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320B1 -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320B1
KR101344320B1 KR1020120057845A KR20120057845A KR101344320B1 KR 101344320 B1 KR101344320 B1 KR 101344320B1 KR 1020120057845 A KR1020120057845 A KR 1020120057845A KR 20120057845 A KR20120057845 A KR 20120057845A KR 101344320 B1 KR101344320 B1 KR 10134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support
frame
heat generating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383A (ko
Inventor
박영국
임갑수
이정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3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6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2009/3083Arrangements to handle skid marks

Abstract

본 발명은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추출프레임과,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여 가열로 내부에서 가열되는 소재를 외부로 추출하고, 추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재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를 구비하는 추출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출장치{EXTRACTOR FOR 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제철소의 열연공장 등에서 슬라브(Slab) 등의 소재를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대략 1200∼1300℃의 적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재를 판재 등의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열간압연공정의 전 공정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4-0036450호(2004. 04. 30 공개, 발명의 명칭 : 가열로의 추출도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재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추출장치는: 추출프레임; 및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가열되는 소재를 외부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재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를 구비하는 추출포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포크부는, 상기 추출프레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외주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단열부; 상기 지지대 외주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포크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추출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추출포크부가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할 때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발열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발열부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단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추출포크부가 상기 가열로 외부로 추출되면 상기 소재와 상기 발열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부가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스키드빔이 상기 소재와 접촉된 부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와 추출장치가 접촉되는 부위가 변화되므로 추출장치와의 접촉에 의해 소재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소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가 단열부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소재와 지지대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재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에 발열부가 설치되므로 소재를 가열로에서 추출한 후 스키트 마크 부위를 가열함으로써 소재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키드 마크 부위와 타 부위와의 온도 편차가 줄어들므로, 소재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를 통해 발열부가 가열로 내부의 고온 공기와 접촉되는 양을 줄일 수 있어 발열부를 고온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의 추출포크부와 커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추출포크부와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커버부가 발열부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추출포크부와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커버부가 발열부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추출포크부와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발열부와 스키드빔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추출포크부가 가열로에 진입하여 소재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소재를 적재한 추출포크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추출포크부의 발열부가 스키드마크 부위에 도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에 진입하여 소재를 적재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에서 소재를 추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의 추출포크부와 커버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추출포크부와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커버부가 발열부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추출포크부와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커버부가 발열부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추출포크부와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발열부와 스키드빔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추출포크부가 가열로에 진입하여 소재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소재를 적재한 추출포크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에서 추출포크부의 발열부가 스키드마크 부위에 도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에 진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에 진입하여 소재를 적재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에서 소재를 추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1)는 몸체(10), 추출도어(20), 추출도어구동부(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소재(S)가 장입되는 장입홀부(16)와, 소재(S)가 추출되는 추출홀부(11)를 구비한다. 장입홀부(16)는 장입도어(17)에 의해 개폐된다.
몸체(10)에는 그 위에 가열하고자 하는 소재(S)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스키드빔(15)이 구비된다. 스키드빔(15)은 크게 소재(S)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빔과 소재(S)를 전진시키기 위한 워킹빔으로 이루어진다.
워킹빔은 가열로(1) 내에서 소재(S)가 가열되는 동안 소재(S)를 상승, 전진, 하강 및 후진시킴으로써 장입홀부(16)측에서 추출홀부(11)측으로 소재(S)를 점진적으로 이송시킨다.
몸체(10)는 스키드빔(15)이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예열대(2), 가열대(3) 및 균열대(4)로 구분된다. 소재(S)의 초기 온도, 추출 시에 요구되는 최종 온도에 따라 예열대(2), 가열대(3) 내에서의 승온 속도 및 체류 시간과 균열대(4) 내에서의 체류 시간 등이 제어된다. 예열대(2), 가열대(3) 및 균열대(4)에는 소재(S)를 가열하는 버너(B)가 각각 구비된다.
추출도어(20)는 몸체(10)의 추출단(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추출홀부(11)를 개폐한다. 추출도어(20)는 소재(S)가 몸체(10)에서 외부로 추출될 때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추출홀부(11)를 개방하고, 소재(S)의 추출이 이루어진 후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추출홀부(11)를 폐쇄한다.
이로써 추출도어(20)는 외부의 공기가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과, 몸체(1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추출도어구동부(30)는 추출도어(2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추출도어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추출도어(2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추출홀부(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추출도어구동부(30)는 추출도어(20)와 연결되는 체인부와 체인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추출도어구동부(30)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내용이므로 추출도어구동부(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100)는 가열로(1)의 추출단(12)측의 외부에 배치된다.
추출장치(100)는 상하구동부(110), 전후구동부(120), 추출프레임(130), 추출포크부(140), 커버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하구동부(110)는 추출프레임(13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추출프레임(130)에 연결되는 추출포크부(140)의 상하 위치를 가변시킨다.
상하구동부(110)는 하측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상측으로 길이가 단축되는 상하구동대(112)와, 상하구동대(112)의 길이 변화를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상하구동기(111)를 구비한다.
전후구동부(120)는 추출프레임(130)을 전측 또는 후측으로 이동시켜, 추출프레임(130)에 연결되는 추출포크부(140)의 전후 위치를 가변시킨다.
전후구동부(120)는 가열로(1)의 추출단(12)측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추출단(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길이가 단축되는 전후구동대(122)와, 전후구동대(122)의 길이 변화를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전후구동기(121)를 구비한다.
상하구동부(110)와 전후구동부(120)는 길이가 상하측으로 또는 전후측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이러한 작동을 행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으로 대체되더라도 무방하다.
추출프레임(130)은 전후구동부(120)에 연결된다. 추출포크부(140)는 추출프레임(130)에 연결되고, 상하구동부(110)와 전후구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가열로(1)의 내부로 진입하여 가열로(1) 내부에서 가열되는 소재(S)를 가열로(1)의 외부로 추출한다.
추출포크부(140)는 지지대(141), 회전구동부(142), 지지프레임(143), 접촉부(144)를 포함한다.
지지대(141)는 소재(S)가 적재되는 곳으로, 일측이 추출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추출프레임(130)에 연결되는 지지대(141)의 일측부에는 베어링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대(141)의 회전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지지대(141)는 복수개가 갈고리 형상으로 추출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스키드빔(15)에 놓여진 소재(S)를 스키드빔(15)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들어올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14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구동부(142)는 지지대(14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회전구동부(142)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141)는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구동부(142)는 추출프레임(130)에 설치되며, 제어부(160)로부터 작동 제어를 받는다.
지지프레임(143)은 소재(S)를 적재하는 지지대(141)가 하방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대(141)를 지지한다. 지지프레임(143)은 일단부가 지지대(141)의 타측(도 2 기준 우측)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추출프레임(130)에 결합되어 지지대(141)를 지지한다.
지지대(141)의 타측부에는 일측부에서와 같이 베어링부가 설치되므로, 지지대(141)는 지지프레임(143)에 지지된 채로 원활한 회전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접촉부(144)는 지지대(14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소재(S)의 추출 시 소재(S)와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144)는 발열부(144a)와 단열부(144b)를 구비한다.
발열부(144a)는 지지대(141) 외주면의 일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도 5 참조), 발열부(144a)는 지지대(141)의 외주면 중 우측 외주면에 설치된다.
발열부(144a)는 스키드빔(15)에 의해 국부적으로 온도가 하강한 소재(S)의 특정 부위(스키드 마크 부위)에 접촉하여 소재(S)에 열을 가한다(도 13 참조). 이로써, 스키드 마크 부위의 소재(S)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스키드 마크 부위와 다른 부위와의 온도 차이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발열부(144a)는 지지대(141)의 외주면에 설치되므로, 회전구동부(142)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141)가 회전하게 되면, 이와 연동되어 발열부(144a)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구동부(142)의 회전에 의해 발열부(144a)가 회전되면서, 발열부(144a)는 가열로(1) 내부에서 스키드빔(15)과의 접촉에 의해 스키드 마크가 생성된 소재(S)의 부위와 접촉하게 된다. 발열부(144a)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발열부(144a)와 접촉되는 소재(S)의 부위는 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다른 부위와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게 된다.
발열부(144a)는 전력공급원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열을 생성한다. 이러한 발열부(144a)는 니켈 크롬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부(144b)는 지지대(141) 외주면의 타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도 5 참조), 단열부(144b)는 지지대(141)의 외주면 중 상측, 좌측, 하측 외주면에 설치된다.
즉, 지지대(141)의 외주면은 발열부(144a)와 단열부(144b)로 둘러싸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단열부(144b)가 지지대(141)의 외주면을 둘러싸므로, 지지대(141)와의 접촉에 의해 소재(S)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부(144b)는 강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141)의 회전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141)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141)에 적재되는 소재(S)는 단열부(144b)와의 접촉부위가 계속적으로 변경된다. 이로써 소재(S)의 특정 부위가 단열부(144b)와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소재(S)가 국부적으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부(150)는 커버프레임(151), 충격흡수부(152), 커버구동부(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프레임(151)은 추출포크부(140)가 가열로(1)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발열부(144a)가 발열부(144a) 외부의 공기, 즉 가열로(1)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의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발열부(144a)를 둘러싼다.
이를 위해 커버프레임(151)은 추출프레임(1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주변 환경에 따라 발열부(144a)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양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프레임(151)은 추출포크부(140)가 가열로(1) 내부로 진입하여 발열부(144a)가 고온의 공기에 노출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발열부(144a)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발열부(144a)를 둘러싼다(도 6, 7 참조). 이로써 발열부(144a)는 커버프레임(151)에 의해 고온의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대폭 줄어들게 되면서 열화 현상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프레임(151)은 단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예로, 커버프레임(151)은 강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프레임(151)은 추출포크부(140)가 가열로(1)의 외부로 추출되면 발열부(144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8, 9 참조). 이때, 회전구동부(142)에 의해 지지대(141)가 회전되면 발열부(144a) 역시 회전된다. 이후 소재(S)의 스키드 마크 부위와 접촉되면서 소재(S)에 열을 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프레임(151)의 일측은 추출프레임(130)에 설치되고, 타측은 지지프레임(143)에 설치된다. 커버프레임(151)은 추출프레임(130)에 설치되는 커버구동부(153)의 작동에 의해 발열부(144a)측으로 이동되거나 발열부(144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구동부(153)는 제어부(160)에 의해 작동 제어를 받는다.
커버프레임(151)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추출프레임(130)에는 커버프레임(151) 일측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143)에는 커버프레임(151) 타측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151)은 주변 환경에 따라 발열부(144a)를 둘러싸야 하므로, 발열부(144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프레임(151)의 높이는 발열부(144a)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도 7 참조), 커버프레임(151)의 폭은 발열부(144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도 6 참조).
충격흡수부(152)는 커버프레임(151)의 단부에 부착된다. 충격흡수부(152)는 커버프레임(151)이 발열부(144a)측으로 이동되어 발열부(144a)를 둘러쌀 때, 발열부(144a)와의 접촉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파손을 방지한다. 따라서, 충격흡수부(152)는 발열부(144a), 단열부(144b), 지지대(141)보다 강도가 더 낮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4 내지 도 16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가 가열로 내의 소재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추출장치(100)의 작동이 개시되면 추출홀부(11)를 폐쇄하고 있던 추출도어(2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추출홀부(11)를 개방한다. 추출프레임(130)과 추출포크부(140)는 개방된 추출홀부(11)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진입한다(도 14, 15 참조).
가열로(1) 내부로 진입된 추출포크부(14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소재(S)를 들어올리고, 이후 추출포크부(140)가 몸체(10) 외부로 퇴거하면서 소재(S)는 가열로(1) 외부로 추출된다. 이때 제어부(160)는 추출도어구동부(30)를 작동시켜 추출도어(20)로 추출홀부(11)를 폐쇄한다(도 16 참조). 추출장치(100)에 의해 외부로 추출된 소재(S)는 이송롤러(R)에 안착되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중심으로 하여 가열로 내의 소재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소재(S)와 스키드빔(15)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소재(S)에 스키드 마크가 생성된다. 따라서 추출장치(100)를 이용하여 소재(S)를 가열로(1)에서 추출한 직후부터 발열부(144a)와 소재(S)를 접촉시켜 스키드 마크가 생성된 소재(S)의 부위를 가열하여 스키드 마크 부위와 타 부위와의 온도 편차가 줄어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추출포크부(140)가 가열로(1) 내부로 진입하기에 앞서, 커버프레임(151)은 발열부(144a)를 둘러싸게 된다(도 11 참조). 이로써 발열부(144a)가 가열로(1) 내부의 고온 공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후 추출포크부(140)에 의해 소재(S)를 가열로(1) 외부로 추출하게 되면, 커버프레임(151)은 커버구동부(153)의 작동에 의해 발열부(144a)로부터 이격된다(도 12 참조).
이와 동시에, 회전구동부(142)가 작동되면서 지지대(141)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지지대(141)의 회전에 의해 단열부(144b)와 소재(S)의 특정 부위만이 지속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소재(S)에 스키드 마크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대(141)는 가열로(1)에서 소재(S)를 추출할 당시 스키드빔(15)과 거리 L 만큼 이격되어 있다가(도 10 참조), 소재(S)가 가열로(1)로부터 추출된 후에는 회전구동부(142)의 작동에 의해 스키드빔(15)이 위치했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소재(S)와 접촉되는 부위는 단열부(144b)가 아닌 발열부(144a)가 된다(도 13 참조).
이와 같이, 소재(S)가 가열로(1)에서 추출된 후 이송롤러(R)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되기 전에, 발열부(144a)에 의해 스키드 마크가 생성된 소재(S)의 부위에 열이 공급되므로, 스키드 마크는 점차 사라지게 되면서 소재(S)의 온도 편차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키드 마크 부위와 타 부위와의 온도 편차가 줄어들므로, 소재(S)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대(141)와 스키드빔(15)간의 이격 거리 L은 지지대(141)의 중심으로부터 발열부(144a)의 외주면까지의 거리 R을 통해 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거리 L은 반경이 R인 원기둥이 3/4 바퀴 회전한 경우에 지나온 거리와 동일하다(도 10 참조).
도 10 내지 도 13에서 소재(S)의 중앙부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소재(S)의 길이 방향 온도 구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보면, 도 10 내지 도 12에 비해 도 13에서 스키드 마크 부위와 타 부위와의 온도 편차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S)와 단열부(144b)가 접촉되는 부위가 지속적으로 변화되므로 단열부(144b)와의 접촉에 의해 소재(S)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소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1)가 단열부(144b)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소재(S)와 지지대(141)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재(S)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41)에 발열부(144a)가 설치되므로 소재(S)를 가열로(1)에서 추출한 후 스키트 마크 부위를 가열함으로써 소재(S)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키드 마크 부위와 타 부위와의 온도 편차가 줄어들므로, 소재(S)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150)를 통해 발열부(144a)가 가열로(1) 내부의 고온 공기와 접촉되는 양을 줄일 수 있어 발열부(144a)를 고온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추출장치 110 : 상하구동부
120 : 전후구동부 130 : 추출프레임
140 : 추출포크부 141 : 지지대
142 : 회전구동부 143 : 지지프레임
144 : 접촉부 144a : 발열부
144b : 단열부 150 : 커버부
151 : 커버프레임 152 : 충격흡수부
153 : 커버구동부 160 : 제어부

Claims (7)

  1. 추출프레임; 및
    가열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가열되는 소재를 외부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재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를 구비하는 추출포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포크부는,
    상기 추출프레임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외주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단열부;
    상기 지지대 외주면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포크부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고, 타단부가 상기 추출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추출포크부가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할 때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발열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발열부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단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추출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구동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추출포크부가 상기 가열로 외부로 추출되면 상기 소재와 상기 발열부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가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상기 소재를 이송시키는 스키드빔이 상기 소재와 접촉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KR1020120057845A 2012-05-31 2012-05-31 추출장치 KR10134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45A KR101344320B1 (ko) 2012-05-31 2012-05-31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45A KR101344320B1 (ko) 2012-05-31 2012-05-31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83A KR20130134383A (ko) 2013-12-10
KR101344320B1 true KR101344320B1 (ko) 2013-12-23

Family

ID=4998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45A KR101344320B1 (ko) 2012-05-31 2012-05-31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282B2 (en) 2020-02-07 2022-07-1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rsection commun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462B1 (ko) * 2020-06-05 2020-12-30 에스엠스틸 주식회사 환봉 정렬형 스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282B2 (en) 2020-02-07 2022-07-1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rsection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83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20B1 (ko) 추출장치
KR101246232B1 (ko)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61337B1 (ko) 가열로의 소재 장입장치
KR101357556B1 (ko) 추출장치
KR101553145B1 (ko) 슬라브 제거장치
KR101267600B1 (ko) 가열로
KR101246317B1 (ko) 가열로
KR101320129B1 (ko) 추출장치
KR101246234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895B1 (ko) 핫 스탬핑용 예열장치
KR101424441B1 (ko) 압연기용 가열로
KR101246261B1 (ko) 하부도어를 갖는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46233B1 (ko) 하부도어를 갖는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0825B1 (ko) 가열로
KR20140098335A (ko) 추출장치
KR101382712B1 (ko) 가열로의 워킹빔
KR101388029B1 (ko) 압연기용 가열로
KR101246255B1 (ko) 가열로
KR101435068B1 (ko) 가열로용 소재 이송장치
KR101291532B1 (ko) 가열로
KR101257398B1 (ko) 가열로
KR20110047050A (ko) 온도측정장치
EP3546088B1 (en) Side seal plate transfer device
KR101322124B1 (ko) 열방산 방지장치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