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110B1 -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110B1
KR101317110B1 KR1020120023695A KR20120023695A KR101317110B1 KR 101317110 B1 KR101317110 B1 KR 101317110B1 KR 1020120023695 A KR1020120023695 A KR 1020120023695A KR 20120023695 A KR20120023695 A KR 20120023695A KR 101317110 B1 KR101317110 B1 KR 101317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powder
drying
metal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683A (ko
Inventor
안명선
Original Assignee
안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선 filed Critical 안명선
Priority to KR102012002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1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2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a special effect of the produced film, e.g. wrinkle, pearlescence, matt fi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칠 분말으로서,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유기용제를 서로 교반시키고,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함으로써 분말로 제조되고, 이로 인해 분말을 용제와 혼합하여 피도포체에 도포하거나, 용제가 도포되기 전 또는 후의 피도포체에 뿌려짐으로써 옻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옻칠 분말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손쉽게 옻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옻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금속이나 금속합금이 가지는 고유의 질감이나 색감 구현을 통해서 미감이 우수한 옻칠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생활용품, 전자제품의 케이스, 주얼리 등의 다양한 피도포체에 대한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Natural lacquer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손쉽게 옻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옻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미감이 우수한 옻칠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옻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천연 유성 수지도료로서 산, 알칼리, 열, 습기 등에 잘 견디며, 금속 기판과도 밀착도가 높아서 한번 칠하면 오랫동안 변색되지 않고 썩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옻칠의 원료가 되는 옻나무는 세계적으로 약 70속 600여종이 있고, 그 대부분의 수종이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의 아시아 지역에 자라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 자란 옻나무는 그 어느 나라보다도 품질이 우수하나 옻칠을 채취할 수 있는 수종은 겨우 소수에 불과하고, 채취량이 워낙 적어 최근에도 희소성과 가치가 인정되는 고급 도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옻칠 도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옻나무로부터 채취된 옻액(urushiol 65 ~ 70% + laccase 1% + plant gum 10% + water 20 ~ 25%)을 채취하고, 이 액을 목적하는 피도포체에 도포하고, 이를 대기 중에서 적당한 습도와 온도에 노출시켜 24 ~ 36시간 내에 경화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경화된 옻은 인체에 무해하고, 공해 유발의 가능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수명이 매우 오래 지속되고, 특유의 빛깔이 우러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옻칠은 그 취급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해 취급에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대중화에 어려움이 있고, 많은 횟수의 반복에 의한 도포 및 건조 과정으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옻칠은 그 고급성으로 인해 주얼리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고유의 색상으로 인해 미감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피도포체가 금속인 경우 부착력의 약화로 인해 금속 고유의 미감이나 질감을 구현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손쉽게 옻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옻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미감이 우수한 옻칠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옻칠 분말으로서,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유기용제를 서로 교반시키고,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함으로써 분말로 제조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말을 용제와 혼합하여 피도포체에 도포하거나, 용제가 도포되기 전 또는 후의 피도포체에 뿌려짐으로써 옻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옻칠 분말이 제공된다.
상기 옻칠과 상기 유기용제로서 테레핀유를 중량비 1 : 0.8 ~ 1.2가 되도록 교반시켜서 건조 및 분쇄에 의해 제조된 상기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을 중량비 1 : 0.7 ~ 2.5로 혼합함으로써, 옻칠 공정 후 표면에 상기 금속 또는 상기 금속합금의 질감이나 색감이 상기 피도포체의 표면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옻칠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테레핀유를 중량비 1 : 0.8 ~ 1.2가 되도록 서로 교반시키는 단계; 상기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용기에 담아서 랩을 씌운 다음, 25 ~ 45도씨 온도에서 20 ~ 28시간 동안 1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를 마친 결과물을 휨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건조용 봉지에 넣고서 36 ~ 60시간 동안 2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2차 건조를 마친 결과물을 상기 건조용 봉지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시켜서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을 중량비 1 : 0.7 ~ 2.5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손쉽게 옻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옻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금속이나 금속합금이 가지는 고유의 질감이나 색감 구현을 통해서 미감이 우수한 옻칠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생활용품, 전자제품의 케이스, 주얼리 등의 다양한 피도포체에 대한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 분말은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유기용제를 서로 교반시키고,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함으로써 분말로 제조된다. 한편,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은 그대로 사용되는 생칠일 수 있고, 나아가서, 정제 과정을 거친 정제칠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 분말은 분말을 용제, 예컨대 옻칠이 유기용제 등에 함유된 옻칠용액이나 테레핀유 등과 혼합하여 피도포체에 도포하거나, 용제가 도포되기 전 또는 도포된 후의 피도포체에 뿌려짐으로써 옻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분말은 용제와 함께 혼합된 상태에서 피도포체에 도포와 건조 과정에 의해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분말은 피도포체에 먼저 뿌려진 다음 도포되는 용제에 의해 피도포체에 부착되어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용제가 도포된 피도포체에 뿌려짐으로써 미리 도포된 용제에 의해 피도포체에 부착됨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분말은 옻칠과 유기용제로서 테레핀유를 중량비 1 : 0.8 ~ 1.2가 되도록 교반시켜서 건조 및 분쇄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분말인 옻칠 성분의 분말과 별도로 준비된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을 중량비 1 : 0.7 ~ 2.5로 혼합함으로써, 옻칠 공정 후 표면에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질감이나 색감이 피도포체의 표면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금속이나 금속합금은, 금, 은, 알루미늄, 황동, 적동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옻칠과 테레핀유는 일례로 교반된 결과물에 대하여 각각 50% 씩의 중량을 가질 수 있는데, 옻칠과 테레핀유의 중량비가 1 : 0.8 미만인 경우 테레핀유가 옻칠을 균일하게 용해하기에는 부족하고, 옻칠과 테레핀유의 중량비가 1 : 1.2 초과인 경우 옻칠과 테레핀유의 교반 후 건조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입자를 균일하게 분말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한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혼합 예로는, 상기한 분말, 즉 옻칠 성분의 분말과 은이 중량 대비 50%씩 함유되도록 할 수 있고, 옻칠 성분의 분말과 은이 중량 대비 30%와 70%씩 함유되도록 할 수 있고, 옻칠 성분의 분말과 황동 또는 적동의 분말이 50%씩 함유되도록 할 수 있는데, 옻칠 성분의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 중량비가 1 : 0.7 미만인 경우 금속 또는 금속합금에 대한 질감이나 색감 표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고, 옻칠 성분의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 중량비가 1 : 1.2 초과인 경우 옻칠 도막의 형성과 내구성 증대에 불리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은 옻칠과 테레핀의 교반 단계(S11)와, 교반 결과물에 대한 1차 건조 단계(S12)와, 1차 건조 결과물에 대한 2차 건조 단계(S13)와, 2차 건조 결과물에 대한 분쇄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 단계(S11)에 의하면,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테레핀유를 중량비 1 : 0.8 ~ 1.2가 되도록 서로 교반시키게 되는데, 이때, 교반 용기로서 도자기 그릇(1)을 사용할 수 있고, 교반 도구(2)의 사용에 의해 수작업으로 교반을 수행하거나, 임펠러 등을 모터 등으로 회전시키는 교반 장치의 사용에 의해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은 그대로 사용되는 생칠일 수 있고, 나아가서, 정제 과정을 거친 정제칠일 수도 있다.
1차 건조 단계(S12)에 의하면,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용기(3)에 담아서 랩(4)을 씌운 다음, 25 ~ 45도씨 온도에서 20 ~ 28시간 동안 1차적으로 건조시키며, 일례로 40도씨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서 랩(4)과 상기한 온도 및 시간 조건에 의해 테레핀유에 교반된 옻칠의 경화가 서서히 일어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옻칠의 균일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용기(3)는 교반 단계(S11)에서 사용된 도자기 그릇(1)이거나, 이와는 별도의 그릇일 수 있다.
2차 건조 단계(S13)에 의하면, 1차 건조를 마친 결과물을 휨이 가능한 합성수지재, 예컨대 비닐로 이루어지는 건조용 봉지(5)에 넣고서 36 ~ 60시간 동안 2차적으로 건조시키며, 이때 일례로 48시간 동안 2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이 밖에도 온도 조건은 상온 또는 1차 건조시 온도조건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용 봉지(5)는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2차 건조의 결과물과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한 시간 조건에 의해 2차 건조의 결과물이 충분히 건조되도록 한다.
분쇄 단계(S14)에 의하면, 상기 2차 건조를 마친 결과물을 건조용 봉지(5)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분쇄기(6)를 이용하여 분쇄시켜서 분말로 제조한다. 여기서, 분쇄기(6)는 수작업에 의해 분쇄할 수 있는 도구로 이루어지거나,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분쇄를 수행하는 자동 분쇄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분쇄 단계(S14)에 의해 제조된 분말, 즉 옻칠 성분의 분말에 금속 또는 금속합금, 예컨대 금, 은, 알루미늄, 황동, 적동 등의 분말을 중량비 1 : 0.7 ~ 2.5로 혼합하는 단계(S15)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한 옻칠 분말을 옻칠 용액이나 테레핀유 등의 용제에 혼합하여 피도포체에 도포함으로써 숙련도에 무관하게 누구나 손쉽게 옻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용제의 양을 조절함과 아울러 용제에 의해 분말화된 조직 구조로 인해 옻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금, 은, 알루미늄, 황동, 적동 등의 금속이나 금속합금이 가지는 고유의 질감이나 색감 구현을 통해서 미감과 내구성이 향상된 옻칠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생활용품, 전자제품의 케이스, 주얼리 등의 다양한 피도포체에 대한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도자기 그릇
2 : 교반 도구
3 : 용기
4 : 랩
5 : 건조용 봉지
6 : 분쇄기

Claims (4)

  1. 옻칠 분말으로서,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유기용제를 서로 교반시키고,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건조시킨 다음 분쇄함으로써 분말로 제조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말을 용제와 혼합하여 피도포체에 도포하거나, 상기 분말을 용제가 도포되기 전 또는 후의 피도포체에 뿌림으로써 옻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옻칠과 상기 유기용제로서 테레핀유를 중량비 1 : 0.8 ~ 1.2가 되도록 교반시켜서 건조 및 분쇄에 의해 제조된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을 중량비 1 : 0.7 ~ 2.5로 혼합함으로써, 옻칠 공정 후 표면에 상기 금속 또는 상기 금속합금의 질감이나 색감이 상기 피도포체의 표면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분말.
  2. 삭제
  3. 옻칠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옻나무에서 얻은 천연 유성 수지도료인 옻칠과 테레핀유를 중량비 1 : 0.8 ~ 1.2가 되도록 서로 교반시키는 단계;
    상기 교반을 마친 결과물을 용기에 담아서 랩을 씌운 다음, 25 ~ 45도씨 온도에서 20 ~ 28시간 동안 1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를 마친 결과물을 휨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건조용 봉지에 넣고서 36 ~ 60시간 동안 2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2차 건조를 마친 결과물을 상기 건조용 봉지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시켜서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과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분말을 중량비 1 : 0.7 ~ 2.5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 분말의 제조 방법.
KR1020120023695A 2012-03-08 2012-03-08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17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695A KR101317110B1 (ko) 2012-03-08 2012-03-08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695A KR101317110B1 (ko) 2012-03-08 2012-03-08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683A KR20130102683A (ko) 2013-09-23
KR101317110B1 true KR101317110B1 (ko) 2013-10-11

Family

ID=4945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695A KR101317110B1 (ko) 2012-03-08 2012-03-08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394B1 (ko) * 2017-04-06 2019-06-20 한국과학기술원 기-액 계면에서 우루시올 또는 옻칠을 경화시키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262B2 (ja) * 1999-03-01 2001-11-05 福井県 漆成分を含有する粉体
KR100547020B1 (ko) 2003-08-14 2006-01-26 전양희 목재의 옻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용 목재
JP2008001785A (ja) 2006-06-21 2008-01-10 Meiji Univ 漆系塗料、その製造方法及び漆塗装材
KR20110074805A (ko) * 2009-12-26 2011-07-04 한수정 금속분과 유제를 이용한 옻칠 표면처리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262B2 (ja) * 1999-03-01 2001-11-05 福井県 漆成分を含有する粉体
KR100547020B1 (ko) 2003-08-14 2006-01-26 전양희 목재의 옻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용 목재
JP2008001785A (ja) 2006-06-21 2008-01-10 Meiji Univ 漆系塗料、その製造方法及び漆塗装材
KR20110074805A (ko) * 2009-12-26 2011-07-04 한수정 금속분과 유제를 이용한 옻칠 표면처리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683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03462B (zh) 一种汽车用溶剂型热固化快干基色漆及其制备方法
CN107760173A (zh) 一种具有定向排列效果的水性烤漆及其制备方法
KR101317110B1 (ko) 옻칠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530788A (zh) 一种油漆
CN102993791A (zh) 一种金属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754399B (zh) 防霉腻子粉及其制备方法
CN103897464A (zh) 一种高性能合金原子灰及其制备方法
CN105295657A (zh) 一种门用水性自干锤纹漆及其制备方法
CN102146241A (zh) 单组份热塑性耐酸碱金属效果涂料及其制备、使用方法
CN104109408A (zh) 一种建筑屋顶防水涂料
CN108084951A (zh) 聚氯乙烯人造革箱包用聚氨酯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03602209A (zh) 一种环氧树脂金属粉汽车防锈漆及其制备方法
CN106085149A (zh) 一种机械操作台防油性油漆
CN106318208A (zh) 一种防虫蛀漆灰浆及其制备方法
CN106243929A (zh) 一种免打磨防腐底漆及其制备方法
CN108528123A (zh) 一种考古文物修复的金箔回贴方法
CN103694865B (zh) 一种耐光耐候铜雕塑用聚酯丙烯酸酯油漆
CN109401567A (zh) 一种纽扣漆料、具有流沙效果的金属纽扣及其制备方法
CN104017471B (zh) 一种不锈钢pvd硬化涂料及其生产方法
CN105623484A (zh) 一种装饰装修用漆酚改性天然树脂清漆及其制备方法
CN109467972A (zh) 一种油漆用除味剂及其制备方法
CN101880491A (zh) 一种脱漆剂的制备工艺
CN103374270B (zh) 丙烯酸底面合一涂料
CN102382570A (zh) 一种提琴用油性漆及其制备方法
CN102876228A (zh) 一种生漆的改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