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593A - 복합 기능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93A
KR20170004593A KR1020150095161A KR20150095161A KR20170004593A KR 20170004593 A KR20170004593 A KR 20170004593A KR 1020150095161 A KR1020150095161 A KR 1020150095161A KR 20150095161 A KR20150095161 A KR 20150095161A KR 20170004593 A KR20170004593 A KR 20170004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user
function displa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698B1 (ko
Inventor
박원일
송수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6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복합 기능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표시 패널을 지지 및 고정한다. 표시 패널은 플랫부 및 플렉서블부를 포함하고, 플렉서블부는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플렉서블부는 지지부를 향해 벤딩될 수 있고, 벤딩된 표시 패널의 플렉서블부는 커버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그리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에는 바퀴와 같은 이동 수단이 실장되어, 복합 기능 표시 장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는 IoT 허브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복합 기능 표시 장치{MULTI-FUNCTION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복합 기능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사용함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고, 디자인 및 인테리어 측면에서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고,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기능을 접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할 수 있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휴대형 표시 장치들은 고정되어 있는 위치 및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해, 표시 장치의 사용자들이 표시 장치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항상 표시 장치의 가시 거리 내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다양한 비휴대형 표시 장치들 중 대형 표시 장치, 예를 들어, TV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위치할 수 있는 곳이 한정적이다. 예를 들어, TV는 거실의 한벽 중간, 침실의 침대 앞 등과 같은 위치에 항상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TV를 보기 위해서는 TV의 가시 거리 내로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거실, 침실 등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TV를 시청하기 보다는, 하나의 TV를 사용하여 화장실, 부엌, 서재 등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서 TV를 보고 싶어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한편, 세계 어느 나라든지, 주택의 구조 및 모습을 보게 되면, 거실, 주방, 방, 화장실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주택에서 TV를 배치하는 위치는 한정되어 있다. 표시 장치의 가격이 하락하고, 크기도 다양해지면서 한 가구에서 소유하는 표시 장치의 개수는 늘어났지만, TV 등과 같은 표시 장치를 위치시키는 장소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TV는 거실 또는 침실의 한쪽 벽면에 스탠드형 또는 벽걸이 형태로 배치되고 있고, 거의 모든 가구가 동일한 위치에 TV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TV가 배치된 상태를 고려하여 거실 또는 침실의 인테리어를 진행하는데, 가구마다 동일한 위치에 TV가 배치됨에 따라 모든 가구의 인테리어가 상당히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인간의 개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적 차별성을 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는 점차 증가하지만, 기존의 표시 장치들은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사용자들의 주택에서는 TV 뿐만 아니라 냉장고, 에어컨, 전등, 로봇 청소기, 전자 레인지,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 기기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전 기기는 가전 기기의 상태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가전 기기의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해당 가전 기기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로 사용자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가전 기기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를 연동하여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도 가전 기기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IoT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모든 사물의 인터넷화를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를 통해 IoT를 구동하게 되면, 소형 모바일 기기의 작은 화면 때문에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의 개수가 상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소형 모바일 기기를 통해 IoT를 구동하게 되는 경우라면, 필요한 경우에만 소형 모바일 기기의 IoT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전 기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가전 기기의 상태를 바로 확인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공간 자유도가 감소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장치의 화면의 크기나 배치가 고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적 제약 및 인테리어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존의 소형 모바일 기기의 제어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IoT 허브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표시 패널을 지지 및 고정한다. 표시 패널은 플랫부 및 플렉서블부를 포함하고, 플렉서블부는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의 플렉서블부는 지지부를 향해 벤딩될 수 있고, 벤딩된 표시 패널의 플렉서블부는 커버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의 전체 영역은 플랫부 없이 플렉서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는 커브드(curved)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투명 플렉서블부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에는 표시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 스피커, 바퀴와 같은 이동 수단, 카메라, 조명부와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는 IoT 허브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플랫부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주변 기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고정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공간 자유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화면을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유롭게 형상이 변경되고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채용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표시 장치의 공간적 제약 및 인테리어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소형 모바일 기기의 제어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IoT 허브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2d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정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IoT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도 1a에서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가 표시 패널(11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는 단순히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1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형상 변경 기능, 표시 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 변경 기능, IoT 허브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IoT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이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플랫(flat)부(111) 및 플렉서블(flexible)부(112)를 포함한다. 플랫부(111)는 표시 패널(110)에서 평탄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표시 패널(110)의 고정된 부분이고, 플렉서블부(112)는 표시 패널(110)에서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 패널(110)의 가변적인 부분으로서, 플랫부(111)와 플렉서블부(112)는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는 지지부(120)에 고정되어, 예를 들어, 항상 평탄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부(111)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표시 패널(110)의 앞 쪽이나 뒤 쪽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도 1a에서는 플랫부(111)의 양 측부에서 플렉서블부(112)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플렉서블부(112)는 플랫부(111)의 일 측부 또는 3 이상의 측부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10)이 플랫부(111) 및 플렉서블부(112)를 가짐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잘 휘지 않는(rigid) 특성을 갖는 구성요소는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들, 구동 칩들, 또는 표시 패널(110)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구성 중 잘 휘지 않는 특성을 갖는 구성요소는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아닌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은 플렉서블부(112)를 벤딩할 때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에 배치되는 배선들은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기 보다는, 지그재그 형상, 마름모 형상 등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벤딩하는 경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배선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이나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구성하는 물질도 플랫부(111) 및 플렉서블부(112)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지지부(120)는 표시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몸체(body)이다. 지지부(120)는 표시 패널(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와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지지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와 중첩하는 부분에서 표시 패널(110)과 결합하여 표시 패널(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0)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다양한 기계적인 체결 구조를 통해 표시 패널(1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21) 및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덮기 위한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b 및 도 1c를 함께 참조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상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가 표시 패널(11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전체 영역이 평탄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또는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만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는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지지부(120)에 수용하는 방식으로 공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먼저 지지부(120)에 고정되어 있던 커버(130)가 열린다. 구체적으로, 커버(130)의 일 단은 지지부(120)에 고정되어 있고, 커버(130)의 타 단이 지지부(12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①). 이 때, 지지부(120)에 고정되는 커버(130)의 일 단은 지지부(120)와 경첩 등과 같은 체결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방식으로 커버(130)의 타단이 지지부(120)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어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지지부(120)의 수용 공간(121)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는 지지부(120)에 고정된 채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지지부(120)를 향해 이동한다(②). 이 경우, 플랫부(111)와 연결되는 플렉서블부(112)의 일 단은 플랫부(111)에 고정되어 있고, 플렉서블부(112)의 타 단이 지지부(120)를 향해 휘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휘어지도록 하기 위해, 벤딩부가 지지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는 표시 패널(110)의 후면을 잡아당기기 위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의 후면과 지지부(120)를 연결할 수 있는 줄과 같은 연결 수단을 연결하고, 모터를 통해 줄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휘어질 수도 있다. 또는, 벤딩부는 표시 패널(110)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벤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의 수용 공간(121) 등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던 클램프 또는 암(arm)이, 커버(130)가 열린 후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의 후면을 클램핑하여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벤딩될 수도 있다. 다만, 벤딩부의 구성은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휘어지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벤딩부가 사용되지 않고, 표시 패널(110) 자체가 벤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에 형상 기억 합금, 전기 활성 고분자 등과 같은 물질을 적용하여, 표시 패널(110) 자체가 벤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120)의 수용 공간(121)에는 표시 패널(110)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휘어지면서 지지부(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1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이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지지부(120)의 수용 공간(121) 등에 표시 패널(11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열려있던 커버(130)가 닫힌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로부터 멀어졌던 커버(130)의 타 단이 지지부(120)를 향해 이동한다(③). 커버(130)의 일 단은 지지부(120)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120)로부터 이격된 커버(130)의 타 단이 지지부(12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커버(130)의 내면은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커버(130)가 표시 패널(11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패널(110)이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커버(130)의 내면에는 표시 패널(11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지지부(120)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되고, 커버(130)에 의해 커버(130)된 상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1d를 함께 참조한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지지부(120)를 향해 벤딩되고, 커버(130)가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커버함에 따라,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여 영상을 시청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커버(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10)의 플랫부(111)만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고,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는 커버(130)에 의해 덮여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표시 장치의 크기 또한 점점 대형화되고 있고, 보다 큰 화면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려는 사용자의 요구가 존재한다. 다만, 표시 장치의 사용자가 거주하는 주택의 크기는 점점 소형화되고 있고, 표시 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 또한 점점 줄어들고 있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은 상당히 제한적이나, 표시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으므로, 표시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 및 면적에 대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벤딩하는 방식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가 차지하는 부피 및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 즉,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인 경우,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접어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폭이 지지부(1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는 표시 패널(110)이 펴져있는 상태에서 접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에 상술한 공정의 역방향 공정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커버(130)에 덮인 상태에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가 펴지는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d에서는 커버(130)가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를 다 커버(130)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커버(130)는 표시 패널(110)의 플렉서블부(112)의 적어도 일부만을 커버(130)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210)의 형상 및 구성이 변경되었으며, 지지부(220)의 형상이 변경되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패널이다. 표시 패널(210)은 플렉서블부만으로 구성된다. 즉, 표시 패널(210)의 전체 영역은 모두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시 패널(210)의 전체 영역이 플렉서블부이라는 것만을 제외하면, 표시 패널(210)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표시 패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지부(220)는 표시 패널(210)을 지지하기 위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몸체이다. 지지부(220)는 표시 패널(2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표시 패널(210)이 플렉서블부로만 구성됨에 따라, 지지부(22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220)는 표시 패널(210)이 원형 형상으로 접힌 경우 표시 패널(2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레일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220)의 형상 및 레일 구조를 제외하면, 지지부(220)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표시 패널(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사용하여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과 같은 정형적인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표시 패널(2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역이 평탄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사용하여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표시 패널(21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0)를 따라 원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표시 패널(2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부(220)를 향해 접히는 방식으로 변형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이 지지부(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경우에도, 표시 패널(210)이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10)이 지지부(220)를 둘러싸도록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표시 패널(210)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정형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영상을 인식하기 어렵다. 이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이 배치된 경우, 표시 패널(210)은 광고, 시계, 알람 텍스트 등과 같은 비정형적인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이러한 영상을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이 지지부(220)를 둘러싸도록 원형 형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은 지지부(22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즉,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지지부(2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210)은 지지부(22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210)은 지지부(220)에 형성된 레일(640) 구조 등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10)은 지지부(2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특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 패널(210)을 벤딩하여 표시 패널(210)이 지지부(22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차지하는 부피 및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서는 지지부(22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시 패널(210)이 원통 형상의 지지부(220)의 외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으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디자인적인 감각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 패널(210)이 지지부(220)를 둘러싸도록 원형 형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 패널(210)이 회전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개선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b에서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1b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커버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10)의 일부 영역은 커버에 의해 덮일 수도 있다.
도 2d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람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센서는 표시 패널(210)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지지부(22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먼저, 도 2d를 참조하면,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 패널(2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사용자는 이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청소를 하면서 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고, 운동을 하면서 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 패널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 패널(21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e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표시 패널(210)의 제1 영역(210A)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표시 패널(210)의 제1 영역(210A)에 계속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표시 패널(21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1 영역(210A)에서 제2 영역(210B)으로 변경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이동하는 동안 계속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즉,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10) 자체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회전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사용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표시 패널(210)의 다양한 영역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시청하는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어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에게 정면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고, 제1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제1 영역(210A), 제2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제2 영역(210B) 및 제3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제3 영역(210C)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210)의 제1 영역(210A), 제2 영역(210B) 및 제3 영역(210C)에 표시되는 영상은 동일한 영상일 수도 있고, 각 사용자마다 상이한 영상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210)의 형상만이 변경되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커브드(curved)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표시 패널(210)의 양 끝단이 앞 쪽으로 벤딩되는 방식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커브드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사용자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평판 표시 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210)을 평평하게 한 상태에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커브드 표시 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21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변형하여 표시 패널(210)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 패널(210)의 화면을 둥글게 휘어진 궤적을 갖도록 변형시키고 이러한 궤적을 사람의 등거리 초점 궤적(Horopter)과 유사하게 하여, 사용자의 초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시청 시 사용자의 눈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서는 표시 패널(210)의 곡률 반경을 일정하게 하여, 사용자가 표시 패널(210)의 중앙부와 양 끝단을 볼 때의 거리 차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 패널(210)의 중앙부와 양 끝단을 볼 때의 거리 차이에 의해 색감이나 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보다 현실에 가까운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커브드 표시 장치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에서 표시 패널(210) 전체에 이르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인지하는 3차원 깊이 또한 일정한 수준이 되므로, 사용자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통해 보다 생생하고 편안하게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센서 또는 카메라를 통해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를 시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및 그 위치를 감지하고, 해당 사용자의 최적의 영상 시청을 위한 표시 패널(210)의 곡률 반경을 계산할 수 있고, 표시 패널(210)을 해당 곡률 반경을 갖도록 벤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 표시 패널(21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다양한 위치의 시청자에게 최적의 커브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에서 표시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나, 영상의 컨텐츠를 고려하여,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의 표시 패널(210)의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영화와 같이 몰입감이 중요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21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시키는 반면,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가 뉴스, 다큐멘터리와 같이 사실 전달에 주력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210)을 평판 표시 패널(210)로 유지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200)는 다양한 상황에 맞게 표시 패널(210)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410)이 투명 표시 패널로 변경되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410)은 플랫부(111) 및 투명 플렉서블부(412)를 포함한다. 플랫부(111)는 표시 패널(410)에서 항상 평탄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표시 패널(410)의 부분이고,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및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모두 불투명하도록 구성된다. 투명 플렉서블부(412)는 표시 패널(410)에서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 패널(410)의 부분으로서,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명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410)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 패널(410)의 투명 플렉서블부(412)를 통해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의 뒷 배경을 시인할 수 있다.
표시 패널(410)의 투명 플렉서블부(412)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투명 플렉서블부(412)는 표시 패널(410)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불투명하게 구성되고, 표시 패널(410)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플렉서블부(412)가 구성되기 위해, 표시 패널(410)은 투명 플렉서블부(412)에 배치되는 별도의 차광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광판은 차광판으로 입사하는 외광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하도록 구동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NLC(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 EC(electrochromic)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차광판은 표시 패널(410)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차광판으로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표시 패널(410)에서 표시하는 영상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차광판은 표시 패널(410)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차광판으로 입사하는 외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표시 패널(410)을 통해 표시 패널(410)의 뒷 배경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표시 패널(410)이 플랫부(111) 및 투명 플렉서블부(412)를 가짐에 따라 표시 패널(410)의 다양한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불투명한 특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표시 패널(410)의 플랫부(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410)의 투명 플렉서블부(412)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은 플렉서블부(112)를 벤딩할 때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410)의 투명 플렉서블부(412)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은 표시 패널(410)에 입사하는 외광을 투과시키기 위해 높은 투과율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외광을 용이하게 투과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에서는 표시 패널(410)이 투명 플렉서블부(412)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표시 패널(410)의 투명 플렉서블부(412)를 통해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의 뒷 배경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기능 표시 장치(400)가 배치되는 공간의 디자인 및 인테리어와 어울릴 수 있는 차별화된 디자인적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500)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510)이 회전 가능하도록 표시 패널(510)과 지지부(520)의 구성이 변경되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510)은 지지부(5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510)은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폭이 세로 방향의 폭보다 긴 상태로 지지부(52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510')은 가로 방향의 폭이 세로 방향의 폭보다 짧은 상태로 지지부(5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510)은 특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지지부(5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510)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부(520)와 표시 패널(510)은 다양한 기구 구조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520)와 표시 패널(510)은 표시 패널(5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구조, 피봇 구조, 베어링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구 구조를 통해 체결될 수 있고, 해당 기구 구조를 통해 표시 패널(510)이 지지부(52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520)와 표시 패널(510)의 체결 구조는 상술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5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500)에서는 표시 패널(510)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종류 및 복합 기능 표시 장치(500)를 시청하는 시청 방향에 따라 표시 패널(510)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지지부(620)에 레일(640), 스피커(650), 바퀴(660), 카메라(670), 조명부(680)가 더 포함되었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에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실장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는 표시 패널(6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6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620)와 접하는 표시 패널(610)의 하단에는 레일(640)이 형성되어, 표시 패널(610)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는 스피커(6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때에,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시스템은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외부의 오디오 시스템과 통신하여,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스피커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지부(6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66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6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의 사용자들은 고정된 공간뿐만 아니라 이동하면서 다른 공간에서도 표시 장치를 시청하고 싶어하지만, 표시 장치의 위치가 고정되는 종래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소형 모바일 기기가 출시되고 있으나, 소형 모바일 기기의 작은 화면 크기에 기인하여, 장시간 시청 시 눈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지지부(620)에 구비된 바퀴(660)와 같은 이동 수단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 때,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에 구현된 음성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를 이동하고자 하는 장소를 말하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해당 장소로 바퀴(660)를 사용하여 직접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별도의 카메라(670) 및 센서를 탑재하여, 영상 재생 중에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중에도 사용자는 계속하여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목적지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디자인 및 인테리어의 차별성 및 개인의 개성이 다양해지면서, 표시 장치가 집안의 인테리어와 어울리지 않아 표시 장치를 숨기거나 치워버리고 싶어하는 심리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좁은 주택에 상대적으로 대형의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 장치가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표시 패널(610)의 플렉서블부를 벤딩한 후, 바퀴(660)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사용자의 집안의 인테리어와 어울리지 않는 경우 또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부피를 최소화한 후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를 숨길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좁은 통로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실에서 서재로 이동하는 경우,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별도의 센서나 카메라(670)를 통해 사용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바퀴(660)를 통해 사용자를 따라 거실에서 서재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서재 입구의 폭이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통과하기에 좁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별도의 센서나 카메라(670)를 통해 서재의 입구의 폭을 파악하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가 통과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표시 패널(610)의 플렉서블부를 벤딩한 후 서재의 입구를 통과할 수도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는 조명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그 자체로 수려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특히 표시 패널(610)의 플렉서블부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되어 커버(130)에 의해 덮이는 경우 보다 뛰어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는 조명부(6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뛰어난 디자인을 갖는 조명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표시 장치와 조명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의 지지부(620)가 별도의 조명부(68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표시 패널(610) 자체가 조명부(680)로서 기능하고 지지부(620)가 별도의 조명부(680)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는 무선으로 주변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합 기능 표시 장치(600)에는 공기 청정기, 에어컨, 온풍기 등과 같은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의 IoT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사물 인터넷(IoT)은 각종 사물에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각종 사물을 유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고, 사물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정, 회사 등에 있는 다양한 기기로서, 예를 들어, TV, 냉장고, 에어컨, 전등, 로봇 청소기, 전자 레인지,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주변 기기(1000)를 의미한다. IoT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IP를 가지고 인터넷에 연결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별도의 센서를 가질 수도 있다. 최슨 들어 사소한 주변 기기(1000)에도 통신 모듈이 탑재되기 시작하면서, 제품과 제품들끼리 인터넷을 연결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지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IoT 허브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TV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변 기기(1000)의 표시 화면이 있는 곳으로 직접 이동하여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디바이스로 주변 기기(1000)를 IoT 방식으로 연동하고, 소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이 사용되었으나, 실시간으로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소형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은 크기의 화면에 의해 정보 확인 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이 접혀 있어 대형 화면의 일부분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대형 화면의 크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주변 기기(1000)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이 펴져 있을 때도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이 표시하는 영상과 중첩되도록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의 일부 영역에 주변 기기(1000)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이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에 주변 기기(100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가 팝업 메시지 형식으로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은 현재 시각, 현재 날씨, 사용자의 일정, 냉장고, 에어컨, 로봇 청소기, 음향 시스템 등과 같은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나아가 외부 CCTV의 영상 또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와 연결된 다양한 주변 기기(1000)가 처한 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필요한 곳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화재 경보기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을 수신하거나, 전자 레인지, 오븐 등으로부터 과열에 따른 화재 발생 사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해당 정보를 소방서(1100) 및/또는 병원(1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CCTV나 현관문으로부터 외부 침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이러한 정보를 경찰서(1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다양한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1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1400)를 통해 가정 또는 사무실의 다양한 주변 기기(10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400)를 통해 해당 주변 기기(1000)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해당 주변 기기(10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기능 표시 장치(100, 200, 400, 500, 600)는 단순히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10, 210, 410, 510, 61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형상 변경 기능, 표시 장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위치 변경 기능, IoT 허브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IoT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현되므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410, 510, 510', 610: 표시 패널
111: 플랫부
112: 플렉서블부
412: 투명 플렉서블부
120, 220, 520, 620: 지지부
121: 수용 공간
130: 커버
640: 레일
650: 스피커
660: 바퀴
670: 카메라
680: 조명부
100, 200, 400, 500, 600: 복합 기능 표시 장치
1000: 주변 기기
1100: 소방서
1200: 경찰서
1300: 병원
1400: 모바일 기기

Claims (15)

  1. 표시 패널의 형상이 변경 가능한 표시 장치로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된 하나 이상의 제2 부분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부분과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부분은 평탄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플랫부인,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평면 형상을 이루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 중 상기 제1 부분만이 상기 지지부와 중첩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부분은 투명 플렉서블부로 구성된,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부분을 덮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커버에 배치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부분을 휘어지게 하도록 구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부분은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렉서블부인,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표시 패널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회전시키는,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각각의 사용자에게 상기 표시 패널의 서로 다른 영역을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를 시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영상 시청을 위한 상기 표시 패널의 곡률 반경을 계산하고, 상기 표시 패널을 계산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벤딩하는, 표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형상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IoT 허브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95161A 2015-07-03 2015-07-03 복합 기능 표시 장치 KR102355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61A KR102355698B1 (ko) 2015-07-03 2015-07-03 복합 기능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61A KR102355698B1 (ko) 2015-07-03 2015-07-03 복합 기능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93A true KR20170004593A (ko) 2017-01-11
KR102355698B1 KR102355698B1 (ko) 2022-01-25

Family

ID=5783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61A KR102355698B1 (ko) 2015-07-03 2015-07-03 복합 기능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8630A (zh) * 2018-05-31 2018-10-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屏贴合装置及贴合方法
US11403973B2 (en) 2020-01-0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585A (ko) * 2013-04-01 2014-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25182A (ko) * 2013-04-18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컵
JP2015036994A (ja) * 2013-08-16 2015-02-23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子装置
KR20150050977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585A (ko) * 2013-04-01 2014-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25182A (ko) * 2013-04-18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컵
JP2015036994A (ja) * 2013-08-16 2015-02-23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子装置
KR20150050977A (ko) * 2013-11-01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8630A (zh) * 2018-05-31 2018-10-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曲面屏贴合装置及贴合方法
US11403973B2 (en) 2020-01-0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05024B2 (en) 2020-01-06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996016B2 (en) 2020-01-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698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667B2 (en) Connectabl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58239B2 (en) Layered accessory case for electronic device and cradling device thereof
US20200185460A1 (en) Display device
JP5580313B2 (ja) ベゼルのための可変背面照明制御
EP3618408B1 (en) Electronic device
JP2012185797A (ja) 電子機器
CN104299465A (zh) 一种旋转投影多媒体一体机
WO2008108558A1 (en) Interactive digital multimedia information mirror device
CN202795139U (zh) 键盘托架和便携式计算机投影器显示器
US20130222722A1 (en)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1169574B2 (en) Peripheral housing for a computing device
KR102645471B1 (ko) 표시장치
WO2018168739A1 (ja) 画像表示パネル
EP31451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23712B1 (ko) 홀로그램 투명 엘시디 미디어박스 및 이의 재생방법.
KR102355698B1 (ko) 복합 기능 표시 장치
TWI765843B (zh) 可撓顯示裝置
JP2007201580A (ja) 壁掛けtvの存在を、未視聴時に目立たなくする一連の装置。
JP5523406B2 (ja) 空気調和機
US20220217273A1 (en) Spherical camera with magnetic base
US20220311969A1 (en) Audiovisual device
JP2011223238A (ja) 画像表示装置
KR20180071602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JP5509274B2 (ja) 電子機器
KR20160098732A (ko) 몰입감 증대를 위한 시청자 적응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곡률제어 시스템 및 몰입감 증대를 위한 시청자 적응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곡률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