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706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706A
KR20140110706A KR1020130133741A KR20130133741A KR20140110706A KR 20140110706 A KR20140110706 A KR 20140110706A KR 1020130133741 A KR1020130133741 A KR 1020130133741A KR 20130133741 A KR20130133741 A KR 20130133741A KR 20140110706 A KR20140110706 A KR 2014011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video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640B1 (ko
Inventor
박현택
최봉석
강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13079.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027454B/zh
Priority to PCT/KR2014/001917 priority patent/WO2014137200A1/en
Priority to EP14760685.9A priority patent/EP2965438A4/en
Priority to US14/771,610 priority patent/US20160006864A1/en
Publication of KR2014011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영상 표시 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고,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도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리모콘 조작의 한계로 인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영상 표시 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고,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을 표시하고, 상기 팝업 창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 그라운드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기 설정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바로 출력하는 기능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재생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 가능한 복수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 가능한 콘텐츠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콘텐츠 추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광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연동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버튼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된 가상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기 전송된 메시지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전송된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재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입력 받은 메시지를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창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포 그라운드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영상 표시 장치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콘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손쉽게 영상 표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 및 외부 입력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이동 단말기와 영상 표시 장치가 페어링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영상 표시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에 바로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 내지 도 22는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2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표시 장치는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영상 표시 장치의 예로서 DTV(digital television)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영상 표시 장치가 DTV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셋톱박스(settop box; STB), IPTV(Internet Protocol TV),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3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영상 표시 장치(300), 방송국(broadcasting station, 500) 및 인터넷(internet,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는, 방송국(50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300)는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60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300) 및 외부 입력 장치(4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영상 표시 장치(300)는, 튜너(310), 복조부(320), 신호 입출력부(330), 인터페이스부(340), 제어부(350), 저장부(360), 디스플레이부(370) 및 오디오 출력부(38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튜너(310)는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한다. 반면, RF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튜너(310)는 RF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튜너(310)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는 복조부(320)로 입력되고,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360)로 입력될 수 있다. 튜너(3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하나의 튜너(310)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표시 장치(300)는 다수의 튜너,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튜너는 기저장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 2 튜너는 제 1 튜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 또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320)는 튜너(310)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이면, 복조부(3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320)는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튜너(3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DVB 방식이면, 복조부(3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320)는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3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몬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330)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3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350)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3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블루레이(Blu-ray) 플레이어,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휴대기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장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입출력부(330)는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셋톱 박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용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입출력부(3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톱 박스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35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3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톱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TV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되는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320) 및 신호 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TS)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여기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40)는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전원 제어,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36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 입력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40)와 외부 입력 장치(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튜닝(tuning)하도록 튜너(31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35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스트림 신호(TS), 예를 들어,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3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고, H.26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등이 조절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5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70)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3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MPEG 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며, AAC 디코더를 이용하여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3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0), 예를 들어, 스피커로 전달되거나,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310) 또는 신호 입출력부(33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70)를 통해 표시되고,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0)를 통해 출력된다.
제어부(35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정보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에서는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하고, DVB 방식에서는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OSD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제어부(350)는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신호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60)는 제어부(350)의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70)는 제어부(3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80)는 제어부(350)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장치(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부(340)와 연결되며,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40)로 전송한다. 외부 입력 장치(400)는 원격 제어 장치, 마우스,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RF 통신,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통해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 원격 제어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공간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에서 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는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고정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300)는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300)는 케이블, 위성통신, IPTV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300)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300)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리모콘(400) 조작의 한계로 인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도 1 참조),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영상 표시 장치(300)와 양방향 통신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 표시 장치(300)와 페어링(pairing)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3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표시 장치(300)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는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내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에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와치 빅(Watch Big)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페어링하는 일 실시 예로, 이동 단말기(100)에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는 영상 표시 장치들을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검색된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의 목록에서 어느 하나(300)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영상 표시 장치(300)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도 인증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된 인증 번호가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서버 또는 영상 표시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페어링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페어링하는 다른 실시 예로,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 표시 장치(300)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인증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된 인증 번호가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 받은 인증 번호 및 이동 단말기(100)의 고유 번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에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고유 번호 및 인증 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페어링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와 페어링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표시 장치(300)도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추후에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는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버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chat client가 메시지를 송신하면, 서버는 영상 표시 장치(300)가 해석 가능하도록 메시지를 가공하고, 가공된 메시지를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영상 표시 장치(300)가 메시지를 송신하면, 서버는 이동 단말기(100)의 chat client가 해석 가능하도록 메시지를 가공하고, 가공된 메시지를 chat client로 전송한다. chat client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메시지 및 입력 받은 메시지가 함께 표시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메시지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 및 입력 받은 메시지가 함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 받은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300)가 제어되도록 입력 받은 메시지가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되는 단계(S140)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콘텐츠와 관련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가 제어되도록,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80)는, 영상 표시 장치(300)에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지 않은 경우,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도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에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 포함되는 항목에는, 터치된 콘텐츠의 공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메일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앞서 언급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응하는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과 함께, 콘텐츠에 대응하는 stream URL을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WebRTC 등의 P2P를 이용하여 stream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콘텐츠에 대응하는 stream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버에 접속하여 stream URL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3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밖이도, 제어부(180)는 다양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입력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400)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손쉽게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페어링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제어부(180)는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홈 스크린(home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홈 스크린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251)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된 안내 아이콘(258)이 선택되면,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페어링된 영상 표시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257)을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된 영상 표시 장치가 없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257)에는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가 없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이하, "설정 아이콘"이라고 칭함)(259)이 선택되는 경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영상 표시 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화면에는 영상 표시 장치가 스캔 중임을 나타내는 팝업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설정 화면에 스캔된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261a, 261b)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설정 화면에 외부 입력 장치를 다시 스캔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260)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된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261a, 261b)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LGTV_07")(261a)가 선택되는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선택된 영상 표시 장치(300)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262)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설정 화면에 외부 입력 장치를 스캔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26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8의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70)에 인증 번호(371)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번호(371)는 디스플레이부(37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증 번호(371)는 디스플레이부(370)의 일 측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인증 번호(371)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디스플레이부(370)에서 사라질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된 인증 번호(371)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팝업 창(262)에 인증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서버 또는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 또는 영상 표시 장치(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번호를 확인한 후, 페어링 가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로 페어링될 수 있다.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257)에 페어링된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정보(예를 들어, "LGTV_07")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는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100)의 정보(예를 들어, "LGMOBILE(3456)")(372)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면에는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는 실시 예에 대해 도시되었지만,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 표시 장치(300)가 페어링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영상 표시 장치(300)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또는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수신된 메시지를 실행 중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형태의 메시지(263)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Talk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메시지를 Talk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시지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SMS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180)는 수신된 메시지를 SMS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시지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팝업 창(263)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팝업 창(263)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서버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이하, "제 1 및 제 2 메시지"라고 칭함)(264, 265)를 Talk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 1 및 제 2 메시지(264, 265)는 영상 표시 장치(300)가 현재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시지(264, 265)는 영상 표시 장치(300)가 현재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 투표를 요청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메시지(264, 265)에 응답하는 메시지(이하, "제 3 메시지"라고 칭함)(266)를 가상 키패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가상 키패드를 통해 제 3 메시지(266)를 입력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었지만, 제어부(180)는 마이크(122, 도 1 참조)를 통해 음성 신호로서 제 3 메시지(266)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 받은 제 3 메시지(266)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입력 받은 제 3 메시지(266)는 서버로만 전송될 수도 있다.
이후,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투표 확인 메시지(이하, "제 4 메시지"라고 칭함)(267)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4 메시지(267)는 서버로부터 바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재생 중인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공유 아이콘(268)이 선택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의 공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269)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목록(269)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메일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및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제 1 메시지"라고 칭함)(270)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11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한 메시지(이하, "제 2 메시지"라고 칭함)(271)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메시지(271)는 복수의 선택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항목들은,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1번 항목,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의 재생 목록에 추가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2번 항목, 콘텐츠가 이동 단말기(100)의 재생 목록에 추가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3번 항목 및 이동 단말기(100)의 재생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4번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 2 메시지(271)에 응답하는 메시지(이하, "제 3 메시지"라고 칭함)(미도시됨)를 가상 키패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3 메시지를 마이크(122)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입력 받은 제 3 메시지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번 항목"을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한 경우,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URL과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는 URL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팝업 창(373)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버에 접속하여 URL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는 기존에 출력하던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제어부(350)는 수신된 URL의 속성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350)는 수신된 URL이 지원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RL인지 여부를 검출한 후, 디스플레이부(370)에 어떤 형태로 콘텐츠를 표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수신된 URL이 TED 애플리케이션, YOUTUBE 애플리케이션 및 다음 TVPOT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RL인지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URL이 상술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지 않은 경우, 브라우저 화면을 표시하고, 해당 URL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항목에 포함된 공유 아이콘(268)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의 공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269)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13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해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시지(271)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에 포함된 공유 아이콘(268)이 선택되는 경우,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의 공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269)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14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콘텐츠의 출력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해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시지(271)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택 항목들은,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1번 항목, 콘텐츠가 북마크에 추가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2번 항목 및 북마크 목록을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3번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1, 도 13 및 도 14에는 공유 아이콘(268)이 선택되는 실시 예에 대해 도시되었지만, 콘텐츠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2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제어와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출력 가능한 복수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키거나, 와치 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가 출력 가능한 콘텐츠의 속성을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제 1 메시지"라고 칭함)(272)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영화 콘텐츠 및 TV 콘텐츠를 출력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이하, "제 2 메시지"라고 칭함)(273)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메시지(273)에 응답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가 TV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제 3 메시지"라고 칭함)(274)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의 (d)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현재 출력 가능한 복수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제 4 메시지"라고 칭함)(275)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에는 영상 표시 장치(300)가 복수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275)를 전송하는 내용이 도시되었지만, 영상 표시 장치(300)는 출력 가능한 콘텐츠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콘텐츠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275)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영상 표시 장치(300)는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추천할 수도 있고, 사용자별로 일부 콘텐츠의 출력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가 프로그램 녹화를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제 1 메시지"라고 칭함)(276)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 시작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프로그램 정보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제 2 메시지"라고 칭함)(277)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메시지(273)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는 메시지(이하, "제 3 메시지"라고 칭함)(278)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의 (d)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프로그램 녹화가 예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제 4 메시지"라고 칭함)(279)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영상 표시 장치(300)는 프로그램 녹화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제 5 메시지"라고 칭함)(280) 및 프로그램 녹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제 6 메시지"라고 칭함)(281)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300)는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제 7 메시지"라고 칭함)(282)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는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광고 콘텐츠를 선택한 후, 선택된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 7 메시지(282)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7 메시지(282)에 포함된 광고 콘텐츠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 자세히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 단말기(100)에 자세히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이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 및 이동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는 광고 콘텐츠를 자세히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 표시 장치(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메타데이터(metadata)를 이용한 콘텐츠의 내부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300)는 콘텐츠 자체를 메타데이터화(化)하여 콘텐츠의 일부만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300)가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제 1 메시지"라고 칭함)(283)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제 2 메시지"라고 칭함)(284)를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2 메시지(284)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콘텐츠를 영상 표시 장치(300)에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하도록 선택된 경우,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메시지(284)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콘텐츠(285)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300)에 표시하도록 선택된 경우, 도 1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300)는 기존에 출력하던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지도 콘텐츠(274)를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표시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 표시 장치(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들(28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상 버튼들(283)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볼륨을 높이는 기능에 대응하는 가상 버튼)이 선택되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300)의 볼륨을 높이도록, 이동 단말기(100)는 볼륨 조절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볼륨 조절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284)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0의 (a)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볼륨 조절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팝업 창(373)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수신된 메시지에 근거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에는 볼륨이 조절되었음을 나타내는 팝업 창(376)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기 전송된 메시지들 중 선택된 메시지를 영상 표시 장치(3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도 2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복수의 기 전송된 메시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감지되는 터치 입력(예를 들어, 플리크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기 전송된 메시지들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기 전송된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제 1 메시지"라고 칭함)(285)가 선택되는 경우, 도 2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메시지(이하, "제 2 메시지"라고 칭함)(286)를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과 함께,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을 페어링된 영상 표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286)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도 21의 (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서버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30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여부를 선택 받기 위해 선택 항목들을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제 3 메시지"라고 칭함)(287)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2의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URL과 콘텐츠가 영상 표시 장치(300)에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는 URL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팝업 창(373)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 22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300)는 서버에 접속하여 URL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70)는 기존에 출력하던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영상 표시 장치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고,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서버를 통해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함께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을 표시하고,
    상기 팝업 창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 그라운드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기 설정된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바로 출력하는 기능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재생 목록에 추가하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 가능한 복수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 가능한 콘텐츠 중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콘텐츠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정보에 근거한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버튼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된 가상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기 전송된 메시지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전송된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입력 받은 메시지를 함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제어되도록 상기 입력 받은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팝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창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와 관련된 인증 번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인증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포 그라운드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133741A 2013-03-08 2013-11-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9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13079.XA CN105027454B (zh) 2013-03-08 2014-03-07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PCT/KR2014/001917 WO2014137200A1 (en) 2013-03-08 2014-03-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760685.9A EP2965438A4 (en) 2013-03-08 2014-03-07 MOBILE DEVICE AND CONTROL PROCESS THEREFOR
US14/771,610 US20160006864A1 (en) 2013-03-08 2014-03-0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5137P 2013-03-08 2013-03-08
US61/775,137 2013-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706A true KR20140110706A (ko) 2014-09-17
KR102097640B1 KR102097640B1 (ko) 2020-04-06

Family

ID=5177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741A KR102097640B1 (ko) 2013-03-08 2013-11-05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06864A1 (ko)
EP (1) EP2965438A4 (ko)
KR (1) KR102097640B1 (ko)
CN (1) CN105027454B (ko)
WO (1) WO20141372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4834A1 (en) * 2015-01-14 2016-07-14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18004232A1 (ko) * 2016-06-28 2018-01-04 주식회사 카이비전 외부 콘텐츠 플레이어와 연동하는 증강현실시스템
KR20180069685A (ko) * 2016-12-15 2018-06-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환경에서 WebRTC 기반 WiFi-Direct 애드혹(ah-hoc) 스마트폰 영상통신
US10289831B2 (en) 2015-07-17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for certifyin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 mobile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9467A1 (en) * 2013-12-23 2016-11-02 Le Shi Zhi Xin Electronic Technology (Tianjin)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smart television to play video file
TWI517021B (zh) * 2014-02-17 2016-01-1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項目變換之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CN103902740B (zh) * 2014-04-22 2017-07-18 锤子科技(北京)有限公司 短信息验证码的驻留方法及装置
US11026088B2 (en) * 2014-08-29 2021-06-01 Maxell, Ltd.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6463050B2 (ja) * 2014-09-08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2269481B1 (ko) * 2014-10-17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화면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US20160174146A1 (en) * 2014-12-15 2016-06-1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ppliance to network
KR102296323B1 (ko) 2015-01-14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
CN104754310A (zh) * 2015-04-10 2015-07-01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摄像头接入目标设备的方法和装置
KR102350382B1 (ko) * 2015-07-16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15111911A1 (de) 2015-07-22 2017-01-26 Andreas Reichhardt Anzeige- und Eingabesystem für eine Landmaschine
DE102015112613A1 (de) * 2015-07-31 2017-02-02 Reichhardt Gmbh Steuerungstechnik System und Verfahren zur Fernanalyse, Fernschulung oder Fernwartung an einer mobilen Maschine
US20170041662A1 (en) * 2015-08-05 2017-02-09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Automotive wireless audio and/or video media server with independent battery power
US10078482B2 (en) 2015-11-25 2018-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multiple devices based on context for a user task
US20170177836A1 (en) * 2015-12-17 2017-06-22 Cisco Technology, Inc. Fractional entitlements
KR102500558B1 (ko) 2016-03-16 202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70272828A1 (en) * 2016-03-17 2017-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5903191B (zh) * 2016-04-08 2019-06-18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跨终端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USD800170S1 (en) * 2016-07-11 2017-10-17 Quantcast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477266B2 (en) 2017-07-24 2019-11-12 Facebook, Inc. Determining local network connections of devices using tokens
US10560654B2 (en) * 2017-09-20 2020-02-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397886B1 (ko) * 2017-12-06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4364B1 (ko) * 2018-01-25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D936672S1 (en) * 2018-05-07 2021-11-23 Otis Elevator Company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4247S1 (en) * 2018-07-31 2019-10-22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icon
CN117539420A (zh) * 2019-09-21 2024-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及系统
WO2021158441A1 (en) 2020-02-07 2021-08-12 Arris Enterprises Llc Transfer of media content viewing experience using epg guide
CN113074816A (zh) * 2021-03-03 2021-07-06 浙江雷邦光电技术有限公司 红外热图像无线传输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548A (ko) * 2010-09-15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21712A (ko) * 2011-08-23 201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0422B1 (en) * 1995-04-27 2003-06-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mote computer display using graphics primitives sent over a wireless link
US6661465B2 (en) * 2000-04-20 2003-12-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elevision interface for handheld calculator for use with multiple calculator display formats
US6753927B2 (en) * 2000-05-16 2004-06-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elevision interface for handheld calculator for enhanced television display
US7058356B2 (en) * 2000-06-15 2006-06-06 Benjamin Slotznick Telephone device with enhanced audio-visual features for interacting with nearby displays and display screens
US7580005B1 (en) * 2000-08-15 2009-08-25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e between mobile terminal display and external device display
KR100474724B1 (ko) *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US7386324B2 (en) * 2002-04-17 2008-06-10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dual path terminal connection
US7627343B2 (en) * 2003-04-25 2009-12-01 Apple Inc. Media player system
KR100524018B1 (ko) * 2003-07-25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동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US7724753B2 (en) * 2005-06-24 2010-05-25 Aylus Networks, Inc. Digital home networks having a control point located on a wide area network
KR100754431B1 (ko) * 2006-04-10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시스템에서 dmr의 처리용량에 따른 컨텐츠변환방법
JP2009159188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Ltd コンテンツ表示用サーバ
US8307395B2 (en) * 2008-04-22 2012-11-06 Porto Technology, Llc Publishing key frames of a video content item being viewed by a first user to one or more second users
US8713593B2 (en) * 2010-03-01 2014-04-29 Zazum, Inc.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
US20110214143A1 (en) * 2010-03-01 2011-09-01 Rits Susan K Mobile device application
US20110306325A1 (en) * 2010-06-10 2011-12-15 Rajesh Gutta Streaming video/audio from mobile phone to any device
KR101741551B1 (ko) * 2010-12-20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8443407B2 (en) * 2011-02-28 2013-05-14 Echostar Technologies L.L.C. Facilitating placeshifting using matrix code
US9152373B2 (en) * 2011-04-12 2015-10-06 Apple Inc. Gesture visualization and shar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remote displays
US8903978B2 (en) 2011-06-14 2014-12-02 Sonifi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a mobile device to an output device
US8483654B2 (en) * 2011-06-29 2013-07-09 Zap Group Llc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and tracking incidents with a mobile device
KR101995425B1 (ko) * 2011-08-21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3100968A1 (en) * 2011-12-28 2013-07-04 Intel Corporation Video adaptation for content-aware wireless streaming
US8855614B2 (en) * 2012-06-28 2014-10-07 Apple Inc. Retrieving contact information from multipl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548A (ko) * 2010-09-15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티비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21712A (ko) * 2011-08-23 201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4834A1 (en) * 2015-01-14 2016-07-14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045215A1 (en) * 2015-01-14 2016-07-20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577717B2 (en) 2015-01-14 2017-02-21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985696B2 (en) 2015-01-14 2018-05-29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289831B2 (en) 2015-07-17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for certifying an application processor and a mobile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8004232A1 (ko) * 2016-06-28 2018-01-04 주식회사 카이비전 외부 콘텐츠 플레이어와 연동하는 증강현실시스템
KR20180069685A (ko) * 2016-12-15 2018-06-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환경에서 WebRTC 기반 WiFi-Direct 애드혹(ah-hoc) 스마트폰 영상통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200A1 (en) 2014-09-12
CN105027454B (zh) 2018-09-25
EP2965438A4 (en) 2016-11-02
US20160006864A1 (en) 2016-01-07
KR102097640B1 (ko) 2020-04-06
CN105027454A (zh) 2015-11-04
EP2965438A1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6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8806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US2018019659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600077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110206B1 (ko)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6976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6954090B (zh) 移动终端及控制其的方法
KR1020650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6534474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897773B1 (ko) 입체영상에 대한 캡쳐 모드 선택이 가능한 입체영상 캡쳐 장치 및 방법
KR101597563B1 (ko)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213535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606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31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42159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2246B1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5825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101951422B1 (ko) 영상 표시 장치, 휴대 전자 기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KR2015002419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013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08316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66931A (ko)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KR2013008476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1797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084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영상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