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806B1 -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806B1
KR101314806B1 KR1020110055941A KR20110055941A KR101314806B1 KR 101314806 B1 KR101314806 B1 KR 101314806B1 KR 1020110055941 A KR1020110055941 A KR 1020110055941A KR 20110055941 A KR20110055941 A KR 20110055941A KR 101314806 B1 KR101314806 B1 KR 10131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pigs
cucumber
feed additive
addi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786A (ko
Inventor
오홍근
김옥진
강양규
서정훈
이학용
서민영
강영례
김정훈
이선자
Original Assignee
제너럴바이오(주)
(주)휴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바이오(주), (주)휴벳 filed Critical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11005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8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효성분은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인 대장균에 대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종래에 사용되어 온 대장균 감염 예방용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 뿐 아니라 나아가 건강한 식생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Animal feed containing powder and extracts of 5-Aminolevulinic acid, Sanguisorba officinalis L. and Rhus japonica L.}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돼지, 닭, 오리 등 가축을 사육할 때에는 영양소가 골고루 균형있게 배합 조제된 배합 사료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합 사료는 여러 가지 원료에 사료 첨가물을 첨가하여 사용 목적에 맞게 영양소를 배합 조제한 것으로 보존하기 좋고 사용법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배합 사료는 가축의 육종 사업, 사료 산업의 발전시켜 대규모 사양 방식으로의 전환을 가능케 하였으나, 생산성 위주의 육종으로 말미암아 가축은 스트레스 감수성이 증가하였고, 이에 가축의 질병 예방과 성장 촉진 목적으로 항생제의 사용이 불가피 하게 되었다.
한편, 병원성 대장균(E. coli)은 숙주의 세포를 파괴시키는 독소를 생산하는데, 대체로 소화기 질병을 특징적으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신적인 부종과 장기의 손상을 동반한다. 특히, 돼지 및 닭에서의 병원성 대장균의 감염에 의한 피해가 막대한 실정으로서, 닭의 경우 세균성 질병으로 인한 폐사 원인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가축의 주요 질병인 대장균 감염증을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대부분 항생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무분별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가축 뿐 아니라 가축을 사육하는 사람에게까지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가축 사용시 항생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균주가 급격히 증가되고, 항생제가 가축 뿐 아니라 가축을 사육하는 사람에게도 축적되어, 인체의 대사를 교란시킨다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항생제 사용규제라는 현실적인 법제화에 의하여, 항생제의 남용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항생제 이외에는 대장균 등의 병원균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항생제의 남용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만일,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축에 대한 대장균의 감염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된다면,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게 있어서, 하나의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물질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알려진 항균제들 보다 효과가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없는 생약성분을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의 혼합물이 배합된 사료의 급여가 양돈과 육계에서 대장균의 공격 접종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5-아미노레불린산; 및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가축 세균성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 및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과 오배자(Rhus japonica L.)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 및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과 오배자(Rhus japonica L.) 혼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은 가축의 면역력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동물의 경우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이 적혈구의 분화 및 숙성, 헤모글로빈의 증가 속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헤모글로빈은 4개의 철 원자에 각각 산소 한 분자씩이 결합되어 적혈구 내에 존재하며, 산소의 이동에 핵심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적혈구 및 헤모글로빈이 적어지면 빈혈이 발생하게 된다. 식물의 경우,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의 함량이 잎 내 엽록소의 성숙, 분화,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작물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도록 한다. 식물의 잎에 투여해 광합성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기능성 비료로 작용하며, 농도를 조절하면 원하는 식물의 종에만 작용하는 제초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전국의 산과 들과 같은 초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러 해 살이 풀이다.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자라 키가 1.5 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잎을 자르면 상큼한 오이 냄새가 나기 때문에 오이풀이라고 하며 타원형의 잎은 끝과 밑 부분이 둥근 모양인 잔잎 5 내지 11개가 모여 깃털처럼 달려있고, 가장자리는 3각형태의 톱니가 고르게 있다.
짙은 붉은색의 꽃은 7 내지 9월경 긴 꽃대에 꽃차례로 핀다. 꽃은 길이가 2.5 cm 정도이고, 꽃받침 4장, 수술은 4개이다. 4각형의 열매는 날개가 달린 형태로 10월에 익는다. 뿌리는 한방에서 지혈과 해독에 사용하며 각혈, 월경 과다, 산후 복통, 동상의 치료에 쓰이며, 피고름을 멎게 하고 제반 부스럼을 치료하며, 손상된 조직을 보충하고 칼 등에 손상된 상처를 치료하는 연고를 만들 수 있다. 주성분은 사포닌 배당체, 포몰린산(pomolic acid) 및 비타민 A이며, 탄닌(tannin) 성분을 무려 17%나 함유하고 있다. 한편 오이풀을 이용한 연구는 항균실험에서의 피부상재균인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병원성 세균(Staphylococcus epidemis)에 대해 뚜렷한 항균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조사를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보고 된 바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배자(Rhus japonica L.)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붉나무의 잎에 잔딧물이 자상을 주어 생긴 벌레집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약효로는 수렴, 지사, 지혈제로 설사, 가래, 당뇨, 하혈, 빈혈 등에 이용되었으며, 주요 성분으로 탄닌이 50 내지 60 %, 약간의 몰식자산, 수지, 기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발효추출물은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물을 미생물에 의한 발효 및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 추출물은 (a) 오이풀 및 오배자를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또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로로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발효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어진다.
상기한 발효 및 추출과정에서 발효 원료인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물을 미생물로 발효하기 이전에 발효 원료인 오이풀 및 오배자 각각의 수분 함량을 40 내지 60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발효 원료에 접종된 미생물이 잘 배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미생물을 접종하기 이전에 수분 함량이 적절하게 조절된 발효 원료를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어떠한 살균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고압 살균 방법, 고온 살균 방법 및 저온 살균 방법을 통하여 실시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100℃이상에서 10분 내지 30분간 고온으로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이풀 및 오배자는 1 : 9 내지 9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를 사용한다. 상기 미생물은 식용 미생물로 공지 되어있다. 상기 미생물에 의한 발효는 25 내지 45℃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과정에 의해 수득한 발효물은 4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 과정을 거친 다음에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된다.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추출용매도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다. 추출용매의 양은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발효물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배이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아미노레불린산 :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을 1 : 50 내지 50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의 함량이 5-아미노레불린산 1 중량 대비 5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함량이 500 중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혼합비로 제조된 조성물은 가축 세균성 질병 특히, 닭 또는 돼지에서 E.coli:o157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고, 이는 가축의 면역력을 높이고,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 병원체에 의한 세균성 질병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식육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으로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포함된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는 유효성분인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 이외에 항균성 보조성분 또는 기타 다른 보조성분들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축질병의 주요 원인인 대장균에 대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종래에 사용되어 온 대장균 감염 예방용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축산농가의 소득증대에 뿐 아니라 나아가 건강한 식생활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양돈의 세균성 질병 감염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군의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이고,
(A: 음성 대조군, B: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군)
도 2는 양돈의 세균성 질병 감염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급여군의 소장 상피세포를 보여주는 것이며,
(A: 음성 대조군, B: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군)
도 3은 양계의 세균성 질병 감염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군의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이고,
(A: 음성 대조군 (1), B: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군)
도 4는 양계의 세균성 질병 감염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급여군의 대한 간 조직을 보여주는 것이다.
(A: 음성 대조군(1), B: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급여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교 제조예] 열수 추출방법 및 농축
생약재인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과 오배자(Rhus japonica L.)는 깨끗한 물로 3회 이상 씻어준 다음, 열풍건조 또는 자연 건조시킨 후 재료로 이용하였다.
상기 오이풀과 오배자를 1: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분쇄한 다음, 분쇄된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분말 50 g과 증류수 500 ㎖를 넣고, 60℃에서 16시간 동안 추출 후, 다시 100℃에서 30분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추출액은 Advantec 1번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1차 여과 후 원심분리기(한일 Supra22KTM)를 이용하여 5,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후 침전시킨 상층액을 Advantec 1.00㎛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진공농축기(EYELA SB1000TM)를 이용 80℃ 온탕수조에서 10배로 감압 농축하였다.
[제조예]
(1)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 분말의 수득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과 오배자(Rhus japonica L.)는 깨끗한 물로 3회 이상 씻어준 다음, 열풍건조 또는 자연 건조시킨 후 재료로 이용하였다.
상기 오이풀과 오배자를 각각 50 g씩 잘게 분쇄한 후, 물을 가하여 오배자의 수분함량을 50 중량%로 조절하였다. 상기 수분함량 50 중량%를 갖는 오배자를 120℃에서 20분 동안 살균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 6 g을 접종시킨 후, 25℃에서 48시간 동안 호기 조건에서 발효시켰다. 그 다음, 50℃에서 30시간 동안 방치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분말을 수득하였다.
(2)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분말 10 g을 물 50 m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이틀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액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상의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 E. coli : o157 에 대한 최소억제 농도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에 대하여 상기 비교 제조예의 오이풀과 오배자 추출물, 제조예에서 제조한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발효추출물의 농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하게 조합하여 대장균(E. coli:o157, 서울대 수의과대학, 야외분리균주)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여 경제적으로 유효한 농도를 선정하였다.
하기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사용된 오이풀 발효 추출물 및 오배자 발효 추출물은 오이풀과 오배자 각각을 상기 제조예의 방법과 동일하게 발효 추출한 것을 이용한 것이다. 하기 표 1에 있어 비교 제조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오이풀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은 생략하였다. 이는 오이풀 및 오배자 각각의 추출물이 발효를 통해 성분에 대한 효능이 더욱 향상됨을 감안한 것으로, 오이풀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의 비교예는 생략한 것이다.
Figure 112011043619313-pat00001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10의 단독 처리구에서는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처리구(혼합 발효추출물 포함)와 비교하여 항균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혼합 처리구 중에서도 실시예 3 및 비교예 12의 농도 즉, 5-아미노레불린산 2 ppm에 대하여 상기 비교 제조예의 오이풀과 오배자 추출물, 제조예에서 제조한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발효추출물 400 ppm의 농도에서 복합 상승효과로 보이는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1043619313-pat00002
이에 실시예 3 및 비교예 12의 농도를 유효농도의 조성물로 선정하여,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를 혼합 조제하여, 하기 시험예의 시험군의 돼지 및 닭에 1일 4회 이상 급여하였다.
[ 시험예 ]
양돈 사양실험은 3원 교잡종(Durac ⅹYorkshire ⅹLandrace) 자돈 25두, 생후 1주일령을 사용하여 실험은 4주간 실시하였다.
육계 사양실험은 ㈜하림 부화장(전북,익산)에서 갓 부화한 초생추를 70수를 공급받아 부화 후, 1일차의 초생추를 사용하여 4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동물입수시 모든 동물의 일반 건강상태에 대한 수의학적 검역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는데 적합하도록 약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쳤다.
군분리 및 개체식별은 군간 체중이 고르게 군을 분리하고 다리에 유성펜으로 개체식별 표시를 하였다.
환경조건으로, 양돈실험은 cage 당 1두씩 수용, 양계는 10수씩 수용하였으며, 2주후에는 5수씩 분할 수용하였다. 온도는 27±2℃, 습도는 50±5%, 종일 환풍/시간, 전배기방식으로 환기하였다. 조명시간 및 명암주기는 12 hr 점등/12 hr 소등(오전 7시~오후 7시 조명), 조도는 150 내지 300 lux로 하였다.
(1) 양돈사양 및 양계사양 실험에서의 체중 및 폐사율 조사
상기 실시예에서 선정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양돈사양 및 양계사양 실험에서의 체중 및 폐사율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 표 3 및 표 4의 시험군으로 구성하였다.
Figure 112011043619313-pat00003
Figure 112011043619313-pat00004
그룹간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하였으며, 그룹간의 차이는 One-way ANOVA(Duncan 사후검정)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돈 사양실험의 경우, 2 주간 시험물질을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 한 뒤 E.coli를 비말(飛沫)로 공격접종 한 후 2주간 시험물질을 투여한 결과 음성 대조군의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시험물질 투여군(실시예 6 및 비교예 16)에서의 체중 감소량이 정상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폐사율에 있어서는 음성 대조군에서 1두가 공격접종 후 4일 후에 폐사하여 전체 5두중 (25%)의 폐사율을 나타내었다.
양계 사양실험의 경우는 2주간 시험물질 투약 후 Infectious Bursal Disease(IBD) vacine을 투여한 뒤 2일 후 E.coli를 비말로 공격 접종한 뒤 2주간 시험물질을 투여한 결과 체중의 변화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공격접종 후 음성 대조군 (1), (2)에서 폐사가 1수씩 발생하여 전체 12수 중 폐사율이 8.3%로 발생하였다. 시험물질 투여군(실시예 7 및 비교예 17)에서는 폐사가 발생하지 않았다.
(2) 양돈의 혈액 조사
상기 (1)의 양돈을 희생한 후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면역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혈검사를 수행하였다.
Figure 112011043619313-pat00005
상기 표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백혈구의 수치는 정상 대조군(7.64±1.89)에 비하여 음성대조군(10.61±4.55)이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16의 시험군에 비하여(16.4±6.14) 실시예 6의 시험군에서(19.87±5.63)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백혈구를 감별계상한 결과 중성호중구(neutrophile)는 실시예 6의 급여군에서(11.10±7.08) 비교예 16의 급여군(6.49±2.1)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림프구(Lymphocyte)에 있어서도 비교예 16의 시험군(2.94±2.68)에 비하여 실시예 6의 시험군(5.53±3.87)이 음성 대조군(2.54±0.97)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헤모글로빈에 있어서도 비교예 16의 시험군(10.02±1.05)에 비하여 실시예 6의 시험군(13.04±0.75)이 음성 대조군(9.63±1.6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소판에 있어서 비교예 16의 시험군(568.2±121.9)에 비하여 실시예 6의 시험군(768±187.77)이 음성 대조군(373.8±198.93)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5-아미노레불린산에 천연의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을 혼합 후,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함으로써 강력한 항균작용과 면역증진 작용에 대한 복합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오이풀과 오배자의 혼합 발효추출물이 오이풀과 오배자의 항균력을 더욱 증진시켜 가축의 면역력을 높이고,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 병원체에 의한 세균성 질병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식육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3) 조직 병리학적 변화 조사
상기 (1)의 양돈 및 양계를 희생시켜 시험물질 투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대장균을 감염시킨 양돈의 음성 대조군에서는 소장부위의 울혈과 부종 및 충혈이 관찰되었고, 폐장에서는 다수의 특발성 폐렴소견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5-아미노레불린산에 천연의 오이풀과 오배자 혼합 발효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이 첨가된 실시예 6의 시험군에서는 소장부위는 정상에 가까웠으며, 폐장에 가벼운 산발성 폐렴이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2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대장균을 감염시킨 음성 대조군의 소장 상피세포에서 괴사소견이 관찰된 반면, 실시예 6의 시험군에서는 가벼운 침윤이 발생하였으나 정상소견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균을 감염시킨 양계의 음성 대조군의 경우, 도 3 및 도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심한 섬유소성 복막염과 복막의 유착이 관찰되었으며, 폐장과 기낭 부위가 심하게 충혈된 예가 관찰되었고, 간에서 심한 염증세포 침윤, 간세포열이 깨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7의 시험군에서는 소장 및 폐장 부위 모두 정상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a) 5-아미노레불린산(5-aminolevulinic acid); 및
    b)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켜 추출한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과 오배자(Rhus japonica L.) 혼합 발효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와 b)의 혼합 중량비는 1 : 200 내지 300 중량비인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은
    오이풀 및 오배자를 아스퍼질러스 오라이제로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핵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은 오이풀 및 오배자가 1 : 9 내지 9 : 1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및 오배자의 수분함량이 각각 4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5 내지 45℃에서 24 내지 72시간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가축 세균성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닭 또는 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110055941A 2011-06-10 2011-06-10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KR10131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941A KR101314806B1 (ko) 2011-06-10 2011-06-10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941A KR101314806B1 (ko) 2011-06-10 2011-06-10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86A KR20120136786A (ko) 2012-12-20
KR101314806B1 true KR101314806B1 (ko) 2013-10-08

Family

ID=4790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941A KR101314806B1 (ko) 2011-06-10 2011-06-10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8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165A (ko) * 2008-10-09 2010-04-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5-아미노레불린산(ala)과 키토산 발효물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사료 조성물
KR20100089394A (ko) * 2009-02-03 2010-08-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165A (ko) * 2008-10-09 2010-04-1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5-아미노레불린산(ala)과 키토산 발효물의 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사료 조성물
KR20100089394A (ko) * 2009-02-03 2010-08-1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젖소 유방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86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88895B (zh) 一种防治肉鸡呼吸道疾病的中药益生菌复合制剂
CN104222658A (zh) 一种药用蚂蟥营养饲料及其制备方法
Sorwar et al. Effect of kalo jeera seeds and papaya leaf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KR102243591B1 (ko)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CN103039723A (zh) 一种肉鸡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645232A (zh) 一种治疗动物腹泻的中草药复合型饲料添加剂
KR20200066888A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Canogullari et al. Effects of propolis and pollen supplement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nents of Japanese quails
KR100920713B1 (ko) 설사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5313B1 (ko) 면역력 증진 및 악취제거용 애완동물 보조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5617367B (zh) 促进畜禽呼吸道健康酵素及其制备方法
CN116349794A (zh) 一种宠物鲜粮及其制备方法
KR101812705B1 (ko) 조류독감 및 구제역 억제기능을 갖는 사료첨가제
KR101326274B1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KR101314806B1 (ko) 5-아미노레불린산, 오이풀 및 오배자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양돈 및 양계용 사료 첨가제
KR100485057B1 (ko) 감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KR102254424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557869B1 (ko) 사료 첨가제
CN108853314B (zh) 防治青蛙歪头病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681343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неспецифической резистентности организма телят молочного периода кормления
Alallawee et al. Effect of diet supplement of dry peppermint leaves on performance, productive index and thyroid hormones in a broiler
KR100962236B1 (ko) 천연약용식물과 난황항체를 이용한 양돈용 사료첨가제 및그 제조방법
CN107581354A (zh) 一种抗菌和提高生物免疫力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Nazari et al. The influential medicinal plants in the livestock and poultry industry in the Iranian market: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