지 구조물(32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하우징(310)은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구조물(320)은 힌지 하우징(3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구조물(320)은 힌지 하우징(310)에 의해 커버되므로,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400)는 힌지 하우징(310)을 경유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부재(400)는 중간 구간이 힌지 하우징(3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부재(400)는 힌지 하우징(310)에 의해 커버되므로,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힌지 구조물(320)은, 제1 샤프트(321) 및 제2 샤프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21)는 제1 하우징(100)과 힌지 하우징(31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2 샤프트(322)는 제2 하우징(200)과 힌지 하우징(31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2 샤프트(322)는 제1 샤프트(32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힌지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1 샤프트(32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 하우징(200)은 힌지 하우징(310)에 대하여 제2 샤프트(32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는,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힌지 모듈(300)에 의하여 폴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폴딩되어도, 플렉서블 부재(400)에 의해 제1 및 제2 회로(110, 210)가 여전히 전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는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완전 펼쳐진 상태이거나, 접힌 상태이거나, 완전히 접힌 상태일 때 모두, 제1 및 제2 회로(110, 210)와 플렉서블 부재(400)에 의해,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 중 적어도 하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미디어 포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100)이 미디어 포트를 포함하거나, 제2 하우징(100)이 미디어 포트를 포함하거나,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 모두 미디어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포트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포트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ι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에 의하여 유선으로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210) 중 적어도 하나는, 영상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즉, 제1 회로(110)가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거나, 제2 회로(210)가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거나,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210)가 함께 영상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회로(110, 210) 중 적어도 하나는, 미디어 포트를 통하여 수신된 다양한 종류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상태로 디코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회로(110, 210) 중 적어도 하나는, H.264 디코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디코더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 구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는, 외부 전자 장치에게 DC 전원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전원 공급 장치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C 전원 입력 포트(P1)는 외부 상용 전원(예를 들어, 콘센트)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AC 전원이 AC 전원 입력 포트(P1)를 통하여 제1 회로(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210) 중 적어도 하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1 회로(110)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제2 회로(210)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210)가 함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400)는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원이 DC 전원 출력 포트(P2)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및 제2 회로(110, 210)의 구체적인 역할 및 기능을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는 정류부(P10), 컨버터(P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의 정류부(P10)는 EMI 필터(P11), PFC 회로(P12)를 포함할 수 있다. EMI 필터(P11)는 입력된 상용 AC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일정 레벨의 직류 전원으로 출력한다. 정류를 위해 반파 또는 전파 정류 회로가 사용될 수 있고, 평활을 위해 커패시터가 정류회로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 장치(1)의 컨버터(P20)는 정류부(P10)에서 정류된 DC 전원을 기설정된 세기의 전원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컨버터(P20)는 절연형으로, 1차측(입력)과 2차측(출력)이 Trans로 절연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Trans는 Core(코어, 자심)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감은것으로, 1차 권선에 전류 변화가 발생하면 Core를 관통하는 자속 변화에 의해 2차 권선에도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유도전류가 흐른다.
도 5는 전원 공급 장치의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는 제1 기판(120) 및 제2 기판(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20)은, 일면(121)에 제1 회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20)은, 일면(221)에 제2 회로(2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110)는 제1 기판(120)의 일면(121)에 인쇄될 수 있고, 제2 회로(210)는 제2 기판(220)의 일면(221)에 인쇄될 수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1 기판(120)의 일면(121)은 제2 기판(220)의 타면(22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1 회로(110)와 제2 회로(210)는 서로 멀리 이격 배치되므로, 전원 공급 장치(1)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는, 제1 자성 부재(130) 및 제2 자성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1 하우징(100)의 일면(101)은 제2 하우징(200)의 일면(201)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130)는 제1 하우징(100)에 일면(10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성 부재(230)는 제2 하우징(200)의 일면(201) 중 제1 자성 부재(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 부재(230)는 제1 자성 부재(130)와 반대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은 제1 및 제2 자성 부재(130, 230)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서로 끌어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완전히 접힌 상태의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에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야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을 펼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 펼쳐지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는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스탠드형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본체(10) 및 전원 공급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이미지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플레이어, 스마트 폰(smartphone),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TV 박스(예를 들면, 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는,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스크린 장치뿐만 아니라, 프로젝터(projector)로부터 입사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형 스크린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또는 표시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는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장치(1)는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에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C/DC 전원 변환 회로가 본체(10)에 내장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 공급 장치(1)에 외장되므로, 전자 장치(1000)의 본체(10)는 얇은 두께를 가져서 컴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배면(11)에 DC 전원 입력 포트(P3)를 포함할 수 있다. DC 전원 입력 포트(P3)는 전원 공급 장치(1)의 DC 전원 출력 포트(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C 전원 출력 포트(P2)및 DC 전원 입력 포트(P3)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함몰된 구조를 갖고, DC 전원 입력 포트(P3)는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돌출된 구조를 갖고, DC 전원 입력 포트(P3)는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DC 전원 출력 포트(P2)와 DC 전원 입력 포트(P3)는 서로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DC 전원 출력 포트(P2)및 DC 전원 입력 포트(P3)의 체결 구조가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DC 전원 출력 포트(P2)및 DC 전원 입력 포트(P3)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를 와이어 부재(40)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0)는 스탠드형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의 제1 하우징(100)은 스탠드(20)의 배면(2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1)의 제2 하우징(200)은 본체(10)의 배면(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0)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원 공급 장치(1)는 본체(10) 및 스탠드(20)에 의해 가려지므로, 전자 장치(1000)는 컴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의 너비는, 스탠드(20)의 너비와 같거나 스탠드(2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00)이 스탠드(20)에 의해 완벽히 가려지게 되므로, 전자 장치(1000)는 더욱 컴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스탠드(20)는, 배면(23)에 돌출 형성된 제1 고정 돌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24)는 후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제1 고정 돌기(24)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고정 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는 스탠드(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탠드(20)의 배면(23)에 함몰 구조가 형성되고, 제1 하우징(100)에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스탠드(20)와 제1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판,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상대 극성 사출물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스탠드(20)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21) 및 제1 지지 부재(21)와 본체(10)의 배면(11)을 연결하는 제2 지지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1)는 바닥과 접하고, 제2 지지 부재(22)는 제1 지지 부재(21)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본체(10)의 배면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와 제2 지지 부재(22)의 사이각은,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사이각(t)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장치(1)의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은, 본체(10) 및 스탠드(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본체(10)에 DC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는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이 다양한 각도로 접힐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스탠드형 전자 장치(10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은 벽걸이형 전자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가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0)는, 본체(10)를 벽(미도시)에 고정시키는 월 마운트(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월 마운트(30)는 본체(10)의 배면(11)에 배치되고, 브라켓, 나사등을 포함하여, 본체(10)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은 본체(10)의 배면(1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하우징(100, 200)은 완전히 펴진 상태로 본체(10)의 배면(11)과 접할 수 있다.
본체(10)는 배면(11)에 돌출 형성된 제2 고정 돌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돌기(12)는 후크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우징(100)은, 제2 고정 돌기(12)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고정 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는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10)의 배면(11)에 함몰 구조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200)에 돌출 구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와 제1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판,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상대 극성 사출물의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가 형성된 전원 공급 장치가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원 공급 장치(1)는 제2 하우징(200)에 형성된 DC 전원 출력 포트(P2)를 포함할 수 있고,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전자 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된 DC 전원이 DC 전원 출력 포트(P2)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제2 하우징(200)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P2-1, P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 전원 출력 포트(P2)는 스탠드형 포트(P2-1) 및 벽걸이형 포트(P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형 포트(P2-1)는 스탠드형 전자 장치(1000)와 연결될 수 있고, 벽걸이형 포트(P2-2)는 벽걸이형 전자 장치(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형 포트(P2-1) 및 벽걸이형 포트(P2-2)는 제2 하우징(200)의 동일한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0)가 도 11의 스탠드형에서 도 12의 벽걸이형으로 바뀜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가 본체(10)에 가려져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도 11의 전원 공급 장치(1)를 도 12의 전원 공급 장치(1)로 180도 회전하여 전자 장치(1)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는 전자 장치(1000)의 종류에 상관 없이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전자 장치(1000)는 컴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제2 하우징(200)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P2-1, P2-2)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도어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부재(240)는, 전자 장치(1000)가 스탠드형인 경우, 벽걸이형 포트(P2-2)를 가리고 스탠드형 포트(P2-1)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부재(240)는, 전자 장치(1000)가 벽걸이형인 경우, 스탠드형 포트(P2-1)를 가리고 벽걸이형 포트(P2-2)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혼동하지 않고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P2-1, P2-2) 중 전자 장치(1000)의 종류에 대응되는 포트를 전자 장치(1000)에 정확히 연결할 수 있다.
도 13은 전원 공급 장치가 와이어 부재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는 본체(10)와 이격된 곳에 배치되고, 와이어 부재(40)를 통하여 본체(10)의 DC 전원 입력 포트(P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체(10)는 배면(11)에 DC 전원을 입력받는 DC 전원 입력 포트(P3)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1000)는, DC 전원 출력 포트(P2)와 DC 전원 입력 포트(P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1)는 AC 전원 입력 포트(P1)에 연결된 외부 전선(W)을 통하여 AC 전원을 공급받고, DC 전원으로 변환한 후, DC 전원 출력 포트(P2)에 연결된 와이어 부재(40)를 통하여 본체(10)의 DC 전원 입력 포트(P3)롤 DC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전원 공급 장치(1)는 완전히 접힌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펼친 상태이거나 일부만 접힌 상태일 수도 있다.
전원 공급 장치(1)와 본체(10)가 와이어 부재(40)를 통하여 연결됨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 및 본체(10)에 돌출 구조 및 함몰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스탠드형 전자 장치(1000)나 벽걸이형 전자 장치(1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전원 공급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전원 공급 장치(1)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50)는 본체(10), 스탠드(20), 전원 공급 장치(1) 중 적어도 한 곳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50)는 전원 공급 장치(1)의 포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전선이나 와이어 등에 의한 접속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부재(50)는 전원 공급 장치(1)를 가려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커버 부재(50)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 부재(50)는 외면에 그림이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0)는 전원 공급 장치(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커버 부재(50)에 의해 수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원 공급 장치 10: 본체
20: 스탠드 30: 월 마운트
40: 와이어 부재 50: 커버 부재
100: 제1 하우징 200: 제2 하우징
300: 힌지 모듈 400: 플렉서블 부재
1000: 전자 장치

Claims (20)

  1.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AC 전원을 입력받는 제1 회로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
    상기 본체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제2 회로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 및
    상기 제1 회로와 상기 제2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금속 와이어 또는 연성 회로 기판인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하우징 및
    상기 힌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힌지 하우징를 경유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1 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일면에 상기 제1 회로가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일면에 상기 제2 회로가 배치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은 상기 제2 기판의 타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 중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제2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미디어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DC 전원 출력 포트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도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배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DC 전원 출력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 전원 입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DC 전원 출력 포트 및 상기 DC 전원 입력 포트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DC 전원 출력 포트와 상기 본체의 DC 전원 입력 포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스탠드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배면에 돌출 형성된 제1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고정 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너비는, 상기 스탠드의 너비와 같거나 상기 스탠드의 너비보다 작은 전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본체의 배면을 연결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사이각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각과 동일한 전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벽에 고정시키는 월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배면에 돌출 형성된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150034A 2021-11-03 2021-11-03 전자 장치 KR20230064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034A KR20230064444A (ko) 2021-11-03 2021-11-03 전자 장치
PCT/KR2022/013203 WO2023080415A1 (ko) 2021-11-03 2022-09-02 전자 장치
US17/967,547 US11763703B2 (en) 2021-11-03 2022-10-17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034A KR20230064444A (ko) 2021-11-03 2021-11-03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444A true KR20230064444A (ko) 2023-05-10

Family

ID=8624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034A KR20230064444A (ko) 2021-11-03 2021-11-03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4444A (ko)
WO (1) WO20230804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01A (ko) * 2000-06-01 2001-12-08 박종섭 엘시디모니터용 전원공급장치의 장착 구조
KR200467441Y1 (ko) * 2011-07-06 2013-06-14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CN106030451B (zh) * 2014-02-28 2021-03-1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
IT201600103458A1 (it) * 2016-10-14 2018-04-14 Luca Gerardi Sistema modulare di elaborazione
KR20190114863A (ko) * 2018-03-30 2019-10-10 유상규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415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0363B2 (ja) 映像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デバイス
US8832469B2 (en) AC-powered in-wall computing device with power-line networking capabilities
JP4999916B2 (ja) コンセント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TWI516127B (zh) 具有可拆卸式喇叭模組之顯示裝置
US8671292B2 (en) Ethernet powered computing device and system
US20120014049A1 (en) Media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of Same
CN113163140B (zh) 显示装置
CN204190856U (zh) 一种手机无线同步传输投影机
EP31451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521532A (ja) 音声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デバイス
CN101576704A (zh) 便携式投影仪
US9277056B2 (en) Conference room audio/video cable interface device
US9164363B2 (en) Projection apparatus
KR20230064444A (ko) 전자 장치
US11763703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1005080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078368A1 (en) Display apparatus
CN206226690U (zh) 回音壁家庭影院音响
WO2019101017A1 (zh) 一种薄型智能平板
KR20210123865A (ko) 트랜스포머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900855B2 (en) Display apparatus
CN201060361Y (zh) 投影/照相装置
CN202257360U (zh) 一种带有微型投影仪和电视盒的可遥控笔记本电脑
KR20170004593A (ko) 복합 기능 표시 장치
CN201226554Y (zh) 电视电脑一体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