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1575A -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1575A
KR20150071575A KR1020130158758A KR20130158758A KR20150071575A KR 20150071575 A KR20150071575 A KR 20150071575A KR 1020130158758 A KR1020130158758 A KR 1020130158758A KR 20130158758 A KR20130158758 A KR 20130158758A KR 20150071575 A KR20150071575 A KR 20150071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dc
input current
transformer
calculation unit
pwm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김우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1575A/ko
Priority to US14/338,142 priority patent/US9473012B2/en
Priority to EP14178135.1A priority patent/EP2887522A3/en
Priority to JP2014169223A priority patent/JP2015119618A/ja
Priority to CN201410588800.XA priority patent/CN104734508A/zh
Publication of KR2015007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트랜스포머, PWM 제어기를 포함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제어하기 위한 LDC 제어 장치로서,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이용하여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하는 입력 전류 산출부; 입력 전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입력 전류를 기반으로 하여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을 산출하는 출력 전류 산출부; 및 출력 전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을 기반으로 과전류 보호 또는 용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PWM 제어기에 출력하는 LDC 제어부를 포함하는 LDC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LOW VOLTAGE DC/DC CONVERTER USING INPUT CURRENT INFORMATION OF LOW VOLTAGE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에서 LDC의 트랜스포머를 기준으로 1차측 즉 입력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토폴로지에서 생기는 오차를 줄이고,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LDC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LDC 제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가솔린, 디젤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엔진을 통해 열에너지를 물리적 힘을 변환하는 기본 원리에 맞추어 발전해 왔다. 그러나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와 연료의 고갈과 같은 이유로 다른 동력원을 찾기 시작했고, HEV(hybrid electric vehicles), PHEV(plug-in-electric vehicles), EV(Electric Vehicles)와 같이 전기에너지에 기반한 자동차들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기본적인 구현을 넘어서 보다 더 높은 성능과 효율을 바탕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전장부품들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주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장부품 및 주변 요소들로 OBC(On Board Charger),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 배터리팩(Battery Pack) 들이 있다. 각 부품은 EV의 동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주요 구성품이며 EV의 성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이 가운데 200~450VDC의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12VDC의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및 EV의 각 파트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LDC는 EV 내부에서 가장 중요한 전장부품 중 하나이다.
높은 전압 변환비를 요구하는 LDC의 특징으로 인하여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DC/DC 컨버터 토폴로지(Phase shifted pull-bridge)가 흔히 사용된다.
종래의 경우, 입력전압, 전류에서 출력전압,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있어 효율이라는 단일 변수만이 적용되었으며, 회로를 구성하는 물리 소자들의 특성이 모두 이상적이라는 가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다른 변수가 발생할 경우 결과물의 오차가 커져 전류제어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차는 출력 과전류 보호기능이나 Power Limit(Derating)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의 전류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에 있어 LDC의 성능을 제한시킬 수 있다.
오차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먼저, 저전압 고전류의 출력 특성을 보이는 LDC는 전체 효율에 관한 고려로 인하여 트랜스포머 2차측의 권선을 많이 감을 수 없는 제한사항을 가지게 된다. 이는 1차측 권선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Transformer의 자화 인덕턴스(Lm)의 감소를 가져오고 트랜스포머는 더 이상 이상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입력전압에서 출력전압으로의 전달비인 유효 통류율(Deff)가 고려되지 않을 경우 실제 전류 정보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트랜스포머의 권선비 n을 제외했을 때, 입·출력 전압의 전달비율을 나타내는 통류율은 실제 구성에 있어 다양한 지연시간을 가진다. 전달 경로에서 발생한 통류율 감소를 고려한 유효 통류율(Deff)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출력전류를 도출하는 과정에 적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 자동차에서 LDC의 트랜스포머를 기준으로 1차측 즉 입력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토폴로지에서 생기는 오차를 줄이고,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LDC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LDC 제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트랜스포머, PWM 제어기를 포함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제어하기 위한 LDC 제어 장치로서,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이용하여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하는 입력 전류 산출부; 입력 전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입력 전류를 기반으로 하여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을 산출하는 출력 전류 산출부; 및 출력 전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을 기반으로 과전류 보호 또는 용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PWM 제어기에 출력하는 LDC 제어부를 포함하는 LDC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LDC 제어 장치는 트랜스포머의 인덕던스(L),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 PWM 제어기의 통류율(D),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 LDC의 구간별 효율(eff), 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n),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m)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는,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트랜스포머의 인덕던스(L),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 PWM 제어기의 통류율(D),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 LDC의 구간별 효율(eff), 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n),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m)와, LDC의 입력단에서 측정된 LDC의 입력 전압, L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LDC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는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의 기울기를 보상하고, PWM 제어기에서 입력 전류가 출력단으로 넘어가는 유효 통류율을 보상하여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는 하기의 식에 의해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단, Ig: LDC의 입력 전류, Sn:입력 전류 파형의 기울기, Vg: LDC의 입력 전압, Vo: LDC의 출력 전압, D: PWM 제어기의 통류율, d: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 Lm: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L: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 eff: LDC의 구간별 효율, n: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 m: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 Ts: 주기 )
LDC 제어부는 LDC의 구간별 효율(eff)을 주기적으로 메모리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 출력 전류 산출부, 및 LDC 제어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내에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 출력 전류 산출부, 및 LDC 제어부는 DLC내에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 출력 전류 산출부, 및 LDC 제어부는 PLD(Programable logic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LDC의 트랜스포머를 기준으로 1차측 즉 입력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토폴로지에서 생기는 오차를 줄이고,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LDC 제어에 이용함으로써 LDC 제어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DC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DC 제어 장치의 LDC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DC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DC 제어 장치(100)는 전원부(10), LDC(20), 배터리 및 부하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LDC 제어 장치(100)는 LDC(20)의 전압, 전류 정보를 스위칭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는 순시값을 이용하여 LDC 제어를 수행한다.
LDC(10)는 스위칭부(11), 트랜스포머(12), 출력 필터(13), PWM 제어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칭부(11)는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스위칭하여 트랜스포머(12)에 전달한다. 트랜스포머(12)는 스위칭부(1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대한 전압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12)는 200~450VDC의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12VDC의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배터리 및 부하 장치(30)에 출력한다. 출력 필터(13)는 변환된 출력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PWM 제어기(14)는 LDC 제어 장치(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 신호를 스위칭부(11)에 출력하여 입력 전류 및 전압의 보정을 수행한다.
LDC 제어 장치(100)는 트랜스포머(12)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14)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반영하여 LDC(20)의 입력 전류 정보를 산출하여 LD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DC 제어 장치(100)의 LDC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DC(20)의 입력 전류(Ig)와 트랜스포머(12)의 자화 인덕턴스(Lm)와,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를 서로 가산기(1)에 의해 더한다. 이때, 트랜스포머(12)의 자화 인덕턴스(Lm)와,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는 LDC(20)의 입력 전류(Ig) 성분에 대하여 + 성분도 될 수 있고, - 성분도 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 성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산기(1)의 출력값에 LDC의 입력 전압(Vg)이 승산기(2)에 의해 곱해진다. 승산기(2)의 출력값을 LDC(20)의 출력 전압(Vo)으로 제산기(3)에 의해 나눈다. 제산기(3)의 출력에 LDC의 구간별 효율(eff)이 승산기(4)에 의해 곱해져서 LDC(20)의 출력 전류(Io)가 출력된다. LDC(20)의 출력 전류(Io)는 과전류 보호(OCP : Over Current Protection) 기능(5)또는 용량 제어(Power Limit) 기능(6)에 사용될 수 있다.
LDC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110), 입력 전류 산출부(120), 출력 전류 산출부(130), LDC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DC 제어 장치(10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내에 구현될 수 있다. LDC 제어 장치(100)는 DLC내에 구현될 수 있다. LDC 제어 장치(100)는 PLD(Programable logic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트랜스포머의 인덕던스(L),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 PWM 제어기의 통류율(D),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 LDC의 구간별 효율(eff), 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n),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m)를 저장한다.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Lm)와,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D-d)를 이용하여 LDC(20)의 입력 전류(Ig)를 산출한다.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읽어온 트랜스포머의 인덕던스(L),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 PWM 제어기의 통류율(D),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 LDC의 구간별 효율(eff), 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n),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m)와, LDC(20)의 입력단에서 측정된 LDC(20)의 입력 전압(Vg), LDC(20)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LDC의 출력 전압(Vo)을 이용하여 LDC(20)의 입력 전류(Ig)를 산출할 수 있다.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트랜스포머(120)의 자화 인덕턴스(Lm)의 기울기를 보상하고, PWM 제어기(140)에서 입력 전류가 출력단으로 넘어가는 유효 통류율을 보상하여 LDC(120)의 입력 전류(Ig)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 전류 산출부(130)는 입력 전류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된 입력 전류값을 기반으로 하여 출력 전류의 순시값 또는 평균값을 산출한다.
LDC 제어부(140)는 출력 전류 산출부(120)에 의해 산출된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에 의해 과전류 보호(OCP : Over Current Protection) 또는 용량 제어(Power Limit)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PWM 제어기(14)에 출력한다.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LDC(20)의 입력 전류를 산출한다.
LDC(20)의 입력 전력(Pin)은 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고, LDC(20)의 출력 전류(Io)는 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3
[식 2]
Figure pat00004
전원부(10)로부터 입력전류를 기준으로 피크 전류 모드 제어가 적용된 LDC의 입력 전류 정보는 순시값을 기준으로, 다음 식 3과 같이 전류 파형의 기울기(Sn)와 주기(Ts)의 곱으로 입력 전류 값(Ig)을 표현할 수 있다.
[식 3]
Figure pat00005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LDC(20)의 전류 정보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위 식 3에 몇 개의 변수를 적용한다.
식3의 기울기 Sn는 PWM 제어기(14)의 듀티(Duty) 변화(d)와, 트랜스포머(12)의 자화 인덕턴스 영향이 고려되지 않았을 경우 다음 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4]
Figure pat00006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식 2를 기반으로 하여 트랜스포머(12)의 자화 인덕턴스(Lm)에 의한 전류 정보를 추가 성분으로 반영한다.
이에 따라, 식 4는 수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5에서 볼 수 있듯이 자화 인덕턴스에 의한 추가 성분은 LDC(10)의 효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식 5]
Figure pat00007
식 5에 PWM 제어기(14)의 통류율 오차 d에 의한 성분을 포함시키면 최종적으로 다음 식 6이 도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통류율 오차 d는 PWM 제어기(14)에서 발생되는 통류율 오차를 나타낸다.
[식 6]
Figure pat00008
입력 전류 산출부(120)는 트랜스포머(12)의 자화 인덕턴스(Lm)에 의한 전류 정보와 PWM 제어기(14)의 통류율 오차(d)의 성분에 의해 기울기(Sn)와 PWM 제어기(14)의 듀티(Duty)가 조정되어 입력전류의 값이 좀 더 정확한 값으로 접근하게 된다.
출력 전류 산출부(130)는 입력 전류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된 보다 정확해진 입력 전류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전류의 순시값과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전류 산출부(130)는 보다 오차가 감소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LDC 제어부(140)는 출력 전류 산출부(120)에 의해 산출된 순시 전류값 또는 평균 전류값에 의해 과전류 보호 또는 용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PWM 제어기(1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LDC 제어부(140)는 보다 LDC(20)의 전류, 전압 상태를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에 따라 LDC(20)의 출력단에서 감지되는 출력 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전류 제한 기능 및 보호 회로 동작 시점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출력 전류 정보의 정확도 상승효과는 트랜스포머(12)에서 얻어지는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PWM 제어기(14)에서 얻어지는 유효 통류율 정보가 LDC 제어부(130)에 의한 LDC 제어 과정에서 사용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12)에서 얻어지는 자화 인덕턴스 값(Lm)은 설계 단계에서 미리 알게 되는 정보이다. PWM 제어기(14)에서 얻어지는 유효 통류율을 결정하는 오차(d)는 전류 센싱 회로 상에 존재하는 센싱 네트워크 구성요소들의 설계상에서 고려되는 값들의 합이다.
LDC 제어부(140)는 출력 전류 산출부(130)에 의해 산출된 순시 전류값에 의해 피크 전류 모드 제어(Peak current mode control)를 사용하여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LD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LDC 제어부(140)는 LDC(20)의 구간별 효율(eff)을 주기적으로 메모리(11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LDC 제어부(140)는 출력 전류 산출부(130)에 의해 산출된 평균 전류값에 의한 충전 전류 모드(Charge current mode)나 평균 전류 모드(Average current mode)를 사용하여 LDC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트랜스포머, PWM 제어기를 포함하는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제어하기 위한 LDC 제어 장치로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정보와, 상기 PWM 제어기의 유효 통류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하는 입력 전류 산출부;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입력 전류를 기반으로 하여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을 산출하는 출력 전류 산출부; 및
    상기 출력 전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출력 전류의 순시값 및 평균값을 기반으로 과전류 보호 또는 용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제어기에 출력하는 LDC 제어부를 포함하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의 인덕던스(L),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 PWM 제어기의 통류율(D),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 LDC의 구간별 효율(eff), 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n),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m)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트랜스포머의 인덕던스(L),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 PWM 제어기의 통류율(D), 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d), LDC의 구간별 효율(eff), 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n),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m)와, 상기 LDC의 입력단에서 측정된 LDC의 입력 전압, 상기 LDC의 출력단에서 측정된 LDC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하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Lm)의 기울기를 보상하고, 상기 PWM 제어기에서 입력 전류가 출력단으로 넘어가는 유효 통류율을 보상하여 상기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하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는 하기의 식에 의해 상기 LDC의 입력 전류를 산출하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단, Ig: LDC의 입력 전류, Sn:입력 전류 파형의 기울기, Vg: LDC의 입력 전압, Vo: LDC의 출력 전압, D: PWM 제어기의 통류율, d:PWM 제어기의 통류율 오차, Lm: 트랜스포머의 자화 인덕턴스, L:트랜스포머의 인덕턴스, eff: LDC의 구간별 효율, n:트랜스포머 1차측 권선수, m: 트랜스포머 2차측 권선수, Ts: 주기 )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DC 제어부는 상기 LDC의 구간별 효율(eff)을 주기적으로 메모리에 업데이트하는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 상기 출력 전류 산출부, 및 상기 LDC 제어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내에 구현된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 상기 출력 전류 산출부, 및 상기 LDC 제어부는 상기 DLC내에 구현된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류 산출부, 상기 출력 전류 산출부, 및 상기 LDC 제어부는 PLD(Programable logic device)로 구현된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KR1020130158758A 2013-12-18 2013-12-18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KR20150071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758A KR20150071575A (ko) 2013-12-18 2013-12-18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US14/338,142 US9473012B2 (en) 2013-12-18 2014-07-2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w voltage DC/DC converter by using input current information on low voltage DC/DC converter
EP14178135.1A EP2887522A3 (en) 2013-12-18 2014-07-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w voltage dc/dc converter by using input current information on low voltage dc/dc converter
JP2014169223A JP2015119618A (ja) 2013-12-18 2014-08-22 Ldcの入力電流情報を利用したldc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410588800.XA CN104734508A (zh) 2013-12-18 2014-10-28 用ldc的输入电流信息来控制ldc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758A KR20150071575A (ko) 2013-12-18 2013-12-18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575A true KR20150071575A (ko) 2015-06-26

Family

ID=5121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758A KR20150071575A (ko) 2013-12-18 2013-12-18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73012B2 (ko)
EP (1) EP2887522A3 (ko)
JP (1) JP2015119618A (ko)
KR (1) KR20150071575A (ko)
CN (1) CN1047345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621A (ko) * 2016-05-31 2017-12-08 주진관 이차 전지 충방전 모드 전환 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전원 장치
KR20180060773A (ko) 2016-11-29 2018-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직류변환장치의 전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160337B2 (en) 2015-11-25 2018-12-25 Hyundai Motor Company Low voltage DC-DC converter of eco friendly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280B1 (ko) * 2016-05-04 2018-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전압 직류 변환기의 출력전압 센싱 오차 보정 방법
KR102506849B1 (ko) * 2016-12-13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직류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867962B (zh) * 2019-11-20 2021-04-30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基于馈线联络组的配电网错误拓扑关系的验证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9759A (ja) * 1999-03-18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利得制御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備えた受信装置、受信装置における自動利得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646848B2 (en) * 2001-01-31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EP1634436A1 (en) * 2003-05-29 2006-03-15 TDK Semiconductor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 duplex signaling across a pulse transformer
JP4677292B2 (ja) 2005-06-20 2011-04-27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電源装置
GB2436155A (en) 2006-03-14 2007-09-19 Cambridge Semiconductor Ltd Switch mode power supply current sensing
GB2439998A (en) * 2006-07-07 2008-01-16 Cambridge Semiconductor Ltd Estimating the output current of a switch mode power supply
KR101103616B1 (ko) 2008-01-07 2012-01-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인터락 스위치를 이용한 프리-차지 저항 보호 회로 장치
US8116105B2 (en) * 2008-02-07 2012-02-1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KR101155698B1 (ko) 2009-02-06 2012-06-12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류 검출 회로 및 변압기 전류 측정 시스템
JP2011130562A (ja) 2009-12-16 2011-06-30 Origin Electric Co Ltd ローサイド電流検出回路
EP2375854B1 (en) * 2010-04-06 2015-12-02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earch Heater for a vehicular fluid tank, motor vehicl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heating a vehicular fluid tank
JP2013046438A (ja) * 2011-08-22 2013-03-04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Dc−dcコンバータ
JP2014126699A (ja) * 2012-12-26 2014-07-07 Sony Corp 自発光表示装置、自発光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0337B2 (en) 2015-11-25 2018-12-25 Hyundai Motor Company Low voltage DC-DC converter of eco friendly vehicle
KR20170135621A (ko) * 2016-05-31 2017-12-08 주진관 이차 전지 충방전 모드 전환 장치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전원 장치
KR20180060773A (ko) 2016-11-29 2018-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직류변환장치의 전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73012B2 (en) 2016-10-18
US20150171725A1 (en) 2015-06-18
EP2887522A2 (en) 2015-06-24
CN104734508A (zh) 2015-06-24
JP2015119618A (ja) 2015-06-25
EP2887522A3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ligh et al. Global trends in high-power on-board chargers for electric vehicles
Brenna et al. Electric vehicles charging technology review and optimal size estimation
KR20150071575A (ko) Ldc의 입력 전류 정보를 이용한 ldc 제어 장치
Krismer Modeling and optimization of bidirectional dual active bridge DC-DC converter topologies
Kisacikoglu Vehicle-to-grid (V2G) reactive power operation analysis of the EV/PHEV bidirectional battery charger
KR101234669B1 (ko) 친환경 차량용 dc-dc컨버터의 전류 보상방법
KR102208523B1 (ko) Ldc 및 obc 통합 모듈 장치
CN105517836B (zh) 控制dc‑dc转换器并获得dc‑dc转换器的经修改的延迟的方法
US201601370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for vehicle
Chemali et al. Minimizing battery wear in a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using a linear quadratic regulator
Su et al. A new integrated onboard charger and accessory power converter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Singh et al. A multi-functional single-stage power electronic interface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application
TWM497385U (zh) 串聯電池組的主動平衡模組
US9768617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power source, a source of renewable energy, and a power converter
Praneeth Ammanamanchi Venkata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single‐stage, two‐mode AC/DC converters for on‐board battery charging applications
W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solated bidirectional phase-shift full-bridge converter with high transformation ratio
Lassioui et al. Adaptive output feedback nonlinear control of a wireless power transfer charger for battery electric vehicle
Debbou et al. Interleaved DC/DC charger for wireless power tranfer
Du et al. Droop controller design methods for isolated DC-DC converter in DC grid battery energy storage applications
Iqubal et al. An Extensive Critique on Electric Vehicle Components and Charging Systems
Clarke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different PEV battery chargers during faults
Viana Electric Vehicle Drivetrain with Integrated Nonisolated Charging and Auxiliary Power Module
Sabzehgar et al. Modelling and control of a bidirectional single-phase single-stage converter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CN114619899B (zh) 用于车辆的电力转换系统及其控制方法
Sabatini et al. FPGA-based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high frequency variable speed generatin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