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730B1 - 가열로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730B1
KR101316730B1 KR1020120027128A KR20120027128A KR101316730B1 KR 101316730 B1 KR101316730 B1 KR 101316730B1 KR 1020120027128 A KR1020120027128 A KR 1020120027128A KR 20120027128 A KR20120027128 A KR 20120027128A KR 101316730 B1 KR101316730 B1 KR 10131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urnace
weight
door
moving
extrac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036A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73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27D1/1866Door-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5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in a horizontal straight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3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a device for charging with the doors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84Controlling closure systems, e.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가 추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추출 도어부; 상기 추출 도어부와 평행하게 상기 가열로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출 도어부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웨이트부;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슬라브를 추출가능하게 하고, 슬라브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가열로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FOR 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를 추출하기 위하여 가열로를 개폐시키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 공정을 통해 생산된 슬라브 등은 가열로의 내부에 투입된다. 후공정인 열간 압연을 위하여 가열로는 슬라브를 1100℃ 내지 1300℃까지 가열시키고, 가열로의 일측면을 통해 추출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로의 도어 장치(20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의 도어 장치(200)는 가열로(20)의 일측면을 개방시켜 가열된 슬라브(S)를 추출가능하도록 한다. 가열로 도어 장치(200)는 추출 도어(201)를 포함하고, 추출 도어(201)는 가열로(2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열로(20)의 내부에 투입된 슬라브(S)가 가열될 때, 추출 도어(201)는 가열로(20)의 일측면을 폐쇄하여, 가열로(20)의 내부열이 차단된다. 한편, 가열로(20)에 의한 슬라브(S)의 가열이 완료되면, 추출 도어(201)는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고, 슬라브(S)를 인출하기 위하여, 추출기(210)가 가열로(20)의 포크홈(21)에 삽입된다. 여기서, 추출 도어(201)는 웨이트 체인(203)에 의해 내부 웨이트(202)와 연결되고, 웨이트 체인(203)은 가열로(20)의 상부에 위치된 샤프트(204)를 걸쳐 설치된다. 이로 인해, 내부 웨이트(202)는 추출 도어(20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 웨이트(202)가 하강할 때 추출 도어(201)는 상승하여 가열로(20)의 일측면을 개방한다. 이때, 추출기(210)가 포크홈(21)에 삽입되어 슬라브(S)를 추출가능하게 된다.
한편, 내부 웨이트(202)는 일반적으로 가열로(20)에 형성된 홈(2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내부 웨이트(202)가 가열로(20)의 홈(22)에 걸린다. 이때, 내부 웨이트(202)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추출 도어(201)에 의해 가열로(20)의 개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내부 웨이트(202)에 연결된 웨이트 체인(203)이 절손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추출 도어(201)와 가열로(20)의 내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가열로(20)의 내부열이 형성된 공간 사이로 누설되어, 추출 도어(201)에 의해 열 차단이 저하된다. 또한, 추출 도어(201)에 연결된 웨이트 체인(203)과 샤프트(204)는 내부열로 인해 연질화되어 절손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로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슬라브의 품질이 저하되기도 한다. 또한, 슬라브는 가열의 중단으로 인해 생산성 자체가 저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슬라브를 추출가능하게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로에서 가열되는 슬라브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가 추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추출 도어부; 상기 추출 도어부와 평행하게 상기 가열로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출 도어부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웨이트부;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내부 웨이트부는, 상기 가열로의 일측부에 내부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박스; 상기 내부 삽입공간의 내벽에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위치된 내부 베이스들; 및 상기 내부 베이스 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내부 롤러들; 및 상기 내부 베이스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롤러들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 도어부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웨이트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웨이트휠들; 상기 추출 도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휠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감기는 도어 연결부; 및 상기 내부 웨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휠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감기는 웨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상기 추출 도어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웨이트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추출 도어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웨이트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휠; 및 상기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추출 도어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추출 도어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와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감속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로의 측종단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 웨이트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부 웨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웨이트부는, 상기 가열로의 측종단면 상에 외부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케이스; 상기 외부 삽입공간의 내벽에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위치된 외부 베이스들; 상기 외부 베이스들 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외부 롤러들; 및 상기 외부 베이스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 롤러들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웨이트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부 웨이트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외부 웨이트 몸체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들은 적층된 상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외부 웨이트휠; 및 상기 외부 웨이트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웨이트휠에 감기고, 상기 웨이트 연결부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외부 웨이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추출 도어부, 내부 웨이트부, 외부 웨이트부, 이동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가열로의 내부에서 가열된 슬라브를 추출가능하게 한다. 특히, 내부 웨이트부의 몸체와 외부 웨이트부의 몸체는 이동부를 통해 추출 도어부와 연결되어, 추출 도어부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몸체들은 베이스들 사이에서 롤러들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기에 삽입공간의 내벽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부가 손상되거나 구동부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슬라브를 추출가능하게 하는 가열로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작동하기에, 슬라브는 가열로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가열되고, 원활하게 가열로로부터 추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슬라브의 가열 공정을 안정적으로 제공하여, 슬라브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로의 도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열로의 도어 장치를 가열로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열로의 도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를 가열로(10)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는 추출 도어부(101), 내부 웨이트부(102), 이동부(103) 및 구동부(104)를 포함하여, 가열로(10)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S)가 추출될 수 있도록 가열로(10)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데에 이용된다.
추출 도어부(101)는 가열로(10)의 일측면 상에 위치된다. 추출 도어부(10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열로(10)의 일측면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가열로(10)의 일측면이 추출 도어부(101)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추출 도어부(10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열로(10)의 일측면을 개방시킨다. 이때, 가열로(10)의 내부가 노출되고, 슬라브(S)는 추출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반면에, 가열로(10)의 일측면이 추출 도어부(101)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추출 도어부(10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열로(10)의 일측면을 폐쇄시킨다. 이때, 슬라브(S)는 가열로(1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추출 도어부(101)의 상하방향 이동은 가열로(10)의 일측면의 개폐를 반대로 구현할 수도 있다.
내부 웨이트부(102)는 추출 도어부(101)와 평행하게 가열로(10)의 일측부에 위치된다. 이때, 내부 웨이트부(102)는 가열로(10)에서 슬라브(S)가 위치된 공간과 분리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내부 웨이트부(102)는 추출 도어부(101)와 연결되어 추출 도어부(101)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추출 도어부(10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부 웨이트부(102)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에, 추출 도어부(10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부 웨이트부(102)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내부 웨이트부(102)는 박스(121), 내부 베이스(123)들, 내부 롤러(125)들 및 내부 웨이트 몸체(127)를 포함한다.
박스(121)는 가열로(10)의 일측부에 내부 삽입공간(102a)을 형성한다. 이때, 내부 삽입공간(102a)은 슬라브(S)가 위치된 공간과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베이스(123)들은 내부 삽입공간(102a)의 내벽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마주본다. 또한, 내부 롤러(125)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내부 베이스(123) 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내부 베이스(123)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 롤러(125)들은 각각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내부 웨이트 몸체(127)는 내부 베이스(123)들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 롤러(125)들과 접촉된다. 내부 웨이트 몸체(127)는 추출 도어부(101)와 연결되어 추출 도어부(101)의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내부 웨이트 몸체(127)는 내부 베이스(123)들에 의해 안내되고, 내부 롤러(125)들에 의해 내부 베이스(123)들과의 마찰이 감소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웨이트 몸체(127)는 박스(121) 특히, 내부 삽입공간(102a)의 내벽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103)는 가열로(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추출 도어부(101)와 내부 웨이트부(102)를 연결한다. 이때, 내부 웨이트부(102)에서 내부 웨이트 몸체(127)가 이동부(103)에 연결된다. 추출 도어부(101)와 내부 웨이트부(102)는 이동부(103)에 의해 상호 간에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103)는 샤프트(131), 웨이트휠(133)들, 도어 연결부(135) 및 웨이트 연결부(137)를 포함한다.
샤프트(131)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열로(10)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한다. 이때, 샤프트(131)는 가열로(10)의 일측면을 따라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이트휠(133)들은 샤프트(131) 상에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한다.
도어 연결부(135)는 추출 도어부(101)에 연결되고, 웨이트휠(133)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감긴다. 웨이트 연결부(137)는 내부 웨이트부(102), 특히 내부 웨이트 몸체(127)에 연결되고, 웨이트휠(133)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감긴다.
이때, 도어 연결부(135) 및 웨이트 연결부(137)는 체인, 벨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트휠(133)들도 도어 연결부(135)와 웨이트 연결부(137)의 형태에 따라 기어, 롤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부(103)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여 추출 도어부(101)와 내부 웨이트부(10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샤프트(13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 연결부(135)는 웨이트휠(133)에 감기면서 추출 도어부(10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웨이트 연결부(137)은 웨이트휠(133)로부터 풀리면서 내부 웨이트부(102)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반면에, 샤프트(131)가 일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 연결부(135)는 웨이트휠(133)로 풀리면서 감기면서 추출 도어부(10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웨이트 연결부(137)는 웨이트휠(133)에 감기면서 내부 웨이트부(10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131)의 회전은 추출 도어부(101)의 상하방향 이동 및 이에 따른 내부 웨이트부(102)의 상하방향 이동을 구현한다. 이로 인해, 앞서 설명된 추출 도어부(101)는 가열로(10)의 일측면을 개폐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 연결부(135)와 웨이트 연결부(137)는 상기와 같이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이루어진 연결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는 추출 도어부(101)와 내부 웨이트부(102)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연결부는 샤프트(131)의 회전에 의해 추출 도어부(10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추출 도어부(101)가 상측으로 이동된 만큼 내부 웨이트부(102)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추출 도어부(101)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추출 도어부(101)가 하측으로 이동된 만큼 내부 웨이트부(102)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부(104)는 이동부(103), 특히 샤프트(131)와 연결되어 이동부(103)를 구동시킨다. 또한, 구동부(104)는 구동 모터(141), 감속기(143) 및 감속 연결부(145)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14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샤프트(131)의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 즉, 샤프트(131)는 구동 모터(141)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기도 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기도 한다.
감속기(143)는 구동 모터(141)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141)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구동 모터(141)의 회전력은 증가된 상태로 샤프트(131)에 전달될 수 있다.
감속 연결부(145)는 감속기(143)와 샤프트(131)를 연결하고, 구동 모터(141)의 회전력을 샤프트(131)에 전달하여 샤프트(131)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가 추출 도어부(101), 내부 웨이트부(102), 이동부(103) 및 구동부(104)로 이루어진 경우에, 추출 도어부(101)는 내부 웨이트부(102)의 내부 웨이트 몸체(127)와 동일한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의 구성으로 인해, 구동부(104) 특히, 구동 모터(141)의 부하가 감소되고, 이동부(103)의 절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출 도어부(101)는 안정적으로 가열로(10)를 개폐하여, 가열로(10) 자체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가열로(10)에서 가열되는 슬라브(S)의 품질이 향상되고, 슬라브(S)의 생산성도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는 외부 웨이트부(105)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외부 웨이트부(105)는 이동부(103) 특히 샤프트(131)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가열로(10)의 측종단면 상에 위치된다. 외부 웨이트부(105)도 내부 웨이트부(102)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외부 웨이트부(105)는 케이스(151), 외부 베이스(153)들, 외부 롤러(155)들 및 외부 웨이트 몸체(157)를 포함한다.
케이스(151)는 가열로(10)의 측종단면 상에 위치되어 외부 삽입공간(105a)을 형성한다. 이때, 외부 삽입홈(105a)은 가열로(10)의 외부에 위치된다.
외부 베이스(153)들은 외부 삽입공간(105a)의 내벽에 위치되고, 상호 간에 마주본다. 또한, 외부 롤러(155)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외부 베이스(153) 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외부 베이스(153)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 롤러(155)들은 각각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외부 웨이트 몸체(157)는 외부 베이스(153)들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 롤러(155)들과 접촉된다. 외부 웨이트 몸체(157)는 추출 도어부(101)의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외부 웨이트 몸체(157)는 외부 베이스(153)들에 의해 안내되고, 외부 롤러(155)들에 의해 외부 베이스(153)들과의 마찰이 감소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웨이트 몸체(157)는 케이스(151) 특히 외부 삽입공간(105a)의 내벽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외부 웨이트 몸체(157)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157a)들로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로 인해, 외부 웨이트 몸체(157)는 플레이트(157a)들의 개수를 조정하여, 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부 웨이트부(105)를 적용하기 위하여, 이동부(103)는 외부 웨이트휠(138) 및 외부 웨이트 연결부(139)를 더 포함한다.
외부 웨이트휠(138)은 샤프트(131)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되어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외부 웨이트휠(138)은 웨이트휠(133)들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고, 웨이트휠(133)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외부 웨이트 연결부(139)는 외부 웨이트휠(138)에 감기고, 외부 웨이트부(105), 특히 외부 웨이트 몸체(157)에 연결된다. 외부 웨이트 연결부(139)는 내부 웨이트 연결부(137)와 동일하게 샤프트(131)의 회전에 대하여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가 외부 웨이트부(105)를 더 포함한 경우에, 추출 도어부(101)는 내부 웨이트부(102)의 내부 웨이트 몸체(127) 및 외부 웨이트부(105)의 외부 웨이트 몸체(157)의 합과 동일한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열로의 도어 장치(100)의 구성으로 인해, 구동부(104) 특히, 구동 모터(141)의 부하가 감소되고, 이동부(103)의 절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출 도어부(101)는 안정적으로 가열로(10)를 개폐하여, 가열로(10) 자체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가열로(10)에서 가열되는 슬라브(S)의 품질이 향상되고, 슬라브(S)의 생산성도 향상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열로
100: 가열로의 도어 장치
101: 추출 도어부
102: 내부 웨이트부
121: 박스 123: 내부 베이스
125: 내부 롤러 127: 내부 웨이트 몸체
103: 이동부
131: 샤프트 133: 웨이트휠
135: 도어 연결부 137: 웨이트 연결부
138: 외부 웨이트휠 139: 외부 웨이트 연결부
104: 구동부
141: 구동 모터 143: 감속기
145: 감속 연결부
105: 외부 웨이트부
151: 케이스 153: 외부 베이스
155: 외부 롤러 157: 외부 웨이트 몸체

Claims (9)

  1.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가 추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추출 도어부;
    상기 추출 도어부와 평행하게 상기 가열로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출 도어부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웨이트부;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복수 개의 웨이트휠들;
    상기 추출 도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휠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감기는 도어 연결부; 및
    상기 내부 웨이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휠들 중 적어도 다른 하나에 감기는 웨이트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상기 추출 도어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웨이트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추출 도어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웨이트 연결부는 상기 웨이트휠에 감기면서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웨이트부는,
    상기 가열로의 일측부에 내부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박스;
    상기 내부 삽입공간의 내벽에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위치된 내부 베이스들; 및
    상기 내부 베이스 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내부 롤러들; 및
    상기 내부 베이스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롤러들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추출 도어부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웨이트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와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에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감속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6. 가열로의 내부에 위치된 슬라브가 추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 상에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추출 도어부;
    상기 추출 도어부와 평행하게 상기 가열로의 일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출 도어부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 웨이트부;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연결하여 상호 간에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열로의 일측면을 개폐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추출 도어부와 상기 내부 웨이트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로의 도어 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로의 측종단면 상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 웨이트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부 웨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웨이트부는,
    상기 가열로의 측종단면 상에 외부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위치된 케이스;
    상기 외부 삽입공간의 내벽에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위치된 외부 베이스들;
    상기 외부 베이스들 상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외부 롤러들; 및
    상기 외부 베이스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 롤러들과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웨이트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부 웨이트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웨이트 몸체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들은 적층된 상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로의 상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양종단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외부 웨이트휠; 및
    상기 외부 웨이트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웨이트휠에 감기고, 상기 웨이트 연결부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외부 웨이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도어 장치.
KR1020120027128A 2012-03-16 2012-03-16 가열로의 도어 장치 KR10131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28A KR101316730B1 (ko) 2012-03-16 2012-03-16 가열로의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28A KR101316730B1 (ko) 2012-03-16 2012-03-16 가열로의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36A KR20130105036A (ko) 2013-09-25
KR101316730B1 true KR101316730B1 (ko) 2013-10-10

Family

ID=4945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28A KR101316730B1 (ko) 2012-03-16 2012-03-16 가열로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59B1 (ko) * 2020-02-04 2021-09-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98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개폐장치
KR20050046215A (ko) * 2003-11-13 2005-05-1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도어장치
KR100765046B1 (ko) * 2006-07-24 2007-10-09 주식회사 포스코 추출기용 보조 도어를 갖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98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개폐장치
KR20050046215A (ko) * 2003-11-13 2005-05-18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도어장치
KR100765046B1 (ko) * 2006-07-24 2007-10-09 주식회사 포스코 추출기용 보조 도어를 갖는 가열로의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36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3486A1 (en) Layer furna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ayer furnace system
KR101316730B1 (ko) 가열로의 도어 장치
CN113025798B (zh) 一种模具热处理设备
KR101062489B1 (ko) 자전거 리프트 장치
KR101532914B1 (ko) 오버헤드도어의 개폐구동장치
CN103121616A (zh) 一种垂直滑动电梯门
KR102305759B1 (ko) 가열로의 도어장치
CN105460756B (zh) 电梯轿厢门气密装置以及电梯装置
KR101023115B1 (ko) 가열로 도어장치
CN207210478U (zh) 一种自动进料式退火炉结构
CN105021034B (zh) 一种可自动输料的杆件加热炉
KR20160003956U (ko) 차량 이동장치가 구비된 타워형 주차장치
CN210560567U (zh) 一种回转支承热处理装置
JP5065774B2 (ja) バケットカバー開閉装置
KR101776219B1 (ko) 랙-피니언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장치
CN209116758U (zh) 一种台车炉
JP2011194427A (ja) 防護シャッタシステム
KR101344320B1 (ko) 추출장치
JP5448664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CN117862826B (zh) 一种汽车门环的加工工艺
CN206011551U (zh) 一种多臂滚塑机热箱开门机构
CN219731002U (zh) 一种多工位弹簧均匀热处理装置
KR101237072B1 (ko) 가열로
KR101357556B1 (ko) 추출장치
KR100761728B1 (ko)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