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077B1 -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077B1
KR101318077B1 KR1020117016624A KR20117016624A KR101318077B1 KR 101318077 B1 KR101318077 B1 KR 101318077B1 KR 1020117016624 A KR1020117016624 A KR 1020117016624A KR 20117016624 A KR20117016624 A KR 20117016624A KR 101318077 B1 KR101318077 B1 KR 10131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adio signal
format
sign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422A (ko
Inventor
다까요시 오데
가즈히사 오부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04B7/15514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for shadowing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간섭의 발생을 억제하여 무선 전송 품질의 향상을 도모한다. 무선국(1r)은, 무선 신호(d1)의 통신을 행한다. 무선국(2r)은,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무선 신호(d2)를 수신한다. 무선국(3r)은, 무선국(1r)의 무선 통신 범위 및 무선국(2r)의 서비스 범위에 위치한다.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무선 신호(d2)의 통신 형식을,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통신 형식으로 변환한 무선 신호(d2a)를 생성하여, 무선 신호(d2a)로 무선국(3r)과 통신을 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RADIO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이동 통신 시스템이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 포함된다.
최근,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국 통신의 규격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어지는 새로운 고속 통신 서비스가 기대되고 있고, 또한 LTE의 개량판인 LTE-Advanced 시스템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논의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LTE-Advanced 시스템은,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s sector)에 있어서 검토하는 것이 결정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시스템의 개량판인 IMT-Advanced 시스템으로서 제안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IMT-2000 시스템의 대표적인 것에는,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ne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가 있다.
LTE-Advanced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데이터를 송신하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및 무선 중계를 행하는 중계 장치(릴레이국)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그 외에도 상향/하향의 대역폭의 폭 확대, 상향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도입 등도 검토되고 있음). 이하, LTE-Advanced 시스템을 예로서 설명한다.
(1) MBMS 및 MBSFN에 대해서.
MBMS란, 불특정 또는 특정한 유저에 대하여 데이터를 통지할 서비스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뉴스 등의 정보를 방송(Broadcast)하거나, 특정 유저를 향하여 정보를 송신(Multicast)하거나 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또한, MBMS에 의한 통지 데이터(MBMS 데이터)의 송신 방법으로서,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동기하여, MBMS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MBSFN이 검토되고 있다.
MBSFN의 SFN(Single Frequency Network)란, 동일한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MBSFN은, 통상, 송신 에어리어(MBSFN 에어리어)가 설정되어 있고, 그 에어리어 내에서는 동일한 무선 주파수를 사용한다고 하는 것이다(TS36.300V8.6.015 MBMS 참조).
또한, MBSFN에서는, 동일한 데이터를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일 주파수 또한 동일한 타이밍에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수신의 경우는, CP(Cyclic Prefix) 길이 이하이면, 복수의 수신 합성이 가능한 것을 이용한 것이며,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 합성함으로써, 수신 특성 향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CP란, 데이터의 겹침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할 때에 부가하는 용장부의 것으로,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GI(Guard Interval)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MBSFN에서 사용되는 CP는, 통상 통신의 유니캐스트 데이터에 부가되는 CP보다도 조금 길게 되어 있다.
도 20은 무선 데이터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데이터는, CP와 데이터로 구성되고, 유니캐스트 송신시의 CP는 Normal CP, MBSFN의 CP는 Extended CP라고 불리어지고 있다. Normal CP의 길이는 4.69μsec인 것에 대해, MBSFN의 CP의 길이(MBMS 데이터의 CP 길이)는 16.67μsec로 되어 있다.
도 21은 데이터의 수신 합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국(120)이, 기지국 B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데이터 b라고 함)를 수신하고, 데이터 b의 수신 후에 시간 t만큼 지연되어, 기지국 A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데이터 a라고 함)를 수신하였다고 한다(데이터 a, b는 동일한 서비스 내용의 통지 데이터임).
지연 시간 t가, 데이터 b의 수신 개시 시각으로부터 CP 길이의 시간 범위 내에 있으면, 이동국(120)은, 데이터 b의 수신뿐만 아니라 데이터 a도 수신하여, 데이터 a, b를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BSFN에서는, CP가 길어져 있는 만큼, 거리가 떨어진 기지국(이 예에서는 기지국 A가 해당)에 대해서도, 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를 수신하여 합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2) 중계 장치(릴레이국)에 대해서.
LTE-Advanced 시스템에서는, 릴레이국(Relay)이 예를 들면, 서비스 에어리어 범위의 확대(Cell extension)나 불감 에어리어(Dead spot) 대책을 위해, 기지국과 이동국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22는 서비스 에어리어 범위의 확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0)의 셀(100a)의 외측에 이동국(120)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셀(100a) 내에 릴레이국(110)이 설치되어 있고, 릴레이국(110)이 중계 가능한 에어리어를 중계 에어리어(110a)로 하고, 이동국(120)은, 중계 에어리어(110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릴레이국(110)과 같은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국(120)은 셀(100a) 밖으로 위치하므로, 기지국(100)과 통신할 수 없다. 그러나, 릴레이국(110)이 설치되어, 릴레이국(110)의 중계 에어리어(110a) 내에 이동국(120)이 존재하면, 이동국(120)이 셀(100a) 밖에 있어도, 릴레이국(110)을 통하여 무선 중계가 행해지게 되어, 기지국(100)과 이동국(120)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은 불감 에어리어 대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0)의 셀(100a) 내에 릴레이국(110)이 설치되고, 셀(100a) 내에는, 불감 에어리어(110b)가 존재하여, 불감 에어리어(110b) 내에 이동국(120)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릴레이국(110)의 중계 에어리어(110a)는, 불감 에어리어(110b)를 커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릴레이국(110)과 같은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동국(120)이 불감 에어리어(110b) 내에 위치하면, 기지국(100)과의 통신은 곤란하게 된다. 그러나, 릴레이국(110)이 설치되어, 릴레이국(110)의 중계 에어리어(110a)가 불감 에어리어(110b)를 커버하고 있으면, 이동국(120)이 불감 에어리어(110b) 내에 있어도, 릴레이국(110)을 통하여 무선 중계가 행해지게 되어, 기지국(100)과 이동국(120)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MBMS에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이동국이, 공통 파일럿 채널과 공통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차에 기초하여 셀 품질을 추정하고, 셀 품질이 가장 높은 인접 셀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선 중계 기술로서, 송신 장치측에서, 중계 장치가 재송신하기 위한 중계 장치용 신호와, 수신기에 직접 송신하기 위한 수신기용 신호를 계층화하여 송신하고, 중계 장치에서는, 중계 장치용 신호를 복조한 후, 다시 변조하여 재송신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2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제2008-503130호 공보(단락번호 [0015]∼[0020], 도 1)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10-032557호 공보(단락번호 [0019]∼[0021], 도 1)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BMS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릴레이국을 배치함으로써, 서비스 에어리어 범위의 확대나 불감 에어리어 대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MBSFN에서는, CP 길이가 통상의 유니캐스트에 이용하는 Normal CP보다도 긴 Extended CP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국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대해서도, 릴레이국을 통하여 수신하여, 보다 많은 복수의 데이터에 의한 수신 합성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MBMS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MBSFN 송신된 MBMS 데이터와의 사이에서 식별이 불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4는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1∼103), 이동국(121∼123), 릴레이국(110)이 배치되어 있다. 기지국(101)은, 유니캐스트 데이터 r1을 이동국(121)에 송신하고, 기지국(103)은, 유니캐스트 데이터 r3을 이동국(123)에 송신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102)은, MBMS 데이터 r2를 릴레이국(110)에 송신하고, 릴레이국(110)은, MBMS 데이터 r2를 이동국(122)에 중계 송신하고 있다.
여기서,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송신에서는, 기지국측에서 스크램블링을 걸어서 동일 무선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 외에 유니캐스트 데이터와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도록 처리되어 있다. 즉, 초기값이 다른 스크램블링 코드를 걸므로써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한 유니캐스트 데이터 r1, r3에서는 식별 가능하다. 또한, MBSFN의 송신에서도 복수의 MBMS 데이터는 식별 가능하게 하여 전송하므로, MBMS 데이터끼리에서의 식별도 가능하다. 즉, 동일한 통신 형식이면, 서로 식별 가능하다.
그러나,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MBMS 데이터는, 통신 형식이 다르며, 또한 스크램블링 코드의 초기값이 다르다고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크램블링 코드에 의한 식별이 가능한 것이 보장되어 있지 않다. 또한, 양자는 동일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MBMS 데이터가 혼재하는 환경에서는 양자를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유니캐스트 통신의 유저 데이터를 운반하는 무선 채널)에 대하여 실시된 스크램블링의 코드와,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MBSFN 통신의 유저 데이터를 운반하는 무선 채널)에 대하여 실시된 스크램블링의 코드와의 식별이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DSCH와 PMCH와의 사이에서 식별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결과, 간섭으로 될 우려가 있다.
도 24의 경우, 이동국(121)은, 유니캐스트 데이터 r1과 MBMS 데이터 r2와의 쌍방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이동국(123)은, 유니캐스트 데이터 r3과 MBMS 데이터 r2와의 쌍방을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환경의 경우, 본래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이동국(121, 123)에 있어서는, 릴레이국(110)으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MBMS 데이터 r2는 식별 불가능하게 되어, 간섭파로 되어 버리게 된다.
한편,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MBMS 데이터와의 식별이, 가령 일정 시간 가능하였다고 해도, 기지국간 또는 기지국과 릴레이국과의 사이는, 동기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스크램블링 선두의 타이밍이 서서히 어긋나기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 코드의 식별 능력이 열화되어 가기 때문에, 결국, PDSCH와 PMCH와의 사이에서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어, 간섭이 발생한다.
도 25는 타이밍 어긋남에 의한 간섭 발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흑색 슬롯이 MBSFN 송신에 의한 MBMS 데이터를 나타내고, 백색 슬롯이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계열 A1, B1의 식별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타이밍 T1을 보면, 2개의 MBMS 데이터가 동일 타이밍 내에 있어서 식별 가능하게 되어 간섭은 하지 않고, 타이밍 T2에서는, 2개의 유니캐스트 데이터가 동일 타이밍 내에 있으므로 식별 가능하게 되어 간섭은 생기지 않는다.
이에 대해, 타이밍 어긋남이 생겨서, 송신 계열 A1이 송신 계열 A1a로 변화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송신 계열 A1a, B1의 타이밍 T3∼T6을 보면, MBMS 데이터와 유니캐스트 데이터가 동일 타이밍 내에 존재하게 되므로,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어 간섭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어 간섭이 생기면,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MBMS 데이터의 양자 또는 한쪽의 전송 특성이 열화되어, 전송 품질의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식별을 가능하게 하여 간섭을 억제하고, 무선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국과, 제2 무선국과, 상기 제1 무선국 및 상기 제2 무선국의 무선 통신 범위의 공통 부분에 위치하는 제3 무선국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2 무선국은,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무선 신호의 통신 형식의 변환을 행하는 통신 형식 변환부를 포함하고, 통신 형식 변환부는,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제2 무선 신호에 실시하여 통신 형식을 변환한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제3 무선 신호로 제3 무선국과 통신을 행한다.
무선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의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MBSFN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MBSFN 네트워크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MBSFN 네트워크 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CP의 치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릴레이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릴레이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MBMS 데이터의 지연 통신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무선 데이터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데이터의 수신 합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서비스 에어리어 범위의 확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불감 에어리어 대책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타이밍 어긋남에 의한 간섭 발생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국(제1 무선국)(1r), 무선국(제2 무선국)(2r), 무선국(제3 무선국)(3r)을 구비한다.
무선국(1r)은, 무선 신호(제1 무선 신호)(d1)의 통신을 행한다. 무선국(2r)은,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무선 신호(제2 무선 신호)(d2)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국(2r)은, 통신 형식 변환부(21)를 포함한다. 무선국(3r)은, 무선국(1r)의 무선 통신 범위(서비스 범위) 및 무선국(2r)의 서비스 범위에 위치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d1)와 무선 신호(d2)가 식별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실시되고 있는 스크램블링의 코드와, 무선 신호(d2)에 대하여 실시되고 있는 스크램블링의 코드와의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무선국(2r)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에서는, 무선 신호(d2)를 수신하면,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무선 신호(d2)에 실시하여 통신 형식을 변환한 무선 신호(d2a)(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신호(d2a)로 무선국(3r)과 통신을 행한다.
또한, 무선 신호(d2a)는, 서비스 신호의 내용 자체는 무선 신호(d2)와 동일하지만, 통신 형식이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이 가능하게 되도록 변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 신호(d1)와 무선 신호(d2)가,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통신 형식 변환부(21)에 있어서, 무선 신호(d2)의 통신 형식을,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하게 되도록 변환하여, 식별 가능한 무선 신호(d2a)로 무선국(3r)과 통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무선 신호(d2)와 무선 신호(d1)가 식별 가능하게 되기 위해, 제1 무선국과 제2 무선국의 송신 프레임(또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슬롯)이 동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신호(d2)와 무선 신호(d1)를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를 다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무선 신호(d1, d2a)를 서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로 간섭하지 않으므로, 무선국(3r)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 및 시스템 전체의 무선 전송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은, 기지국(제1 기지국)(10-1), 기지국(제2 기지국)(10-2), 중계국(이하, 릴레이국이라고 함)(20), 이동국(30)을 구비한다.
기지국(10-1)은, 무선 신호(제1 무선 신호)(d1)의 통신을 행한다. 기지국(10-2)은,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무선 신호(제2 무선 신호)(d2)를 송신한다. 릴레이국(20)은, 통신 형식 변환부(21)를 포함하고,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d2)의 중계 처리를 행한다.
통신 형식 변환부(21)에서는, 무선 신호(d2)의 통신 형식을,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통신 형식을 갖는 무선 신호(d2a)를 생성하여, 무선 신호(d2a)로 이동국(30)과 통신한다.
여기서, 릴레이국(20)이, 무선 신호(d2)를 기지국(10-2)으로부터 수신하였을 때와 동일한 통신 형식으로, 이동국(30)에 중계하게 되면, 무선 신호(d1)와 무선 신호(d2)는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 무선 통신 시스템(1A)에서는, 릴레이국(20)에 있어서, 무선 신호(d2)의 통신 형식을,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하게 되도록 변환한 무선 신호(d2a)를 생성하여, 중계 통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무선 신호(d1, d2a)는 서로 식별 가능하게 되어 간섭하지 않으므로, 이동국(30)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 및 시스템 전체의 무선 전송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1)은, 무선 신호(d1)를 통상 통신 신호(d1)로 하고, 무선 신호(d2)를 통지 신호(d2)로 한 경우이며, 시스템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다.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통지 신호(d2)를 수신하면, 통지 신호(d2)의 통신 형식인 통지 형식을, 통상 통신 신호(d1)의 통신 형식인 통상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통상 통신 형식으로 통지 신호(d2)의 중계 송신을 행한다.
통상 통신 형식으로 변환된 통지 신호(d2a)를 이동국(30)에 송신함으로써, 이동국(30)이 통상 통신 신호(d1) 및 통지 신호(d2a)를 모두 수신 가능한 환경에 있어도, 통상 통신 신호(d1)와 통지 신호(d2a)는 동일한 통신 형식(통상 통신 형식)이므로(즉, 동일한 통신 형식의 무선 신호는 식별이 가능한 것이 보장되므로),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이동국(30)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 및 시스템 전체의 무선 전송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1)의 하나의 적용예로서, MBMS에 적용한 경우의 시스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무선 통신 시스템(1-1)이 적용되는 MBSFN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MBSFN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BSFN 네트워크(40)는,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인 MBMS 제어 장치 또는 MBMS 제어부(이후 MBMS 제어 장치라고 총칭함)(41), MBMS GW(Gate Way)(42),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43a, 43b), 이동국(30-1∼30-4)을 갖고 있다.
MBMS의 무선 신호는, MBMS 데이터와, MBMS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하, MBMS 제어 신호라고 부름)로 구성되고, MBMS 제어 장치(41)는, MBMS 송신을 제어하여, MBMS 제어 신호를 MBMS GW(42), 기지국(43a, 43b)에 송신하고, MBMS GW(42)는, MBMS 데이터를 기지국(43a, 43b)에 송신한다. MBMS GW(42)는, MBMS 데이터를 기억하여 관리하는 장치이며, MBMS 데이터 기억 장치라고 불러도 된다.
도 5는 MBSFN 네트워크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BMS 제어 장치(41)에 있어서, 스케줄링에 의해 송신하는 MBMS 데이터 및 그 송신 방법(변조 방식, 부호화 방법, 송신 타이밍, 사용 무선 주파수 등)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결정한 변조 방식, 부호화 방식 등의 정보와 그것들을 기초로 작성한 제어 신호를 MBMS GW(42)에 통지한다.
또한 MBMS GW(42)에 대하여, MBMS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요구한다. 통지를 받은 MBMS GW(42)는, 제어 신호(MCCH:Multicast Control Channel)와 MBMS 데이터(MTCH:MBMS Traffic Channel)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또한, MBSFN 송신을 위한 송신 타이밍이나 사용 무선 주파수 등의 제어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한다.
이들의 제어 정보와 MBMS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통지를 받은 기지국은, 제어 정보에 따라서 MBSFN 송신을 실시한다. MBSFN 송신을 수신한 DF(Decode and Forward: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 오류 정정 복호, 재부호ㆍ변조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하여 중계하는 방식)의 릴레이국은, 복조ㆍ복호하고, 오류 정정을 실시하고, 다시 부호화ㆍ변조하여 이동국에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MBMS 데이터는, 논리 채널인 MTCH를 구성하고, 트랜스포트 채널인 MCH(Multicast CHannel)로 맵핑되어, 무선 채널인 PMCH로 무선 송신된다. 또한, MBMS 데이터의 송신시에서는, MBSFN 에어리어마다의 ID(식별자)를 기초로 스크램블링을 실시하고 있다(TS36.211 참조).
또한, MBMS의 제어 신호는, 논리 채널인 MCCH를 구성하고, 트랜스포트 채널인 MCH로 맵핑되어, 무선 채널인 PMCH로 무선 송신된다.
MBMS 제어 장치(41)는, 리소스 할당,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BMS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 등의 스케줄링을 행하고, 스케줄링 결과를, MBMS 제어 신호에 중첩하여 송신한다. 기지국(43a, 43b)에서는, 이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송신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의 MCS란(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 변조ㆍ부호화 방식을 말하며, 무선 회선 품질에 의해서 적응적으로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율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며, 변조 방식, 부호화율 및 전송 속도 등의 속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MCS1이면 변조 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부호화율은 1/8, 전송 속도는 1.891Mb/s이며, MCS5이면 변조 방식은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부호화율은 1/2, 전송 속도는 15.221Mb/s라는 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통상은, 이동국의 수신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MCS가 선택된다.
MBMS 제어 장치(41)에서는, 이와 같은 복수의 MCS 중으로부터, 1개의 MCS를 선택하게 된다. MCS의 선택 방법의 하나의 예로서는, 가장 전파 특성(전파 환경)이 나쁜 셀을 기준으로 하여 MCS를 선택하고, MBSFN 에어리어 내는, 모두 동일하게 선택된 MCS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전파 특성이 가장 나쁜 셀에 대하여, MCS1로 통신을 행하는 것을 결정하면, MBSFN 에어리어 내의 다른 모든 셀에 대해서도 MCS1을 적용하는 것이다(전파 특성이 양호한 셀에 대해서도 MCS1이 적용됨). 또한, 전파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MCS를 설정한다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MBSFN 네트워크 상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통상 통신 신호의 일례로서 유니캐스트 데이터, 통상 통신 형식의 일례로서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통지 신호의 일례로서 MBMS 데이터, 통지 형식의 일례로서 MBSFN으로서 설명한다.
도 6은 MBSFN 네트워크 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은, MBMS 제어 장치(41), MBMS GW(42), 기지국(43a∼43c), 릴레이국(20), 이동국(30-1∼30-4)을 갖고 있다. 릴레이국(20)은, 통신 형식 변환부(21)를 포함한다.
기지국(43a)은, 이동국(30-1) 및 릴레이국(20)에 대하여, MBSFN에 의해서 MBMS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43b)은, 이동국(30-3)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43c)은, 이동국(30-4)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릴레이국(20)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MBSFN의 MBMS 데이터를 수신하면, MBSFN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국(30-2)이, 릴레이국(20)으로부터의 중계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기지국(43b)으로부터 송신된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수신도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령 릴레이국(20)이 MBMS 데이터를 MBSFN의 통신 형식인 상태로 이동국(30-2)에 중계 송신하면, 이동국(30-2)에서는, MBSFN의 통신 형식을 갖는 MBMS 데이터와,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갖는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쌍방의 데이터 신호를 받게 된다.
MBSFN의 통신 형식은, MBMS 데이터를 PMCH의 무선 채널로 송신하고,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서는,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PDSCH의 무선 채널로 송신한다. 그러나, PMCH에 대하여 실시된 스크램블링의 코드와, PDSCH에 대하여 실시된 스크램블링의 코드는 식별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식별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고, 이동국(30-2)에서는, MBMS 데이터와 유니캐스트 데이터가 간섭하게 된다.
이에 대해, 릴레이국(20) 내에 통신 형식 변환부(21)가 있는 경우,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MBSFN의 통신 형식의 MBMS 데이터를 수신하면, MBMS 데이터의 통신 형식을 MBSFN으로부터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가진 MBMS 데이터를 중계 송신한다.
즉, MBSFN의 송신 포맷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의 송신 포맷으로 변환하므로(포맷 변환으로서는, Extended CP를 사용한 송신 포맷으로부터 Normal CP를 사용한 송신 포맷으로 변환함), MBMS 데이터를 PMCH가 아니라, PDSCH의 무선 채널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릴레이국(20)으로부터 송신된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의 MBMS 데이터와, 기지국(43b)으로부터 송신되는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의 유니캐스트 데이터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즉, MBMS 데이터와 유니캐스트 데이터는, 동일한 PDSCH의 무선 채널로 송신되고 있으므로, MBMS 데이터와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식별은 보장되고 있기 때문에, 간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동국(30-2)에서는, 릴레이국(20)으로부터 송신된, 원래 수신하고자 하는 MBMS 데이터를 감도 좋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MBSFN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중계 송신하였지만, MBSFN을 Single Cell MBMS의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중계 송신해도, 간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Single Cell MBMS에 대해서 설명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MBSFN 송신 외에, 특정한 셀만 MBMS 데이터를 송신하는 Single Cell MBMS 송신(TS36.300에서는 Single Cell 송신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유니캐스트 송신과의 차별화를 위해 Single Cell MBMS 송신이라고 함)도 검토되고 있다.
이것은, MBSFN 송신과 같이 복수의 셀의 집합인 에어리어 전체에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1개의 셀에만 송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 기지국간에서의 동일 데이터를 동일 주파수에 동기하여 송신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그 스케줄링은 기지국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한, 1개의 셀로 송신하기 때문에, MBSFN의 전파 거리와 비교하여, 전파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CP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유니캐스트 통신에서 이용하고 있는 통상적인 CP(Normal CP)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CP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니캐스트 송신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니캐스트 통신의 무선 채널인 PDSCH를 이용하여 송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 형식 변환부(21)에서는, MBSFN의 MBMS 데이터를 수신하면, MBSFN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으로 변환해도 되고,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의 중계 송신, 또는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의 중계 송신을 행함으로써, 이동국에 있어서의 간섭의 발생이 억제된다.
여기서, 포맷 변환(용장부(CP)의 치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CP의 치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형식 변환부(21)가, MBSFN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는 경우, 데이터 포맷으로서, Extended CP를 Normal CP로 치환하여 변환하게 된다.
수신 데이터에 짧은 Normal CP를 부가함으로써, 빈 만큼의 필드에 송신 가능한 정보량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Normal CP의 길이<Extended CP의 길이), 또는 부호화율을 저하하여 패리티 비트를 늘려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송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부호화율을 바꾸지 않고, 미사용 비트에 대하여 “0” 또는 “1”의 패딩을 삽입해도 됨).
다음으로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MBSFN으로 변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0)은, 시스템 구성은 도 6과 동일하지만, 통신 형식의 변환으로서,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MBSFN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43a)은, 이동국(30-1) 및 릴레이국(20)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43b)은, 이동국(30-3)에 대하여, MBSFN 통신 형식에 의해서 MBMS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43c)은, 이동국(30-4)에 대하여, MBSFN 통신 형식에 의해서 MBMS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릴레이국(20)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의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면,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MBSFN으로 변환하여, MBSFN에 의해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한다(포맷 변환으로서는, Normal CP를 사용한 송신 포맷으로부터 Extended CP를 사용한 송신 포맷으로 변환함).
이에 의해, 릴레이국(20)으로부터 송신된 MBSFN의 통신 형식에 의한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기지국(43b)으로부터 송신되는 MBSFN의 MBMS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도 6에서 설명한 통신 형식의 변환과 반대의 변환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릴레이국(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릴레이국(20)의 중계 방식으로서, 크게 나눠서 AF(Amplify and Forward) 방식과 DF 방식이 있다. AF는, 기지국 또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릴레이국에서 수신하였을 때에, 수신한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국 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한편, DF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또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릴레이국에서 수신하면, 복조ㆍ복호화를 행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고, 다시 부호화ㆍ변조하여, 이동국 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DF 기능을 갖는 릴레이국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도 10은 릴레이국(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릴레이국(20)은, 안테나(a1), 수신부(22a-1), 복조ㆍ복호부(22a-2), 무선 회선 품질 정보 수집부(23a), 스케줄러(24a), 회선 설정부(25a),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추출부(26a-1),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작성부(26a-2), 상향 송신 제어 신호 작성부(26a-3), 회선 품질 측정부(27a-1), 회선 품질 정보 작성부(27a-2), 부호ㆍ변조부(28a-1), 송신부(28a-2)를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a2), 수신부(22b-1), 복조ㆍ복호부(22b-2), 하향 송신 제어 신호 추출부(23b-1), MBMS 제어 신호 추출부(23b-2), 하향 제어 신호 작성부(23b-3), MBSFN 송신 제어부(23b-4), 송신 데이터 버퍼(24b), 통신 형식 변환부(21), 부호ㆍ변조부(25b-1), 송신부(25b-2)를 포함한다.
수신부(22a-1) 및 복조ㆍ복호부(22a-2)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향 무선 신호를, 안테나(a1)를 통하여 수신하여 다운 컨버트하고, 다운 컨버트 후의 상향 신호의 복조ㆍ복호를 행한다.
무선 회선 품질 정보 수집부(23a)는, 복조ㆍ복호된 후의 상향 신호로부터 무선 회선 품질 정보(릴레이국과 이동국간의 무선 회선 품질 지표)를 수집하고, 스케줄러(24a)에 송신한다.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추출부(26a-1)는, 복조ㆍ복호된 후의 상향 신호로부터 상향 접속 요구 신호를 추출하고, 회선 설정부(25a)에 송신한다. 회선 설정부(25a)는, 상향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작성 지시를 송신한다.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작성부(26a-2)는,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작성 지시를 수신하면, 상향 접속 요구 신호를 작성한다. 상향 송신 제어 신호 작성부(26a-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 송신 제어 신호를 작성한다.
회선 품질 측정부(27a-1)는, 기지국과 릴레이국(20)과의 사이의 회선 품질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회선 품질 정보 작성부(27a-2)에 송신한다. 회선 품질 정보 작성부(27a-2)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회선 품질 정보를 작성한다.
부호ㆍ변조부(28a-1), 송신부(28a-2)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 접속 요구 신호, 상향 송신 제어 신호 및 회선 품질 정보의 부호ㆍ변조를 행하고, 이들의 신호를 중첩하여 업 컨버트하고, 안테나(a2)를 통하여 기지국에 송신한다.
한편, 수신부(22b-1) 및 복조ㆍ복호부(22b-2)는, 하향 송신 제어 신호의 부호화ㆍ변조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무선 신호를, 안테나(a2)를 통하여 수신하여 다운 컨버트하고, 다운 컨버트 후의 하향 신호의 복조ㆍ복호를 행한다. 하향 송신 제어 신호 추출부(23b-1)는, 하향 신호로부터 하향 송신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수신부(22b-1) 및 복조ㆍ복호부(22b-2)에 송신한다.
MBMS 제어 신호 추출부(23b-2)는, 하향 신호로부터 MBMS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MBSFN 송신 제어부(23b-4)에 송신한다. MBSFN 송신 제어부(23b-4)는, 스케줄러(24a)에 MBSFN 제어의 설정을 행한다.
송신 데이터 버퍼(24b)는, 하향 신호의 버퍼링을 행하고,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출력을 행한다.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버퍼링 후의 하향 신호의 통신 형식을 변환한다(예를 들면, MBSFN→유니캐스트). 하향 제어 신호 작성부(23b-3)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를 작성한다.
부호ㆍ변조부(25b-1), 송신부(25ba-2)는,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 및 통신 형식 변환 후의 하향 신호의 부호ㆍ변조를 행하고, 업 컨버트하여, 안테나(a1)를 통하여 이동국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이동국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동국(30)은, 안테나(a3), 수신부(31)를 갖는다. 여기서, 이동국(30)이, 무선 신호(제1 무선 신호)(d1)와,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무선 신호(제2 무선 신호)(d2)를 수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수신부(31)는, 무선 신호(d1)를 수신하는 경우는, 무선 신호(d1)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또는, 무선 신호(d2)의 통신 형식이, 국(局)측에서 무선 신호(d1)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통신 형식으로 변환되고, 변환 후의 통신 형식을 갖는 무선 신호(d2a)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로서, MBSFN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중계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릴레이국에 MBMS의 스케줄링 기능을 갖게 한 시스템 구성으로 한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1)은, MBMS 제어 장치(41), MBMS GW(42), 기지국(43a, 43b), 릴레이국(20a), 이동국(30-1∼30-3)을 갖고 있다. 릴레이국(20a)은, 통신 형식 변환부(21) 및 스케줄러(2a)를 포함한다.
또한, 릴레이국(20a)은, 유니캐스트 통신의 스케줄러를 원래 갖고 있지만, 스케줄러(2a)는, 유니캐스트 통신의 스케줄링 기능 외에, MBMS의 스케줄링 기능도 추가한 구성의 것이다.
기지국(43a)은, 이동국(30-1) 및 릴레이국(20a)에 대하여, MBSFN에 의해서 MBMS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43b)은, 이동국(30-3)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릴레이국(20a)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는, MBSFN의 MBMS 데이터를 수신하면, MBSFN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를 이동국(30-2)에 송신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국(30-2)은, 릴레이국(20a) 및 기지국(43a)을 통하여, MBMS 제어 장치(41)에 MBSFN을 중계하는 것을 요구한다. 요구를 받은 릴레이국(20a)은, 기지국(43a)을 통하여 MBMS 제어 장치(41)에 대하여, MBSFN의 중계를 요구함과 함께, MBMS 제어 장치(41)에서 관리하고 있는 MBMS 제어 정보를, 릴레이국(20a)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요구한다.
도 13은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의 중계 요구는, 적어도 DF 릴레이국에 통지되고, 또한 DF 릴레이국을 통하여 기지국에 통지되고, 또한 기지국을 통하여 MBMS 제어 장치에 통지되는 것으로 한다.
통지를 받은 MBMS 제어 장치는, MBSFN에서 수신한 MBMS 데이터를 DF 릴레이국에서 유니캐스트로 변환하여 이동국에 송신하기 위해, DF 릴레이국에 대하여 MBMS 제어 장치가 유지하고 있었던 MBSFN 송신 정보(예를 들면 송신하는 MBMS 데이터의 종류나 어디까지 송신하였는지 등의 정보)를 릴레이국에 통지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MBMS 제어 장치의 스케줄링보다 시간적으로 전에 통지하고 있지만, 스케줄링의 시간적으로 후에 통지해도 된다.
또한, 이동국으로부터 릴레이국에 통지되는 무선 회선 품질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릴레이국에의 MBSFN 송신보다 시간적으로 후이어도 된다. 또한, 릴레이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되는 중계 개시 타이밍 통지는, 유니캐스트 통신보다도 사전이면 된다. 이하, MBSFN 송신에 의해서 MBMS 데이터가 DF 릴레이국에 전송된다.
MBMS 데이터를 수신한 DF 릴레이국은, MBMS 제어 장치로부터 통지된 MBMS 제어 정보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MBMS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한쪽의 정보를 이용하고, 또한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무선 회선 품질 정보를 기초로, 이동국용의 MBMS 제어 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유니캐스트 통신용의 제어 정보로서 이동국에 통지하고, 계속해서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MBMS 제어 정보의 요구를 받은 MBMS 제어 장치는, 이동국이 수신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는 MBMS 제어 정보를, 기지국 경유로 릴레이국에 통지한다. 서비스에 관한 MBMS 제어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어떤 서비스 데이터 중, 어디까지 해당 이동국이 수신하였는지 등의 제어 정보가 있다. 이것은, 서비스의 계속성을 유지하는 점에서도 중요한 제어 정보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MBMS 제어 정보를 기초로 하여, 릴레이국은, MBMS 제어 신호를 작성하고, 논리 채널인 MCCH를 작성한다. 이 MCCH를 트랜스포트 채널인 MCH로 맵핑하고, 무선 채널인 PMCH로 무선 송신한다.
또한, MBMS 제어 장치로부터 MBMS 제어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던 경우나, 릴레이국에 있어서 MBMS 제어 신호의 작성(MCCH의 작성 등)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국에 대하여, MBSFN의 중계가 불가능한 것을 통지하고, MBSFN의 중계를 실시하지 않는다.
또한, MBSFN의 중계를 요구하는 이동국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큰 경우는, MBSFN 중계를 실시하지 않고, 해당 이동국에 대하여 중계를 실시하지 않는 것을 통지한다.
중계할 수 없는 것을 통지받은 이동국은, 다른 릴레이국이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릴레이국이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가장 높은 수신 전력의 릴레이국 또는 기지국을 핸드오버처로서 선택하고, 핸드오버를 실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국(30-2)으로부터 송신된, 릴레이국(20a)과 이동국(30-2)간의 하향 무선 회선 품질(또는 무선 회선 품질 지표)을 기초로 하여, 릴레이국(20a) 내의 스케줄러(2a)는, 릴레이국(20a)과 이동국(30-2)간에서 전송되는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리고, MBMS 데이터 및 MBMS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나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스케줄링시에,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중계하는 MBMS 데이터를 구별하지 않고 공평하게 스케줄링해도 되고, 어느 한쪽을 우선하여 스케줄링해도 된다. 또한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통신과 MBMS 데이터의 통신과의 스케줄링을 따로따로 실시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릴레이국(20a)이 MBMS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스케줄링을 행하고, 스케줄링의 결과, MBSFN이 중계 가능하게 된 경우, MBSFN의 중계를 요구한 이동국(30-2)에 대하여, 중계 가능을 통지한다.
즉, 이동국(30-2)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을, 제어 정보로서 통지하게 된다. 통지를 받은 이동국(30-2)은, 하향 물리 제어 채널(DPCCH)를 수신함으로써, 하향 유니캐스트 데이터 통신의 제어 정보(예를 들면 MCS 등)를 추출하고, MBMS 제어 정보에 따라서 MBMS 데이터를 포함한 하향 무선 채널 PDSCH를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채널 PDSCH를 수신하고, MBMS 데이터를 오류 없이 수신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릴레이국(20a)에 대하여 ACK를 반송하고, 오류를 포함하여 수신한 경우는 NACK를 반송한다(또한, MBMS 데이터를 중계하는 경우는, ACK/NACK를 반송하지 않는 방법도 가능함).
다음으로 MBMS 데이터를 중계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43a)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를 릴레이국(20a)이 수신한 경우, Extended CP의 슬롯 포맷으로 복호한 수신 데이터를, Normal CP를 사용한 슬롯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부호화ㆍ변조를 실시하여, 이동국(30-2)에 송신한다.
이동국(30-2)은, 릴레이국(20a)으로부터 DPCCH를 이용하여 송신된 송신 제어 신호를 기초로, 복조 방식 및 복호 방법을 설정하고,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PDSCH를 수신함으로써, MBMS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이동국(30-2)이 릴레이국(20a)을 통하여 MBSFN의 중계를 요구하였지만, 핸드오버에 수반하여 기지국 또는 그 상위의 무선 회선 제어국이, 릴레이국(20a)에 대하여, MBSFN의 중계를 요구해도 된다.
또한, MCCH의 작성을 릴레이국(20a)에서 실시하였지만, MBMS 제어 정보의 관리를 릴레이국(20a)에서 실시하고, MBMS 데이터의 송신시에, MBMS 제어 정보를 MBMS 제어 장치(41)에 통지하고, MBMS 제어 장치(41)에서 MCCH를 작성해도 된다.
이상에 의해, 릴레이국(20a)이 수신한 MBMS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이동국(30-2)에 중계함으로써,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MBMS 데이터의 중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형식의 변환시, Extended CP를 Normal CP로 바꾼 포맷으로 하므로, 부호화율을 저하하여 패리티 비트를 늘려서 송신할 수 있어, 전송 특성이나 전송 속도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릴레이국(20a)과 이동국(30-2)간의 하향 무선 회선 품질을 기초로, 릴레이국(20a)과 이동국(30-2)간에서 전송되는 유니캐스트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스케줄링을 행함으로써, 최적의 송신 방법이 선택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전송 특성이나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로서, MBSFN을 Single Cell MBMS의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중계 송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2)은, 도 12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지만, 다른 점은, 통신 형식 변환부(21)에 있어서, MBSFN을 Single Cell MBMS의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동국(30-2)이 MBSFN의 중계를 요구하고, 기지국(43a)은, 마찬가지로 MBMS 제어 장치(41)에 대하여 MBMS 제어 정보를 릴레이국(20a)에 통지하도록 요구한다.
MBMS 제어 정보의 전송을 요구받은 MBMS 제어 장치(41)는, 요구에 따라 MBMS 제어 정보를 릴레이국(20a)에 통지한다. 통지된 MBMS 제어 정보를 기초로, 릴레이국(20a)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작성하고, 논리 채널인 MCCH를 작성한다. 이 MCCH를 트랜스포트 채널인 DL-SCH(Downlink Shared Channel)로 맵핑하고, 무선 채널인 PMCH를 이용하여 Single Cell MBMS 송신을 실시한다.
Single Cell MBMS 송신에서는, 유니캐스트 데이터 송신과 마찬가지로 short CP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릴레이국(20a)에 있어서, Extended CP를 이용하여 기지국(43a)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조ㆍ복호 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Normal CP를 이용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부호화ㆍ변조를 실시하여 이동국(30-2)에 대하여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기지국에 있어서, MBMS의 스케줄링 기능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또한, 복수의 릴레이국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도 15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3)은, MBMS 제어 장치(41), MBMS GW(42), 기지국(43a-1, 43b), 릴레이국(RN), 이동국(30-1∼30-3)을 갖고 있다. 기지국(43a-1)은, MBMS의 스케줄러(4)를 포함한다.
또한, 릴레이국에는, AF 릴레이국 RNAF와 DF 릴레이국 RNDF가 혼재되는 경우도 생각된다. 여기서는, AF 릴레이국 RNAF와 DF 릴레이국 RNDF가 혼재 또는 1개의 DF 릴레이국이, 기지국(43a-1)의 셀 내에 있고(도 15에서는 AF 릴레이국 RNAF와 DF 릴레이국 RNDF가 혼재되어 있는 릴레이국군을 나타내고, 이것을 릴레이국 RN으로 하고 있음), 기지국(43a-1)에 있어서, 모든 릴레이국과 이동국(30-2)간의 스케줄링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또한, AF 릴레이국에서는, 복조ㆍ복호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형식 변환은 행하지 않음).
도 16은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Centralized scheduling을 실시한 경우의 처리 시퀀스예이다. 도 13과의 차분은 세가지 점이 있다. 첫째는, DF 릴레이국과 이동국간의 무선 회선 품질 정보를, DF 릴레이국을 통하여 기지국에 통지하고 있는 점이다. 둘째는, 무선 회선 품질 등이나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고 있는 이동국이 측정한 기지국-이동국간의 무선 회선 품질 정보를 기초로, DF 릴레이국 관리 하의 이동국 및 기지국에 직접 통신하고 있는 이동국을 포함하여 일괄하여 스케줄링하는 점이다. 셋째는, 스케줄링의 결과를 결정한 MBSFN 중계 방법에 관한 제어 정보나 MBMS 데이터를, DF 릴레이국을 통하여 이동국에 통신하고 있는 점이다.
릴레이국 RN과 이동국(30-2)간의 스케줄링 방법으로서는, 기지국(43a-1)의 셀 내에 있어서의 릴레이국 RN의 스케줄링을 통합하여, 기지국(43a-1)에서 실시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43a-1)의 셀 내에 있고, 중계를 실시하는 1개 또는 복수의 릴레이국 RN의 송수신 스케줄을 기지국(43a-1)에서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중심의 기지국에서 스케줄링한다고 하는 의미로, Centralized scheduling이라고 부르고 있다.
여기서, 유니캐스트 데이터 통신이나 Single Cell MBMS 송신에 있어서, 이동국(30-2)으로부터 릴레이국 RN에 송신된 릴레이국 RN과 이동국(30-2)간의 무선 회선 품질 정보를 릴레이국 RN으로부터 기지국(43a-1)에 송신한다.
기지국(43a-1)은, DF 릴레이국 RNDF나 직접 통신하고 있는 이동국(30-1)으로부터의 무선 회선 품질 정보를 스케줄러(4)에 집약하고, 스케줄링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43a-1)으로부터 DF 릴레이국 RNDF에 무선 채널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DF 릴레이국 RNDF는, MBMS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작성하고, 논리 채널인 MCCH를 작성한다. 이 MCCH를 트랜스포트 채널인 MCH로 맵핑하고, 무선 채널인 PMCH 또는 무선 채널인 PMCH로 무선 송신한다. DF 릴레이국 RNDF에서는, MBMS 데이터를 수신하면,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Single Cell MBMS로 변환하여, 이동국(30-2)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에서는, 기지국과 릴레이국간의 전송은 MBSFN 통신으로 하였지만,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과 릴레이국간의 전송은 유니캐스트 통신을 실시하고, 릴레이국과 이동국간의 전송에 MBSFN 통신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17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a-4)은, MBMS 제어 장치(41), MBMS GW(42), 기지국(43a-2, 43b, 43c), 릴레이국(20b), 이동국(30-1∼30-3)을 갖고 있다.
기지국(43c)은, 이동국(30-1)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기지국(43b)은, 이동국(30-2, 30-3)에 대하여, MBSFN의 통신 형식에 의해서 MBMS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기지국(43a-2)은, 통신 형식 변환부(21-1)를 포함하고, 릴레이국(20b)은, 통신 형식 변환부(21-2)를 포함한다. 기지국(43a-2)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1)는, MBSFN 통신 형식을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릴레이국(20b)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2)는,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MBSFN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여, MBSFN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30-2)으로부터 릴레이국(20b)에 대하여 MBSFN 중계의 요구가 통지된 경우, 릴레이국(20b)은, 그 취지를 기지국(43a-2) 및 MBMS 제어 장치(41)에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MBMS 제어 장치(41)는, 이동국(30-2) 및 중계하는 릴레이국(20b)에 대하여 송신되는 MBMS 데이터를, 통상적인 MBSFN 송신 타이밍보다도 전에(예를 들면 릴레이국(20b)의 중계의 처리 지연분 이상 전에), MBMS GW(42)로부터 기지국(43a-2)에 대하여 MBMS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MBMS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43a-2)은, 통신 형식 변환부(21-1)에 있어서, 통상적인 MBSFN 송신에 이용하는 Extended CP로부터 Normal CP를 이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통신 형식에 의해, 릴레이국(20b)에 대하여 MBMS 데이터를 송신한다.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MBMS 데이터를 수신한 릴레이국(20b)은, 통신 형식 변환부(21-2)에 있어서, Normal CP의 포맷을 Extended CP를 이용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이동국(30-2)에 대하여 MBSFN에 의한 MBMS 데이터의 송신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43b)과 이동국(30-2) 사이의 통신에 대하여 간섭이 생기지 않고, 기지국(43a-2)과 릴레이국(20b)간의 MBSFN 송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43a-2)은, MBMS 데이터를 통상적인 MBSFN 송신 타이밍보다도 지연하여 송신하므로, 이동국(30-2)은, 릴레이국(20b)을 통하여 수신한 MBMS 데이터와, 기지국(43b)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와의 수신 합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MBMS 데이터의 지연 통신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1〕기지국(43a-2)은, 통상적인 MBSFN 송신 타이밍보다도 전에, 예를 들면, 릴레이국(20b)의 중계의 처리 지연 시간분 이상 전에(예를 들면, 릴레이국(20b)이 DF 타입이면, 복조ㆍ복호/부호ㆍ변조의 일련의 처리 지연 시간분 전에), MBMS 데이터를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에 의해 릴레이국(20b)에 송신한다.
〔S2〕릴레이국(20b)은, MBMS 데이터의 복조ㆍ복호/부호ㆍ변조 처리를 행한다.
〔S3〕릴레이국(20b)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1-2)는,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을 MBSFN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Normal CP를 이용한 포맷을 Extended CP를 이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S4〕릴레이국(20b)은, MBSFN 통신 형식의 MBMS 데이터를 이동국(30-2)에 송신한다.
〔S5〕기지국(43b)은, MBSFN 통신 형식의 MBMS 데이터를 이동국(30-2)에 송신한다.
〔S6〕이동국(30-2)은, 릴레이국(20b)을 통하여 수신한 MBMS 데이터와, 기지국(43b)으로부터 송신된 MBMS 데이터와의 수신 합성을 행한다.
또한, 상기의 시퀀스에서는, 지연 송신을 나타낼 때에, 릴레이국(20b)에서, 유니캐스트 송신을 MBSFN 송신의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있지만, MBSFN 송신을 유니캐스트 송신으로 변환하는 경우라도, 기지국(43b)에서는 마찬가지로 하여 지연 송신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에서는, MBSFN에서는 Extended CP를 이용한 포맷으로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 이유는, 먼 기지국으로부터 MBSFN 송신을 수신하기 쉽게 하여, 수신 합성이 가능한 MBMS 데이터의 수를 늘리기 위함이다. 즉, 전파 지연이 큰 MBMS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Extended CP를 이용함으로써, 전파 지연이 커도 수신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면, 셀 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예에서는, Normal CP를 이용하는 셀보다, 보다 넓은 셀의 경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MBMS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Extended CP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셀 반경이 큰 셀에, 릴레이국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릴레이국의 셀 반경은, 그 용도로부터 셀 반경이 작으므로, 변형예에서의 릴레이국은, Normal CP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19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b)은, 기지국(43a), 릴레이국(20c) 및 이동국(30-1, 30-2)을 갖는다(MBMS 제어 장치(41), MBMS GW(42) 등의 도시는 생략함). 릴레이국(20c)은, 무선 송수신부(2c-1), 통신 형식 변환부(2c-2)를 포함한다.
셀(51)은, 기지국(43a)의 서비스 범위이며, 셀(52)은, 릴레이국(20c)의 중계 범위이다. 릴레이국(20c) 및 이동국(30-1)은, 셀(51) 내에 위치한다. 또한, 이동국(30-2)은, 셀(51) 밖에 있고, 또한 셀(52) 내에 위치하고 있다.
무선 송수신부(2c-1)는, 기지국(43a), 이동국(30-2)과의 무선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통신 형식 변환부(2c-2)는, 기지국(43a)과 통신을 행하는 경우는, 제1 용장부(예를 들면, Extended CP)가 부가된 제1 무선 포맷의 통신 형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이동국(30-2)과 통신을 행하는 경우는, 제1 용장부보다도 짧은 제2 용장부(예를 들면, Normal CP)가 부가된 제2 무선 포맷의 통신 형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하향 전송에 있어서, 기지국(43a)은, Extended CP를 이용한 포맷의 통신 형식에 의해 데이터(D1)를 송신한다. 릴레이국(20c)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c-2)는, 데이터(D1)를 수신하면, Normal CP를 이용한 포맷의 통신 형식으로 한 데이터 D2를 이동국(30-2)에 송신한다.
상향 전송에 있어서, 이동국(30-2)은, Normal CP를 이용한 포맷의 통신 형식에 의해 데이터 D2를 릴레이국(20c)에 송신한다. 릴레이국(20c) 내의 통신 형식 변환부(2c-2)는, 데이터 D2를 수신하면, Extended CP를 이용한 포맷의 통신 형식으로 한 데이터 D1을 생성하여, 기지국(43a)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셀(51)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30-1)은, Extended CP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복수의 데이터 수신 합성을 행하여, 수신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국(20c)에서는, 이동국(30-2)에 대하여, Normal CP 포맷에 의한 중계를 행하므로, 부호화율을 저하하여 패리티 비트를 늘려서 송신할 수 있어,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대해서는 간단히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 있어서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에 나타내고,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첨부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 : 무선 통신 시스템
1r, 2r, 3r : 무선국
21 : 통신 형식 변환부
d1, d2, d2a : 무선 신호

Claims (17)

  1. 제1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국과,
    제2 무선국과,
    상기 제1 무선국 및 상기 제2 무선국의 무선 통신 범위의 공통 부분에 위치하는 제3 무선국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무선국은,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의 변환을 행하는 통신 형식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실시하여 무선 포맷을 변환한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 상기 제3 무선국과 통신을 행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을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으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용장부를, 상기 제1 무선 신호에서 이용하는 용장부로 치환하여, 상기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제2 기지국과,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중계 처리를 행하는 중계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의 무선 통신 범위 및 상기 중계국의 중계 범위에 위치하는 이동국
    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의 변환을 행하는 통신 형식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실시하여 무선 포맷을 변환한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 상기 이동국과 중계 통신을 행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을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으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용장부를, 상기 제1 무선 신호에서 이용하는 용장부로 치환하여, 상기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통상 통신 신호이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통지 신호이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통지 신호의 무선 포맷인 통지 형식을, 상기 통상 통신 신호의 무선 포맷인 통상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상기 통상 통신 형식을 갖는 상기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통지 형식을 상기 통상 통신 형식으로 변환할 때에는, 상기 통지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제1 용장부를, 상기 통상 통신 신호에서 이용하는 제2 용장부로 치환하여, 상기 제2 용장부를 부가한 상기 통지 신호를,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통지 신호이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통상 통신 신호이며,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통상 통신 신호의 무선 포맷인 통상 통신 형식을, 상기 통지 신호의 무선 포맷인 통지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상기 통지 형식을 갖는 상기 통상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통상 통신 형식을 상기 통지 형식으로 변환할 때에는, 상기 통상 통신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제1 용장부를, 상기 통지 신호에서 이용하는 제2 용장부로 치환하여, 상기 제2 용장부를 부가한 상기 통상 통신 신호를,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유니캐스트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데이터이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MBMS 데이터의 통신 형식인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을,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통신 형식인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상기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을 갖는 상기 MBMS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MBSFN의 통신 형식을, 상기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으로 변환할 때에는, 상기 MBSFN의 송신 시에 정보 데이터에 부가되는 용장부인 Extended CP(Cyclic Prefix)를, 상기 Extended CP보다도 길이가 짧은 용장부인 Normal CP로 치환하여, 상기 Normal CP를 부가한 상기 MBMS 데이터를,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는 MBMS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무선 신호는 유니캐스트 데이터 또는 Single Cell MBMS 데이터이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의 통신 형식인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데이터의 통신 형식인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을, 상기 MBMS 데이터의 통신 형식인 MBSFN의 통신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상기 MBSFN의 통신 형식을 갖는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유니캐스트 통신 형식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통신 형식을 상기 MBSFN으로 변환할 때에는,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데이터의 송신시에, 정보 데이터에 부가되는 용장부인 Normal CP를, 상기 Normal CP보다도 긴 용장부인 Extended CP로 치환하여, 상기 Extended CP를 부가한 상기 유니캐스트 데이터 또는 상기 Single Cell MBMS 데이터를, 상기 제3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상기 중계국의 상기 중계 처리의 지연 시간분, 통상의 송신 타이밍보다도 지연하여 상기 중계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의 변환을 행하는 통신 형식 변환부
    를 구비하고,
    무선국이, 제2 무선 신호와,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수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실시하여 무선 포맷을 변환한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 상기 무선국과 통신을 행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을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으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용장부를, 상기 제1 무선 신호에서 이용하는 용장부로 치환하여, 상기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14.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수신부
    를 구비하고,
    제1 무선 신호와,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제2 무선 신호를 수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고,
    또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이, 국측에서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무선 포맷의 변환시에,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용장부가, 상기 제1 무선 신호에서 이용하는 용장부로 치환된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5. 제1 기지국은, 제1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불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실시한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중계국은,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중계 처리를 행하고,
    이동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무선 통신 범위 및 중계국의 중계 범위에 위치하고,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의 변환을 행하는 통신 형식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대하여 식별 가능한 스크램블링을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실시하여 무선 포맷을 변환한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 신호로 상기 제3 무선국과 통신을 행하고,
    상기 통신 형식 변환부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을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무선 포맷으로 변환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신호에 부가되어 있었던 용장부를, 상기 제1 무선 신호에서 이용하는 용장부로 치환하여, 상기 제3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17016624A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318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0775 WO2010084574A1 (ja) 2009-01-20 2009-01-20 無線通信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463A Division KR101337144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01462A Division KR101342302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21473A Division KR101326460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422A KR20110095422A (ko) 2011-08-24
KR101318077B1 true KR101318077B1 (ko) 2013-10-14

Family

ID=4235564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73A KR101326460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17016624A KR101318077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01463A KR101337144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01462A KR101342302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73A KR101326460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463A KR101337144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137001462A KR101342302B1 (ko) 2009-01-20 2009-01-20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9444542B2 (ko)
EP (1) EP2391154A4 (ko)
JP (1) JP5246272B2 (ko)
KR (4) KR101326460B1 (ko)
CN (1) CN102282877B (ko)
AU (1) AU2009338410B2 (ko)
BR (2) BRPI0924055A2 (ko)
CA (1) CA2749920C (ko)
MX (2) MX2011007655A (ko)
RU (3) RU2505942C2 (ko)
WO (1) WO2010084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8696B (zh) * 2009-05-15 2012-08-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组播单频网中的信道同步方法、系统及设备
US8855062B2 (en) * 2009-05-28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election of subframe formats in a wireless network
JP4660609B2 (ja) * 2009-06-22 2011-03-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リレーノード
US8958358B2 (en) * 2009-06-24 2015-02-17 Nokia Siemens Networks Oy Network element for changing the timeslot type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CN101998263B (zh) 2009-08-1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业务承载方法及装置、业务数据的接收方法及接收端
US8300588B2 (en) * 2009-10-05 2012-10-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measurement timing in a relay cell
EP2958399B1 (en) 2010-07-01 2019-10-09 Goji Limited Processing objects by radio frequency (rf) energy
US9992824B2 (en) 2010-10-29 2018-06-05 Goji Limited Time estimation for energy application in an RF energy transfer device
US9686654B2 (en) 2012-06-29 2017-06-20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or multicast service to obstructed user equipment
KR101974640B1 (ko) * 2012-10-22 2019-05-0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신호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US9485678B2 (en) 2013-03-11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Effective utilization of cyclic prefix in OFDM systems under benign channel conditions
KR20140117841A (ko) * 2013-03-27 2014-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통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0645675B2 (en) * 2015-01-26 2020-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BMS service for low complexit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586515B2 (ja) * 2016-04-26 2019-10-02 京セラ株式会社 リレーノード及び無線端末
CN110087212A (zh) * 2018-01-25 2019-08-02 矢崎总业株式会社 无线通信终端和通信控制方法
CN111182618B (zh) * 2018-11-09 2021-11-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发送端设备和接收端设备
RU202325U1 (ru) * 2020-07-14 2021-02-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ОмГТУ) Радиостанци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480A (ja) * 1995-10-16 1997-05-02 Victor Co Of Japan Ltd スペクトル拡散無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11A (ja) * 1991-08-08 1993-02-26 Yokogawa Electric Corp 構内ネツトワーク
US5640386A (en) 1995-06-06 1997-06-17 Globalstar L.P. Two-system protocol conversion transceiver repeater
JP2768354B2 (ja) 1996-07-15 199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方式及びこれに用いる送信装置及び中継装置
EP1804494A3 (en) 1998-09-17 2008-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TV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JP4452350B2 (ja) 1998-09-17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システム
JP3178673B2 (ja) 1998-10-15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トコル中継変換方法及び装置
JP2000124874A (ja) * 1998-10-21 2000-04-28 Nec Corp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中継伝送装置及びその中継伝送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173919B1 (en) 1999-06-11 2007-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eamble coding for initiation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essions
US6801512B1 (en) 2000-03-23 2004-10-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085307B2 (en) * 2002-03-29 2006-08-0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CDMA network
US7522689B2 (en) 2002-09-23 2009-04-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lock recovery in communication systems
JP4564012B2 (ja) * 2003-05-28 2010-10-2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中継を利用する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291362B (zh) * 2004-01-20 2014-04-30 高通股份有限公司 同步广播/多播通信
WO2005125254A1 (en) 2004-06-17 2005-12-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of determining neighbour cell selection
JP2006100890A (ja) 2004-09-28 2006-04-13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ならびに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装置
US20060251115A1 (en) 2004-12-03 2006-11-09 Haque Samudra E Broadband multi-service, switching,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rchitecture for low-cost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60176966A1 (en) * 2005-02-07 2006-08-10 Stewart Kenneth A Variable cyclic prefix in mixed-mod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6121381A1 (en) * 2005-05-06 2006-11-16 Ericsson Ab Method and arran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relaying
US20060291577A1 (en) * 2005-05-26 2006-12-28 Adrian Boariu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ilot tone posi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975698B1 (ko) 2005-06-13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통신을 위한 중계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7630714B2 (en) * 2005-11-08 2009-12-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s for data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74019B2 (en) * 2005-11-10 2014-07-08 Apple Inc. Zones for wireless networks with relays
DE602006011854D1 (de) * 2006-04-28 2010-03-11 Research In Motion Ltd Verfahren, Computerprogrammprodukt,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und ein System zur Reduzierung des Energieverbrauchs in mobilen Geräten mittels Rundsende- zu Einfachsendesignalumsetzung
CN101064914B (zh) * 2006-04-29 2010-11-10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在无线通信网络中用于进行联合中继的方法及装置
US8477673B2 (en) * 2006-06-09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Cell specific retransmission of single frequency network MBMS data
CN101047419B (zh) 2006-06-21 201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转发网络中转发数据的方法及装置
US7859988B2 (en) * 2006-06-22 2010-12-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for flexible cyclic prefix length for preamble symbols in an OFDM based communication system
WO2008011718A1 (en) * 2006-07-28 2008-01-31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network synchronization and monitoring
US20080084845A1 (en) * 2006-10-06 2008-04-10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ame structure having variable sized cyclic prefix
CN101247551B (zh) 2007-02-12 201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业务的方法及装置
CN101262635B (zh) * 2007-03-09 2010-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在多载波小区实现增强mbms业务的方法
EP2156574B1 (en) * 2007-06-21 2013-02-27 Nokia Corporatio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use of relays in wireless communication
TWI387236B (zh) 2007-08-31 2013-02-21 Univ Yuan Ze 一種採用循環位移正交鍵之多載波展頻映射裝置、發射機、接收機,及其通訊系統
US8064823B2 (en) 2007-11-30 2011-11-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transmit weights in relay networks
US8798526B2 (en) 2008-06-27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rocessing signals from a source station and relay stations
US20100085913A1 (en) * 2008-07-02 2010-04-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cquisi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the presence of femtocells
US8144712B2 (en) * 2008-08-07 2012-03-27 Motorola Mobility, Inc.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2617B2 (en) 2008-10-01 2014-09-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subframe resource allocation
US8040904B2 (en) * 2008-12-17 2011-10-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combining
US8335466B2 (en) * 2008-12-19 2012-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KR101245505B1 (ko) * 2008-12-26 2013-03-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6480A (ja) * 1995-10-16 1997-05-02 Victor Co Of Japan Ltd スペクトル拡散無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9920A1 (en) 2010-07-29
RU2011134385A (ru) 2013-02-27
JP5246272B2 (ja) 2013-07-24
AU2009338410B2 (en) 2014-12-11
EP2391154A4 (en) 2016-07-13
RU2576526C2 (ru) 2016-03-10
KR101326460B1 (ko) 2013-11-08
WO2010084574A1 (ja) 2010-07-29
RU2013144720A (ru) 2015-04-10
AU2009338410A1 (en) 2011-08-11
KR20130014072A (ko) 2013-02-06
US20150188721A1 (en) 2015-07-02
CN102282877A (zh) 2011-12-14
EP2391154A1 (en) 2011-11-30
BRPI0924055A2 (pt) 2016-01-26
CN102282877B (zh) 2015-01-07
BR122012001364A2 (pt) 2016-03-22
US9515719B2 (en) 2016-12-06
RU2551475C2 (ru) 2015-05-27
KR101342302B1 (ko) 2013-12-16
RU2013123718A (ru) 2014-11-27
MX2011007655A (es) 2011-08-24
KR101337144B1 (ko) 2013-12-05
US20150195031A1 (en) 2015-07-09
US9444542B2 (en) 2016-09-13
US9515720B2 (en) 2016-12-06
KR20130105739A (ko) 2013-09-25
KR20110095422A (ko) 2011-08-24
CA2749920C (en) 2018-05-22
US20150189623A1 (en) 2015-07-02
MX336207B (es) 2016-01-11
RU2505942C2 (ru) 2014-01-27
US9520937B2 (en) 2016-12-13
JPWO2010084574A1 (ja) 2012-07-12
KR20130014071A (ko) 2013-02-06
US20110261751A1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0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4243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EP2465317B1 (en) Frame structure and control signaling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
US921498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40016540A1 (en) Mbms transmission cooperative with relay
JP544763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装置
JP53821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装置
AU201520114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3596271A (zh) 无线通信系统及方法、中继站、移动台以及无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