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759B1 -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759B1
KR101316759B1 KR1020110060638A KR20110060638A KR101316759B1 KR 101316759 B1 KR101316759 B1 KR 101316759B1 KR 1020110060638 A KR1020110060638 A KR 1020110060638A KR 20110060638 A KR20110060638 A KR 20110060638A KR 101316759 B1 KR101316759 B1 KR 10131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es
cover
dischar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134A (ko
Inventor
김기홍
이동석
박지용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42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ventil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57Servicing means therefor, e.g. for renewal of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6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adding more than one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향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120a, 120b)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120a, 120b)로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상기 카트리지(120a, 120b)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상면에 구비한 카트리지 하우징(110); 상기 에어 유입공(112a, 112b)을 통과할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 유입관(138) 및 상기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통과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관(140)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결합된 커버(130);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상기 커버(130) 사이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상기 에어 배출공(114a, 114b)과 각각 연통하는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 및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을 구비한 실링판(150); 및 회전축(176a, 176b)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 및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DOOR-TYPE PERFUME GENERA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실 내 불쾌한 냄새를 탑승자가 느끼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방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door)의 온/오프를 통해 향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공조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장치는 차실을 냉난방함과 더불어 차실의 공기를 정화한다. 공조장치는 이와 같은 순기능을 위해 차량에 구비된 것이나, 때로는 탑승자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냄새를 차실로 유입시키는 역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예컨대, 외기 모드하에서 상기 공조장치는 외부의 먼지나 매연 등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를 차실로 유입시키고, 공조덕트 내 세균(곰팡이 등)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를 차실로 유입시키기도 한다. 또한, 엔진 가동시의 기름 냄새, 탑승자의 흡연에 의한 냄새, 탑승자의 땀 냄새 등이 공조장치의 역기능에 의한 냄새와는 별도로 탑승자의 불쾌감을 조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차실 내 불쾌한 냄새를 탑승자가 느끼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차량에는 방향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현재 복수의 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차량용 방향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차량용 방향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0-937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향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들을 회전시킴으로써 향을 선택하거나(회전형 차량용 방향장치), 일본공개특허 제2010-17978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향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들의 개구를 도어(door)로 밀폐 또는 개방함으로써 향을 선택한다(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위 일본공개특허에 개시된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 용기(5)와, 케이스(10)와, 도어(8a, 8b, 9a, 9b)를 포함한다.
방향제 용기(5)는 서로 다른 향의 두 방향제를 수용한다. 그리고 방향제 용기(5)의 상면(23)에는 제1 및 제2 에어 유입구(3a, 3b)와 제1 및 제2 에어 배출구(4a, 4b)가 구비된다. 제1 에어 유입구(3a)로 유입된 에어는 제1향과 함께 제1 에어 배출구(4a)로 배출되고, 제2 에어 유입구(3b)로 유입된 에어는 제2향과 함께 제2 에어 배출구(4b)로 배출된다.
케이스(10)는 방향제 용기(5)의 상부에 위치하고, 칸막이(17)를 내부에 구비한다. 칸막이(17)는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을 두 개(24a, 24b)로 구획하고, 그 측면에 한 쌍의 개구(18a, 18b)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스(10)는 구획된 내부공간 중 어느 하나(24a)를 덮는 상면에 에어 유입관(15)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24b)를 덮는 상면에 에어 배출관(16)을 구비한다. 에어 유입관(15)으로 공급된 에어는 제1 또는 제2 에어 유입구(3a, 3b)를 통과하고, 제1 또는 제2 에어 배출구(4a, 4b)로 배출된 에어는 향과 함께 에어 배출관(16)을 경유하여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도어는 제1 에어 유입구(3a) 및 제1 에어 배출구(4a)를 개폐하는 제1 도어들(8a, 9a)과 제2 에어 유입구(3a) 및 제2 에어 배출구(4b)를 개폐하는 제2 도어들(8b, 9b)을 포함한다. 제1 도어들(8a, 9a)은 제1 회전축(12a)에 결합되어 있고, 제1 회전축(12a)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에어 유입구 및 배출구(3a, 4a)를 밀폐하거나 칸막이(17)의 개구(18a)를 밀페한다. 그리고 제2 도어들(8b, 9b)은 제2 회전축(12b)에 결합되어 있고, 제2 회전축(12b)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2 에어 유입구 및 배출구(3b, 4b)를 밀폐하거나 칸막이(17)의 개구(18b)를 밀폐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12a, 12b)의 일단은 캠(미도시)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은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면 제1 및 제2 회전축(12a, 12b)은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에서는 케이스(10)와 방향제 용기(5)가 별도의 밀폐부재 없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에 따르면, 케이스(10)와 방향제 용기(5) 사이로 에어가 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에서는, 제1향을 차실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제2 도어들(8b, 9b)이 제2 에어 유입구 및 배출구(3b, 4b)를 밀폐하기 때문에, 칸막이(17)의 개구(18b)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내부공간(24a)으로 공급된 에어가 상기 개구(18b)를 통해 타 공간(24b)으로 유입되고, 이로써 제1 에어 배출구(4b)로부터 배출된 제1향이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에서는, 케이스(10)가 직육면체 형태로 구비되고, 에어 유입관(15) 및 에어 배출관(16)이 케이스(10)의 상면에 세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는 전체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게 된다. 현재 자동차는 기능의 다양성을 위해 많은 전자장비들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운 실정이고, 이에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의 사이즈 축소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의 리크(leak)를 방지할 수 있고, 에어와 함께 차실로 공급되는 향의 희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작은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향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120a, 120b)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120a, 120b)로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상기 카트리지(120a, 120b)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상면에 구비한 카트리지 하우징(110); 상기 에어 유입공(112a, 112b)을 통과할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 유입관(138) 및 상기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통과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관(140)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결합된 커버(130);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상기 커버(130) 사이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상기 에어 배출공(114a, 114b)과 각각 연통하는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 및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을 구비한 실링판(150); 및 회전축(176a, 176b)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 및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실링판(150)에는 상기 회전축(176a, 176b)이 안착되는 안착홈(156a, 156b)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176a, 176b)에 고정된 프레임(172a, 172b, 174a, 174b); 및 상기 프레임(172a, 172b, 174a, 174b)을 감싸고 있는 실링 커버(182a, 182b, 184a, 184b);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유입관(138)과 연통하는 공간과 상기 에어 배출관(140)과 연통하는 공간을 차단하는 격벽(142)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142)은 상기 실링판(150)과 접촉한다. 그리고 이 접촉은 상기 실링판(150)에 구비된 슬릿(158)에 상기 격벽(142)이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격벽(142)에는 상기 회전축(176a, 176b)을 통과시키기 위한 회전축 통과홀(144)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결합부(134); 및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결합부(134)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유입관(138) 및 에어 배출관(140)을 상기 결합부(134)와 연결된 측면에 구비한 돌출부(1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는, 첫째 종래에 비해 우수한 밀폐 성능을 보유하고, 둘째 종래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갖으며, 셋째 차실로 공급되는 향의 희석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를 도시한 투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커버(130)와, 실링판(150)과, 도어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우징(110)은 A향 카트리지(120a) 및 B향 카트리지(120b)를 수용한다. A향 카트리지(120a)에는 A향을 발생시키는 향 담지체가 내장되어 있고, B향 카트리지(120b)에는 B향을 발생시키는 향 담지체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우징(110)은 A향용 에어 유입공(112a), A향용 에어 배출공(114a), B향용 에어 유입공(112b) 및 B향용 에어 배출공(114b)을 구비한 상면을 포함한다. A향용 에어 유입공(112a)은 A향 카트리지(120a)로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키고, A향용 에어 배출공(114a)은 A향과 함께 A향 카트리지(120a)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통과시킨다. B향용 에어 유입공(112b)은 B향 카트리지(120b)로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키고, B향용 에어 배출공(114b)은 B향과 함께 B향 카트리지(120b)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통과시킨다.
상기 커버(130)는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결합한다. 커버(130)와 카트리지 하우징(110) 간 결합은 커버(130)의 측면에 형성된 고리(132)가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116)에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130)는 결합부(134)와 상기 결합부(134)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34)는 상기 고리(132)를 구비한 양 측면을 포함하고, 개방된 하면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36)는 카트리지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36)는 결합부(134)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결합부(134)의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커버(130)는 "T"자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돌출부(136)의 측면에는 에어 유입관(138) 및 에어 배출관(140)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 유입관(138)은 돌출부(13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외부로부터 커버(130)로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킨다. 상기 에어 배출관(140)은 돌출부(13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커버(13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를 통과시킨다.
또한 커버(130)의 내부공간에는 격벽(142)이 구비된다. 상기 격벽(1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의 내부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두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에어 유입관(138)과 연통하고, 나머지 하나는 에어 배출관(140)과 연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격벽(142)으로 인해 에어 유입관(138)으로 유입된 에어와 에어 배출관(140)으로 배출될 에어 간 혼합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에어 혼합 방지는 차실로 유입될 향의 희석을 방지한다. 한편, 격벽(142)의 하단 양측에는 후술하는 A향용 회전축(176a) 및 B향용 회전축(176b)을 통과시키기 위한 회전축 통과홀(14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링판(150)은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커버(130) 사이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어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커버(130) 사이로 에어가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밀폐 성능 보장을 위해, 상기 실링판(150)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링판(150)에는 A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a), A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a), B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b) 및 B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b)이 구비된다. A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a)은 A향용 에어 유입공(112a)과 연통하고, A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a)은 A향용 에어 배출공(114a)과 연통하고, B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b)은 B향용 에어 유입공(112b)과 연통하고, B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b)은 B향용 에어 배출공(114b)과 연통한다.
또한 실링판(150)에는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과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158)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130)의 카트리지 하우징(11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슬릿(158)에는 커버(13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격벽(142)의 하단이 삽입된다.
상기 도어는 커버(130)의 내부공간과 카트리지(120a, 120b)의 내부공간 간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A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a)을 개폐하는 A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 도어와, A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a)을 개폐하는 A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 도어와, B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b)을 개폐하는 B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 도어와, B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b)을 개폐하는 B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 도어를 포함한다.
A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 도어는 A향용 회전축(176a)에 고정된 프레임(172a)과, 이 프레임(172a)을 감싸고 있는 실링 커버(182a)를 포함한다. A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 도어는 상기 A향용 회전축(176a)에 고정된 프레임(174a)과, 이 프레임(174a)을 감싸고 있는 실링 커버(184a)를 포함한다. B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 도어는 B향용 회전축(176b)에 고정된 프레임(172b)과, 이 프레임(172b)을 감싸고 있는 실링 커버(182b)를 포함한다. B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 도어는 상기 B향용 회전축(176b)에 고정된 프레임(174b)과, 이 프레임(174b)을 감싸고 있는 실링 커버(184b)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 커버들(182a, 182b, 184a, 184b)은 밀폐 성능 보장을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A향용 회전축(176a)은 실링판(150)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156a)에 안착되고, B향용 회전축(176b)은 실링판(150)의 타측에 형성된 안착홈(156b)에 안착된다.
상기 A향용 회전축(176a) 및 B향용 회전축(176b)의 일단은 캠(190)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캠(190)은 액츄에이터(192)와 결합하여 상기 액츄에이터(192)의 작동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모든 도어들이 모든 에어 통과홀들(152a, 152b, 154a, 154b)을 밀폐한 상태(초기 상태)에서, 캠(19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A향용 회전축(176a)만이 자신에 고정된 도어들과 함께 회전하고, 이로써 A향용 에어 통과홀들(152a, 154a)이 개방된다. 반면 초기 상태에서, 캠(19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B향용 회전축(176b)만이 자신에 고정된 도어들과 함께 회전하고, 이로써 B향용 에어 통과홀들(152b, 154b)이 개방된다.
이하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차실의 방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들은 초기 상태에 있다.
이후, A향 방향 명령이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면, 액츄에이터(192)가 캠(19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19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A향용 회전축(176a)이 자신과 결합한 도어들과 함께 회전하고, 이로써 A향용 에어 통과홀(152a, 154a)이 개방된다. A향용 에어 통과홀(152a, 154a)이 개방되면, 에어 유입관(138)을 통해 커버(130)로 유입된 에어는 A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a) 및 A향용 에어 유입공(11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A향 카트리지(120a)로 유입된다. 이후 에어는 A향과 함께 A향 카트리지(120a)로부터 배출되어 A향용 에어 배출공(114a) 및 A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에어 배출관(140)을 통해 커버(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커버(130)의 외부로 배출된 에어는 차실로 유입된다.
반면 초기 상태 이후 B향 방향 명령이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면, 액츄에이터(192)가 캠(19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19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B향용 회전축(176b)이 자신과 결합한 도어들과 함께 회전하고, 이로써 B향용 에어 통과홀(152b, 154b)이 개방된다. B향용 에어 통과홀(152b, 154b)이 개방되면, 에어 유입관(138)을 통해 커버(130)로 유입된 에어는 B향용 유입 에어 통과홀(152b) 및 B향용 에어 유입공(112b)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B향 카트리지(120b)로 유입된다. 이후 에어는 B향과 함께 B향 카트리지(120b)로부터 배출되어 B향용 에어 배출공(114b) 및 B향용 배출 에어 통과홀(154b)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에어 배출관(140)을 통해 커버(130)의 외부로 배출된다. 커버(130)의 외부로 배출된 에어는 차실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에 따르면, 커버(130)와 카트리지 하우징(110) 사이에 실링판(150)이 위치하고, 이 실링판(150)에 형성된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밀폐하는 도어들 또한 실링 커버(182a, 182b, 184a, 184b)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는 종래의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보다 우수한 밀폐 성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에 따르면, 커버(130)가 "T"자 형태로 구비되고 "T"자의 세로획에 해당하는 돌출부(136)의 측면에 에어 유입관(138) 및 에어 배출관(1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는 종래의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또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에 따르면, 격벽(142)으로 인해 에어 유입관(138)으로 유입된 에어와 에어 배출관(140)으로 배출될 에어 간 혼합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는 차실로 공급되는 향의 희석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110 : 카트리지 하우징
112a, 112b : 에어 유입공 114a, 114b : 에어 배출공
120a, 120b : 카트리지 130 : 커버
134 : 결합부 136 : 돌출부
138 : 에어 유입관 140 : 에어 배출관
142 : 격벽 144 : 회전축 통과홀
150 : 실링판 152a, 152b : 유입 에어 통과홀
154a, 154b : 배출 에어 통과홀 156a, 156b : 안착홈
158 : 슬릿 172a, 172b, 174a, 174b : 프레임
176a, 176b : 회전축 182a, 182b, 184a, 184b : 실링 커버
190 : 캠 192 : 액츄에이터

Claims (7)

  1. 향 담지체를 내장한 카트리지(120a, 120b)를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120a, 120b)로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상기 카트리지(120a, 120b)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상면에 구비한 카트리지 하우징(110);
    상기 에어 유입공(112a, 112b)을 통과할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 유입관(138) 및 상기 에어 배출공(114a, 114b)을 통과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배출관(140)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에 결합된 커버(130);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상기 커버(130) 사이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에어 유입공(112a, 112b) 및 상기 에어 배출공(114a, 114b)과 각각 연통하는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 및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을 구비한 실링판(150); 및
    회전축(176a, 176b)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 에어 통과홀(152a, 152b) 및 배출 에어 통과홀(154a, 154b)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3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유입관(138)과 연통하는 공간과 상기 에어 배출관(140)과 연통하는 공간을 차단하는 격벽(142)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142)은 상기 실링판(150)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150)에는 상기 회전축(176a, 176b)이 안착되는 안착홈(156a, 156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176a, 176b)에 고정된 프레임(172a, 172b, 174a, 174b); 및
    상기 프레임(172a, 172b, 174a, 174b)을 감싸고 있는 실링 커버(182a, 182b, 184a, 18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판(150)에는 슬릿(158)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142)은 상기 슬릿(158)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42)에는 상기 회전축(176a, 176b)을 통과시키기 위한 회전축 통과홀(14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과 결합하는 결합부(134); 및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결합부(134)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에어 유입관(138) 및 에어 배출관(140)을 상기 결합부(134)와 연결된 측면에 구비한 돌출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100).
KR1020110060638A 2011-06-22 2011-06-22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KR10131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38A KR101316759B1 (ko) 2011-06-22 2011-06-22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38A KR101316759B1 (ko) 2011-06-22 2011-06-22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34A KR20130000134A (ko) 2013-01-02
KR101316759B1 true KR101316759B1 (ko) 2013-10-10

Family

ID=4783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638A KR101316759B1 (ko) 2011-06-22 2011-06-22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2153B (zh) * 2017-08-27 2019-10-29 重庆大学 一种车载气味发生器
CN212098347U (zh) * 2020-02-20 2020-12-0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香味分配装置
CN116039345B (zh) * 2022-12-30 2023-11-10 营口世纪电子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除尘过滤的进气排尘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4763A (ja) * 2009-05-28 2010-12-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4763A (ja) * 2009-05-28 2010-12-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34A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877B2 (ja) 車両用芳香装置
US9321328B2 (en) Air vent for vehicle
WO2010090141A1 (ja) 車両用芳香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品
KR101316759B1 (ko)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JP2010531765A (ja) 特に自動車用の芳香装置
JP2002137621A (ja) 内外気切替装置
AU2001231127A1 (en)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5592972B2 (ja) 車両用芳香装置
JP2010274763A (ja) 車両用芳香装置のシー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芳香装置
JP2010223418A (ja) ボールバルブ
JPH09188124A (ja) 空気開口開閉装置
WO2018066201A1 (ja) 開閉装置
WO2017163620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20120005646A (ko) 차량용 필터의 성능 비교체험 키트
JP4621679B2 (ja) 空気清浄具付き車両用サンバイザ
KR101316758B1 (ko)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KR101316761B1 (ko) 도어형 차량용 방향장치
KR20130072587A (ko) 차량용 방향발생 장치
KR101689557B1 (ko) 차량용 방향 장치
KR1014894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KR20120128184A (ko) 차량용 방향 장치
MXPA04002878A (es) Dispositivo de distribucion de aire para un vehiculo.
KR20130000136A (ko) 차량용 방향장치
CN218966635U (zh) 香氛装置
JP2005231493A (ja) 車載芳香消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