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355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355A
KR20150069355A KR1020130155662A KR20130155662A KR20150069355A KR 20150069355 A KR20150069355 A KR 20150069355A KR 1020130155662 A KR1020130155662 A KR 1020130155662A KR 20130155662 A KR20130155662 A KR 20130155662A KR 20150069355 A KR20150069355 A KR 20150069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notification gui
content
notification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희
김도희
박차라
허우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355A/ko
Priority to US14/226,243 priority patent/US20150172777A1/en
Priority to EP14164311.4A priority patent/EP2890145A1/en
Priority to CN201410149384.3A priority patent/CN104714771A/zh
Publication of KR2015006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스크린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Event)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GUI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가 감지되면,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피케이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하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방송 프로그램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페어링된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Computer),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Television), 기타 방송 수신 디바이스 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피케이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스크린에 출력되는 컨텐츠 보다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피케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추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크린에 노티피케이션이 출력되는 경우, 스피커의 볼륨 크기도 변경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사용자의 커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스크린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Event)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GUI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Event)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G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피케이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스크린에 출력되는 컨텐츠 보다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노티피케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추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자동으로 연결된 후, 스크린에 노티피케이션이 출력되는 경우, 스피커의 볼륨 크기도 변경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하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다른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타입의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노티피케이션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노티피케이션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타입의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노티피케이션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에 노티피케이션 GUI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노티피케이션 GUI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피커 볼륨 크기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싱크업(Sync-up) 기능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 메모리(105), 제어부(106), 비디오 출력부(107), 오디오 출력부(108), 전원 공급부(109), 외부 입력 수단(11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110)에 해당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이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설명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02)는,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1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제어부(1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부(106)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거나, 역 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비디오 출력부(107)는,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8)는, 제어부(1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1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206)는, 역다중화부(210), 영상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 그리고 포맷터(2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6)는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 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역 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1) 및 스케일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1)는 역 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22)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2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250)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2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2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포맷터(2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에서 변환한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3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좌우(도 3의 (b)), 상하(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3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3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될 수도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3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여 포인터(301)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무선통신부(414), 사용자 입력부(415), 센서부(417), 출력부(416), 전원 공급부(411), 저장부(412), 그리고 제어부(413)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4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41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고, IR 모듈(414b)은 외부 전자 장치(4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4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410)가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14a)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14b)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417)는 자이로 센서(417a) 또는 가속도 센서(4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17a)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417a)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17b)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417)는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16)는 사용자 입력부(4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416)는, 사용자 입력부(415)가 조작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가 무선 통신부(414)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면, 점등되는 LED 모듈(416a),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4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6d)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11)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411)는 리모트 컨트롤러(4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저장부(412)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3)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13)는, 사용자 입력부(4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또는 STB(4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5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및 위치 정보 모듈(5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5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5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51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5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5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5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5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5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5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개폐 상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방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5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540)는 근접 센서(5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 모듈(552), 알람부(553), 및 햅틱 모듈(5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5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바이스 바디의 디스플레이부(5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디바이스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5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5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5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55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55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5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5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551)나 음향 출력 모듈(5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551,552)은 알람부(5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5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4)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 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5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580)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5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560)에 저장되고, 제어부(5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바 형태의 디바이스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501)와 리어 케이스(5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501)와 리어 케이스(5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501)와 리어 케이스(5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501)에는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 모듈(552), 카메라(521), 사용자 입력부(530/531,532), 마이크(522), 인터페이스부(5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프론트 케이스(5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5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551)과 카메라(5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531)와 마이크(5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532)와 인터페이스부(570) 등은 프론트 케이스(501) 및 리어 케이스(5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53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531,5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531, 5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5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532)은 음향 출력 모듈(5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5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외관 중 다른 일측면을 도시한 사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502)에는 카메라(5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521')는 카메라(521, 도 6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5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5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521,5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디바이스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5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523)와 거울(5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523)는 카메라(5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524)은 사용자가 카메라(5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디바이스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5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552')는 음향 출력 모듈(5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5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516)는 디바이스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 바디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5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590)는 디바이스 바디에 내장되거나, 디바이스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5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5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535) 또한 디스플레이부(5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5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5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5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5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5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8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을 일부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1 내지 도 8 등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00)는 수신부(810), 커뮤니케이션 모듈(82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30), 디스플레이 모듈(840) 및 컨트롤러(8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수신부(810)는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도 3 내지 도4에서 설명한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상기 키 입력 신호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 신호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수신부(810)는 도 1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에 대응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모듈(820)은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모듈(820)은 도 1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30)은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3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커맨드를 컨트롤러(8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30)은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기 위한 GUI를 생성할 수 있고, 컨트롤러(850)는 상기 생성된 GUI가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또는 방송 프로그램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840)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30)에서 생성한 GUI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40)은 도 5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551)에 대응될 수 있다.
컨트롤러(850)는 상기 수신부(810), 커뮤니케이션 모듈(82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30) 및 디스플레이 모듈(840) 등 도 8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들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타입의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노티피케이션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의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Event)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GUI(930)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 정보에 기초한 제1 타입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한 제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채널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 변경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디폴트(Default) 값으로 5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동일한 키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수신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디폴트 값으로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특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지 않고, 동일한 포맷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탐색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디폴트 값으로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Download)하지 않고, 동일한 마켓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탐색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디폴트 값으로 2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모든 공중파 채널이 광고를 제공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가 제1 채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910)를 스크린에 출력하고,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가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는 추천 컨텐츠 정보, 추천 컨텐츠의 출력 요청 아이콘(931) 및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9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 내 추천 컨텐츠의 출력 요청 아이콘(931)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의 컨트롤러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 내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932)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00)의 컨트롤러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 이외에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94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940)는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 데이터와 함께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940) 역시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가 감소할 때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94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티피케이션 GUI(9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가 현재 공중파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 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94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현재 공중파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 중 두번째로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컨텐츠에 대해 관심이 감소된 사용자의 반응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는 매번 다른 컨텐츠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한 프로세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노티피케이션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010)의 스크린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외부 디바이스(1010)의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하여 제1 노피티케이션 GUI(1020)의 디자인을 변경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102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유/무선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10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바이스(101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TV(Television),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020)의 스크린 사이즈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스크린 사이즈보다 작은 경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에 포함된 썸네일(Thumbnail)(1021)을 삭제하고, GUI 크기를 감소하여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컨트롤러는, 외부 디바이스(1010)의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의 구성 및 크기 등 디자인을 변경하여 외부 디바이스(1010)의 스크린 사이즈에 적절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는 외부 디바이스(1010)에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는 동일한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는 각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및 외부 디바이스(1010)에서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 입력 수단 등을 통해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 내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 이외에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1010)에 출력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을 통해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를 통해 출력하는 추천 컨텐츠 페이지와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추천 컨텐츠 페이지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1010)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020) 내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과 제2 노티피케이션 GUI(1030) 내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은 동일한 데이터 또는 서버에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이외에 외부 디바이스(1010)에서도 추천 컨텐츠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2 타입의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노티피케이션을 스크린에 출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120)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12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 정보에 기초한 제1 타입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11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한 제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1110)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제어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디폴트 값으로 3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1110)에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컨텐츠가 재생되는 신호가 감지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디폴트 값으로 3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가 제1 채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스크린에 출력하고,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120)가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110)의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120)의 디자인을 변경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13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에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130)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1110)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1110)를 통해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130) 내 추천 컨텐츠의 출력 요청 아이콘(1131)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제2 노티피케이션 GUI(11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추천 컨텐츠의 시놉시스(Synopsis) 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 페이지(114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11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1110)는 상기 추천 컨텐츠의 시놉시스(Synopsis) 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상세 정보 페이지(1140)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1110)를 통해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130) 내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의 출력 요청 아이콘(1132)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의 컨트롤러는, 제2 노티피케이션 GUI(11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 이외에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추천 컨텐츠 페이지(115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11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0)는 기존에 출력하던 컨텐츠를 그대로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의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30, 1240, 1250)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30, 1240, 125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 정보에 기초한 제1 타입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22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한 제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현재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4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기 설정된 선호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5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기 설정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220)의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30, 1240, 1250)의 디자인을 변경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231, 1241, 125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30, 1240, 125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에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231, 1241, 1251)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1220)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노티피케이션 GUI(1230, 1240, 1250) 와 제2 노티피케이션 GUI(1231, 1241, 1251)가 생성되고 각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프로세스는 이전 도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의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30, 1340)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30, 134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 정보에 기초한 제1 타입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32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한 제2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3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1320)에서 출력하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40)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1320)에서 출력하고 있는 컨텐츠의 상세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320)의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30, 1340)의 디자인을 변경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331, 134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30, 13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에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331, 1341)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1320)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노티피케이션 GUI(1330, 1340) 와 제2 노티피케이션 GUI(1331, 1341)가 생성되고 각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프로세스는 이전 도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에 노티피케이션 GUI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1410, 1420, 1430)와 동시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401)를 생성하여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와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1410, 1420, 1430)의 스크린 사이즈를 검출한 후,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401)의 디자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여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노티피케이션 GUI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디바이스(1410), 제2 외부 디바이스(1420) 및 제3 외부 디바이스(1430)의 스크린 사이즈가 모두 다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각 외부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에 따라, 제1 노티피케이션 GUI(1401)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제2 노티피케이션 GUI(1411), 제3 노티피케이션 GUI(1421) 및 제4 노티피케이션 GUI(1431)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00)의 컨트롤러는 제1 외부 디바이스(1410)에게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1411) 데이터를, 제2 외부 디바이스(1420)에게 상기 제3 노티피케이션 GUI(1421) 데이터를, 제3 외부 디바이스(1430)에게 상기 제4 노티피케이션 GUI(1431)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401), 제2 노티피케이션 GUI(1411), 제3 노티피케이션 GUI(1421) 및 제4 노티피케이션 GUI(1431)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모두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 개의 외부 디바이스 중 특정 디바이스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추천 컨텐츠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노티피케이션 GUI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피커 볼륨 크기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520)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에 출력되고 제2 노티피케이션 GUI(1530)가 외부 디바이스(1510)에 출력되는 경우, 멀티 채널 스피커(1541, 1542, 1543, 1544, 1545)의 스피커 볼륨 크기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출력되고, 멀티 채널 스피커(1541, 1542, 1543, 1544, 1545)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1520)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1510)의 스크린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1520)의 디자인을 변경하여 제2 노티피케이션 GUI(1530)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노티피케이션 GUI(1530)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15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멀티 채널 스피커(1541, 1542, 1543, 1544, 1545)의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거나 멀티 채널 스피커(1541, 1542, 1543, 1544, 1545)의 스피커 볼륨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노티피케이션 GUI를 통한 시각적인 환기 이외에 스피커 볼륨 제어를 통한 청각적인 환기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를 감지하고(S1610),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생성하고(S1620),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S1630).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싱크업(Sync-up) 기능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TV를 일 예로 설명하며, 외부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을 일 예로 설명하되,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으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S1710), 스마트 폰과 TV가 같은 AP(Access Point) 내에 있는지 판단하고(S1711), 스마트 폰과 TV가 같은 AP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싱크업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S1712). 반대로, 스마트 폰과 TV가 같은 AP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 폰의 웹 브라우저 메뉴 바(Menu-bar)에 TV로 보기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다(S1713).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의 컨트롤러는, 상기 TV로 보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TV로 현재 웹 브라우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전송하면서 웹 브라우저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14). 나아가, 상기 스마트 폰의 컨트롤러는, 스마트 폰 상에 터치패드(Touch pad) 방식의 조작 패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15).
이와 유사하게,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S1720), 스마트 폰과 TV가 같은 AP 내에 있는지 판단하고(S1721), 스마트 폰과 TV가 같은 AP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싱크업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S1722). 반대로, 스마트 폰과 TV가 같은 AP 내에 있는 경우 상기 TV의 웹 브라우저 메뉴 바에 모바일로 보기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다(S1723). 그리고, 상기 TV의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로 보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스마트 폰으로 현재 웹 브라우저의 URL 정보를 전송하면서 웹 브라우저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TV의 컨트롤러는 상기 TV에서 출력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를 종료할 것인지에 대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팝업(Pop-up) 창을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24). 나아가, 상기 스마트 폰의 컨트롤러는, 스마트 폰 상에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URL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725).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800)와 스마트 폰(1810)이 같은 AP 내에 존재하여 싱크업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TV(1800)의 웹 브라우저 메뉴 바(1801) 내 모바일로 보기 아이콘(1802)이 생성되고, 스마트 폰(1810)의 웹 브라우저 메뉴 바(1811)내 TV로 보기 아이콘(1812)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싱크업 기능은 TV와 스마트 폰이 동일 AP 내에 존재하는 경우, 각 디바이스에서 출력하고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동일 AP 내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로 간단하고 빠르게 전송함과 동시에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싱크업 기능은 세 개 이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AP 내에 2 개의 TV와 한 개의 스마트 폰(1910)이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폰의 컨트롤러는, 웹 브라우저 메뉴 바의 TV로 보기 아이콘(1920)이 선택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같은 AP 내에 존재하는 TV 리스트(1921, 1922)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의 컨트롤러는 상기 현재 같은 AP 내에 존재하는 TV 리스트(1921, 1922)에서 특정 TV(1900)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 TV(1900)로 현재 웹 브라우저의 URL 정보를 전송하면서 웹 브라우저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함께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마트 폰(1910)의 컨트롤러는, 스마트 폰 상에 터치패드 방식의 조작 패널(1930)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조작 패널(1930)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TV(19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싱크업 기능은 스탠바이(Stand-by) 상태의 디바이스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AP 내에 TV(2000)와 스마트 폰(2010)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폰(2010)이 터치패널 방식의 조작 패널(2020)을 이용하여 상기 TV(2000)를 제어할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 폰(2010)은 스탠바이 상태이고, 상기 TV(2000)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TV(2000)의 웹 브라우저 메뉴 바에 있는 모바일로 보기 아이콘이 선택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TV(2000)의 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 폰(2010)에서 동일한 웹 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스마트 폰(201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V(2000)의 컨트롤러는 상기 TV(2000)에서 출력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를 종료할 것인지에 대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팝업 창을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웹 브라우저 종료 커맨드를 입력하면, 상기 TV(2000)의 컨트롤러는 웹 브라우저를 종료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등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8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10 : 수신부
820 : 커뮤니케이션 모듈
8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840 : 디스플레이 모듈
850 : 컨트롤러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Event)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G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 정보에 기초한 제1 타입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한 제2 타입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채널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 변경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외부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하여 제1 노피티케이션 GUI의 디자인을 변경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제어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현재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출력하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출력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동일한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출력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가 동시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피커 볼륨 크기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스크린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Event)를 감지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 GUI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를 스크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 신호 정보에 기초한 제1 타입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한 제2 타입을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채널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 변경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외부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에 대응하여 제1 노피티케이션 GUI의 디자인을 변경한 제2 노티피케이션 GUI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제어하는 신호가 감지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1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현재 가장 시청률이 높은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몰입도 감소 이벤트의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출력하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컨텐츠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출력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동일한 추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출력되고,
    상기 제1 노티피케이션 GUI와 상기 제2 노티피케이션 GUI는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30155662A 2013-12-13 2013-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9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62A KR20150069355A (ko) 2013-12-13 2013-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226,243 US20150172777A1 (en) 2013-12-13 2014-03-26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4164311.4A EP2890145A1 (en) 2013-12-13 2014-04-1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149384.3A CN104714771A (zh) 2013-12-13 2014-04-14 显示装置和控制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62A KR20150069355A (ko) 2013-12-13 2013-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55A true KR20150069355A (ko) 2015-06-23

Family

ID=5062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62A KR20150069355A (ko) 2013-12-13 2013-12-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72777A1 (ko)
EP (1) EP2890145A1 (ko)
KR (1) KR20150069355A (ko)
CN (1) CN1047147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4678S1 (en) * 2013-12-30 2016-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5202S1 (en) * 2013-12-30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1272S1 (en) * 2014-09-02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GB2532038B (en) * 2014-11-06 2018-08-29 Displaylink Uk Lt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US10324934B2 (en) * 2014-11-12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ing information to devices
USD768676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8677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6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7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274S1 (en) * 2015-02-11 2016-08-09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30552B1 (ko) * 2015-09-09 202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584651B (zh) * 2016-09-09 2023-01-24 荣耀终端有限公司 用于推送通知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992706B1 (ko) * 2016-11-07 201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68527B2 (en) 2018-10-04 2021-07-2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delivery of content recommendations
WO2020166742A1 (ko) * 2019-02-14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07335A1 (en) * 2021-06-30 2023-01-0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presenting video overlay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8257A (en) * 1994-11-29 1998-05-26 Herz; Frederick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broadcast of and access to video programs and other data using customer profiles
DK0932398T3 (da) * 1996-06-28 2006-09-25 Ortho Mcneil Pharm Inc Anvendelse af topiramat eller derivater deraf til fremstilling af et lægemiddel til behandling af maniodepressive bipolære forstyrrelser
US8490134B2 (en) * 2000-08-14 2013-07-16 Cumnor Technologies Llc Displaying advertising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9247300B2 (en) * 2003-04-03 2016-01-26 Cox Communications, Inc. Content notification and delivery
US8613024B2 (en) * 2005-12-13 2013-12-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ross-platform predictive popularity ratings for use in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s
CN102780917A (zh) * 2005-12-29 2012-11-14 联合视频制品公司 用于基于节目片断兴趣访问媒体节目选项的方法和系统
US8607287B2 (en) * 2005-12-29 2013-12-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media guidanc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JP2007201759A (ja) * 2006-01-26 2007-08-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80301737A1 (en) * 2007-05-31 2008-12-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elevision viewing triggered by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00006930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서비스 제공 서버와,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US10097880B2 (en) * 2009-09-14 2018-10-09 Tivo Solutions Inc. Multifunction multimedia device
AU2011232575B2 (en) * 2010-03-22 2013-02-07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fixed-scale content on mobile devices
US20120096344A1 (en) * 2010-10-19 2012-04-19 Google Inc. Rendering or resizing of text and images for display on mobile / small screen devices
GB2486257B (en) * 2010-12-09 2015-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of recommending multimedia content
US8839303B2 (en) * 2011-05-13 2014-09-16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search results by determining a television program currently being displayed in proximity to an electronic device
US8949903B2 (en) * 2011-08-18 2015-02-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Feature recommendation for television viewing
US20140337883A1 (en) * 2011-12-13 2014-11-1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media content consumption status in a group of users
US20130262431A1 (en) * 2012-03-27 2013-10-03 Roku,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Recommending Content
US8774172B2 (en) * 2012-10-09 2014-07-08 Heartv Llc System for providing secondary content relating to a VoIp audio session
KR20150017156A (ko) * 2013-08-06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추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2777A1 (en) 2015-06-18
CN104714771A (zh) 2015-06-17
EP2890145A1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935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1253B1 (ko) 전자 태그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525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7018434B (zh) 包括数字设备和外部设备的系统及其处理数据的方法
KR102273751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09406B1 (ko) 포토 프린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352465B1 (en) System including a digital tv,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ser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system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EP289486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88651A (ko)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697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6760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20160026382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4950A (ko) 멀티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492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9831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8709A (ko) 멀티 스크린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18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958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5008946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2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784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5825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20170042159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