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785B1 -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785B1
KR101317785B1 KR1020130085604A KR20130085604A KR101317785B1 KR 101317785 B1 KR101317785 B1 KR 101317785B1 KR 1020130085604 A KR1020130085604 A KR 1020130085604A KR 20130085604 A KR20130085604 A KR 20130085604A KR 101317785 B1 KR101317785 B1 KR 10131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velocity
velocity joint
inspection
unit
c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진
Original Assignee
김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진 filed Critical 김한진
Priority to KR102013008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 검사장치에 있어서, 전단의 가공공정을 거쳐 이송투입대(6)로 배출된 등속조인트(4)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20)와,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가 제1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등속조인트(4)에 묻은 물기를 에어블로어로 제거하는 건조부(8)와, 건조되어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10)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와, 제2 이송부(22)에 의해 이송되어 투입된 등속조인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기종검사부(12)와, 등속조인트(4) 상단의 스플라인의 깊이, 제품의 강도, 제품의 소재를 검사하는 열처리검사부(14)와, 회전축봉에 의해 회전하는 등속조인트를 센싱부에 의해 스플라인 축에 발생한 크랙을 검사하는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와, 센싱부에 의해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과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한 크랙을 검사하는 코너크랙검사부(18)와, 검사가 완료된 등속조인트(4)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배출하는 배출대(26)로 구성하여, 측정센서인 프로브로 구성한 센싱부(52a)(52b)를 이용하여 등속조인트(4)의 외관 크랙을 검사함으로써 정밀한 검사와 함께 서보모터(60a)(60b)를 이용한 정밀 이동제어로 센싱부(52a)(52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공 공정을 거친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 및 크랙 검사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VEHICLE CONSTANT VELOCITY JOINT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등속조인트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속조인트의 열처리 검사 및 크랙검사를 위한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조인트는 전륜 구동차의 앞차축으로 사용되는 조인트이며, 구동축과 일직선상이 아닌 피동축 사이에 회전각 속도의 변화없이 동력 전달이 균등하게 되도록 한 자재 이음으로써 꺽임각이 큰 자재 이음을 축의 양끝에 부착하여 회전각 속도의 변화를 상쇄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용 등속조인트로, 이러한 등속조인트를 가공한 후 측정용 센서인 프로브(probe)를 사용하여 크랙발생 유무 검사를 하게 된다.
종래에는 고가인 측정용 센서 프로브가 등속조인트의 외부를 타고 지나가며 크랙을 검사할 경우 제품에 부딪히거나 흔들림에 의해 프로브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막대한 금전적 손해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속조인트의 크랙을 검사하는 프로브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크랙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선행공정을 통해 가공처리된 등속조인트가 열처리 검사 및 크랙검사 공정을 통과하기 위한 이송방식과 검사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 검사장치에 있어서, 전단의 가공공정을 거쳐 이송투입대(6)로 배출된 등속조인트(4)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20)와,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가 제1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등속조인트(4)에 묻은 물기를 에어블로어로 제거하는 건조부(8)와, 건조되어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10)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와, 제2 이송부(22)에 의해 이송되어 투입된 등속조인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기종검사부(12)와, 등속조인트(4) 상단의 스플라인의 깊이, 제품의 강도, 제품의 소재를 검사하는 열처리검사부(14)와, 회전축봉에 의해 회전하는 등속조인트를 센싱부에 의해 스플라인 축에 발생한 크랙을 검사하는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와, 센싱부에 의해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과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한 크랙을 검사하는 코너크랙검사부(18)와, 검사가 완료된 등속조인트(4)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배출하는 배출대(2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 검사방법에 있어서, 가공공정을 거쳐 이송투입대(6)로 이송되어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제1 이송부(20)의 클램프(44)로 고정되게 잡아 클램프(44)가 설치된 이송판체의 좌우 작동으로 등속조인트(4)를 건조부(8)로 이송한 후 에어블로어로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과, 물기가 제거된 등속조인트(4)를 클램프(44)로 잡은 후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10)의 검사 대기위치(W)로 이송하는 과정과,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제2 이송부(22)의 클램프이송체(36)가 전후방 작동하여 클램프(44)로 고정되게 잡은 후 이송판체의 좌우작동으로 기종검사부(12)로 이송하여 이종제품의 혼입을 검사하는 과정과, 제2 이송부(22)에 의해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검사부(14)로 이송하여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깊이, 제품 경도, 제품 소재를 검사하는 과정과, 열처리검사부(14)를 통과한 등속조인트(4)를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위치부(48)로 이송하여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의 센싱부에 의해 스플라인 축의 크랙을 상하로 스캔하며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위치부(48)에 위치한 등속조인트(4)를 코너크랙검사부(18)에 의해 검사하되, 검사할 등속조인트(4)와 동일한 기종의 마스터샘플(78)을 구비하고 대칭작동대(64)에 의해 센싱부와 좌우 대칭으로 동작하는 마스터센싱부(76)가 마스터샘플(78)을 검사하는 상하 이동경로를 따라 센싱부가 이동하여 등속조인트(4)의 코너크랙을 검사하는 과정과, 열처리 및 크랙검사가 완료된 등속조인트(4)를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종료위치(E)로 이송하여 배출대(26)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측정센서인 프로브로 형성된 센싱부를 이용하여 등속조인트의 외관 크랙 검사시에 정밀한 검사와 함께 서보모터를 이용한 정밀 이동제어로 센싱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공 공정을 거친 등속조인트를 열처리 및 크랙 검사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등속조인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검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 검사공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인크랙검사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크랙검사부의 상세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상세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는 선 가공된 등속조인트의 열처리 검사 및 크랙검사를 통해 불량품을 선별하여 별도로 배출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등속조인트의 검사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4)는 열처리 및 크랙검사 공정에 앞서 선삭공정과 롤링공정을 통해 형상을 가공하고, 가공된 등속조인트(4)는 고주파열처리공정을 통해 가열한 후 순간 냉각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기계적 성질을 높이게 된다.
고주파열처리를 거진 등속조인트(4)는 이송투입대(6)를 통해 본 발명의 검사장치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 검사장치(2)는 전 공정인 고주파열처리공정에서 수냉식으로 순간 냉각시킴에 따라 등속조인트(4)에 물이 묻어 있음으로 인해 후단의 검사공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투입대(6)로 이송된 등속조인트(4)를 제1 이송부(20)에 의해 물기 제거를 위한 건조부(8)로 이송한다. 건조부(8)는 등속조인트(4)에 묻은 물기 제거를 위해 에어블로어를 통해 고압의 바람을 불어 물기를 제거하며, 이때 등속조인트(4)는 상방으로부터 하강한 회전축봉(50)과 맞물려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부(8)를 통해 물기가 제거된 등속조인트(4)는 제1 이송부(20)에 의해 건조부(8) 외부로 이송되며, 이송된 등속조인트(4)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기종검사부(12)로 이송된다.
기종검사부(12)는 투입된 등속조인트(4)가 현재 검사중인 기종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종의 등속조인트(4) 혼입될 경우에는 검사장치의 에러를 발생시켜 검사를 중단하여 검사장치의 파손을 방지한다.
기종이 확인된 등속조인트(4)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옆단으로 이송되어 열처리검사부(14)를 통한 열처리검사가 이루어진다. 열처리검사는 등속조인트(4) 상부에 형성된 스플라인의 깊이, 제품의 강도, 제품의 소재 등을 검사한다.
열처리검사부(14)를 거친 등속조인트(4)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옆단의 크랙검사부로 이송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의 크랙 검사를 위한 장치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는 등속조인트의 스플라인크랙검사부를, 도 5는 코너크랙검사부의 상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4)는 선삭공정과 롤링공정을 통해 선 가공된 자재의 표면을 고온으로 가열하거나 수냉식으로 신속 냉각시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고주파열처리공정을 거침에 따라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는 이러한 등속조인트(4)의 상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 축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사하는 것으로,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위치부(48)에 안착된 등속조인트(4)를 검사한다.
여기서는 등속조인트(4)의 크랙검사부 동작구성만을 설명하며, 제2 이송부(22)에 의한 등속조인트(4)의 이송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는 등속조인트(4)의 크랙을 검사하는 센싱부(52a)와, 센싱부(52a)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서보모터(60a)와, 센싱부(52a)를 전후방 작동시키는 전후방작동판(54a)으로 구성된다.
센싱부(52a)는 등속조인트(4)의 상단 스플라인 축에 발생하는 크랙을 직접 검사하는 것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스플라인 축을 스캔하면서 외관 크랙을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52a)로 고가인 측정용 센서 프로브(probe)를 사용하는 것임에 따라 센싱부(52a)의 크랙검사시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센싱부(52a)의 정밀한 움직임을 위해 서보모터(60a)에 의해 크랙검사 동작을 제어한다.
센싱부(52a)에 의한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 크랙검사 구성을 살펴보면, 검사위치부(48)에 안착된 등속조인트(4)에 센싱부(52a)가 근접할 수 있도록 하단의 전후작동판(54a)이 전후방이송레일(38a)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송된다. 전후방이송레일(38a) 상에서의 전후작동판(54a)의 이송은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 하방에 위치한 전후방실린더(28a)에 의해 작동한다.
전후방이송레일(38a) 상에서 전후작동판(54a)의 이동으로 센싱부(52a)가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에 근접하게 되면, 회전축봉(50)에 의해 회전하는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을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스캔하며 크랙검사를 한다.
이때, 센싱부(52a)와 고정된 상하작동판(56a)이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의 상방에 위치한 서보모터(60a)에 의해 승하강작동되도록 정밀제어된다.
센싱부(52a)와 연결 고정된 상하작동판(56a)의 일측에는 서보모터(60a)의 회전나사축(62a)과 맞물려서 승하강 작동하는 승강편(58)이 구비되며, 서보모터(60a)에 의한 회전나사축(62a)의 정역회전시에 승강편(58)이 상하방으로 승강작동함에 따라 상하작동판(56a)이 승강이송레일(42a)을 타고 상하작동한다.
상하작동판(56a)에 의한 센싱부(52a)의 상하작동은 서보모터(60a)에 의해 정밀제어되어 크랙검사시 센싱부(52a)가 등속조인트(4)에 부딪혀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가인 센서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너크랙검사부(18)의 검사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너크랙검사부(18)는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과 하부의 하우징 사이 코너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사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와 코너크랙검사부(18)는 동시에 작동한다.
코너크랙검사부(18)의 크랙검사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센싱부(52b)를 검사위치부(48)에 안착된 등속조인트(4)로 근접이동하기 위해 하단의 전후작동판(54b)이 전후방이송레일(38b)을 타고 전방작동한다.
전후작동판(54b)이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센싱부(52b)가 등속조인트(4)의 크랙검사를 위한 위치에 근접하게 되며, 근접한 센싱부(52b)는 승강이송레일(42b)을 타고 상하작동하는 승강판(74)에 의해 좀 더 세밀하게 밀착되어 크랙을 검사한다.
코너크랙검사부(18)의 상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크랙의 발생 유무를 검사할 등속조인트(4)와 동일한 기종의 마스터샘플(78)을 구비하고, 양단이 대칭으로 동작하는 대칭작동대(64)를 'V'자 형태로 형성한다.
대칭작동대(64)의 일단에는 센싱부(52b)가, 타단에는 마스터샘플(78)의 형상을 따라 센싱부(52b)의 크랙검사 동작을 유도하는 마스터센싱부(76)가 설치되며, 대칭작동대(64)는 지지축(68)에 의해 스윙 작동한다.
대칭작동대(64)의 양단 일측에는 스윙작동하는 대칭작동대(64)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는 연결대(66)가 승강판(74)에 고정된 고정축(70)을 기점으로 연결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축(70)과 지지축(68) 사이에는 양측 대칭작동대(64)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스프링(72)이 구비된다.
지지축(68)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형성된 대칭작동대(64)은 승강판(74)의 상하작동에 의해 각각 좌우로 스윙작동하며, 승강판(74)이 승강이송레일(42c) 상에서 하강하면 좌우로 밀려나 펴지게 되고 승강판(74)이 상승하면 내측으로 접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속조인트(4)의 크랙검사시 센싱부(52b)의 움직임을 정밀제어하지 못하면 센싱부(52b)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센싱부(52b)가 등속조인트(4)의 코너크랙을 검사하며 동작하는 동안 좌우로 펴진 대칭작동대(64)의 흔들림을 스프링(72)으로 지지하여 센싱부(52b)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상하로 이동하며 크랙을 검사함에 따라 서보모터(60b)의 회전나사축(62b)의 정역회전에 의한 정밀제어로 상하작동판(56b)을 승강작동시켜 센싱부(52b)가 상하로 이동하며 크랙을 검사한다.
더욱이, 크랙을 검사할 등속조인트(4)와 동일한 기종의 마스터샘플(78)을 이용하여 좌우 대칭작동하는 센싱부(52b)와 마스터센싱부(76)의 동작을 일치시켜 작동범위의 오차를 줄임으로써 센싱부(52b)의 파손을 방지한다.
등속조인트(4)의 코너 크랙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대칭작동대(64)의 하부에 설치된 푸시실린더(80)의 돌출편(82)이 상방으로 대칭작동대(64)를 밀어올려 접어올림으로써 다음 검사를 위한 대기상태가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와 코너크랙검사부(18)에 의해 크랙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배출대(26)로 등속조인트(4)를 배출하게 된다. 크랙이 발생한 불량품은 별도의 불량품배출대(24)로 분리배출되고, 양품은 배출대(26)를 통해 후단 공정인 템퍼링공정으로 이송되어 다시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식혀 등속조인트(4) 소재의 조직을 무르게 하여 내부 응력을 없앤다. 템퍼링공정을 거친 등속조인트(4)는 연삭공정을 통해 표면을 연마하여 공정을 마무리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등속조인트 검사를 위한 이송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송부는 전단의 가공 공정을 거친 등속조인트(4)를 검사장치로 이송하여 검사 완료 후 배출대(26)를 통해 후단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송부에 의한 등속조인트(4)를 각 검사부로 이송하는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송투입대(6)로 이송된 등속조인트(4)를 건조부(8)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20)와, 건조부(8)를 통과한 등속조인트(4)를 기종검사부(12), 열처리검사부(14), 스플라인 및 코너크랙검사부(16)(18)로 각각 이송하여 검사를 완료한 후 배출대(26)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로 구성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이송부(20)의 작동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이송부(20)는 클램프(44)를 전후방으로 작동시키는 전후방실린더(28c)를 이송판체(34a) 상에 각각 구비하고, 이송판체(34a)는 좌우실린더(30a)에 의해 좌우이송레일(40a) 상에서 좌우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4)는 전단의 가공 공정을 거친 후 이송투입대(6)를 통해 검사시작위치(S)로 이송된다.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건조부(8)로 이송하기 위해 제1 이송부(20)가 전방작동함에 따라 클램프(44)가 등속조인트(4)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핑거(46)를 통해 고정되게 잡은 후 후방작동하여 이송로를 타고 건조부(8) 내로 이송한다.
건조가 완료된 등속조인트(4)는 다시 제1 이송부(20)의 전후방작동하여 클램프(44)로 고정한 후 열처리 및 크랙검사 대기위치(W)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클램프(44)가 구비된 제1 이송부(20)를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예로서는 제1 이송부(20)를 2개의 클램프(44)로 구성하여 등속조인트(4)가 이송되는 3개 지점(검사시작위치(S), 건조부(8), 열처리 및 크랙검사 대기위치(W))으로 이송함으로써 간결한 구성으로 등속조인트(4)의 이송이 가능하다.
열처리 및 크랙검사 대기위치(W)로 이송된 등속조인트(4)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10)로 이송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 이송부(22)의 작동구성을 살펴보면, 이송판체(34b)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좌우실린더(30b)에 의해 좌우이송레일(40b) 상에서 이송판체(34b)가 좌우로 이동하며, 다수의 클램프(44)가 설치된 클램프이송체(36)는 전후방실린더(28d)에 의해 전후방이송레일(38c) 상에서 전후방으로 작동한다.
건조부(8)를 통과하여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는 좌우실린더(30b)에 의해 이송판체(34b)가 좌우이송레일(40b)을 따라 좌우 이동하여 설치된 클램프(44)에 의해 기종검사부(12), 열처리검사부(14), 스플라인 및 코너크랙검사부(16)(18), 배출대(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검사종료위치(E)까지 이송된다.
본 발명의 제1, 제2 이송부(20)(22)는 등속조인트(4)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각각 클램프(44)를 상하로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실린더(32a)(32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44)에 고정된 등속조인트(4)가 상방으로 들려져 이송됨으로써 다른 자재에 부딪혀 이송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센서인 프로브로 구성한 센싱부(52a)(52b)를 이용하여 등속조인트(4)의 외관 크랙을 검사함으로써 정밀한 검사와 함께 서보모터(60a)(60b)를 이용한 정밀 이동제어로 센싱부(52a)(52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공 공정을 거친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 및 크랙 검사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4)-- 등속조인트
(6)-- 이송투입대 (8)-- 건조부
(10)--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 (12)-- 기종검사부
(14)-- 열처리검사부 (16)-- 스플라인크랙검사부
(18)-- 코너크랙검사부 (20)-- 제1 이송부
(22)-- 제2 이송부 (24)-- 불량품배출대
(26)-- 배출대 (28a)(28b)(28c)(28d)-- 전후방실린더
(30a)(30b)-- 좌우실린더 (32a)(32b)-- 승강실린더
(34a)(34b)-- 이송판체 (36)-- 클램프이송체
(38a)(38b)(38c)-- 전후방이송레일 (40a)(40b)-- 좌우이송레일
(42a)(42b)(42c)-- 승강이송레일 (44)-- 클램프
(46)-- 핑거 (48)-- 검사위치부
(50)-- 회전축봉 (52a)(52b)-- 센싱부
(54a)(54b)-- 전후작동판 (56a)(56b)-- 상하작동판
(58)-- 승강편 (60a)(60b)-- 서보모터
(62)-- 회전나사축 (64)-- 대칭작동대
(66)-- 연결대 (68)-- 지지축
(70)-- 고정축 (72)-- 스프링
(74)-- 승강판 (76)-- 마스터센싱부
(78)-- 마스터샘플 (80)-- 푸시실린더
(82)-- 돌출편
(S)-- 검사시작위치 (W)-- 대기위치
(E)-- 검사종료위치

Claims (12)

  1. 등속조인트 검사장치에 있어서,
    전단의 가공공정을 거쳐 이송투입대(6)로 배출된 등속조인트(4)를 이송하는 제1 이송부(20)와,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가 제1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어 등속조인트(4)에 묻은 물기를 에어블로어로 제거하는 건조부(8)와, 건조되어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10)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와, 제2 이송부(22)에 의해 이송되어 투입된 등속조인트(4)의 종류를 확인하는 기종검사부(12)와, 등속조인트(4) 상단의 스플라인 깊이, 제품의 강도, 제품의 소재를 검사하는 열처리검사부(14)와, 회전축봉(50)에 의해 회전하는 등속조인트(4)를 센싱부(52a)에 의해 스플라인 축에 발생한 크랙을 검사하는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와, 센싱부(52b)에 의해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과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한 크랙을 검사하는 코너크랙검사부(18)와, 검사가 완료된 등속조인트(4)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구분배출하는 배출대(2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이송부(20)는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잡아주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44)와, 클램프(44)가 설치된 이송판체(34a)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실린더(28c)와, 등속조인트(4)를 잡고 있는 클램프(44)가 설치된 이송판체(34a)를 좌우이송레일(40a) 상에서 좌우 이동시켜 등속조인트(4)를 건조부(8)의 검사위치와 건조부(8)를 통과한 대기위치(W)로 각각 이송하는 좌우실린더(30a)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이송부(20)의 이송판체(34a)와 제2 이송부(22)의 클램프이송체(36) 하부에는 클램프(44)에 고정된 등속조인트(4)가 이동경로 하단에 부딪혀 이송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44)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2a)(32b)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이송부(22)는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잡아주는 다수의 클램프(44)가 설치된 클램프이송체(36)와, 클램프이송체(36)가 고정된 이송판체(34b)를 전후방이송레일(38c)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후방실린더(28d)와, 이송판체(34b)를 좌우이송레일(40b) 상에서 좌우로 이동시켜 클램프(44)가 기종검사부(12), 열처리검사부(14),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 코너크랙검사부(18)에 차례로 등속조인트(4)를 이송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위치부(48)로 이송된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의 크랙을 검사하는 센싱부(52a)와, 서보모터(60a)에 의해 회전나사축(62a)을 정역회전시켜 승강편(58)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승강편(58)과 고정설치되어 센싱부(52a)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작동판(56a)과, 센싱부(52a)를 전후방작동시키기 위해 전후방이송레일(38a) 상에서 전후방실린더(28a)에 의해 슬라이딩작동하는 전후작동판(54a)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코너크랙검사부(18)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위치부(48)로 이송된 등속조인트(4)의 코너 크랙을 검사하는 센싱부(52b)와, 검사위치부(48)에 위치하는 등속조인트(4)와 동일한 기종의 마스터샘플(78) 외형을 따라 이동하며 센싱부(52b)의 검사이동경로를 유도하는 마스터센싱부(76)와, 승강판(74)에 의해 상하작동하는 고정축(70)을 중심으로 연결대(66)에 의해 좌우가 연결되고 하부의 지지축(68)을 기준으로 센싱부(52b)와 마스터센싱부(76)가 대칭동작되게 하는 대칭작동대(64)와, 서보모터(60b)에 의해 회전나사축(62b)을 정역회전시켜 승강이송레일(42b) 상에서 승강작동하여 센싱부(52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작동판(56b)과, 센싱부(52b)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후방이송레일(38b) 상에서 전후방실린더(28b)에 의해 슬라이딩작동하는 전후작동판(54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7. 등속조인트 검사방법에 있어서,
    가공공정을 거쳐 이송투입대(6)로 이송되어 검사시작위치(S)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제1 이송부(20)의 클램프(44)로 고정되게 잡아 클램프(44)가 설치된 이송판체(34a)의 좌우 작동으로 등속조인트(4)를 건조부(8)로 이송한 후 에어블로어로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과,
    물기가 제거된 등속조인트(4)를 클램프(44)로 잡은 후 열처리 및 크랙검사부(10)의 검사 대기위치(W)로 이송하는 과정과,
    대기위치(W)에 놓인 등속조인트(4)를 제2 이송부(22)의 클램프이송체(36)가 전후방 작동하여 클램프(44)로 고정되게 잡은 후 이송판체(34b)의 좌우작동으로 기종검사부(12)로 이송하여 이종제품의 혼입을 검사하는 과정과,
    제2 이송부(22)에 의해 등속조인트(4)를 열처리검사부(14)로 이송하여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깊이, 제품 경도, 제품 소재를 검사하는 과정과,
    열처리검사부(14)를 통과한 등속조인트(4)를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위치부(48)로 이송하여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의 센싱부(52a)에 의해 스플라인 축의 크랙을 상하로 스캔하며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위치부(48)에 위치한 등속조인트(4)를 코너크랙검사부(18)에 의해 검사하되,
    검사할 등속조인트(4)와 동일한 기종의 마스터샘플(78)을 구비하고 대칭작동대(64)에 의해 센싱부(52b)와 좌우 대칭으로 동작하는 마스터센싱부(76)가 마스터샘플(78)을 검사하는 상하 이동경로를 따라 센싱부(52b)가 이동하여 등속조인트(4)의 코너크랙을 검사하는 과정과,
    열처리 및 크랙검사가 완료된 등속조인트(4)를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종료위치(E)로 이송하여 배출대(26)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스플라인크랙검사부(16)와 코너크랙검사부(18)는 제2 이송부(22)에 의해 검사위치부(48)로 이송된 등속조인트(4)를 동시에 검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1 이송부(20)와 제2 이송부(22)는 클램프(44)에 의한 등속조인트(4)의 이송시 승강실린더(32a)(32b)에 의해 상승하여 이동경로 하부와 등속조인트(4)가 이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열처리 및 크랙검사에 의해 불량품으로 검사된 등속조인트(4)는 불량품배출대(24)를 통해 분리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스플라인크랙검사부(18)는 검사위치부(48)에 위치한 등속조인트(4)의 스플라인 축에 센싱부(52a)가 근접하기 위해 전후방실린더(28a)에 의해 전후작동판(54a)이 전후방이송레일(38a) 상에서 전방으로 작동하고, 등속조인트(4)에 근접한 센싱부(52a)는 서보모터(60a)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나사축(62a)과 나사결합된 상하작동판(56a)의 승강작동으로 센싱부(52a)가 등속조인트(4)를 상하로 스캔하며 스플라인의 크랙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코너크랙검사부(18)는 검사위치부(48)에 위치한 등속조인트(4)로 센싱부(52b)가 근접하기 위해 전후방실린더(28b)에 의해 전후작동판(54b)이 전후방이송레일(38b) 상에서 전방으로 작동하고, 접혀져 있던 대칭작동대(64)가 하부의 푸시실린더(80)에 구비된 돌출편(82)이 삽입됨에 따라 좌우로 스윙작동으로 펼쳐지되, 대칭작동대(64)의 좌우 스윙작동시 센싱부(52b)가 등속조인트(4)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축(70)과 대칭작동대(64)를 연결하여 설치된 연결대(66)에 의해 대칭작동대(64)의 스윙작동 범위를 제한하며, 등속조인트(4)에 근접한 센싱부(52b)는 서보모터(60b)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나사축(62b)과 나사결합된 상하작동판(56b)의 승강작동으로 등속조인트(4)를 상하로 스캔하며 코너크랙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방법.
KR1020130085604A 2013-07-19 2013-07-19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31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604A KR101317785B1 (ko) 2013-07-19 2013-07-19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604A KR101317785B1 (ko) 2013-07-19 2013-07-19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785B1 true KR101317785B1 (ko) 2013-10-15

Family

ID=4963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604A KR101317785B1 (ko) 2013-07-19 2013-07-19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7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919B1 (ko) 2016-08-11 2016-10-13 김한수 트리포드 하우징 등급 자동 분류 장치
KR20170142650A (ko) * 2016-06-20 2017-12-28 김한수 트리포드 조인트 하우징 자동 등급 분류 장치
KR20200013878A (ko) * 2018-07-31 2020-02-10 진명산업주식회사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49A (ja) * 1998-01-21 1999-08-06 Hitachi Metals Ltd ガス引き込み用分岐配管構造
JP2000266070A (ja) 1999-03-18 2000-09-26 Honda Motor Co Ltd 等速ジョイントインナの判別機構
KR20110061732A (ko) * 2009-12-02 2011-06-10 대경테크 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의 더스트 커버 토탈 테스트 시스템
KR20130083751A (ko) * 2012-01-13 2013-07-23 현대위아 주식회사 등속조인트 회전내구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49A (ja) * 1998-01-21 1999-08-06 Hitachi Metals Ltd ガス引き込み用分岐配管構造
JP2000266070A (ja) 1999-03-18 2000-09-26 Honda Motor Co Ltd 等速ジョイントインナの判別機構
KR20110061732A (ko) * 2009-12-02 2011-06-10 대경테크 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의 더스트 커버 토탈 테스트 시스템
KR20130083751A (ko) * 2012-01-13 2013-07-23 현대위아 주식회사 등속조인트 회전내구시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650A (ko) * 2016-06-20 2017-12-28 김한수 트리포드 조인트 하우징 자동 등급 분류 장치
KR101665919B1 (ko) 2016-08-11 2016-10-13 김한수 트리포드 하우징 등급 자동 분류 장치
KR20200013878A (ko) * 2018-07-31 2020-02-10 진명산업주식회사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KR102099126B1 (ko) 2018-07-31 2020-04-09 진명산업주식회사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757B1 (ko) 샤프트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장치
KR101317785B1 (ko) 차량용 등속조인트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549682B1 (ko)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KR101727726B1 (ko) 와전류 탐상 방식의 전수 검사 기능을 겸비한 스터브 샤프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CN116037487B (zh) 一种塑料瓶盖加工用厚度检测设备
KR101798596B1 (ko) 와전류 탐상 검사 융합형 자동 고주파 열처리 장치
CN113720905B (zh) 一种刹车盘涡流检测机
US20110129577A1 (en) Process and machine equipment for the control of quality of bakery products
WO2022021465A1 (zh) 一种车间物料运输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11359905A (zh) 一种陶瓷片全自动称重分拣生产线及称重分拣方法
CN211160749U (zh) 一种cvj内球径对角径检测机
US2979196A (en) Automatic pipe coupling inspector
JP4575857B2 (ja) 搬送式検査装置
CN116699364A (zh) 一种流水线式结构的芯片测试机
KR101607928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CN105954305B (zh) 一种x-ray无损透视检测仪
CN205404434U (zh) 卧式丝网模板智能检测修复机
KR101889016B1 (ko) 모터샤프트 d컷 검사기
KR102003482B1 (ko) 차량용 샤프트의 열처리 검사장치
CN115255648B (zh) 一种精切线阀体激光打标机
CN103604044A (zh) 汽车气瓶组装安装装置及方法
CN213855763U (zh) 一种自动探伤分离机
CN215695948U (zh) 一种轴类零件的全自动检测设备
CN220596256U (zh) 一种用于交叉杆探伤装置的单双杆上下料机构
CN115069586B (zh) 一种产品自动取料及检测的下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