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651A -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651A
KR20160088651A KR1020150008014A KR20150008014A KR20160088651A KR 20160088651 A KR20160088651 A KR 20160088651A KR 1020150008014 A KR1020150008014 A KR 1020150008014A KR 20150008014 A KR20150008014 A KR 20150008014A KR 20160088651 A KR20160088651 A KR 2016008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signal
range communication
mo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230B1 (ko
Inventor
라택수
진철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30B1/ko
Priority to US15/542,033 priority patent/US10306397B2/en
Priority to PCT/KR2015/001387 priority patent/WO2016114442A1/en
Publication of KR2016008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L65/40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과, 대기 전력만 공급되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 인터럽트 디텍터과,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럽트 디텍터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고, 상기 웨이크업 된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느 한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을 때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다른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근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저장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 이어폰이나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를 블루투스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상기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오디오를 상기 무선 연결된 이어폰이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감상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출력 장치 간에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으면 무선 통신 연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출력 장치의 전원을 별도로 온 상태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와 출력 장치 간에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출력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두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근거리 통신 연결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을 때 두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두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해제된 후 상기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과, 대기 전력이 공급되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 인터럽트 디텍터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럽트 디텍터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고, 상기 웨이크업 된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제1 디바이스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대기 전력이 공급되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수락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 연결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을 때 두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두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해제된 후 상기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의 슬립 모드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의 수신측에 도달되는 인터럽트 신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는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서비스 시스템(service system)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트 제공자(content provider)(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30) 및 HNED(Home Network End User)(Customer)(40)를 포함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컨텐트 제공자(10)는, 각종 컨텐트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컨텐트 제공자(10)로 지상파 방송 송출자,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 (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O), 위성 방송 송출자,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 개인 컨텐트 제공자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컨텐트 제공자(10)는, 방송 컨텐트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트 제공자(10)에 의해 제작된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service packetizing)하여 HNED(40)로 제공한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제작된 컨텐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서비스를 위해 패키지화하고, 이를 HNED(40)에게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클라이언트(100)로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컨텐트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20)는, 동일한 개체(entity)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트 제공자(10)가 제작한 컨텐트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HNED(40)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2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컨텐트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100)는, HNED(40)에 속한 소비자로서, 네트워크 제공자(30)를 통해 예컨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VoD, 스트리밍 등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시스템 내 컨텐트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는 전송되는 컨텐트의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트 보호(content protection)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제한 수신이나 컨텐트 보호에 대응하여 케이블카드(CableCARD)(또는 POD: Point of Deployment), DCAS(Downloadable CAS) 등과 같은 처리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00)가 오히려 컨텐트 제공자의 역할 내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20)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다른 클라이언트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컨텐트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제공자(30)도 소유 내지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또는 서비스 데이터는, 전술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내부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이러한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100)를 위한 서비스 내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방송 수신부(2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 저장부(2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 제어부(270), 디스플레이부(280), 오디오 출력부(285), 전원 공급부(2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210), 복조부(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205)는 튜너(210)와 복조부(2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2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210)를 거쳐 복조부(2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2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2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2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2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2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2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220)는, 튜너(2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2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2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2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제어부(27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270) 또는 저장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저장부(2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440)가 제어부(2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240)는 제어부(2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튜너(210), 복조부(220)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튜너(2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2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2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2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2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285)는, 제어부(2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2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제어부(270)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mixer)(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55), 및 포맷터(formatter)(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3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80)와 오디오 출력부(28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410), 키보드(430), 포인팅 디바이스(4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4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
포인팅 디바이스(4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4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4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4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410), 포인팅 디바이스(420), 키보드(4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입력부(520), 감지부(540), 출력부(550), 인터페이스부(560), 메모리(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위치정보 모듈(5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5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5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5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5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5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5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부(552), 햅팁 모듈(553), 광 출력부(5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5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5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5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5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5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5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5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5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5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메모리(5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5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5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5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5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5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5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5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510)의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5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5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5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5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이동 단말기(5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5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5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5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5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5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5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5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5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5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5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5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5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5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5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5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5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5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5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5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5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5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5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5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5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5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5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5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5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5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5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5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5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5)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5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52)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5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5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5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3)은 이동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554)는 이동 단말기(5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5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5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5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60)를 통하여 단말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5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570)는 제어부(5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5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5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5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5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5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의 예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근거리 통신이란,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근거리 통신 연결을 먼저 시도하는 디바이스를 제1 디바이스라 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라 칭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디바이스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형태일 수도 있고,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의 형태일 수도 있고, 셋탑 박스(STB), 사운드 바(Sound Bar), 오디오, 스피커, 블루투스 이어폰, BD(Blue-ray Disc) 플레이어, 냉장고, 에어컨 등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을 먼저 시도하는 제1 디바이스(610)는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의 형태이고, 상기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디바이스(700)는 사운드 바의 형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제1 디바이스(61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기 전 제2 디바이스(700)는 슬립 모드(sleep mode)의 상태에 있다. 슬립 모드란, 제2 디바이스(700)에 대기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저전력 모드로서, 제2 디바이스(700)의 구성 모듈들 중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구성 모듈에 최소한의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610)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제2 디바이스(70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610)는,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상기 특정 이벤트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제2 디바이스(7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디바이스(700)는, 슬립 모드에서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감지되면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락하는 신호를 제1 디바이스(6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디바이스(610)와 제2 디바이스(700) 간에는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700)의 전원을 온(turn on) 하는 등의 별도의 액션을 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제1 디바이스(610)와 제2 디바이스(700)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의 구성 모듈들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디바이스(700)는 오디오 출력부(710), 제1 메모리(720), 제2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40), 디스플레이부(750),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700)는 위에서 나열된 구성 모듈들보다 많은 구성 모듈들을 포함하거나 위에서 나열된 구성 모듈들보다 적은 구성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도 7a에 도시된 둘 이상의 구성 모듈이 하나의 구성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7a에 도시된 하나의 구성 모듈이 둘 이상의 구성 모듈로서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메모리(720) 및 제2 메모리(730)의 적어도 일부가 제어부(770) 내에서 구현되거나, 제어부(770)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메모리(730)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메모리(720) 및 제2 메모리(730)의 적어도 일부가 그 자체로서 동작하지 못하고 제어부(770)의 제어에 의해서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720) 및 제2 메모리(730)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부(770)라 통칭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71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 및 제2 디바이스(7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700)와 제1 디바이스(610)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50)는 제2 디바이스(700)의 상태 및 제2 디바이스(7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750)는 제2 디바이스(70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의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 화면의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정보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5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60)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6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제2 디바이스(700)와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610))의 사이, 또는 제2 디바이스(700)와 외부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770)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2 디바이스(7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제1 외부 디바이스(610)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제2 디바이스(7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74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2 디바이스(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제2 디바이스(700)의 동작 및 각 구성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메모리(730)는 제2 디바이스(7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메모리(730)는 제2 디바이스(700)에서 구동되는 OS(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제2 디바이스(7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7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제2 메모리(730)에 저장된 제2 디바이스(7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제1 메모리(720)에 복사해 둔 후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메모리(72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730)는 제1 저장 영역(731), 제2 저장 영역(732) 및 제3 저장 영역(7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제2 메모리(730)는 이보다 적거나 많은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저장 영역(731)은 제2 디바이스(700)를 부팅하는데 필요한 시작 코드, 부트 로더, 커널(Kernel)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디바이스(700)의 전원이 온(turn on) 되면, 제2 디바이스(700)의 OS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작 코드, 부트 로더, 커널 등이 제1 메모리(720)에 복사되어 압축이 해제된 후 실행될 수 있다.
제2 저장 영역(732)은 제2 디바이스(70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펌웨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제2 디바이스(700)의 부팅이 완료되면, 제2 디바이스(7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2 저장 영역(732)에서 제1 메모리(720)로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저장 영역(732)의 적어도 일부는 제어부(770)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설명의 편의상 제2 저장 영역(732)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부(770)라 통칭할 수도 있다.
제3 저장 영역(733)은 제2 디바이스(700)의 전원 관리 제어(power management control)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저장 영역(733)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전원을 계속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저장 영역(733)은 내부에 SDRAM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SDRAM은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에서 동작할 때 셀프-리프레시(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3 저장 영역(733)은, MCU(Micro Controller Unit), EC(Embedded Controller)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을 때, 제2 메모리(730) 중 제1 저장 영역(731)의 적어도 일부 및 제3 저장 영역(733)의 적어도 일부는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3 저장 영역(733)은 인터럽트 디텍터(734)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을 때,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을 때에도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한다. 그리고, 웨이크업 된 제어부(770)는, 제2 메모리(732) 내 제2 저장 영역(732)을 웨이크업 함으로써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슬립 모드가 해제되면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770) 및 제2 메모리(732) 내 제2 저장 영역(732)을 함께 웨이크업 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면, 제2 메모리(732) 내 제2 저장 영역(732)을 웨이크업 하고, 웨이크업 된 제2 저장 영역(732)에 의해 제어부(770)가 웨이크업 될 수도 있다.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제2 디바이스(700)에서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상기 슬립 모드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700)의 일반 모드(예를 들어, 슬립 모드가 아닌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의미함)에서, 외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 선택되면,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예를 들어, 플래그)를 제3 저장 영역(733)에 저장해둘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만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700) 내에서 제2 메모리(730)와는 별개의 구성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하드웨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인터럽트 디텍터(734)에 관한 내용은 도 7a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근거리 통신 연결을 먼저 시도하는 디바이스를 제1 디바이스라 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제2 디바이스(700)는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고, 현재 슬립 모드의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S810). 슬립 모드에서는, 제2 디바이스(700)의 구성 모듈들 중에서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구성 모듈에 최소한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610)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다(S820). 특정 이벤트란, 제2 디바이스(700)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이벤트로서,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610)에서 제2 디바이스(7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이벤트, 제1 디바이스(610)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이벤트, 제1 디바이스(610)에서 이어폰의 탈거가 감지되는 이벤트, 제1 디바이스(610)에서 블루투스 이어폰과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61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제1 신호를 제2 디바이스(700)에 전송한다(S830).
제2 디바이스(700)의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전송된 제1 신호를 감지한다(S840). 제1 신호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제1 신호는, 제1 디바이스(610)의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근거리 통신 모듈(760)의 수신측에 도달되는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하고, 제어부(770)는 슬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S850).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상기 제1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만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할 수도 있다. 또는,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제1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만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디바이스의 슬립 모드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의 수신측에 도달되는 인터럽트 신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제2 디바이스(700)에서, 기 설정된 시간(T) 내에 근거리 통신 모듈(760)의 수신측에서 기 설정된 정도 이상의 전압 레벨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이 필요한 경우임을 인식하고,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770)는,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락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제1 디바이스(610)에 전송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S860).
제1 디바이스(610)에서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디바이스(610)와 제2 디바이스(700) 간에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S870).
제1 디바이스(610)는, 스트리밍 신호 및/또는 제어 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2 디바이스(700)에 전송할 수 있다(S880). 상기 스트리밍 신호는, 오디오 신호, 그래픽 신호, 이미지 신호, 동영상 신호,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는, 제2 디바이스(700)에서 상기 스트리밍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700)의 제어부(770)는,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스트리밍 신호와 관련된 기능을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S89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이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운드 바(1000)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바(1000)의 기능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바(10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액션 없이 사운드 바(1000)와 외부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운드 바(1000)는 현재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근거리 통신의 환경 설정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상기 실행된 근거리 통신의 환경 설정 메뉴의 실행 화면(1010)을 디스플레이부(541)에 출력한다. 상기 실행 화면(1010)에는, 그 동안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실행 화면(1010)에 표시된 외부 디바이스들의 목록 중 사운드 바(100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감지한다. 제어부(580)는, 상기 실행 화면(1010)에서 사운드 바(1000)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사운드 바(10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바(1000)의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슬립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되어 근거리 통신 모듈(760)의 수신측에 도달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하여 슬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70)는, 이동 단말기(5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락하는 신호를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500)와 사운드 바(1000) 간에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된 컨텐트 또는 이동 단말기(500)에 수신된 컨텐트를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사운드 바(1000)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트리밍 신호를 사운드 바(10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바(1000)의 제어부(770)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 신호(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7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기만 하면,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더라도 이동 단말기(500)와 외부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므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이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운드 바(1000)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바(1000)의 기능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바(10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액션 없이 사운드 바(1000)와 외부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운드 바(1000)는 현재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이동 단말기(500)의 디스플레이부(541)의 화면에서,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1110)을 선택하는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80)는,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1110)을 선택하는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장 최근에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빈번하게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 지정된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80)는,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541)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80)는,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중에,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1210)를 디스플레이부(541)에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원하지 않는 경우, 안내 메시지(1210)에 포함된 연결 취소 메뉴(1211)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 시도를 중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사운드 바(1000)의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슬립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되어 근거리 통신 모듈(760)의 수신측에 도달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디텍터(734)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제어부(770)를 웨이크업 하여 슬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70)는, 이동 단말기(5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락하는 신호를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500)와 사운드 바(1000) 간에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운드 바(10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80)의 제어부는, 사운드 바(1000)의 각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값을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사운드 바(1000)에 전송하고, 사운드 바(1000)의 제어부(770)는, 상기 전성된 제어 코드값에 따라 소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이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운드 바(1000)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바(1000)의 기능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바(10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액션 없이 사운드 바(1000)와 외부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운드 바(1000)는 현재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어 있던 이어폰(1300)의 탈거가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어폰(1300)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장 최근에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빈번하게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 지정된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80)는, 이어폰(1300)의 탈거가 감지된 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때 비로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0)에서 이어폰(1300)을 분리한 경우에는 오디오 컨텐트를 이어폰(1300)이 아닌 다른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이어폰(1300)을 분리하거나 이어폰(1300)을 분리한 후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컨텐트를 이어폰(1300)이 아닌 다른 출력 수단을 이용하여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임이 보다 명확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인터페이스부(560)에 이어폰(1300)의 연결이 다시 감지되면, 사운드 바(10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어폰(1300)을 이용하여 다시 음악을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볼 수 때문이다. 물론,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인터페이스부(560)에 이어폰(1300)의 연결이 감지되더라도, 사용자가 명확한 명령을 주지 않는 한 사운드 바(10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이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운드 바(1000)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바(1000)의 기능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바(10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액션 없이 사운드 바(1000)와 외부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운드 바(1000)는 현재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어 있던 이어폰(1300)의 탈거가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이어폰(1300)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는, 가장 최근에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빈번하게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 지정된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80)는, 이어폰(1300)의 탈거가 감지된 후 상기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때 비로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500)와 사운드 바(1000) 사이에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이동 단말기(580)의 제어부는,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트의 스트리밍 신호를 사운드 바(10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바(1000)의 제어부(770)는, 상기 전송되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7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된 이어폰(1300)을 통해 음악 감상을 하던 중에 이어폰(1300)을 분리하거나 이어폰(1300)을 분리한 후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음악을 이어폰(1300)이 아닌 다른 출력 수단(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을 이용하여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인터페이스부(560)에 이어폰(1300)의 연결이 다시 감지되면, 사운드 바(10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어폰(1300)을 이용하여 다시 음악을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볼 수 때문이다. 물론,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인터페이스부(560)에 이어폰(1300)의 연결이 감지되더라도, 사용자가 명확한 명령을 주지 않는 한 사운드 바(10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500)이고, 제2 디바이스는 사운드 바(1000)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운드 바(1000)의 기능들 중에서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의 자동 연결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바(10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 별도의 사용자 액션 없이 사운드 바(1000)와 외부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운드 바(1000)는 현재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별도의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이어폰(1500)이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이어폰(1500)의 탈거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외부 디바이스는, 가장 최근에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기 설정된 기간 내에 가장 빈번하게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 지정된 외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80)는, 블루투스 이어폰(15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때 비로소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특정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80)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사운드 바(10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되거나 사운드 바(100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블루투스 이어폰(150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500)와 사운드 바(1000) 사이에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면, 이동 단말기(580)의 제어부는, 컨텐트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는 컨텐트의 스트리밍 신호를 블루투스 이어폰(1500)이 아닌 사운드 바(100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바(1000)의 제어부(770)는, 상기 전송되는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7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블루투스 이어폰(1500)을 통해 음악 감상을 하던 중에 블루투스 이어폰(15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하거나 블루투스 이어폰(150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한 후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음악을 블루투스 이어폰(1500)이 아닌 다른 출력 수단(예를 들어, 사운드 바(1000))을 이용하여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는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500)의 제어부(580)는, 도 10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한 특정 이벤트의 발생 시, 이동 단말기(5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외부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1600)를 디스플레이부(541)에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외부 디바이스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디바이스(610)와 제2 디바이스(700) 간에는 상술한 바에 따라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S1710).
제1 디바이스(610)는, 스트리밍 신호 및/또는 제어 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2 디바이스(700)에 전송할 수 있다(S1720). 상기 스트리밍 신호는, 오디오 신호, 그래픽 신호, 이미지 신호, 동영상 신호,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는, 제2 디바이스(700)에서 상기 스트리밍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700)의 제어부(770)는,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스트리밍 신호와 관련된 기능을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S1730).
제2 디바이스(700)의 제어부(77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S1740). 일례로, 제어부(77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근거리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란,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컨텐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조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신호의 재생이 종료되는 조건, 상술한 도 10의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의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근거리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조건, 상술한 도 11의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는 조건, 상술한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에서 이어폰(1300)의 재 연결이 감지되는 조건 및 상술한 도 15의 실시예에서 상기 별도의 디바이스(1500)와의 근거리 통신이 재 연결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700)의 제어부(770)는,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2 디바이스(7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automatically turn off)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700)가 슬립 모드의 상태에 있다가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자동 연결을 위해 슬립 모드가 해제되었던 것이므로,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제2 디바이스(700)의 전원을 오프(turn off)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디바이스(610)와 제2 디바이스(700) 간에는 상술한 바에 따라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S1810).
제2 디바이스(700)의 제어부(770)는,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 신호(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제2 디바이스(700)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2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제1 명령을 감지한다(S1820).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700)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2 모드란, 제2 디바이스(700)가 사운드 바(1000)인 경우, CD 플레이어 기능이나 라디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770)는, 상기 감지된 제1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1830). 그리고, 제어부(770)는,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S1840). 사용자에 의해 제2 디바이스(700)의 모드가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는 더 이상 제1 디바이스(610)를 이용하지 않겠다는 의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제2 디바이스(7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하는 기능을 해제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77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모드를 다시 전환하기 위한 제2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S1850). 그리고, 제어부(770)는, 상기 감지된 제2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모드로 모드를 다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70)는,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다시 수행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할 수 있다(S1870). 제어부(770)는, 제1 디바이스(610)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제어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760)은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락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570)는, 제2 디바이스(700)와 근거리 통신 연결 이력이 있는 제1 디바이스(61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 디바이스(700)의 모드가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된 경우,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제2 디바이스(700)를 이용하여 다시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디바이스(610)와 제2 디바이스(700) 간에는 상술한 바에 따라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 연결이 수립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S1910).
제2 디바이스(700)의 제어부(770)는,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 신호(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제2 디바이스(700)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2 모드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명령을 감지한다(S1920). 예를 들어, 제2 디바이스(700)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2 모드란, 제2 디바이스(700)가 사운드 바(1000)인 경우, CD 플레이어 기능이나 라디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770)는,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달리, 제2 모드에서도, 제1 디바이스(61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70)는, 제2 디바이스(700)의 모드가 근거리 통신 연결과 무관한 기능의 모드로 전환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7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트 신호(예를 들어, 스트리밍 신호)의 전송 중지 후 재 전송을 감지한다(S1940).
제어부(77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컨텐트 신호가 다시 전송됨을 감지하면, 제2 디바이스(70)의 모드를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S1950).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컨텐트 신호가 다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제2 디바이스(700)를 이용하여 다시 감상하고자 하는 의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어부(770)는, 제어부(770)는, 제2 디바이스(700)의 모드가 근거리 통신 연결과 무관한 기능의 모드로 전환된 경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다시 활성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770)는, 근거리 통신 모듈(760)을 통해 제1 디바이스(610)로부터 컨텐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960).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 연결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을 때 두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두 디바이스 간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해제된 후 상기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610: 제1 디바이스
700: 제2 디바이스
734: 인터럽트 디텍터
760: 근거리 통신 모듈
770: 제어부

Claims (20)

  1.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
    대기 전력이 공급되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 인터럽트 디텍터;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럽트 디텍터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하고,
    상기 웨이크업 된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디텍터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디텍터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상기 장치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제1 명령을 감지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제1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제2 명령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제2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재 수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명령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도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재 전환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장치를 턴 오프(turn off)하는, 장치.
  11.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에서,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대기 전력이 공급되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를 웨이크업 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수락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슬립 모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웨이크업 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제2 모드로 전환하는 제1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감지된 제1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하는 제2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와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의 근거리 통신을 재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명령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 디바이스의 제2 모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외부 디바이스의 제2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재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제3 명령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이어폰의 탈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상기 이어폰의 탈거를 감지한 경우,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이력이 있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50008014A 2015-01-16 2015-01-16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4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14A KR102340230B1 (ko) 2015-01-16 2015-01-16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5/542,033 US10306397B2 (en) 2015-01-16 2015-02-11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PCT/KR2015/001387 WO2016114442A1 (en) 2015-01-16 2015-02-11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14A KR102340230B1 (ko) 2015-01-16 2015-01-16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651A true KR20160088651A (ko) 2016-07-26
KR102340230B1 KR102340230B1 (ko) 2021-12-16

Family

ID=5640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014A KR102340230B1 (ko) 2015-01-16 2015-01-16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06397B2 (ko)
KR (1) KR102340230B1 (ko)
WO (1) WO20161144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027A (ko) * 2017-09-08 201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1803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2099423B2 (en) 2021-08-10 2024-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2503B (zh) * 2015-01-06 2023-12-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和设置音频设备网络的方法
KR102471466B1 (ko) * 2015-10-14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형 통신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86176B1 (ko) * 2016-10-25 2018-08-0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소유자만 기록 가능한 부트영역을 포함하는 저장장치
CN111095935A (zh) * 2017-09-19 2020-05-01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及用于控制显示装置的终端
EP3515052A1 (en) * 2018-01-22 2019-07-24 TP Vision Holding B.V. 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2652811B1 (ko) * 2018-09-04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US11109309B2 (en) * 2019-03-29 2021-08-31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short-range communication links between asset tracking devices
US20210038191A1 (en) * 2019-08-09 2021-02-11 Butterfly Network,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longing battery life of ultrasound devices
US11671911B2 (en) * 2019-11-27 2023-06-06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Sleep-mode for ethernet controller
US11589195B2 (en) * 2020-08-20 2023-02-21 Ip Co, Llc Asset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CN114385252A (zh) * 2021-12-21 2022-04-2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269A1 (en) * 2004-10-06 2006-04-06 Nokia Corporation Distributed link-layer wake-up ag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function with low power proxy
KR20090129304A (ko) * 2008-06-11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119276B1 (ko) * 2010-01-05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벤트 신호 제어를 통한 저전력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30129109A1 (en) * 2011-11-22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arphone in portable terminal
US20140173304A1 (en) * 2012-12-14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of local network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6040B2 (ja) * 2003-05-12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代行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CA2573017A1 (en) * 2004-07-15 2006-02-23 Hunter Dougla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controlling a network of distributed devices
EP1933507A1 (en) * 2006-12-15 2008-06-18 Ubiwave Low-power multi-hop networks
WO2011124853A1 (fr) * 2010-04-08 2011-10-13 France Telecom Procede de controle d'un point d'acces d'une passerelle domestique d'un reseau domestique
KR101485154B1 (ko) 2011-07-12 2015-01-22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KR101503966B1 (ko) * 2011-10-28 2015-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Rf 다이렉트 웨이크업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웨이크업 방법
KR102011360B1 (ko) 2012-09-1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254818A1 (en) * 2013-03-07 2014-09-11 Plastoform Industr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al modes in a bluetooth earphone
US20160070718A1 (en) * 2013-04-30 2016-03-10 Radiopulse Inc.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mirror device
US9699732B2 (en) * 2014-04-29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ule
US20170181090A1 (en) * 2015-12-22 2017-06-22 Intel Corporation Station (sta), access point (ap),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wake-up configuration messages
US20180124704A1 (en) * 2016-11-03 2018-05-03 Mediatek Inc. Method of Wake-up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269A1 (en) * 2004-10-06 2006-04-06 Nokia Corporation Distributed link-layer wake-up ag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function with low power proxy
KR20090129304A (ko) * 2008-06-11 2009-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119276B1 (ko) * 2010-01-05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벤트 신호 제어를 통한 저전력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30129109A1 (en) * 2011-11-22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earphone in portable terminal
US20140173304A1 (en) * 2012-12-14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of local network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027A (ko) * 2017-09-08 201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18032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2099423B2 (en) 2021-08-10 2024-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74487A1 (en) 2017-12-28
KR102340230B1 (ko) 2021-12-16
WO2016114442A1 (en) 2016-07-21
US10306397B2 (en)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230B1 (ko)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57317B2 (en)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8806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22453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991064A2 (en)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KR201401107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31724A (ko)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245362B1 (ko)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간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014901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88475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3698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US1143037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thereof
US11190838B2 (en) Multimedia device with standby mode and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KR10227143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
KR102340231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35B1 (ko)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478460B1 (ko)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KR201700318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5825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20170042159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02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2365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5966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067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서의 결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