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602A -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602A
KR20180071602A KR1020160174402A KR20160174402A KR20180071602A KR 20180071602 A KR20180071602 A KR 20180071602A KR 1020160174402 A KR1020160174402 A KR 1020160174402A KR 20160174402 A KR20160174402 A KR 20160174402A KR 20180071602 A KR20180071602 A KR 20180071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digital signage
display devic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120B1 (ko
Inventor
이상민
김지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120B1/ko
Priority to CN201710825232.4A priority patent/CN108206004B/zh
Priority to US15/792,172 priority patent/US11119717B2/en
Priority to EP17198577.3A priority patent/EP3333696B1/en
Priority to EP17198432.1A priority patent/EP333369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6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signs other than labels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이니지 컨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오버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DIGITAL SIGNAG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포함한 디지털 사이니지들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모바일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서버 등의 제어에 따라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지털 사이니지 상에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만 구성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더라도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평적으로 단순 나열되어 상기 사이니지 컨텐트를 평면적으로 디스플레이할 뿐이다. 다만, 디지털 사이니지의 활용 영역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이러한 평면적인 정보 제공 방식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한계를 정하고 활용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평면적인 사이니지 정보 제공에 그친 종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비하여 깊이감, 몰입감 등 입체감이 있는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 등 다양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어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이니지 컨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오버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도록 중첩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 제1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 및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평면적인 사이니지 정보 제공에 그친 종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비하여 깊이감, 몰입감 등 입체감이 있는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 등 다양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어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 회로 구성도,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이벤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통한 가현 운동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레퍼런스 움직임 내지 변경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제어 과정에서 소정 이벤트가 발생에 따른 그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구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24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기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7 내지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에서의 사이니지 컨텐트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문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내 무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Digital Signage System)에는 옥외 광고판, 디지털 영상 출력 장치, 디지털 영상 표시 장치, 디지털 TV, 데스크톱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디지털 사이니지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은 크게 서버(1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는 적어도 둘 이상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일한 타입 내지 속성의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모듈 다시 말해, 상기 서버(110)는 시스템에 따라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외부 서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일부 구성 모듈을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서버(110)는, 제어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촬영부(미도시), 인터페이스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자체 제작되거나 기저장된 사이니지 컨텐트가 아닌 사이니지 컨텐트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 서버(19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니지 컨텐트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미디어 데이터, 이미지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통신부(140)는, 튜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달하거나 그를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60)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입력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알고리즘, 컨텐트 제작 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사이니지 컨텐트(signage content)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160), 저장부(130), 통신부(140), 촬영부(미도시), 인터페이스부(150) 등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 전반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40)에서 수신된 사이니지 컨텐트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은 촬영부를 통해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는, 통신부(140)에서 수신된 사이니지 컨텐트에 대응하는 비디오, 그래픽,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6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사이니지 컨텐트(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b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투명 디스플레이(11)와 이의 스탠드(13)를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11)는 빛을 투과시키면서 정보를 표시해 디스플레이 너머의 모습도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11)의 일 예로, 무기 박막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있을 수 있다. 이들은 패시브 메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고, TFT가 필요 없어 투명 발광 소자 및 투명 전극으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전체가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다. 또한, 액티브 메트릭스(Active Matrix) OLED처럼, TFT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는 다조성계 산화물 반도체와 같은 투명 물질을 이용해서 TFT를 만들어 디스플레이를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이 투명 디스플레이(11)는 전극과 유전체층을 각각 투명한 물질로 만들고, 격벽을 유리 조성물로 제작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일 수도 있다. 위의 예시 외에도,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안과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동안에도 빛을 투과시키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두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스탠드(13)는 투명 디스플레이(11)를 바닥에 세운 상태로 고정시킨다. 상기 스탠드(13)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도 1b에서는 편의상 바닥에 투명 디스플레이(11)를 세운 상태로 거치한 것을 예시한다. 상기 스탠드(13)의 내부에는 투명 디스플레이(11)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하드웨어적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 디스플레이(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투명 디스플레이(11)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신호들을 만드는 구동보드 등이 스탠드(13)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형태로, 투명 디스플레이(11)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은 투명 디스플레이(11)와 분리된 채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투명 디스플레이(11)는 유리벽 등에 고정되거나,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놓인다.
또 다른 형태로, 상기 스탠드(13)는 바닥에 세운 상태로 거치하되, 상기 스탠드 하단에 바퀴, 레일 등 이동 수단을 구비하여, 추후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공간 간격 조정 시에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해당 부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송 신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의 용어를 이용하되, 이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이니지 컨텐트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서버 또는 시스템 컨트롤러(이하 편의상 서버(110))로 도 2에서는 디지털 TV를, 그리고 도 3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예시한다.
그 밖에, 상기 서버(110)는 PC, 노트북 등 다양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사이니지 컨텐트가 최초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아닐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역시, 도 2 또는 3과 같은 구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110)를 대체할 수도 있다.
서버(110)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서버(11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 Web O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110)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스마트폰 등 이동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1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구동부(2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11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구동부(2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로 영상 표시를 위한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210)는 서버(110)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10)는 수신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 저장부(2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60), 제어부(230), 명령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구동부(21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는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110)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270),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음향 감지부(280), 사용자의 움직임, 위치, 안면 등을 감지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객체 감지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신부는, 튜너(212), 복조부(2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에 따라, 튜너(212)와 복조부(214)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구비하면서 튜너(212)와 복조부(214)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튜너(2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214)는, 튜너(212)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214)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214)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3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270)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서버(1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DVD, 블루레이,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서버(110)의 제어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서버(11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저장부(2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명령 입력부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는 유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선 입력부(262) 및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입력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량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의 이동, 메뉴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 입력부(264)는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60)는, 명령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신호를 명령 입력부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유선 입력부(262)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6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230)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입력부(264)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 입력부(264)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0)는, 명령 입력부(160Q)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튜너(212) 또는 복조부(214)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3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270)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30)는, 서버(11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튜너(21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서버(1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서버(11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 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212)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 또는 음성 출력부(27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 또는 음성 출력부(2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3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212)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서버(110) (11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는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5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60)에는 터치 스크린에 배치될 수 있다.
음성 출력부(270)는 제어부(23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7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감지부(280)는 서버(110)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감지부(280)는 음성 센서 혹은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감지부(290)는 사용자의 움직임, 위치, 안명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객체 감지부(290)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객체 감지부(290)는 카메라 등의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230)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객체 감지부(290)는 센서부와 촬영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안면, 위치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아울러, 객체 감지부(290)는 사용자의 모션뿐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Face)의 형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서버(110)는, 무선 통신부(310), A/V(Audio/Video) 입력부(320), 유저 입력부(330), 센싱부(340), 출력부(350), 메모리(36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380),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서버(1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 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위치 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과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며,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110)에서 EPG나 ESG 등을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3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3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서버(1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Fi), Wibro, Wimax, HSDP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RS-232, RS-4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315)은, 서버(11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3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입력부(330)는, 유저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입력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340)는, 서버(110)의 개폐 상태, 서버(110)의 위치, 유저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서버(1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서버(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서버(11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지면, 이동 단말기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3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340)는, NFC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 출력 모듈(352), 알람부(353), 햅틱 모듈(3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서버(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서버(11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이는 본 명세서 전반에 적용된다. 디스플레이부(3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저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3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서버(1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3403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서버(1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52)에는 리시버, 스피커, 부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53)는, 서버(1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51)나 음성 출력 모듈(3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351,352)은 알람부(3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3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서버(11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RAM, SRAM, 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10)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메모리(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서버(1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서버(1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서버(1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서버(11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유저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유저 인증 모듈(Universal SIM,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서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서버(110)가 외부 크래들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서버(11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유저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3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3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이루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DSPs, DSPDs, PLDs, FPGA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3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 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제1 투명기판(First Transparent Substrate, 410), 제2 투명 기판(Second Transparent Substrate, 420) 및 제1 투명기판(410)과 제2 투명기판(4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투명기판(410)과 제2 투명기판(4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층(430)을 유기셀이라고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투명기판(410)과 제2 투명기판(420)은 광 투과 특성이 있을 수 있다.
영상층(430)은 양극(Anode, 431),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432), 발광층(Emmitting layer, 433),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434) 및 음극(Cathode, 4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435)과 양극(431)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계조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음극(435)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수송층(434)을 통해 발광층(433)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양극(431)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수송층(432)을 통해 발광층(433)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광층(433)에서는 전자수송층(434)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수송층(432)으로부터 공급된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충돌에 의해 발광층(433)에서 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광층(433)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양극(431)으로 공급되는 계조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발광층(433)에서 광이 발생하면, 제1 투명기판(41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될 수 있고, 또는 제2 투명기판(420) 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투명기판(410)을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또는 제2 투명기판(420)을 통해서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여기, 도 4의 경우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부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디스플레이 패널(510), 구동 회로부(530)를 포함한다.
한편, 통상의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500) 내의 디스플레이 패널(510)에 결합되어, 생성된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510)에 공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 즉 광원부(575)는, 디스플레이 패널(51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광원부(575)와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영상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상을 표시하되, 디스플레이 패널(510) 뒤의 제품 내지 공간 등이 보이도록 투명하게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다수 개의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되고,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이 형성되는 제1 기판과, 공통 전극이 구비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한편, 제2 기판상에, 색상 표시를 위한 컬러 필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530)는,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510)을 구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부(530)는, 타이밍 컨트롤러(532), 게이트 드라이버(534), 데이터 드라이버(53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532)는,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R, G, B 데이터 신호, 수직 동기신호(Vsync) 등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534)와 데이터 드라이버(536)를 제어하고, R, G, B 데이터 신호를 재배치하여, 데이터 드라이브(536)에 제공한다.
한편, 게이트 드라이버(534)와 데이터 드라이버(536), 타이밍 컨트롤러(532)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510)에 공급한다.
도 5에서는, 구동 회로부(530) 내에 타이밍 컨트롤러(532), 게이트 드라이버(534), 데이터 드라이버(536)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구성의 변형이 가능하다.
광원부(575)는, 빛을 공급한다. 한편, 광원부(575)는, 광원인 램프(550)와, 램프(550)를 온/오프(On/Off) 하는 램프 구동부(55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램프(550)가 턴-온 되면, 램프(550)에서 방출되는 광이, 제품에 조사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510)은,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산 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램프(550)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공통 전극 전압(Vcom)을 공급하며, 데이터 드라이버(536)에 감마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575)에 램프(5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서버가 도시되지 않더라도 포함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도 6은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포함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도시하였고, 도 7은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포함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유저나 미리 정한 포인트와 같은 레퍼런스(reference)(650)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는 소정 거리 즉, 공간 간격(d1)을 가지고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 간격(d1)은 미리 정한 임계 공간 간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610,620)은, 레퍼런스(650)로부터 직렬로 정렬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나, 반드시 직렬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610,620)은 레퍼런스(650)를 기준으로 전면에 위치하되 상기 레퍼런스(65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610,620)을 잇는 평행선을 가정할 때 직선 형태가 그려지면 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평행선이 직선 형태가 그려진다고 함은, 상기 레퍼런스(650)를 기준으로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오버랩되는 스크린 영역이 적어도 일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는 둘 다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거나 둘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만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일 예로, 도 6에서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이미지 즉, 싱글 이미지가 최초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다시 말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닌 디지털 TV, 모니터 또는 미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6과 달리 레퍼런스(650)를 기준으로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 및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 총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는 제1 공간 간격(d1)을 가지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30)는 제2 공간 간격(d2)을 가지고 배치된다. 상기 제1 공간 간격(d1)과 제2 공간 간격(d2)은 미리 정한 임계 공간 간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간 간격(d1)과 제2 공간 간격(d2)은 서로 동일한 공간 간격 즉, 등간격일 수도 있고 등간격이 아닐 수도 있다.
역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710,720,730)은, 레퍼런스(650)로부터 직렬로 정렬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나, 반드시 직렬일 필요는 없다.
도 7에서 상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7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서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이미지 즉, 싱글 이미지가 최초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다시 말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닌 디지털 TV, 모니터 또는 미러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730)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서버 또는 상기 서버의 제어부(편의상 이하 ‘제어부’)는, 도 6과 7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공간 간격을 임의로 조정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서버단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관리, 제어 등의 방법을 위한 것이다.
도 8a에는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810,820,830)이 수직 배열되어 있다.
도 8b는 서버단의 제어부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810,820,830)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 UI/UX를 도시하였다.
서버단의 제어부는 도 8b의 UI/UX를 통해 도 8a와 같이 수직 배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810,820,830)에 대한 정보를 현장이 아니어도 알 수 있다. 도 8b의 UI/UX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임의의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배치 형상, 상대 위치, 공간 간격(d, d1, d2 등), 배치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I/UX는 네비게이션 맵 형상으로 제공되어 유저의 식별 편의를 도울 수 있다. 한편, 이러한 UI/UX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810,820,830)을 위한 사이니지 컨텐트에 관한 정보도 상기 UI/UX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니지 컨텐트에 관한 정보라 함은 예컨대, 사이니지 컨텐트의 속성, 종류, 내용,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온/오프 시간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b의 UI/UX는 도 8a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810,820,830)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것으로,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관리, 제어 등을 위한 다양한 기능 키, 입력 키 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도 8b의 UI/UX를 통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도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 위치 변경, 각도 변경, 고장 등의 이벤트가 있거나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추가 등이 되는 경우에도 상기 UI/UX를 통해 이를 파악하여 관리, 제어 등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과 달리, 도 9에서는 레퍼런스(650)를 기준으로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910,920)이 소정 공간 간격(d1)을 가지고 직렬로 배열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의 사이즈가 서로 상이하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의 사이즈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의 사이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9의 반대일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더 존재하거나 추가되어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사이즈는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속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전부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는 조명 장치(93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의 일 예로 LED(Light Emitting Device)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9에서는 조명 장치(930)는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의 일 측면에 부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일 예로서, 다른 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930)는 예컨대,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으나 그 주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9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착된 경우에도 임의로 탈착 즉, 조명 장치(9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다.
이러한 조명 장치(93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10 내지 12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에서는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레퍼런스(미도시)로부터 직렬로 수직 배열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공간 간격에 이어 시간 간격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서버단의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에 무관하게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을 가지고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서버단의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을 고려하여 시간 간격을 결정하여 하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한다.
서버단의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을 적용하나, 상기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이 상기 정의된 내용과 다를 경우, 그에 따라 적절히 공간 간격 또는/및 시간 간격을 임의 조정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번단의 제어부는, 소정 이벤트에 의해 최초 설정된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이 있으면, 그에 따라 다른 간격도 변경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은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레퍼런스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가현 운동을 느낄 수 있도록 예컨대, 40ms 이하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러한 시간 간격은 예컨대, 이미지의 속성 내지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공간 간격은 정의되었다고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간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간격이라 함은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오프되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다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온 되는 시점 사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간 간격이라 함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온 되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다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온 되는 시점 사이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간 간격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정의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온/오프 시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먼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정 단위 예컨대, 그룹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을 판단한다.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공간 간격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이 제1 간격 또는 등간격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싱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동일 즉, 등시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간격이라 함은 등간격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상기 싱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동일 또는 등시간으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용인 가능한 정도의 간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간격은 등간격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상기 등간격으로부터 미리 정한 임계치 이내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공간 간격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이 제1 간격 또는 등간격이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싱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동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이 제1 간격 또는 등간격이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싱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동일하지 않도록 제어한다고 함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에 대비하여 시간 간격을 결정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공간 간격이 d1이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공간 간격이 d2라고 하고, 상기 d1과 d2를 대비할 때, 상기 제1 간격 또는 등간격이 아니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싱글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시간에 대한 시간 간격(time interval, ti1)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싱글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시간에 대한 시간 간격(ti2)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공간 간격을 비교한 결과 d1>d2이면,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ti1<ti2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ti1과 ti2는 모두 상기 임계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정확한 시간 간격은 미리 정한 바에 따라 공간 간격에 대비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공간 간격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이 제1 간격 또는 등간격이 아니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상기 싱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을 미리 정한 임계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이 기설정되었더라도 소정 이벤트나 임의로 계속하여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라 함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나, 소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고장의 경우도 될 수 있고, 또는 사이니지 컨텐트의 특성상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시간 간격 또는 공간 간격을 해당 이미지에 대해서만 또는 전체적으로 조정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단의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공간 간격(d1,d2)에 따라 시간 간격(ti1,ti2)을 미리 설정해 두었다고 한다.
따라서, 서버단의 제어부는, 최초 이미지가 도 10a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도 10a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설정된 시간 간격(ti1)을 참고하여 도 10b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소정 시간에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도 10b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설정된 시간 간격(ti2)를 참고하여 도 10c와 같이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에서 순차 배열된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점을 제어함에 따라, 레퍼런스에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특히, 도면에서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시청하면 도 17a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미지의 가현 운동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7b와 같이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도 17a의 시간 간격과 도 17b의 시간 간격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10c를 참조하면, 싱글 이미지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 순차 디스플레이가 되는 과정에서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가 된다.
반면, 도 11a 내지 11c는 도 10과 달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가현 운동 효과를 보다 강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순서에 따라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더라도 점차 사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11a 내지 11c는 동일한 이미지이나 도 11a에서의 이미지 내 오브젝트의 사이즈가 도 11b에서 1차 확대되고, 도 11c에서는 2차 확대되어 상기 도 11a 대비 도 11c에서의 이미지 내 오브젝트의 크기가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레퍼런스에서 시청할 때, 가현 운동 예컨대, 상기 이미지의 오브젝트가 커지면서 다가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도 11a 내지 11c의 역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2a 내지 12c는 도 10과 달리, 이미지 내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달라지면서 도 11과 같이 순차 디스플레이되면서 이미지 내 오브젝트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도 10과 11에 비하여 이미지 내 오브젝트의 더욱 역동적인 움직임을 레퍼런스에서 느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12a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1 위치에서 제1 사이즈로 이미지 내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고, 도 12b에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2 위치에서 제2 사이즈로 이미지 내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고, 도 12c에서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3 위치에서 제3 사이즈로 이미지 내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 제어는, 도 9에서 전술한 조명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를 상기 싱글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밝기와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 싱글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를 상기 싱글 이미지가 현재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밝기보다 더욱 밝게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투명 디스플레인인 경우에만 장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조명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인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더욱 투명하도록 하기 위해 주변 조도 등을 고려하여 서버단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밝기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주변 조도에 비하여 더욱 밝게 조정하면,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투명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조명 장치가 부착되었다고 가정하면, 이를 모두 특정 밝기로 설정하거나 모두 오프된 상태로 설정한 후에, 추후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온/오프 시점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보다 더욱 밝게 또는 어둡게 또는 온하여 차별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현 운동의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디폴트 상태일 때,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가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되, 레퍼런스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가 가장 어둡도록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이벤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예컨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이벤트에 따른 대응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상태 정보 등은 모두 전술한 도 8 또는 16과 같은 UI/UX 형태로 서버단의 제어부로 감지되고 보고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예컨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와 제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30) 사이의 공간 간격(dm2)이 도 7의 공간 간격(d2)에 비하여 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서버단의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공간 간격이 d2에서 dm2로 변경을 할 수도 있지만, 변경된 경우에는 상기 공간 간격의 변경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간격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시간 간격을 조정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공간 간격이 변경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시간 간격은 변경 제어하지 않을 수도 있고 변경 제어할 수도 있다. 통상 제어부는 공간 간격이 변경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t2 -> t2’)을 변경 제어한다. 다만, 이 경우, 상기 공간 간격 변경에 따라 시간 간격도 변경 제어되는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현 운동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공간 간격이 변경되지 않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의 변경 제어 여부도 결정한다. 예컨대, 상기 공간 간격 변경과 그에 따른 시간 간격 변경이 예를 들어, 미리 정한 임계치 미만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상기 공간 간격 및 시간 간격 변경에 의하더라도 나머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공간 간격 또는 시간 간격에 대한 변경 제어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에서는 예컨대, 도 6의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 사이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0)가 추가되었다.
도 13과 달리, 도 14의 경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전체 배치가 변경된 것이다. 도 14와 같이,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경우도 있고, 또는 양단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밖에 새롭게 추가되기도 하고 또는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정보 수집을 새롭게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추가의 경우에는 추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그와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관계 공간 간격, 시간 간격만을 파악하면 족하다. 다만, 상술한 삽입이나 제거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새롭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한 정보를 새롭게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삽입된 경우에는, 제어부는 기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리셋하고 새롭게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종래 정보 대비 변경 내용에 기초하여 새롭게 공간 간격, 시간 간격 정보 등을 설정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5a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1 or θ1)로 기울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준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었다고 가정한다. 한편, 상기 기준면은 예를 들어, 지면이 될 수도 있고 지면상의 소정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상기와 같이,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기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면, 만약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각도 보정을 위한 구성이 포함된 경우에는 그에 따라 각도를 보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각도 보정 필요와 관련 고장 등의 문제가 있음을 시스템 관리자 또는 그의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5a 내지 15c는 다른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모두를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나 15c와 같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지면이 아닌 천장 등 공간상에 구비된 경우에는 레퍼런스나 다른 기타 이벤트,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즉, 사이니지 컨텐트에 따라 이를 적절히 각도 변경 제어할 수 있다. 도 15a의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지면상에 구현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16a는 제어부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새롭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추가된 경우에, UI/UX 상에 상기 새롭게 추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표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b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새롭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추가할 때, 새롭게 추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치 내지 정렬 편의를 위하여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실시 예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면, 시스템 관리자, 설치자 등에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통한 가현 운동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미지가 레퍼런스로 다가오는 가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b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미지가 레퍼런스로부터 멀어지는 가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레퍼런스 움직임 내지 변경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서버단의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소정 공간상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임의로 또는 이벤트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전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상하좌우, 회전 등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a와 같이, 유저가 레퍼런스1(1810)에서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2)을 통해 사이니지 컨텐트를 시청 중에 레퍼런스2(1820)로 위치를 변경하면 즉, 움직이면, 상기 제어부는 먼저 상기 유저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계속 시청 유무 내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유저의 의도 내지 의사를 판단할 때, 필요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되거나 부착된 카메라 센서, 기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주변에 구비된 센서 등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저의 레퍼런스1(1810)에서 레퍼런스2(1820)의 이동 역시, 상기 카메라 센서 또는/및 센서 등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저의 계속 시청 의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전체 또는 적어도 하나를 상기 레퍼런스 2(1820)로 이동한 유저가 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회전 각도를 변경하여 도 18b와 같이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저의 계속 시청 의도 판단 시에, 상술한 바와 달리, 센서가 아니라 레퍼런스로부터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를 레퍼런스2(1820)로 이동한 유저의 시청 편의를 위해 회전 각도를 변경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제어 일 예로, 먼저 상기 레퍼런스와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를 회전 변경 제어한 후에 유저의 반응에 따라 나머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추가 또는 최종 회전 변경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예컨대, 유저가 레퍼런스1(1810)에서 반대되는 위치의 레퍼런스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회전 제어하지 않고 사이니지 컨텐트의 순차 디스플레이 순서로 역으로 제어하면 족하다. 예컨대, 레퍼런스1에 유저가 있는 경우에 사이니지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 순서로 디스플레이 되던 것을 반대 위치의 레퍼런스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 순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제어 경우에, 제어부는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도 역으로 하거나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순서 변경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유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회전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 이전에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적용된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을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고, 리셋하고 새롭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서버단의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개수, 배치, 공간 간격 등 데이터를 수집한다(S190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 중 특히, 공간 간격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 데이터를 결정한다(S1904).
상기 제어부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이니지 컨텐트를 상기 결정된 시간 간격 데이터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906).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제어 과정에서 소정 이벤트가 발생에 따른 그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감지하고(S2002), 상기 감지된 이벤트를 파악한다(S2004).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악된 이벤트에 따라 변경이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변경 사항에 대한 정보를 리셋하고 새롭게 수집한다(S200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롭게 수집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변경 사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 대한 공간 간격과 시간 간격 데이터를 리셋하고 새롭게 계산한다(S200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롭게 계산된 시간 간격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이니지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S20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이니지 컨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오버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출력 중인 사이니지 컨텐트를 그대로 출력,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광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와 관계없이 기출력 중인 사이니지 컨텐트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상이 맺히는 절대 위치를 고정하고 나머지 오브젝트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별화하여 출력,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광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사이니지 컨텐트에 스플리트-뎁쓰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버랩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여 오버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영역과의 휘도 차이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면,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휘도를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조절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기 전과 후의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휘도와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 제어, 또는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디스플레이 영역이 오버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를 포함한 원-웨이 미러(One-way mirror) 또는 인피니티 미러(infinite mirror)를 포함한 미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도록 중첩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여기서, 제1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 그리고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를 포함한 원-웨이 미러,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인피니티 미러를 포함한 미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의 임계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40ms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밝기, 해상도 또는 오디오 볼륨 레벨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모드와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구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a는 싱글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한 실시 예이고, 도 21b 내지 21c는 멀티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한 실시 예이다.
이하 설명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는, 그 자체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아닌 그를 포함한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된다. 다시 말해,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편의상 구분하기 위해 이용한다.
예컨대, 도 21a의 싱글 디지털 사이니지(2112)는 스토어 도어(store door)에 구현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상기 싱글 디지털 사이니지(2112)는,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1b는 제1 상태의 멀티 디지털 사이니지를, 그리고 도 21c는 제2 상태의 멀티 디지털 사이니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멀티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2122 내지 2128)는 각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편의상 도 21b와 21c에서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2122 내지 2128)가 서로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싱글 디지털 사이니지와 유사하게, 도 21b와 21c의 멀티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 역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태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지털 사이니지가 서로 수평 배열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제2 상태는 도 21b와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들의 배열 상태를 의미하는데 도 21c에서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가 서로 수직 배열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더불어, 특히, 도 21b 내지 21c의 멀티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각 디지털 사이니지는 도 21c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할 수도 있고, 도 21b와 같이, 하나의 사이니지 컨텐트의 일부분을 담당하여 전체로서 하나의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반드시 전체 디지털 사이니지가 아니라 일부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제1 사이니지 컨텐트를, 그리고 나머지 디지털 사이니지는 제2 사이니지 컨텐트를 도시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서버나 시스템의 요청, 설정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내지 관계에 대해서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 내지 24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기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2a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30)로만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2220)를 도시하였고, 도 22b는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2260,2270)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2250)를 도시하였다.
도 22a와 22b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2220,2250)는 예컨대, 도어, 엘리베이터, 스토어 내 또는 벽면 등에 구현되어,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한다.
도 22a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2220)는 높이(h2)와 너비(w2)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도 22b에 도시된 디지털 사이니지(2250) 역시 마찬가지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a의 디지털 사이니지(222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30)로 구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30)는 높이(h1)와 너비(w1)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디지털 사이니지(2230)의 높이(h2) 및 너비(w1)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2a의 디지털 사이니지(2220)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b의 디지털 사이니지(2250)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60)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70)로 구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레퍼런스(2210)를 기준으로, 상기 레퍼런스(2210)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60)로 설명한다.
도 22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6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70)는 소정 공간 간격 또는 거리(d)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편의상 도 22b에서는 직렬로 수직 배열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수평 배열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22b의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6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간 간격 또는 거리(d)에 따라 또는 그와 무관하게, 미리 정한 임계치 이하의 시간 간격으로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60)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70)가 싱글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2210)에 위치한 유저는 상기 출력되는 사이니지 컨텐트에 대한 가현 운동에 따라 몰입감 내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정한 임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2210)에 위치한 유저가 사이니지 컨텐트에 대한 가현 운동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는 값으로 예컨대, 40ms 이하일 수 있다. 다만, 기술 발전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한 임계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편의상 여기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만 도시되었는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추가되면,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모두 동일한 시간 간격을 가질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후자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은 가현 운동 효과를 고려하여 전술한 미리 정한 임계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2b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TOLED)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레퍼런스(2210)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22b의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260))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미러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3에서는 2개의 미러들(2310,2320)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2300)가 도시되었다. 여기서, 레퍼런스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제1 미러(2310)는, 원-웨이 미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미러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를 포함한다.
그 밖에, 원-웨이 미러(2310)와 미러(2320) 조합 또는 상기 조합으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2300)를, 인피니티 미러(Infinite mirror, 무한 반사 거울)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원-웨이 미러(2310)와 미러(2320) 사이에는 오브젝트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도 24a 내지 24c와 같은 LED와 같은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4a 내지 24c에서는 다양한 인피니티 미러들 또는 그와 결합하여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이즈, 형상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 사이즈와 다를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일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도 25a에서는, 예를 들어, 스토어 출입문 상에 디지털 사이니지(2510)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설명의 편의상, 도 25a에서는 스토어의 도어즈(doors)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었으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510)는 상기 스토어 도어즈 중 하나의 도어(single door) 상에서만 구현되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5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2a 내지 22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2510)가 구현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 도어 상에 탈/부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서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관리하여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통한 사이니지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 25의 경우에는 특히,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어하는 실시 예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라 함은 예컨대, 모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온도 센서, 카메라 센서 등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 조합을 의미한다.
특히, 도 25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장착된 스토어 도어즈 쪽으로 다가오는 유저의 인식 또는 상기 인식된 유저의 스토어 도어 개폐 등 상기 도어 움직임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사이니지 컨텐트 출력 등 제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어 도어 개폐 등 움직임은 반드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가 장착된 도어일 필요는 없다. 도 25에서는 편의상 디지털 사이니지가 장착되지 않은 도어를 오픈하면, 다른 도어 상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제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b는, 스토어 도어 상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25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c와 25d는, 스토어 도어 근처에 유저가 위치하여 인식된 경우로,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2520,2530)는 전술한 도 25b와는 다른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디지털 사이니지는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 감지 전과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도 25b와 같이, 이벤트가 없는 경우에는 스토어 도어 상의 디지털 사이니지(2510)는 사이니지 컨텐트로 정지 영상을 제공하다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면, 도 25c와 25d와 같이 사이니지 컨텐트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지 영상과 동영상은 전혀 다른 사이니지 컨텐트일 수도 있고 동일한 컨텐트이나 단지 출력 형식만 차이날 뿐일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모두 투명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상기 이벤트가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오프 또는 아무런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고 마치 유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다가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면,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여 불투명해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상의 사이니지 컨텐트에 대한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를 참조하면,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2610,2620) 각각에 디지털 사이니지(2615,2625)가 구비되었다.
이때, 상기 각 디지털 사이니지(2615,2625)는 전술한 도 22a 또는 22b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일 수 있다.
도 26a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서버 내 제어부는,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2610,2620) 상에 구비된 디지털 사이니지들(2615,2625) 각각 또는 전체로서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각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개별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한다. 후자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어 도어(2610)에 구비된 제1 디지털 사이니지(2615)가 싱글 사이니지 컨텐트의 일부를, 그리고 제2 스토어 도어(2620)에 구비된 제2 디지털 사이니지(2625)가 상기 싱글 사이니지 컨텐트의 나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어 도어즈 상에 구비된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통해 하나의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하게 되면,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사이니지 컨텐트 내지 응답 메시지 등을 서버의 제어부 제어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6a가 스토어 도어즈가 제1 상태 즉, 도어 클로우즈드 상태로 대화면을 구성한다면, 도 26b는 스토어 도어즈가 제2 상태 즉, 도어 오픈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도 25에서는 수평 배열된 스토어 도어즈가 수직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에 반해, 도 26b에서는 수평 배열된 스토어 도어즈가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후자와 같이, 동작하는 스토어 도어즈를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도 26b를 참조하면,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는 도면상에서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을 통해 각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의 영역 일부 또는 전부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 역시 동일하게 중첩될 수 있다.
도 26a와 26b와 같이,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가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의 출력 해상도, 오디오 볼륨 레벨, 제공 사이니지 컨텐트의 속성, 종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7 내지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에서의 사이니지 컨텐트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에서 대화면으로 싱글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하든 그렇지 않던, 도 27a와 같이, 스토어 도어즈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서버의 제어부는 도 27b와 같이 스플리트-뎁쓰 방식으로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플리트-뎁쓰 방식이라 함은 배경과 동일한 색의 선을 영상에 추가하여 2D(2-dimensional) 영상의 입체감을 높이는 방식으로, 공지된 내용을 참고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a을 참조하면, 서버의 제어부는 스토어 도어즈 슬라이딩을 감지하는데, 상기 감지는 예컨대, 각 스토어 도어의 디지털 사이니지 영역이 미리 정한 임계치 이상 중첩되는 경우(2710)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임계치는 임의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임계치로 상기 스토어 도어즈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중첩 영역이 디지털 사이니지 영역의 절반 이상인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8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스토어 도어의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각각 사이니지 컨텐트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 28b와 같이, 상기 스토어 도어즈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 전술한 도 27과는 다르게 고정된 제1 디지털 사이니지가 아닌 실제 슬라이딩 되는 제2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제공되는 사이니지 컨텐트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속도에 맞추어 변경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맺히는 상의 위치를 리얼 월드의 절대 위치로 고정시켜, 사이니지 컨텐트가 움직일 때 사라지는 효과를 표현함으로써, 슬라이딩 시에 이미지가 맺히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공간에 위치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센싱하여 이미지를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이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8a의 제2 디지털 사이니지 상에 제1 오브젝트(2832)와 제2 오브젝트(2834)가 있고, 스토어 도어즈가 제1 방향으로 제1 속도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향과 속도에 맞추어 도 28b와 같이 변형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8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2832)는 별이고, 제2 오브젝트(2834)는 자동차라고 하면, 슬라이딩에 따라 자동차가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속도로 움직이면 상기 제2 오브젝트(2834)는 슬라이딩되는 스토어 도어의 위치에 따라 계속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상의 상대 위치는 유지되나, 상기 제1 오브젝트(2834)는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상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다. 다시 말해, 고정 오브젝트인 제1 오브젝트(2832)는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무빙 오브젝트인 제2 오브젝트(2834)는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도 29는 스토어 슬라이딩 도어즈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모두 투명 디스플레이(TOLED)인 경우에 이미지 겹침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30은 상기 도 29에서 상기 이미지 겹침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a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의 이미지 겹침 현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29b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의 이미지와 실제 오브젝트의 이미지 겹침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9를 참조하면, 차광판이 없는 투명 디스플레이상에 사이니지 컨텐트가 제공되면, 완벽하게 뒷 공간을 가리지 못한다.
물이나 불과 같이 유체를 표현한 사이니지 컨텐트는 좋지만, 그 외의 사람과 같은 사이니지 컨텐트가 각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어 중첩되면, 오히려 각 사이니지 컨텐트의 퀄리티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투명 디스플레이가 디지털 사이니지에 채용된 경우에는, 별도의 차광판을 채용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추가적인 하드웨어 구성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상기 차광판 채용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의 장점이 반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29a의 측면 뷰를 참조하면, 각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각각 오브젝트들을 포함한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를 상기 측면 뷰가 아니라 정면 뷰로 확인하면, 오브젝트들의 위치가 중첩되어, 사이니지 컨텐트에 따라 해당 컨텐트 또는 오브젝트들을 제대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29b의 측면 뷰를 참조하면,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상에 싱글 오브젝트가 제공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리얼 오브젝트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제공 영역과 중첩된다. 이때, 정면 뷰를 확인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로 인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되는 오브젝트가 리얼 오브젝트의 위치난 관점에 따라 중첩되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상의 오브젝트 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
상술한 문제로 인해, 도 30에서는 슬라이딩에 따라 레퍼런스로부터 상대적으로 뒤에 위치하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를 차광판처럼 이용함으로써 도 29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0a와 같이, 제1 투명 디스플레이(3010)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3020)가 임계치 이상으로 중첩되면, 도 30b와 같이 제1 투명 디스플레이(3010)는 사이니지 컨텐트를 그대로 출력하고, 도 30c와 같이 제2 투명 디스플레이(3020)는 차광판처럼 변경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도 30c에서 제2 투명 디스플레이(3020)는 차광판 역할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오프나 화이트, 블랙 등과 같이 특정 컬러를 배경으로 제공하여 상기 차광판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경으로 제공되는 특정 컬러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투명 디스플레이(3010)상의 사이니지 컨텐트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0b에서 제1 투명 디스플레이(3010)는 슬라이딩 이전보다 해상도, 밝기 등을 다르게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밝기 제어는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상 또는 주변에 위치한 발광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1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딩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 시나리오의 일 예이다.
도 31a를 참조하면, 제1 스토어 도어(3110)와 제2 스토어 도어(3120)가 중첩없이 도어 클로우즈드 상태이다. 이때, 각 스토어 도어에는 디지털 사이니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었다. 다만, 도 31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토어 도어(3110) 상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지 않고 스토어 내부가 보이도록 제어하나, 제2 스토어 도어(3120) 상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사이니지 컨텐트(3130-1)를 제공한다. 한편, 이때, 슬라이딩 시에 제2 스토어 도어(3120)는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토어 도어(3110)가 움직여 상기 제1 스토어 도어(3110)와 제2 스토어 도어(3120)가 중첩된다고 가정한다.
도 31b를 참조하면, 유저가 스토어로 진입하기 위해 접근하면, 제어부는 제1 스토어 도어(311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제2 스토어 도어(3120)와 중첩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토어 도어(311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저는 스토어에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어 도어즈가 슬라이딩에 따라 중첩되면, 정면뷰를 가정할 때, 제1 투명 디스플레이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가 중첩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는 싱글 사이니지 컨텐트를 전술한 방식에 따라 소정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으로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1b에서 제공되는 사이니지 컨텐트(3130-2)는 전술한 도 31a에서의 제2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사이니지 컨텐트(3130-1)와 다를 수 있다.
한편, 도 31c에서는 슬라이딩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도 31b에 이어 계속하여 사이니지 컨텐트(3130-3)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1c는 예컨대, 도 31b에서 유저가 스토어 내부로 진입하였다고 하더라도 소정 시간 내에 새로운 유저나 움직임 등이 감지된 경우에는, 슬라이딩을 계속하여 유지하여 계속하여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는 씬으로 볼 수 있다.
도 31b 또는 31c에서 슬라이딩이 종료되어 각 스토어 도어가 도 31a와 같이 돌아가면, 다시 도 31a와 같이, 사이니지 컨텐트(3130-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는 엘리베이터 출입 도어(3210)를 포함하여 외부에 구비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2b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구비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의 출입 도어즈 각각 디지털 사이니지(3212,3214)가 구비되고, 각 디지털 사이니지는 서로 다른 사이니지 컨텐트(A,B) 또는 싱글 사이니지 컨텐트를 대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엘리베이터 출입 도어(3210) 근처에 움직임, 층 선택부(3220)에 대한 입력 등 이벤트를 감지하면, 상기 출입 도어 상에 구비된 디지털 사이니지들(3212,3214)의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위치, 탑승 인원, 도착 예상 소요 시간 등 그 자체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날씨, 광고, 주식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2a에서 해당 엘리베이터가 도착하면, 사이니지 컨텐트의 제공을 종료하고 투명하게 엘리베이터 내부가 보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2b를 참조하면, 통상 사각형 형태로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내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3230)에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을 수신 가능한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서버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 관련 입력, 탑승 인원, 탑승자의 성별, 나이대 등 다양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탑승 인원 존재가 감지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한다. 다만,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 인원이 없으면, 디스플레이 오프하여 유리처럼 외부 전경 등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 도어에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는 회전 도어를 위에서 바라봤을 때 모습에 대한 구조도로, 회전 커버(3320) 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도어 상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디지털 사이니지(3310)가 구비된다.
도 33b는 회전 도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3a와 달리, 2개의 회전 도어로 구성되어 회전 커버(3320)를 따라 회전한다. 각 회전 도어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디지털 사이니지들(3310,3330)이 구비되었다.
센서(3340)를 통해 유저가 회전 도어 근처에서 감지되면, 회전 도어는 회전하여 상기 유저가 회전 도어의 진입을 돕는다. 이때, 상기 회전 도어 상의 각 디지털 사이니지(3310,3330)는 상기 유저의 진입에 따라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한다.
또는, 상기에서, 회전 도어 상의 각 디지털 사이니지(3310,3330)는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되, 레퍼런스를 기준으로 회전 커버(3320)와 회전 도어 상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영역이 겹치는 영역(3350)에서는 새로운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때부터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로 회전 도어는 유저가 통과하면, 회전을 멈추고 다시 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유저의 통과 사실을 서버에 보고하여 다음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준비를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고되는 내용은 단지 유저의 통과 사실뿐만 아니라 유저가 회전 도어 내에서 시청한 사이니지 컨텐트에 대한 정보, 사이니지 컨텐트에 대한 유저의 입력, 피드백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회전 도어의 보고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른 디지털 사이니지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할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내 무빙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a와 34b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가 디지털 사이니지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일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채용된 경우에, 상기 채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지털 사이니지 내에서 고정된 경우가 아니라 무버블한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34a를 참조하면, 디지털 사이니지(3410) 내에 제1 영역(3420-1)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통상 디지털 사이니지가 소정 높이와 너비를 가지고 구현될 때, 이를 시청하는 유저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영역(3420-1)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대로 시청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도 34b에서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3410) 내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3410) 내에서 그 위치를 변경하도록 서버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일정 거리를 두고 시야각이 통상 80도 정도이다. 따라서, 감지된 유저의 신장 데이터 등을 기초로, 상기 시야각이 확보되도록 서버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1 영역(3420-1)이 아닌 제2 영역(3420-2)으로 변경하여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여러 명의 유저가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감지되면, 각 유저의 신장 데이터에 기초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유저마다 신장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장 키가 큰 사람의 시야각 또는 유저 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4b에서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전술한 상황에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430)만 온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440)만 온 하는 등 이벤트에 따라 다양하게 디지털 사이니지 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온/오프 제어나 사이즈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도 34에서 기술한 내용은 전술한 실시 예들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35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S3502).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움직임 데이터를 계속하여 센싱하고 수집한다(S3504).
제어부는 상기 수집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미리 정한 임계치 이상 오버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6).
제어부는 상기 S3506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미리 정한 임계치 이상 오버랩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사이니지 컨텐트 출력을 개별 제어한다(S3508). 이때, 상기 개별 제어에 대한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일 예로, 제어부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출력 중인 사이니지 컨텐트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광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과정에서 오버랩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에 사이니지 컨텐트 출력 시 스플리트-뎁쓰 효과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6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제1 모드로 제1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S3602). 이때,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 주변을 센싱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한다(S3604).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3606).
상기 제어부는, 상기 S3606 단계 판단 결과 제2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사이니지 컨텐트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제어한다(S360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2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S361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평면적인 사이니지 정보 제공에 그친 종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비하여 깊이감, 몰입감 등 입체감이 있는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 등 다양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사이니지 컨텐트를 제어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서버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디스플레이

Claims (15)

  1.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있어서,
    사이니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사이니지 컨텐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오버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출력 중인 사이니지 컨텐트를 그대로 출력,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광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와 관계없이 기출력 중인 사이니지 컨텐트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에 상이 맺히는 절대 위치를 고정하고 나머지 오브젝트는 상기 센싱된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별화하여 출력,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차광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랩되는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에서의 사이니지 컨텐트에 스플리트-뎁쓰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버랩 디스플레이 영역의 휘도를 조절하여 오버랩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영역과의 휘도 차이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면,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휘도를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조절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기 전과 후의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휘도와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상 디스플레이 영역이 오버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를 포함한 원-웨이 미러(One-way mirror) 또는 인피니티 미러(infinite mirror)를 포함한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0.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오버랩되도록 중첩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 제1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 및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이 되도록 상기 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미지 데이터 디스플레이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 서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디스플레이(TOLED)를 포함한 원-웨이 미러,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인피니티 미러를 포함한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의 임계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이웃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스플레이 시간 간격이 40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밝기, 해상도 또는 오디오 볼륨 레벨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모드와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0160174402A 2016-12-06 2016-12-20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60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02A KR102606120B1 (ko) 2016-12-20 2016-12-20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N201710825232.4A CN108206004B (zh) 2016-12-20 2017-09-14 数字标牌系统
US15/792,172 US11119717B2 (en) 2016-12-20 2017-10-24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EP17198577.3A EP3333696B1 (en) 2016-12-06 2017-10-26 Digital signage system
EP17198432.1A EP3333695B1 (en) 2016-12-06 2017-10-26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402A KR102606120B1 (ko) 2016-12-20 2016-12-20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602A true KR20180071602A (ko) 2018-06-28
KR102606120B1 KR102606120B1 (ko) 2023-11-24

Family

ID=6256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02A KR102606120B1 (ko) 2016-12-06 2016-12-20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19717B2 (ko)
KR (1) KR102606120B1 (ko)
CN (1) CN108206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4947A (zh) * 2018-07-19 2018-12-21 郑晖 一种增强ar显示的装置
CN113409692B (zh) * 2021-06-18 2022-1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显示标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980A (ko) * 2009-10-09 201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20817B1 (ko) * 2011-12-07 2013-01-11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투명패널을 이용한 광고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8157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JP2016095502A (ja) * 2014-11-11 2016-05-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9350A1 (en) * 2008-08-15 2010-02-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oveable displays and related devices
US20100060547A1 (en) * 2008-09-11 2010-03-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in a Variable Size Display Area
KR101688942B1 (ko)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8608319B2 (en) * 2011-04-19 2013-12-17 Igt Multi-layer projection displays
US9594286B2 (en) * 2012-12-31 2017-03-14 L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with adjustable transmissive area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54883B1 (ko) * 2013-11-18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4082B1 (ko) * 2014-02-06 2021-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106211A (ko) *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872520A (zh) 2016-04-25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980A (ko) * 2009-10-09 201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20817B1 (ko) * 2011-12-07 2013-01-11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투명패널을 이용한 광고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8157A (ko) * 2012-12-17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JP2016095502A (ja) * 2014-11-11 2016-05-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6004B (zh) 2022-06-07
KR102606120B1 (ko) 2023-11-24
CN108206004A (zh) 2018-06-26
US20180173485A1 (en) 2018-06-21
US11119717B2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105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5400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mounted external device
CN10276969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0192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639735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014290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KR2015006935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780451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2824912B1 (en) Audio extension module
KR201500209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180071602A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2662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
US10432909B2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KR10219492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333696B1 (en) Digital signage system
KR20140078914A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KR10236958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5180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6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26564A (ko) 입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KR20160095825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20170022333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102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64924A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