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473B1 -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473B1
KR101318473B1 KR1020120046874A KR20120046874A KR101318473B1 KR 101318473 B1 KR101318473 B1 KR 101318473B1 KR 1020120046874 A KR1020120046874 A KR 1020120046874A KR 20120046874 A KR20120046874 A KR 20120046874A KR 101318473 B1 KR101318473 B1 KR 10131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electrically connected
output terminal
voltage
switch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6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for vehicles comprising converters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7Emission reduction of noise electro magnetic [EM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제공하며, 제 1 출력단자 및 제 2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단자에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는 풀-다운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S}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유, 경유 또는 LPG(Liquefied Petroleum Gas)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는 유해 배기 가스를 발생시켜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를 유발한다. 이에 따라, 관련업계는 유해 배기 가스의 발생이 현저히 낮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또는 유해 배기 가스가 전혀 없는 전기 자동차(EV)를 활발히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HEV는 휘발유, 경유 또는 LPG 등과 같은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 기관을 통해 주행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해서도 주행하며, 또한 상기 HEV는 각 주행 상황에 대응하여 차량의 연비가 최대가 되도록 제어된다.
HEV에 장착된 모터 제네레이터는 차량의 제동 또는 감속 시 MTCU(Motor Control Unit)의 제어를 통해 동력 모드에서 발전 모드로 전환되게 되며, 이때 상기 배터리는 MTCU와 접속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제어를 통해 모터 제네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는 HEV의 성능 향상을 위해 배터리 셀의 개수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제공하며, 제 1 출력단자 및 제 2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단자에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는 풀-다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전압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다운 회로는 풀-다운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풀-다운 저항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제 1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다운 저항은 0.5 내지 1.5 MOhm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다운 저항은 1 MOhm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다운 회로는 상기 풀-다운 저항의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풀-다운 저항의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2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전극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에 제 1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각각 제 2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주기적으로 턴온/턴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의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구형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릴레이(rela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버퍼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전달하는 제 1 릴레이; 상기 제 1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릴레이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전달하는 제 2 릴레이; 및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는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의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2 릴레이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교대로 턴온/턴오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구형파를 포함하는 구형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압을 받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전달하며,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전압 릴레이 회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는 저항; 상기 저항의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의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전압 릴레이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릴레이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배터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제 2 릴레이의 출력단 사이에 풀-다운 저항만 설치될 경우 제 2 릴레이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제 2 릴레이의 출력단 사이에 풀-다운 저항 및 스위치가 설치될 경우 제 2 릴레이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제어 신호의 파형을 확대한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배터리 팩의 전체 전압(V)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제 1 릴레이(110), 커패시터(Cf), 제 2 릴레이(120), 출력 버퍼(130), 풀-다운 회로부(140) 및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을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직렬 연결된 제 1 분배 저항(Rd1)과 제 2 분배 저항(R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배 저항(Rd1)과 제 2 분배 저항(Rd)은 전체 전압(V)을 분압하여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 전송될 수 있는 신호 레벨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 1 및 제 2 스위치 회로는 제 1 및 제 2 릴레이(110, 120)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및 제 2 릴레이(110, 120)는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할 것이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A/D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110)는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팩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릴레이(110)는 메인 릴레이(미도시)와 서브 릴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릴레이는 복수의 배터리 셀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릴레이는 서브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릴레이(11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제 1 제어신호(Ctrl1)를 입력 받고,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11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제 1 제어 신호(Ctrl1)를 입력 받으면, 엑티브 하이(active high) 상태가 되어 턴온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셀의 전압은 복수의 서브 릴레이를 통해 메인 릴레이로 전달되고, 전달된 전압은 메인 릴레이를 통해 커패시터(Cf)로 전달될 수 있다.
제 1 릴레이(110)는 전기기계식 릴레이(electromechanical relay) 또는 반도체 릴레이(SSR; solid state relay)(예를 들어, 포토-모스 릴레이(Photo-Mos Rel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인덕터와 전기기계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기기계식 스위치가 자화되어 기계적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포토-모스 릴레이는 빛에 반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는 전자 스위치일 수 있다. 포토-모스 릴레이는 발광 다이오드, 광센서 다이오드 및 MOSFET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압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되고, 빛은 광센서 다이오드에 도달하게 된다. 빛에 노출된 광센서 다이오드는 MOSFET의 소오스와 게이트 사이에 전압을 인가됨으로써 포토-모스 릴레이를 턴온 시킨다.
커패시터(Cf)는 플라잉 커패시터일 수 있다. 커패시터(Cf)의 양단은 제 1 릴레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Cf)의 양단은 제 1 릴레이(110)의 메인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Cf)는 제 1 릴레이(110)가 턴온되면, 제 1 릴레이(110)를 통해 배터리 팩의 전압을 전달받고, 저장할 수 있다.
제 2 릴레이(120)는 커패시터(Cf)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릴레이(12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제 2 제어 신호(Ctrl2)를 입력 받고,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제 2 릴레이(12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제 2 제어 신호(Ctrl2)를 입력받으면, 엑티브 하이(active high)가 되어 턴온될 수 있다. 이때, 제 2 릴레이(120)는 커패시터(Cf)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 버퍼(130)를 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릴레이(120)는 전기기계식 릴레이(electromechanical relay) 또는 반도체 릴레이(SSR; solid state relay)(예를 들면, 포토-모스 릴레이(Photo-Mos Rel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인덕터와 전기기계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기기계식 스위치가 자화되어 기계적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포토-모스 릴레이는 빛에 반응하여 스위칭 동작을 하는 전자 스위치일 수 있다. 포토-모스 릴레이는 발광 다이오드, 광센서 다이오드 및 MOSFET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전압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되고, 빛은 광센서 다이오드에 도달하게 된다. 빛에 노출된 광센서 다이오드는 MOSFET의 소오스와 게이트 사이에 전압을 인가됨으로써 포토-모스 릴레이를 턴온 시킨다.
출력 버퍼(130)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과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의 입력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버퍼(130)는 OP-AMP를 포함할 수 있다. OP-AMP(130)의 비반전 단자(+)는 제 2 릴레이(120)의 제 1 출력단(Vpo)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OP-AMP(130)의 출력 단자는, 출력 안정화를 위해 OP-AMP(130)의 반전 단자(-)와 연결되어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negative feedback loop)를 형성하며,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풀-다운 회로부(140)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풀-다운 회로부(14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제 2 제어 신호(Ctrl2)를 입력받고,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 임피던스(impedance)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풀-다운 회로부(140)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직렬 연결된 풀-다운 저항(Rpd) 및 스위치(T)를 포함할 수 있다.
풀-다운 저항(Rpd)은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 임피던스(impedance)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풀-다운 저항(Rpd)의 제 1 단자는 제 2 릴레이(120)의 제 1 출력단(Vpo)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풀-다운 저항(Rpd)은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 임피던스(impedance)를 감소시켜 노이즈에 대한 출력 버퍼(130)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풀-다운 저항(Rpd)은 대략 0.5 내지 1.5 MOhm의 값을 갖는 저항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MOhm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0.5 내지 1.5 MOhm의 저항값은 하이 임피던스의 제거와 고주파수 신호의 전달성(transferability) 사이에서 최적의 밴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다운 저항값이 0.5 MOhm 보다 크거나 같고, 제 2 릴레이(120)가 하이 레벨에서 동작하고 있을 경우, 풀-다운 저항(Rpd)에 입력되는 많은 전류량은 임피던스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풀-다운 저항값이 1.5 MOhm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고주파 신호는 출력 버퍼(130)로 충분히 잘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풀-다운 저항(Rpd)은 0.5 MOhm 보다 작거나 1 Mhom 보다 큰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T)는 풀-다운 저항(Rpd)의 제 2 단자와 제 2 릴레이(120)의 제 2 출력단(Vno)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T)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는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어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의 제 1 전극은 풀-다운 저항(Rpd)의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의 제 2 전극은 제 2 릴레이(120)의 제 2 출력단(Vno)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의 제어 전극은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제 2 제어 신호(Ctrl2)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는 제 1 릴레이(110)에 제 1 제어 신호(Ctrl1)를 인가하고, 제 2 릴레이(120)와 스위치(T)에 제 2 제어 신호(Ctrl2)를 인가함으로써, 제 1 릴레이(110), 제 2 릴레이(120) 및 풀-다운 회로부(14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제어 신호(Ctrl1)와 제 2 제어 신호(Ctrl2)의 파형은 서로 상보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어 신호(Ctrl1)의 값이 하이(high)일 경우, 제 2 제어 신호(Ctrl2)의 값은 로우(low)일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 신호(Ctrl 1)의 값이 로우(low) 일 경우, 제 2 제어 신호(Ctrl2)의 값은 하이(high)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은 제 1 릴레이(110)에 하이 값을 갖는 제 1 제어 신호(Ctrl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어 신호(Ctrl2)는 로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릴레이(120) 및 풀-다운 회로부(140)는 턴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릴레이(110)는 제 1 제어 신호(Ctrl1)를 입력 받고, 엑티브 하이(active high) 상태가 되어 턴온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의 양단의 전압은 분배 저항(Rd1, Rd2)에 의해 분압되어, 제 1 릴레이(110)를 통해 커패시터(Cf)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은 하이 값을 갖는 제 2 제어 신호(Ctrl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어 신호(Ctrl1)는 로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릴레이(110)는 턴오프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릴레이(120) 및 스위치(T)는 엑티브 하이(active high) 상태가 되어 턴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릴레이(120)는 커패시터(Cf)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과 연결된 인버터(미도시)와 같은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서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 노이즈를 야기하는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전자파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릴레이(12)의 출력단(Vpo, Vno)은 인버터와 같은 회로의 사용 시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 노이즈에 의해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가 될 수 있다.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 하이 임피던스는 OP-AMP(130)의 오동작을 유발하여, OP-AMP(130)는 제 2 릴레이(12)에 출력이 없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OP-AMP(13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설치된 풀-다운 저항(Rpd)을 포함한다. 풀-다운 저항(Rpd)은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의 임피던스를 감소시킴으로써 OP-AMP(130)이 정상적인 출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풀-다운 저항(Rpd)만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는 전압 드롭(voltage drop)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에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풀-다운 저항(Rpd)과 직렬 연결된 스위치(T)가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T)는 마이크로 컴퓨터(15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T)와 제 2 릴레이(120)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어 신호(Ctrl2)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제어 신호(Ctrl2)는 스위치(T)와 제 2 릴레이(120)를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시킨다. 제 2 제어 신호(Ctrl2)는 매우 짧은 주기를 가지며, 예를 들어 대략 200 ms의 주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 2 제어 신호(Ctrl2)의 주기는 대략 150 내지 250 ms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풀-다운 저항(Rpd)으로 인해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 전압 강하가 일어나더라도, 제 2 제어 신호(Ctrl2)의 주기 매우 짧기 때문에, 제 2 릴레이(120)의 최종 출력은 대체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도 2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풀-다운 저항(Rpd)만 설치될 경우 제 2 릴레이(120)에서 출력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의 그래프의 가로 축은 시간 축이고, 세로 축은 제 2 릴레이(12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① 번 그래프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1 MOhm의 풀-다운 저항(Rpd)만 설치될 경우, 제 2 릴레이(120)에서 출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② 번 그래프는 제 1 제어 신호(Ctrl1)를 나타낸다. ③ 번 그래프는 제 2 제어 신호(Ctrl2)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까지의 구간은 제 1 제어 신호(Ctrl1)가 하이 값을 갖고 제 2 제어 신호(Ctrl2)가 로우 값을 갖는 구간이다. 이때, 제 1 릴레이(110)는 턴온되어 배터리 팩의 전압(V)을 커패시터(Cf)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 2 릴레이(120)는 오프 상태가 된다. ⓑ 이후의 구간은 제 1 제어 신호(Ctrl1)가 로우 값을 갖고 제 2 제어 신호(Ctrl2)가 하이 값을 갖는 구간이다. 이때, 제 1 릴레이(110)는 턴오프되고, 제 2 릴레이(120)는 턴온되어 커패시터(Cf)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 버퍼(130)는 제 2 릴레이(120)에서 출력된 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 ⓑ 사이의 구간은 제 1 제어 신호(Ctrl1)와 제 2 제어 신호(Ctrl2)의 값이 서로 바뀌는 구간이다. 이때, 제 1 제어 신호(Ctrl1)는 하이에서 로우로 바로 바뀌지 않고, ⓐ ⓑ 사이의 구간 동안 일시적으로 같은 값을 가지다가 로우로 바뀔 수 있다.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풀-다운 저항(Rpd)만 설치된 경우,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의 임피던스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풀-다운 저항(Rpd)은 제 2 릴레이(120)의 출력 유무에 관계없이 출력단(Vpo, Vno) 사이에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서 전압 드롭(drop)이 발생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풀-다운 저항(Rpd) 및 스위치(T)가 설치될 경우, 제 2 릴레이(12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제어 신호(Ctrl2)의 파형을 확대한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1 제어 신호(Ctrl1)의 값이 하이에서 로우가 되고, 제 2 제어 신호(Ctrl2)의 값이 로우에서 하이가 되면, 제 1 릴레이(110)는 턴오프되고, 제 2 릴레이(120)는 턴온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150)은 제 2 제어 신호(Ctrl2)의 값을 하이와 로우로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제 2 릴레이(120)와 스위치(T)가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한다. 제 2 제어 신호(Ctrl2)는 도 4에 도시된 구형파 신호일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 2 제어 신호(Ctrl2) 값의 변화는 예를 들어 도 3의 ③ 번 그래프와 같이 제 2 릴레이(120)의 출력 신호가 미세하게 진동하도록 할 뿐이다. 이에 따라, 출력 버퍼(130)는 제 2 릴레이(120)의 출력 신호가 미세하게 변동되더라도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negative feedback loop)를 이용하여 신호가 보다 안정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제 2 릴레이(120)와 스위치(T)가 턴온되는 경우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 사이에 풀-다운 저항(Rpd)이 연결됨으로써, 제 2 릴레이(120)의 출력단(Vpo, Vno)에 임피던스 값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 2 릴레이(120)의 출력이 없는 경우 스위치(T)는 턴오프되므로 출력 버퍼(130)의 출력 전압은 드롭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배터리 관리 시스템
110: 제 1 릴레이
120: 제 2 릴레이
130: 출력 버퍼
140: 풀-다운 회로부
150: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
Rd1: 제 1 분배 저항
Rd2: 제 2 분배 저항
Cf: 커패시터
Rpd: 풀-다운 저항
T: 스위치
Ctrl1: 제 1 제어 신호
Ctrl2: 제 2 제어 신호

Claims (20)

  1. 배터리 셀 또는 배터리 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셀 또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전압을 제공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제공하며, 제 1 출력단자 및 제 2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출력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단자에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는 풀-다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상기 전압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회로는 풀-다운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풀-다운 저항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제 1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저항은 0.5 내지 1.5 MOhm의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저항은 1MOhm의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 회로는 상기 풀-다운 저항의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풀-다운 저항의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전극;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2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극;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에 제 1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전극에 각각 제 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를 주기적으로 턴온/턴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의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제 2 제어 신호의 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구형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릴레이(rela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6.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전달하는 제 1 릴레이;
    상기 제 1 릴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릴레이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전달하고 제 1 출력단자와 제 2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제 2 릴레이; 및
    상기 제 2 릴레이의 상기 제 1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출력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교대로 턴온/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다수의 구형파를 포함하는 구형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19.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압을 받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전달하며, 제 1 출력 단자와 제 2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전압 릴레이 회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는 저항;
    상기 저항의 상기 제 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저항과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압 릴레이 회로의 상기 제 1 출력 단자와 상기 제 2 출력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릴레이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전압 강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KR1020120046874A 2011-05-18 2012-05-03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318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7675P 2011-05-18 2011-05-18
US61/487,675 2011-05-18
US13/455,029 2012-04-24
US13/455,029 US9252462B2 (en) 2011-05-18 2012-04-24 Batter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473B1 true KR101318473B1 (ko) 2013-10-16

Family

ID=4717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874A KR101318473B1 (ko) 2011-05-18 2012-05-03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52462B2 (ko)
KR (1) KR101318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1114A (ja) * 2014-06-11 2016-01-0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圧検出装置
JP6326024B2 (ja) 2015-10-19 2018-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圧検出回路及び電圧検出方法
KR102076889B1 (ko) * 2017-02-15 2020-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모듈 컨트롤러에 대한 고유번호 할당 시스템 및 방법
US11451072B2 (en) * 2018-07-10 2022-09-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US11476690B2 (en) 2019-10-25 2022-10-18 Samsung Sdi Co., Ltd. Power suppl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334A (ko) * 2007-08-08 2009-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캐패시터를 이용한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129005A (ko) * 2009-05-29 2010-12-08 백제인 다중 전지의 접속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168A (en) * 1995-05-04 1998-04-07 Baker; George T. Electrical power management system
US5801519A (en) * 1996-06-21 1998-09-0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elf-excited power minimizer/maximizer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s and switching motor drive applications
KR20030021004A (ko) 2001-09-05 200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산 증폭기의 이득 제어 회로
US7023683B1 (en) * 2002-09-04 2006-04-0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 relay control circuit
KR100839382B1 (ko) 2006-10-16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839381B1 (ko) 2006-11-01 2008-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090256534A1 (en) * 2008-04-14 2009-10-15 Twisthink, L.L.C.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8896315B1 (en) * 2009-02-12 2014-11-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Battery cell balancing system and method
US8872384B2 (en) * 2010-08-18 2014-10-28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witching circuits for extracting power from an electric power source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334A (ko) * 2007-08-08 2009-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 캐패시터를 이용한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129005A (ko) * 2009-05-29 2010-12-08 백제인 다중 전지의 접속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93133A1 (en) 2012-11-22
US9252462B2 (en)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47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5912162B2 (ja) 高電圧リレーの故障診断装置及びその方法
JP4359301B2 (ja) 充電装置
US889616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witch units, and battery pack an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said apparatus
US20120074894A1 (en) Hybrid battery module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JP2013135486A (ja) 電力貯蔵装置、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KR101841559B1 (ko) 탑재형 전력 공급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2007174894A (ja) 電池管理システム、電池管理方法、電池システム及び自動車
KR20080032454A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1174711A (zh) 电池管理系统及其驱动方法
JP2000088898A (ja) 電池電圧の検出装置
KR101866063B1 (ko) 보조배터리의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59340B1 (en) Inverter control using randomized pulse width modulation
KR101610921B1 (ko)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20249058A1 (en) Auxiliary battery charging apparatus
CN107399242A (zh) 控制非车载充电装置的方法和设备
KR100878941B1 (ko)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배터리 전압측정 및셀밸런싱 공용화 회로
JP5187407B2 (ja) 補機バッテリ充電装置
WO2012132414A1 (ja) 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KR101856068B1 (ko) 배터리 팩 전압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50071575A (ko)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KR102099414B1 (ko) 센싱 집적회로를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WO2012117503A1 (ja) 電池制御装置
US10391879B2 (en) Energy storage system, transporter, and control method
KR101619477B1 (ko) 발진기를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