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532B1 - 가열로 - Google Patents

가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532B1
KR101291532B1 KR1020110111074A KR20110111074A KR101291532B1 KR 101291532 B1 KR101291532 B1 KR 101291532B1 KR 1020110111074 A KR1020110111074 A KR 1020110111074A KR 20110111074 A KR20110111074 A KR 20110111074A KR 101291532 B1 KR101291532 B1 KR 10129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door
close contact
heating furnace
extrac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602A (ko
Inventor
박영국
임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5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9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3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a device for charging with the doors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84Controlling closure systems, e.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3Drives; Auxiliary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에 관한 것으로서, 소재가 추출되는 추출홀부가 추출단에 구비되는 몸체와, 양측 단부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추출단의 양측 테두리를 둘러싸고, 추출홀부를 개폐하는 추출도어와, 추출도어를 상하 이동시키는 추출도어구동부와, 추출단에 구비되고,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추출도어를 추출단측으로 끌어당기는 밀착유도부와, 추출도어구동부와 밀착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로{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도어의 개폐 작동 시에 추출도어와 추출단의 밀착도를 높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가열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제철소의 열연공장 등에서 슬라브(Slab) 등의 소재를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대략 1200∼1300℃의 적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재를 판재 등의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열간압연공정의 전 공정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8-0006879호(2008. 01. 17 공개, 발명의 명칭 : 가열로 추출도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출도어의 개폐 작동 시에 추출도어와 추출단의 밀착도를 높여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가열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는: 소재가 추출되는 추출홀부가 추출단에 구비되는 몸체; 양측 단부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추출단의 양측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기 추출홀부를 개폐하는 추출도어; 상기 추출도어를 상하 이동시키는 추출도어구동부; 상기 추출단에 구비되고,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상기 추출도어를 상기 추출단측으로 끌어당기는 밀착유도부; 및 상기 추출도어구동부와 상기 밀착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도어는 상기 추출홀부를 개폐하고, 상기 추출단보다 큰 좌우폭을 갖는 도어본체; 및 상기 도어본체의 양측 단부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추출단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굴곡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상기 밀착유도부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는 상기 추출단에 밀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시 상기 밀착유도부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는 상기 추출단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굴곡부의 내측면과 상기 추출단이 밀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착유도부는,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추출단측으로 끌어당기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전자석부; 및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추출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안내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추출도어와 접하여 상기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부;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어링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걸리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도어에는 상기 밀착유도부에 대향되는 면에 자성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도어와 추출단 사이의 간극을 좁혀 에너지 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연료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추출도어를 추출단에 밀착시킬 수 있어 추출도어와 추출단 사이의 간극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 또는 내부 열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단을 둘러싸도록 굴곡 형성되는 추출도어에 의해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 시에도 추출도어와 추출단 사이의 간극을 통한 외부 공기의 유입량 또는 내부 열기의 누출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와 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추출단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추출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소재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퇴거하여 추출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소재를 이송롤러에 내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스키드빔과 추출기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추출도어와 추출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 시 추출도어와 추출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밀착유도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 시 밀착유도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밀착유도부가 추출단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와 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추출단측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추출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소재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퇴거하여 추출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기가 소재를 이송롤러에 내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스키드빔과 추출기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추출도어와 추출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 시 추출도어와 추출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밀착유도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 시 밀착유도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밀착유도부가 추출단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1)는 몸체(10), 추출도어(20), 추출도어구동부(30), 제어부(40), 밀착유도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는 소재(S)가 장입되는 장입홀부(16)와, 소재(S)가 추출되는 추출홀부(11)를 구비한다. 장입홀부(16)는 장입도어(17)에 의해 개폐된다.
몸체(10)에는 그 위에 가열하고자 하는 소재(S)가 안착되어 이송되는 스키드빔(15)이 구비된다. 스키드빔(15)은 크게 소재(S)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빔과 소재(S)를 전진시키기 위한 워킹빔으로 이루어진다.
워킹빔은 가열로(1) 내에서 소재(S)가 가열되는 동안 소재(S)를 상승, 전진, 하강 및 후진시킴으로써 장입홀부(16)측에서 추출홀부(11)측으로 소재(S)를 점진적으로 이송시킨다.
몸체(10)는 스키드빔(15)이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예열대(2), 가열대(3) 및 균열대(4)로 구분된다. 소재(S)의 초기 온도, 추출 시에 요구되는 최종 온도에 따라 예열대(2), 가열대(3) 내에서의 승온 속도 및 체류 시간과 균열대(4) 내에서의 체류 시간 등이 제어된다. 예열대(2), 가열대(3) 및 균열대(4)에는 소재(S)를 가열하는 버너(B)가 각각 구비된다.
추출도어(20)는 몸체(10)의 추출단(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추출홀부(11)를 개폐한다. 추출도어(20)는 소재(S)가 몸체(10)에서 외부로 추출될 때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추출홀부(11)를 개방하고, 소재(S)의 추출이 이루어진 후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추출홀부(11)를 폐쇄한다. 이로써 외부의 공기가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과, 몸체(1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추출도어(20)는 양측 단부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추출단(12)의 양측 테두리를 둘러싼다. 이러한 추출도어(20)는 도어본체(20a), 굴곡부(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어본체(20a)는 추출홀부(11)를 개폐하고, 추출단(12)보다 큰 좌우폭을 갖는다(도 10 참조). 굴곡부(20b)는 도어본체(20a)의 양측 단부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로써 굴곡부(20b)는 추출단(12)의 양측 테두리를 둘러싸게 된다.
추출도어구동부(30)는 추출도어(2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추출도어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추출도어(2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추출홀부(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추출도어구동부(30)는 추출도어(20)와 연결되는 체인부와 체인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추출도어구동부(30)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내용이므로 추출도어구동부(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밀착유도부(100)는 추출단(12)의 내부에 구비된다. 밀착유도부(100)는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측으로 끌어당긴다. 이로써 추출도어(20)와 추출단(12)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간극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밀착유도부(100)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전자석부(110)와,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안내부(120)를 포함한다.
전자석부(11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전자기력을 생성하며, 철심 코어와 이를 감싸는 코일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자석부(110)에서 전자기력이 생성되면 전자석부(110)와 도어본체(20a)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도어본체(20a)는 추출단(12)측, 즉 전자석부(110)측으로 끌리게 된다. 이러한 전자석부(110)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40)는 전자석부(1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생성되는 전자기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도 10, 도 12와 같이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에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석부(110)에 많은 양의 전류를 인가하고, 도 11, 도 13과 같이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전류를 인가한다. 여기서 밀착 또는 이격의 경우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은 실험 등에 의해 구하여질 수 있다.
추출도어(20), 구체적으로 도어본체(20a)에는 밀착유도부(100)와 대향되는 면에 전자기력에 잘 반응하는 자성체(21)가 구비된다. 이로써 전자기력의 크기 대비 인력의 크기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동안내부(120)는 하우징부(121), 베어링부(122), 스프링부(123), 스토퍼부(12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21)는 이동안내부(120)의 외형을 이루며, 추출단(12)의 내부에 구비된다. 전자석부(110)는 하우징부(121)에 결합되어 이동안내부(120)와 일체형 모듈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석부(110)는 하우징부(121)의 상측과 하측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베어링부(122)는 하우징부(121)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된다. 베어링부(122)는 좌우 방향(도 12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부(121)에 장착된다.
베어링부(122)는 추출도어(20)와 접하여 추출도어(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122a)과, 베어링(122a)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122b)을 구비한다.
추출도어(20)는 회전 가능한 베어링(122a)과 접하면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동 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추출도어(20)의 상하 이동 시 필요로 하는 구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동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때도 추출도어(20)의 굴곡부(20b)와 추출단(12)은 밀착되므로, 몸체(1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프링부(123)는 일측이 하우징부(121)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베어링하우징(122b)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122b)을 탄성지지한다.
베어링부(122)는 스프링부(123)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외부의 힘이 좌측(도 12 기준)에서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부(123)를 압축하면서 우측으로 이동된다(도 12).
한편 외부의 힘이 제거되는 경우 베어링부(122)는 스프링부(123)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도 13). 물론 외부의 힘이 탄성력보다 작은 경우에도 베어링부(122)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베어링부(122)에 탄성력이 제공되는 경우 베어링부(122)는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는 굴곡부(20b)가 추출단(12)과 밀착된 상태를 이루므로,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이 이격되더라도, 굴곡부(20b)에 의해 추출도어(20)와 추출단(12)의 간극이 폐쇄되므로, 몸체(1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부(124)는 베어링부(122), 구체적으로 베어링하우징(122b)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스토퍼부(124)는 베어링하우징(122b)의 외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 13에서와 같은 베어링부(122)의 좌측 이동 시 베어링부(122)가 하우징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스토퍼부(124)는 하우징부(1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21a)에 걸리면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하우징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밀착유도부(100)는 추출도어(20)의 상하 이동 시 흔들림 없는 추출도어(20)의 이동을 위해 추출단(12)에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세로 방향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추출도어(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이룰 수 있다면 다른 배치 형태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어부(40)는 추출도어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여 추출도어(20)를 통해 추출홀부(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제어부(40)는 밀착유도부(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추출도어(20)의 개방 또는 폐쇄 시 도어본체(20a)가 추출단(12)에 밀착되도록 밀착유도부(100)를 제어한다(도 12). 이로써 추출도어(2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서 추출도어(20)와 추출단(12)의 간극을 통해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추출도어(20)의 상하 이동 시 도어본체(20a)가 추출단(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밀착유도부(100)를 제어한다.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의 이격을 통해 추출도어(20)의 상하 이동 시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 사이에서 접촉에 따른 마찰력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추출도어(20)와 추출단(12)의 간극을 통한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추출도어(20)의 굴곡부(20b)는 추출단(12)과 밀착된다(도 11).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추출기(60)는 상하구동부(61), 전후구동부(62) 및 추출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하구동부(61)는 추출대(63)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전후구동부(62)는 추출대(63)를 전측 또는 후측으로 이동시킨다. 추출대(63)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키드빔(15)에 위치하는 소재(S)를 스키드빔(15)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추출기(60)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에서 소재가 추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추출기(60)의 작동이 개시되면 추출도어(2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추출홀부(11)를 개방한다(도 4). 추출기(60)는 개방된 추출홀부(11)를 통해 몸체(10) 내부로 진입한다(도 5). 가열로(1) 내부로 진입된 추출대(63)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소재(S)를 들어올리고(도 6), 이후 추출대(63)가 몸체(10) 외부로 퇴거하면서 소재(S)는 가열로(1) 외부로 추출된다. 이때 제어부(40)는 추출도어구동부(30)를 작동시켜 추출도어(20)로 추출홀부(11)를 폐쇄한다(도 7). 추출대(63)에 의해 외부로 추출된 소재(S)는 이송롤러(R)에 안착되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도 8).
도 3,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유도부의 작동을 중심으로 가열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추출도어(20)가 개방 상태(도 4) 또는 폐쇄 상태(도 2)에 있는 경우, 추출도어(20)와 추출단(12)의 간극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몸체(10) 내부로 유입되거나 몸체(10)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누출되면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는 밀착유도부(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어본체(20a)가 추출단(12)에 밀착되도록 하여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의 간극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차단한다(도 10, 12 참조).
밀착유도부(100)는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측으로 끌어당기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전자석부(110)와,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안내부(12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을 이격시키는 탄성력보다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을 근접시키는 전자기력의 크기가 더 크도록 전자석부(110)에 그에 상응하는 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도어본체(20a)는 스프링부(12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자석부(110)와 밀착되면서 추출단(12)에 밀착된다.
추출도어(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어부(40)는 밀착유도부(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어본체(20a)가 추출단(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제어부(40)는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을 이격시키는 탄성력보다 도어본체(20a)와 추출단(12)을 근접시키는 전자기력의 크기가 더 작도록 전자석부(110)에 그에 상응하는 전류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베어링부(122)는 추출도어(20)를 좌측(도 13 기준)으로 가압하면서 도어본체(20a)를 추출단(12)으로부터 이격시킨다.
한편, 추출도어(20)의 상하 이동 시에도 추출도어(20)와 추출단(12)의 간극을 통한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추출도어(20)의 굴곡부(20b)는 추출단(12)과 밀착된다(도 11).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열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열로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가열로 10 : 몸체
11 : 추출홀부 12 : 추출단
20 : 추출도어 30 : 추출도어구동부
40 : 제어부 100 : 밀착유도부
110 : 전자석부 120 : 이동안내부
121 : 하우징부 122 : 베어링부
123 : 스프링부 124 : 스토퍼부

Claims (8)

  1. 소재가 추출되는 추출홀부가 추출단에 구비되는 몸체;
    양측 단부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추출단의 양측 테두리를 둘러싸고, 상기 추출홀부를 개폐하는 추출도어;
    상기 추출도어를 상하 이동시키는 추출도어구동부;
    상기 추출단에 구비되고,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상기 추출도어를 상기 추출단측으로 끌어당기는 밀착유도부; 및
    상기 추출도어구동부와 상기 밀착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도어는 상기 추출홀부를 개폐하고, 상기 추출단보다 큰 좌우폭을 갖는 도어본체; 및
    상기 도어본체의 양측 단부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추출단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시 상기 밀착유도부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는 상기 추출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시 상기 밀착유도부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는 상기 추출단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굴곡부의 내측면과 상기 추출단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유도부는,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추출단측으로 끌어당기는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전자석부; 및
    상기 도어본체를 상기 추출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추출도어와 접하여 상기 추출도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부;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어링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상기 베어링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부가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걸리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도어에는 상기 밀착유도부에 대향되는 면에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KR1020110111074A 2011-10-28 2011-10-28 가열로 KR10129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74A KR101291532B1 (ko) 2011-10-28 2011-10-28 가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74A KR101291532B1 (ko) 2011-10-28 2011-10-28 가열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602A KR20130046602A (ko) 2013-05-08
KR101291532B1 true KR101291532B1 (ko) 2013-08-08

Family

ID=4865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074A KR101291532B1 (ko) 2011-10-28 2011-10-28 가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5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513A (ja) * 1993-10-08 1995-04-25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圧延用連続式加熱炉からの被加熱材抽出方法および装置
KR960007601B1 (ko) * 1992-09-24 1996-06-0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차폐 구조체 및 그의 밀폐부재
KR101047584B1 (ko) * 2009-02-05 2011-07-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601B1 (ko) * 1992-09-24 1996-06-0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차폐 구조체 및 그의 밀폐부재
JPH07109513A (ja) * 1993-10-08 1995-04-25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圧延用連続式加熱炉からの被加熱材抽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047584B1 (ko) * 2009-02-05 2011-07-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602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488B2 (en) Method for producing structural components and chassis components by hot forming, and heating station
RU254072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га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JP5847212B2 (ja) 熱間プレス装置
CN206328427U (zh) 一种螺钉高频淬火装置
KR101291532B1 (ko) 가열로
KR100961337B1 (ko) 가열로의 소재 장입장치
KR101246255B1 (ko) 가열로
KR101237072B1 (ko) 가열로
KR101246232B1 (ko)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44320B1 (ko) 추출장치
CN103394557A (zh) 用于q&p一步法热冲压成形的u形弯曲件模具装置
KR101246234B1 (ko)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424441B1 (ko) 압연기용 가열로
KR101246262B1 (ko) 압연기용 가열로
KR101357556B1 (ko) 추출장치
KR20130013627A (ko) 가열로
KR101246233B1 (ko) 하부도어를 갖는 가열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961338B1 (ko) 가열로의 추출기 진입부 실링장치
KR101316730B1 (ko) 가열로의 도어 장치
KR101299306B1 (ko) 마그네틱 포밍 성형장치
KR101246261B1 (ko) 하부도어를 갖는 가열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60570B1 (ko) 자동 장착 가능한 침지노즐 예열장치
KR20080057105A (ko) 외부공기 유입에 의한 가열로의 온도강하 방지장치
KR101167125B1 (ko) 가열로용 도어장치
JP6365199B2 (ja) 被加工物供給装置及び熱間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