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637Y1 -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 Google Patents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637Y1
KR200440637Y1 KR2020070010294U KR20070010294U KR200440637Y1 KR 200440637 Y1 KR200440637 Y1 KR 200440637Y1 KR 2020070010294 U KR2020070010294 U KR 2020070010294U KR 20070010294 U KR20070010294 U KR 20070010294U KR 200440637 Y1 KR200440637 Y1 KR 200440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oor
protective
guide body
protectiv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거성
Original Assignee
선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거성 filed Critical 선거성
Priority to KR2020070010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6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도어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가) 공영시설, 아파트, 대형마트 등 옥내외 주차장에서 차량 승,하차에 따른 도어 오픈시 근접 차량과의 도어 스크래치 등 발생되는 접촉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보조함은 물론,
나) 상기 도어 파손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 본원 보호패드가 타인으로 하여금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의 분실방지용 벨트를 더 구비하여 제품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다) 특히, 근접 차량과의 접촉시 차주에게 사고 알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신속한 사고처리가 가능하도록 유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판 형태의 몸체로써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완충용패드(11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보호용패드(12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마그네틱(131)을 수납한 지지용패드(130)와, 상기 지지용패드(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보호용패드(14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 제1보호용패드(120), 지지용패드(130) 및 제2보호용패드(140)가 결합된 외주면을 감싸며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도록 보호커버(150)가 구비되는 가이드본체(100)와; 상기 가이드본체(100) 후방 어느 일측에, 선단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선단 타측에 체결부(210)가 형성되는 분실방지용 벨트(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완충용패드(110) 내측으로 진동감지센서(161), 경보음발생부(162) 및 전원공급부(163)를 갖는 경보장치(160)가; 더 구성되며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200)는 체결부(210)측 선단에 이탈방지부(2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도어용 보호패드, 경보장치, 진동감지센서, 경보음발생부, 마그네틱

Description

차량도어용 보호패드{Protection pad for vehicl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측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경보장치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이드본체 110 ... 완충용패드
120 ... 제1보호용패드 130 ... 지지용패드
131 ... 마그네틱 140 ... 제2보호용패드
150 ... 보호커버 160 ... 경보장치
161 ... 진동감지센서 162 ... 경보음발생부
163 ... 전원공급부 200 ... 분실방지용 벨트
210 ... 체결부 220 ... 이탈방지부
본 고안은 차량도어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공영시설, 아파트, 대형마트 등 옥내외 주차장에서 차량 승,하차에 따른 도어 오픈시 근접 차량과의 도어 스크래치 등 발생되는 접촉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보조함은 물론, 상기 도어 파손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 본원 보호패드가 타인으로 하여금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의 분실방지용 벨트를 더 구비하여 제품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근접 차량과의 접촉시 차주에게 사고 알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신속한 사고처리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은 주차시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된다. 이는 공영시설, 아파트, 대형마트 등과 같은 주차장에서 더욱 그러한 것으로 특히, 근접한 차량 사이공간으로 주차한 후 운전자 등은 도어 오픈시 타 차량의 도어 파손을 피하기 위해 상당히 조심하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자기 차량의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 측 후방 선단에 손가락 크기 만한 완충재를 부착하여 도어 오픈시 타 차량과 접촉이 발생되어도 실질적인 금속 부딪힘을 차단함으로써 상술한 도어 파손을 일정 부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재는 차량 종류의 높낮이 마다 부착 위치가 다르고, 최근에는 상기 완충재의 재질이 자차 보호용으로 개발되어 도어 오픈시 근접한 타측 차량에 지속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경화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결국 차량 도어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요지는 공영시설, 아파트, 대형마트 등 옥내외 주차장에서 차량 승,하차에 따른 도어 오픈시 근접 차량과의 도어 스크래치 등 발생되는 접촉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보조함은 물론, 상기 도어 파손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 본원 보호패드가 타인으로 하여금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의 분실방지용 벨트를 더 구비하여 제품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근접 차량과의 접촉시 차주에게 사고 알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신속한 사고처리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보호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판 형태의 몸체로써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완충용패드(11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보호용패드(12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마그네틱(131)을 수납한 지지용패드(130)와, 상기 지지용패드(130)의 외측면에 형 성되는 제2보호용패드(14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 제1보호용패드(120), 지지용패드(130) 및 제2보호용패드(140)가 결합된 외주면을 감싸며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도록 보호커버(150)가 구비되는 가이드본체(100)와; 상기 가이드본체(100) 후방 어느 일측에, 선단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선단 타측에 체결부(210)가 형성되는 분실방지용 벨트(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완충용패드(110) 내측으로 진동감지센서(161), 경보음발생부(162) 및 전원공급부(163)를 갖는 경보장치(1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200)는 체결부(210)측 선단에 이탈방지부(2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근접 차량의 도어 개폐시 발생되는 내차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가이드본체(100)와 분실방지용 벨트(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직사각판 형태의 몸체로써 완충용패드(110), 제1보호용패드(120), 지지용패드(130), 제2보호용패드(140)가 적층되고 이를 외주면에서 보호커버(150)가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용패드(110)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부드러운 스폰지 또는 실리콘 러버 계열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용패드(110) 근접차량의 도어 충격을 감안하여 두께가 최소 10~2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세로 넓이는 차량 도어 패널 넓이에 최소 1/5 크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보호용패드(120)는 완충용패드(1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즉, 도어 외측을 향하는 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보호용패드는 완충용패드에 비해 경도가 높은 것으로 비교적 딱딱한 타입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완충용패드인 연성 스폰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완충용패드와 제1보호용패드는 본딩 또는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용패드(130)는 완충용패드(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마그네틱(131)을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용패드는 도어 패널 측에 부착됨을 조장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마그네틱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 상기 지지용패드는 완충용패드와 유사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써, 수납된 마그네틱이 도어에 부착되는 면상과 동일 선상을 이루며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보호용패드(140)는 지지용패드(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술한 제1보호용패드와 동일한 개념의 소재와 역활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2보호용패드는 완충용패드에 비해 경도가 높은 것으로 비교적 딱 딱한 타입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완충용패드인 연성 스폰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지지용패드와 제2보호용패드는 본딩 또는 봉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150)는 완충용패드(110), 제1보호용패드(120), 지지용패드(130) 및 제2보호용패드(140)가 결합된 외주면을 감싸며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는 나일론 재질로 형성되어 방수성이 우수하고 세탁이 용이하도록 상술한 완충용패드(110), 제1보호용패드(120), 지지용패드(130) 및 제2보호용패드(14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일측에 지퍼 또는 벨크로에 의한 개구부를 두어 덮개를 씌우듯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완충용패드(110) 내측으로 진동감지센서(161), 경보음발생부(162) 및 전원공급부(163)를 갖는 경보장치(1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 가이드본체가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에 부착된 상태에서 근접한 타측 차량과 경미한 접촉이 발생되면 상기 진동감지센서는 이를 체크하여 기 설정된 PCB회로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에 경보음발생부는 감지된 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운전자의 스마트 키에 사고 확인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는 별도의 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 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건전지 또는 이와 동일 개념의 공급원이면 모두 동일한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지 또는 건전지는 보호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일측단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교환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완충용패드로 삽입되는 전원공급부는 개구된 요홈에 의해서 그러하다.
한편,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200)는 가이드본체(100) 후방 어느 일측에, 선단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선단 타측에 체결부(210)가 형성되는 분실방지용 벨트(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200)는 칼 또는 가위에 절단되지 않도록 내측에 강선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자동차의 센터필러(B필러) 또는 안전벨트 부위를 한바퀴 감싸고 돌아온 바깥측 단부와 벨크로 결합 또는 버튼식 결합으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자동차의 센터필러(B필러)에 별도의 걸고리(미도시)를 부착하여 간단히 걸어 놓을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는 차량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가이드본체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200)는 체결부(210)측 선단에 이탈방지부(2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벨크로 등의 체결부가 도어 바깥 외력에 의해 풀리더라도 문틈 사이에 걸림된 상기 이탈방지부에 의해 걸림되어 분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가 닫혔을 때, 문 틈보다 넓은 두께를 갖으며 특히, 재질은 금속재 또는 경화 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공영시설, 아파트, 대형마트 등 옥내외 주차장에서 차량 승,하차에 따른 도어 오픈시 근접 차량과의 도어 스크래치 등 발생되는 접촉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보조함은 물론, 상기 도어 파손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 본원 보호패드가 타인으로 하여금 분실되지 않도록 별도의 분실방지용 벨트를 더 구비하여 제품 손실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특히, 근접 차량과의 접촉시 차주에게 사고 알림을 안내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신속한 사고처리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판 형태의 몸체로써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완충용패드(11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보호용패드(12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마그네틱(131)을 수납한 지지용패드(130)와, 상기 지지용패드(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보호용패드(140)와, 상기 완충용패드(110), 제1보호용패드(120), 지지용패드(130) 및 제2보호용패드(140)가 결합된 외주면을 감싸며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하도록 보호커버(150)가 구비되는 가이드본체(100)와;
    상기 가이드본체(100) 후방 어느 일측에, 선단 일측이 결합되고 자동차의 센터필러(B필러) 또는 안전벨트 부위를 한바퀴 감싸고 돌아온 바깥측 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선단 타측에 체결부(210)가 형성되는 분실방지용 벨트(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100)는
    완충용패드(110) 내측으로 진동감지센서(161), 경보음발생부(162) 및 전원공급부(163)를 갖는 경보장치(16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용 벨트(200)는
    닫힌 문틈사이에 걸림되어 분실을 방지하도록 체결부(210)측 선단에 도어의 틈보다 넓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부(2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KR2020070010294U 2007-06-22 2007-06-22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KR200440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94U KR200440637Y1 (ko) 2007-06-22 2007-06-22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294U KR200440637Y1 (ko) 2007-06-22 2007-06-22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637Y1 true KR200440637Y1 (ko) 2008-06-23

Family

ID=4365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294U KR200440637Y1 (ko) 2007-06-22 2007-06-22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6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53B1 (ko) * 2013-04-23 2013-10-17 김용석 차량측면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53B1 (ko) * 2013-04-23 2013-10-17 김용석 차량측면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689659T3 (pl) Urządzenie ochronne do chronienia konstrukcji przed uszkodzeniami w wyniku uderzenia
US5320392A (en) Removably attachable vehicle body protection pad
KR200472618Y1 (ko) 자동차용 도어 보호구
US7928845B1 (en) Tool tracking apparatus
US5112092A (en) Apparatus for elmination of vehicle door dents
KR200440637Y1 (ko) 차량도어용 보호패드
KR101902963B1 (ko) 자동차 일체형 수동 및 자동식 도어가드
US20150001865A1 (en) Vehicle Protector
FR2841843B1 (fr) Dispositif de signalisation et piece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tel dispositif
CA2281142A1 (en) Rock guard for a trailer
JP2004072436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用レンズカバー
WO2009050782A1 (ja) 作業用保護カバー
US6290039B1 (en) Protective fender for luggage
KR102150360B1 (ko) 차량용 문콕 방지장치
GB2393940B (en)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wheel
KR101319653B1 (ko) 차량측면 보호대
JP3046597U (ja) 自動車ボディ損傷防止具
KR200401261Y1 (ko) 차량옆문 보호대
KR0129189Y1 (ko) 코일형 금속제품 측면보호대
JP3181736U (ja) 自動車ボディの傷、凹み防止の緩衝型間隔片。
KR200342583Y1 (ko) 작업복용 어깨보호대
JPH0132583Y2 (ko)
JPH11115503A (ja) 自動車のボディ用保護具
US11766960B1 (en) Eman's trucker pillow
FR2825052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vehicule contre un cho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