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183B1 -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183B1
KR101315183B1 KR1020110091250A KR20110091250A KR101315183B1 KR 101315183 B1 KR101315183 B1 KR 101315183B1 KR 1020110091250 A KR1020110091250 A KR 1020110091250A KR 20110091250 A KR20110091250 A KR 20110091250A KR 101315183 B1 KR101315183 B1 KR 101315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drum
drum
braking forc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796A (ko
Inventor
박순옥
김종필
이주현
이호중
전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1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66D1/505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26Operating devices pneumatic or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 B66D2700/035Fluid operated bra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윈치에 와이어를 권취할 때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와이어가 크레인의 윈치에 보다 완벽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면에 고정되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과 마찰하면서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제동력을 인가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과 상기 와이어 드럼에 실제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릴 때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와이어 드럼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Tension for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재나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일반적으로 크레인을 사용한다. 특히, 대형 선박은 무거운 화물을 옮기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대부분 대형의 크레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대형 크레인을 선박에 설치할 때는 우선 크레인을 선박에 설치한 다음 와이어를 윈치에 감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60)는 크레인(10)과는 별도로 드럼(50)에 감긴 형태로 제공되며, 드럼(50)에 감긴 와이어(60)를 윈치(12)에 연결해 윈치(12)를 역회전 시켜 와이어(60)를 윈치에 감게 된다. 이 때, 윈치(12)에 감기는 와이어(60)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감아야 원할한 감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윈치(12)는 다층권(Multi-Layer)형태로 보다 적은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와이어(60)를 감고 있으며, 윈치(12)에 와이어(60)가 감길 때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지 못하면 와이어(60)가 층간을 파고드는 현상 또는 와이어(60)의 압착 파손 현상들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60)를 윈치(12)에 감을 때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와이어(60)를 윈치(12)에 일단 감은 후 다시 풀고, 와이어(60)의 끝단에 무게추를 달아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면서 되감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와이어(60)가 해저까지 닿도록 길이가 수 키로미터(km)에 달하는 크레인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기엔 부적합하였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복수개의 풀리(20)를 설치하고, 와이어(60) 중간에 무게추(30)를 달아 장력을 인가하는 테이크-업(take-up)장치(40)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긴 와이어에도 대응이 가능하나 무게추(30)가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며 바람이 강할 때에는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에 직접 무게가 가해지므로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60)가 감긴 드럼(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50)을 마찰력으로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장치(80)가 구비되어, 와이어(60)가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50)에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60)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재질에 따른 마찰계수와 압력을 가하는 수직력의 곱으로 마찰력을 계산하여 제동력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제동력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마찰력을 이용하여 와이어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드럼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온도나 습도 등의 주변환경에 따라 변하는 변수이므로 항상 일정한 마찰력을 보장할 수 없어 와이어에 적정한 수준의 장력을 일정하게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 출원된 한국공개특허 10-2002-0074971호 및 10-2009-0070322 등의 문헌에 제시된 장력측정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는 금전상의 문제점이 있고, 장치가 와이어에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되므로 와이어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와이어는 드럼에 타래로 감겨있고, 와이어가 풀려나감에 따라 타래의 직경 또한 감소되며, 타래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 또한 변화되는데, 종래의 장력부여장치는 이러한 타래의 직경에 따라 제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없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좌우되는 부분이므로 항상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윈치에 와이어를 감을 때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 및 와이어 타래의 직경을 측정하여 와이어에 적정한 장력을 일정하게 부여할 수 있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면에 고정되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과 마찰하면서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제동력을 인가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과 상기 와이어 드럼에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릴 때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와이어 드럼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와이어 드럼 외주면과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 측으로 신축되어 마찰함으로써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모듈, 상기 브레이크 모듈에 제동력을 가할 때 반작용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을 측정하는 와이어 타래 직경측정센서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으로서 측정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와, 상기 타래 직경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와이어 타래 직경으로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고 있는 장력을 계산하며,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모듈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 인가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제동력을 가할 때 반작용에 의한 힘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브레이크 모듈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하우징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측면에 지지되는 브레이크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신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와이어 드럼과 마찰되어 와이어 드럼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 타래의 직경이 감소할수록, 상기 모듈에 가하는 제동력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와이어 드럼의 제동시 반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모듈이 밀리는 힘을 측정하여 제동력을 측정하므로 날씨나 습도 등의 환경조건에 의해 측정이 부정확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제동력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와이어에 직접 장력측정장치를 달지 않고 와이어 드럼의 제동시 반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모듈이 밀리는 힘을 측정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산출하므로 와이어에 직접 접촉을 통한 손상이 가해지지 않아 보다 안전한 장점이 있다.
셋째, 와이어 드럼의 제동시 반작용에 의해 브레이크 모듈이 밀리는 힘을 측정하여 제동력을 측정하며, 와이어 타래의 직경변화 또한 측정하여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을 계산하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이 일정하도록 피드백 제어하므로 와이어가 권출됨에 따라 타래의 직경이 줄어들어도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의 윈치에 와이어가 감기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테이크 업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마찰력으로서 크레인의 윈치에 감기는 와이어에 장력을 주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브레이크 유닛 중 브레이크 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와이어가 권출됨에 따라 와이어 타래의 직경이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는 크레인의 윈치에 와이어를 권취할 때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 드럼에서 와이어가 풀릴 때 장력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면 어디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프레임(110)과 브레이크 유닛(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 프레임(110)은 설치면인 지면 또는 크레인이 설치되는 선박의 갑판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와이어(60)가 감긴 와이어 드럼(50)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좌우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한편, 와이어 드럼(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중공의 홀(58)이 관통 형성되며 외주면에 와이어(60)가 감기는 보빈(52)과, 보빈(52)의 양측에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54)로 이루어진다. 즉, 보빈(52)에 와이어가 감긴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거치 프레임(110)은 그 상단에 와이어 드럼(5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58)을 관통하는 관통축(1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관통축(112)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회전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베어링(11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거치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조작패널(116)이 구비된다. 조작패널(116)에는 와이어(60)에 적용하고자 하는 장력의 수치나 제동력의 크기 및 와이어의 길이 등의 수치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및 현재상황 및 선택하거나 측정된 수치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유닛(150)은 거치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50)과 마찰하면서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50)에 제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드럼(50)에 감긴 와이어(60)가 권출됨에 따라 와이어 드럼(50)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과 와이어 드럼(50)에 실제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와이어(60)가 와이어 드럼(50)으로부터 권출될 때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와이어 드럼(50)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 유닛(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의 거치 프레임(1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110)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유닛(150)은 실질적으로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둘 중 어느 한 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브레이크 유닛(1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0)과 브레이크 모듈(170), 압력측정센서(180), 타래 직경측정센서(19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 모듈(170)은 하우징(160) 내부에 구비되고, 와이어 드럼(50)의 플렌지부(54)의 외주면 측으로 신축되면서 플랜지부(54)의 외주면과 마찰함으로써 와이어 드럼(50)의 회전에 제동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력측정센서(180)는 브레이크 모듈(170)이 와이어 드럼(50)에 제동력을 가할 때, 브레이크 모듈(170)이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50)에 제동력을 가하게 되면, 브레이크 모듈(170) 또한 와이어 드럼(50)의 회전방향으로 같이 회전하려 하는데, 이 때, 브레이크 모듈(170)은 하우징(160) 내부에 구비되므로 하우징(160)에 지지되면서 그 반작용에 의해 제동력만큼의 압력을 받게 되며, 이 때, 압력측정센서(180)는 브레이크 모듈(170)과 하우징(160)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방식은 마찰계수와 압력을 가하는 수직력의 곱으로 마찰력을 계산하여 제동력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온도나 습도 등에 의해 변하게 되는 마찰계수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마찰력이 아닌 마찰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의 반작용에 의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제동력을 산출하므로 온도, 습도 및 재질의 마모에 따른 마찰계수의 변화에 상관없이 제동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브레이크 모듈(17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타래 직경측정센서(19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프레임(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와이어(60)가 풀림에 따라 감소되는 와이어 드럼(50)에 감겨있는 타래(62)의 직경을 측정한다. 즉, 와이어 드럼(50)의 회전축의 위치와 타래 직경측정센서(190)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므로, 타래 직경측정센서(190)에서 와이어 타래(62)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와이어 타래(62)의 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타래 직경측정센서(190)는 레이저 및 적외선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을 이용하는 센서일 수 있다.
종래의 방식은 타래(62)의 직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제동력을 부여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타래(62)의 직경이 감소됨에 따라 제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6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측정센서(180)에서 측정된 압력으로서 제동력의 크기를 산출하며, 산출된 제동력의 크기와 타래 직경측정센서(190)에서 측정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의 데이터로서 와이어(60)에 작용되는 장력을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산출된 와이어(60)의 장력이 일정하도록 브레이크 모듈(170)을 제어하여 와이어 드럼(50)에 인가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전술한 조작패널(116)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브레이크 모듈(170)을 상세히 설명한다. 브레이크 모듈(170)은 브레이크 몸체(171)와 실린더(173), 브레이크 슈(175), 브레이크 패드(1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 몸체(171)는 하우징(160)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60)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실린더(17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브레이크 몸체(171)로부터 와이어 드럼(50)의 플렌지부(54)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173)는 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쉬운 공압방식의 실린더(173)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압이나 기타 다른 방식의 실린더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브레이크 슈(175: brake shoe)는 실린더(173)의 끝단에 구비되며, 와이어 드럼(50)의 플렌지부(54) 외주면 둘레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플렌지부(54)의 외주면 둘레와 브레이크 슈(175) 사이에는 브레이크 패드(177)가 구비된다.
브레이크 패드(177)는 마찰재로서 브레이크 슈(175)에 결합되어 실린더(173)의 신축에 따라 플렌지부(54)의 외주면 둘레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한편, 브레이크 몸체(171)는 브레이크 패드(177)가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50)의 플렌지부(54)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가할 때, 와이어 드럼(50)의 회전력이 실린더(173)를 통해 전달되어 브레이크 몸체(171)도 와이어 드럼(50)의 회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같이 회전하려는 힘을 전달받는데, 이 때, 브레이크 몸체(171)가 하우징(160) 내부에 지지되므로 그 제동력의 크기만큼 반작용에 의한 압력을 받게 된다.
반작용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몸체(171)는 와이어 드럼(50)에 제동력을 가할 때 브레이크 몸체(171)가 반작용에 의한 힘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몸체(171)가 슬라이딩 될 때 마찰력으로 힘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60)과 브레이크 몸체(171)의 사이에는 선형 베어링(178)이 구비될 수 있다. 선형 베어링(178)은 레일과 슬라이더로 이루어져 브레이크 몸체(171)에 작용되는 반작용에 의한 힘이 마찰력으로 소실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력측정센서(180)가 브레이크 몸체(171)와 하우징(160) 사이에 브레이크 몸체(171)가 반작용에 의해 밀릴 때 하우징에 지지되는 부분에 위치됨으로써 브레이크 몸체(171)가 제동시 반작용에 의해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73)가 신축할 때 이를 안내하는 실린더 가이드(179)가 브레이크 몸체(171)와 실린더(173) 사이에 실린더(173)의 신축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크레인(10)의 윈치(12)에 감기는 와이어(60)의 길이에 따라 와이어 드럼(50)의 직경 크기도 다양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 드럼(50)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프레임(110)에 구비된 브레이크 유닛(150)이 와이어 드럼(50)의 회전축으로부터의 직경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거치 프레임(110)에는 브레이크 유닛(150)의 하우징(160)이 승강 가능하도록 승강 레일(162)이 구비되며, 하우징(160)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16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압력측정센서(180)에서 측정된 압력으로서 제동력의 크기를 산출하며, 산출된 제동력의 크기와 타래 직경측정센서(190)에서 측정된 와이어 타래(62)의 직경의 데이터로서 와이어(60)에 작용되는 장력을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측정된 와이어(60)의 장력이 설정된 장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브레이크 모듈(170)의 실린더(173)를 제어하여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와이어(60)에 작용되는 장력은 아래 수학식1과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1070360293-pat00001
여기서, F는 제동력, r은 드럼(50)의 직경, R은 타래(62)의 직경이다. 드럼(50)의 직경(r)은 고정값이고, 타래(62)의 직경은 와이어(60)가 풀림에 따라 점점 작아지므로, 와이어(60)에 작용되는 장력(tension)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동력(F)을 감소시키면 된다. 제동력(F)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173)의 압력(예를 들어, 공압)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는 와이어(60)가 풀림에 따라 제동력은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와이어 드럼 52: 보빈
54: 플렌지부 58: 홀
60: 와이어 110: 거치 프레임
112: 관통축 114: 베어링
116: 조작패널 150: 브레이크 유닛
160: 하우징 162; 승강레일
164: 손잡이 170: 브레이크 모듈
171: 브레이크 몸체 173: 실린더
175: 브레이크 슈 177: 브레이크 패드
178: 선형 베어링 179: 실린더 가이드
180: 압력측정센서 190: 타래 직경측정센서

Claims (7)

  1. 설치면에 고정되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과 마찰하면서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제동력을 인가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과 상기 와이어 드럼에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릴 때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와이어 드럼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와이어 드럼 외주면과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 측으로 신축되어 마찰함으로써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모듈;
    상기 브레이크 모듈에 제동력을 가할 때 반작용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을 측정하는 와이어 타래 직경측정센서;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으로서 측정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와, 상기 타래 직경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와이어 타래 직경으로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고 있는 장력을 계산하며,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모듈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 인가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와이어 드럼에 제동력을 가할 때 반작용에 의한 힘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브레이크 모듈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하우징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측면에 지지되는 브레이크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신축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에 따라 와이어 드럼과 마찰되어 와이어 드럼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패드;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7. 설치면에 고정되며, 와이어가 감긴 와이어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과 마찰하면서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제동력을 인가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과 상기 와이어 드럼에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풀릴 때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와이어 드럼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거치 프레임의 와이어 드럼 외주면과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드럼 측으로 신축되어 마찰함으로써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모듈;
    상기 브레이크 모듈에 제동력을 가할 때 반작용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모듈이 밀리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변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 타래의 직경을 측정하는 와이어 타래 직경측정센서;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으로서 측정되는 상기 와이어 드럼에 작용되는 제동력의 크기와, 상기 타래 직경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와이어 타래 직경으로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고 있는 장력을 계산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 타래의 직경이 감소할수록, 상기 와이어 드럼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와이어에 작용되는 장력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브레이크 모듈에서 상기 와이어 드럼에 인가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020110091250A 2011-09-08 2011-09-08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01315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50A KR101315183B1 (ko) 2011-09-08 2011-09-08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50A KR101315183B1 (ko) 2011-09-08 2011-09-08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796A KR20130027796A (ko) 2013-03-18
KR101315183B1 true KR101315183B1 (ko) 2013-10-07

Family

ID=4817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50A KR101315183B1 (ko) 2011-09-08 2011-09-08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3927B (zh) * 2020-12-07 2023-08-22 北京三一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旋挖钻机的测深装置及旋挖钻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96B1 (ko) * 2000-06-27 2005-03-09 알제이에스코포레이션 마찰 밴드를 사용하는 자가보상식 필라멘트 장력 제어장치
KR101053397B1 (ko) * 2003-10-0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훅크레벨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크레인 교체와이어의길이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696B1 (ko) * 2000-06-27 2005-03-09 알제이에스코포레이션 마찰 밴드를 사용하는 자가보상식 필라멘트 장력 제어장치
KR101053397B1 (ko) * 2003-10-09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훅크레벨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크레인 교체와이어의길이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796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350B2 (en) Rope test stand
US7624967B1 (en) Opposed-rope hoist driven telescoping mast
KR101799377B1 (ko) 와이어 로프 스풀링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30187105A1 (en) Level wind assembly for a winch drum including a tensioning arm
RU2010131687A (ru) Кран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ES2948608T3 (es) Equipo de elevación y procedimiento para arrancar el mecanismo de elevación de dicho equipo de elevación
JP6565123B2 (ja) オートテンション機能を有するウインチ装置
KR20180086234A (ko) 로프를 윈치 드럼 상에 감기 위한 시스템 및 스풀링 장치
US10351395B2 (en) Damping device, damping system, vessel equipped with damping system and damping method
JP2010235332A (ja) 光ファイバ巻取装置及び光ファイバ巻取方法
KR101315183B1 (ko)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101315175B1 (ko)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20130019654A (ko) 윈치 장치용 센서 패키지
JP5057758B2 (ja) ワイヤリーリング設備のアンコイラ
JP4742014B2 (ja) ワイヤリーリング設備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4898770B2 (ja) ケーブルリールの制御装置、ケーブルリールの制御方法、及び、タイヤ式クレーン
JP5623794B2 (ja) 巻線用線材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装置及びそのバックテンション付与方法
KR20220117881A (ko) 테더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143682A (ja) ケーブルリールの制御装置、ケーブルリールの制御方法、及び、タイヤ式クレーン
KR101301986B1 (ko) 와이어로프 리빙용 텐션장치
WO2002038481A1 (fr) Dispositif de compensation d'allongement de cable principal pour ascenseur
KR101672382B1 (ko) 자기유변 브레이크를 이용한 와이어 장력 조절장치
KR20180089948A (ko) 평행 권사 장치 및 방법
CN203714937U (zh) 可测量卷径的主动放卷装置
CZ2001461A3 (cs) Způsob montáže trolejového drátu a stroj pro montáž trolejového veden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