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869B1 -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869B1
KR100557869B1 KR1020040006898A KR20040006898A KR100557869B1 KR 100557869 B1 KR100557869 B1 KR 100557869B1 KR 1020040006898 A KR1020040006898 A KR 1020040006898A KR 20040006898 A KR20040006898 A KR 20040006898A KR 100557869 B1 KR100557869 B1 KR 10055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lum
feed additive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620A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정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헌주 filed Critical 정헌주
Publication of KR2005007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종래의 가축사료에 배합하여 사용할 경우 가축의 항균력, 증체율 및 사료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백반, 명반, 사료 첨가제, 항균, 증체, 사료 효율

Description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s}
본 발명은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활성 성분으로서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함유하며, 이에 추가로 어성초; 유기산 생성 미생물; 산미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료 첨가제는 가축의 증체율 향상, 사료의 효율성 증대 및 질병 예방 등을 목적으로 합성화학물질인 항생제 또는 항균제를 함유하도록 하여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사료 첨가제를 가축사료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축에 대한 약물 남용이며, 이로 인해 질병에 대한 가축의 면역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됨으로써 보다 강한 항생제를 요구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항생제 등의 약물은 가축의 체내에 잔류되기 때문에 이를 섭취하는 사람들의 건강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동물산업에서 소비자 및 생산자 모두를 위해 가축 및 인체에 무해한 항생제 및 항균제를 대신할 수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후보 물질의 연구 개발 및 효 능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3484호에서는 갑각류의 단단한 외피를 형성하는 천연물질인 키토산(chitosan)이 가축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질병을 예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키토산 용액을 질석 또는 탄산분말에 첨가한 사료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2-0093755호에서는 가축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면역세포를 증가시켜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가축의 증체 및 육질의 개선 등의 효과를 위해 알루미늄규산칼슘, 알루미늄규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액상 미네랄 제제, 솔잎, 생균제인 미생물 배양 배지 및 흑운모를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3-0000028호에서는 가축의 성장속도 향상 및 육질의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자화(磁化)된 자철광, 천매암 및 맥반석 등의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광물 분말 및 풀브산(fulvic acid) 함량이 높은 부식물질 등을 혼합시킨 사료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재된 사료 첨가제들은 활성 성분이 동물로부터 추출한 천연물질이거나 미네랄 성분을 주요성분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백반 및/또는 명반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조성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백반 및/또는 명반이 가축에 대한 항균력, 증체율 및 사료 효율 등을 향상시킨다는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백반 및/또는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조한 후 이를 종래의 사료에 배합하여 가축에 급여한 결과, 가축에 대한 항균력, 증체율 및 사료 효율 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중 하나인 "백반"은 수렴작용, 지혈작용, 항균작용 및 방부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한방에서는 방부 수렴제로서 해열, 해독, 지혈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백반은 일반식 MI·MⅢ(SO4)2·12H2O 또는 MⅠ2(SO4)·MⅢ 2(SO4)3·24H2O (MⅠ은 1가인 금속 이온 또는 암모늄 이온을 의미하며, MⅢ는 3가의 금속이온을 의미한다.)로 나타낼 수 있는 복염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1가 금속이온(MⅠ)이 K, 3가 금속이온(MⅢ)이 Al인 KAl(SO4)2·12H2O (칼륨알루미늄 백반); 1가 이온(MI)이 NH4, 3가 금속이온(MⅢ)이 Al인(NH4)Al(SO4)2·12H 2O(암모늄알루미늄 백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백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백반석 광물을 가공하여 제조된 투명 결정체로서 용이하게 분말화가 가능하고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함유되는 백반의 함량은 7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중 하나인 "명반"은 상기 기재된 백반으로 사용 가능한 복염을 열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한 것으로서, 백반과 마찬가지로 지혈제 또는 수렴제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반은 상기 기재된 백반으로 사용 가능한 복염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결정화시킨 후,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거나 분말화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백반의 가열온도는 약 100 내지 200℃가 바람직하며, 가열시간은 약 20 내지 3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함유되는 명반의 함량은 7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중량%이다.
한편, 상기 백반 및 명반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백반 대 명반의 중량비가 약 1 : 1이 되도록 혼합하여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첨가되는 백반 및 명반 혼합물의 함량은 7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은 어성초; 유기산 생성 미생물; 산미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추가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한 성분인 어성초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중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어성초는 삼백초과의 다년초로서 높이는 50 내지 100㎝ 정도이고 잎, 꽃, 뿌리가 희다하여 '삼백초'라고도 불리우며 한방에서는 항암제 및 이뇨제로 주로 사용된다. 어성초의 주요 성분으로는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 플라보노이드 (이소쿠에르치트린, 쿠에르치트린, 루틴), 크로로필(엽록소), 칼륨염, N-4-하이드록시-스칠린, 벤자민, 게르마늄, 염소-비타민B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시된 어성초의 성분들의 주요 효능을 살펴보면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는 항균, 항바이러스 및 진균 억제작용을 하며, 플라보노이드 (이소쿠에르치트린, 쿠에르치트린, 루틴)는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강심작용, 배변작용, 모세혈관 강화작용에 효과가 있고, 크로로필(엽록소)은 육아조직 재생작용, 위궤양 억제작용을 하며, 칼륨염은 이뇨촉진작용, 체내과잉염분(Na)배출작용을 하며, N-4-하이드록시-스칠린과 벤자민은 혈소관응집억제작용, 혈관유연성작용, 혈압조정작용에 효과가 있고, 게르마늄은 혈액정화작용, 항암작용을 하고, 염소-비타민B는 위액정화작용, 혈당강하작용, 노화방지작용, 적혈구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어성초는 줄기 및 잎 등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추출용매에 어성초 분쇄물을 침적시킨 다음 여과 등의 방법으로 어성초 추출액을 수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또 다른 성분인 유기산 생성 미생물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산 생성 미생물은 가축의 장내의 pH를 저하시켜 소화기능을 조절하며 및 소화관내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산 생성 미생물로는 스트렙토코쿠스 균 속 (Streptococcus sp.) 또는 락토바실서스 균 속 (Lactobacillus sp.)에 해당되는 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균 속에 해당되는 종균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산 생성 미생물은 종균 자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대두박; 쌀겨; 포도당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배지에 종균을 직접 접종하여 증식, 배양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또 다른 한 성분인 산미제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중량%임을 특징으로 한다.
산미제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에 첨가되어 사료의 효율 증대, 보존 및 산화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미제로는 구연산; 초산; 호박산; 사과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산미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시된 각 성분을 유효량으로 첨가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 양태로서, 백반 또는 명반 75 내지 95중량%, 첨가제로서 어성초; 유기산 생성 미생물; 산미제 중 선택되는 성분을 1 내지 10중량% 및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대두분말 또는 옥수수분말을 1 내지 10중량%로 혼합하여 배합기에 넣어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첨가한 경우, 발효를 위해 온도는 30 내지 50℃로 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호밀, 대두박, 우지, 식염, 석회 및 비타민제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 통상적인 배합사료에 상기 사료 첨가제를 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배합사료에 함유되는 사료 첨가제의 중량은 일반적으로 배합사료 100㎏ 당 0.1 내지 1㎏ 이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가축류 또는 어류의 사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축류, 특히 돼지 또는 가금류의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사료 참가제의 활성 성분인 명반의 항균 활성 측정.
물 1ℓ에 명반(안진약품, 대한민국) 2g, 4g 및 10g을 각각 첨가하여 0.2%, 0.4% 및 1% 명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명반 수용액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균주로는 대장균 O157 (E. coli O157, ATCC 43888) 및 살모넬라 엔테리티디 스 (Salmonella enteritidis, ATCC 13076)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를 배양하기 위해 각 균주를 생리식염수 2㎖에 접종한 후, 혼탁도를 측정하는 키트인 API 키트(태평양 사이언스,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McFarland No. 0.5 정도로 희석하여 균주를 준비하였다. 상기 희석된 균주용액에 미리 제조한 0.2%, 0.4% 및 1% 명반 수용액을 각각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뒤에 선택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 후 48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에 각 균주의 집락 계수 및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는 명반 수용액을 가하지 않은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장균 O157 균주의 집락 계수 (CFU : colony forming unit)
대조구 0.2% 명반 수용액 처리구 0.4% 명반 수용액 처리구 1% 명반 수용액 처리구
24시간 경과 후 2240±125 725±35 312±25 98±5
감소율 - 67.7% 86.1% 95.6%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균주의 집락 계수 (CFU : colony forming unit)
대조구 0.2% 명반 수용액 처리구 0.4% 명반 수용액 처리구 1% 명반 수용액 처리구
24시간 경과 후 2260±160 880±42 413±33 113±16
감소율 - 65.6% 83.8% 95.6%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활성 성분 으로 함유되는 명반은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명반 또는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
명반(안진약품, 대한민국) 0.85Kg, 어성초 분말을 가공하여 수득한 추출액(경동시장 분말가공, 대한민국) 0.05Kg, 락토바실러스 배양 건조물(청미바이오, 대한민국) 0.02Kg, 구연산 분말(대한화공약품, 대한민국) 0.03Kg 및 대두분말 0.05Kg를 믹서배합기에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1kg의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명반 대신 백반(안진약품, 대한민국)을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중량비로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명반 또는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가 배합된 사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사료 100kg 당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0.2㎏을 배합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사용된 배합사료로는 큰 병아리 사료(CJ 배합사료, 대한민국), 어린돼지 대용유(조단백질(CP) 21%, 조섬유(CF) 10%, CJ배합사료, 대한민국) 및 젖뗀돼지 1(조단백질 21%, 조섬유 6%, CJ 배합사료, 대한민국)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사료 100㎏ 당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0.2㎏을 배합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사용된 배합사료로는 육계후기 사료(삼양사 배합사료, 대한민국)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육계 사료 조성물의 활성 측정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맹장 콕시듐증을 유발시킨 육계에 급여하여 임상증상(혈변지수), 생존율, 병변지수, 증가체중, 증체율, 사료 효율 및 분변내 충란수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육계는 1일령의 육계 90마리((주) 체리부로, 대한민국)를 암수 구분없이 30마리씩 각각 실험군 A, 실험군 B, 대조군으로 분리한 후 13일령이 될 때까지 사육하였다. 또한 13일령이 될 때까지 실험군 A, B 및 대조군에 맹장 콕시듐병 원인체인 아이메리아 테넬라 (E. tenella)의 충란수를 각각 600개씩 큰 병아리 사료에 혼합한 것을 급여하여 감염시켰다. 상기 아이메리아 테넬라는 35일령 육계의 맹장에서 분리한 기생충으로서 2% 중크롬산칼륨 용액으로 포자(충란)를 형성시킨 후 2 내지 5℃에서 냉장 보관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 군에 급여되는 사료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군 A는 항균 활성이 있 는 황금 추출물(충북대학교, 대한민국)이 포함된 큰 병아리 사료를 급여하였고, 실험군 B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큰 병아리 사료를 급여하였고, 대조군은 황금, 항콕시듐제 및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큰 병아리 사료를 급여하였다.
사육형태는 자유급식으로 케이지 사육하였으며, 사육일수는 최종 34일령이 될 때까지 사육하였다. 사육시 각 군의 비교를 위해 측정한 항목은 다음과 같다.
⑴ 임상증상(혈변지수): 감염 후 3일부터 7일까지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혈변지수는 -, ±, +, ++ 및 +++ 로 분류하였다. 분류는 분변 중 혈변이 차지하는 비율이 25%이하(-), 25%(±), 26 내지 50%(+), 51 내지 75%(++) 및 75%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⑵ 생존율: 실험시작시 육계의 수에서 실험종료시 육계의 생존수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⑶ 병변지수: 감염 후 만 5일째 부검하여 측정하였다. 병변지수는 맹장내 출혈정도를 기준으로 -, ±, +, ++ 및 +++ 로 분류하였다.
⑷ 증가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 감염 21일 후(34일령)에 육계의 체중을 측정하여 증체율을 계산하였고, 사료 효율도 감염 후 21일 후(34일령)에 측정하였다.
⑹ 분변내 충란수: 감염 후 5일, 6일 및 10일째에 분변을 수거하여 EPG(eggs per gram)로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항목을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내었다.
임상증상(혈변지수), 생존율 및 병변지수 측정결과
임상증상(혈변지수) 생존율(%) 병변지수
3일 후 4일 후 5일 후 6일 후 7일 후
실험군 A - - + ± - 87 +
실험군 B - - + + - 97 +
대조군 - - + + - 100 +
증가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 측정결과
증가 체중(g) 증체율(%) 사료 효율 대조군 대비(%)
실험군 A 533 43 3.67 -8.2
실험군 B 580 47 3 11%
대조군 488 40 3.37
분변내 충란수
분변내 충란수(×1000) 전체 충란수(%)
5일 후 6일 후 10일 후
실험군 A 0 9 2 11
실험군 B 0 5 0 5
대조군 0 1 5 6
상기 표 3 내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3에서 혈변지수 및 병변지수를 비교해 보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존율을 비교해 보면 실험군 A에서는 30마리 중 4마리가 폐사하였고, 실험군 B에서는 30마리 중 1마리가 폐사하였다. 즉 맹장 콕시듐증에 대한 저항력은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 조성 물이 황금을 함유한 사료 조성물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4에서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비교해 보면 실험군 B의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 조성물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표 5에서 분변내 충란수를 비교해 보면 실험군 B에서 충란수가 적었으므로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 조성물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이유자돈 사료 조성물의 활성 측정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이유자돈 사료에 배합하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유자돈, 즉 젖을 뗀지 얼마되지 않은 돼지에 급여하여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유자돈은 18일령의 이유자돈 56마리를 28마리씩 각각 실험군로 분리한 후 13일령이 될 때까지 사육하였으며, 상기 각 군에 급여되는 사료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군에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함유시킨 30㎏의 어린돼지용 대용유 및 70㎏의 젖뗀돼지 1을 혼합한 사료 100㎏을 급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항생제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CTC), 설파, 페니실린 G 등 200g), 소화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프로테아제 등 200g) 및 생균 제 (락토바실러스 균 속, 효모 등 200g)를 함유한 30㎏의 어린돼지용 대용유 및 70㎏의 젖뗀돼지 1을 혼합한 사료 100㎏을 급여하였다.
사육장소 및 이유자돈의 공급은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의 농장에서 제공하였으며, 이유자돈 사육시 각 군의 비교를 위해 측정한 항목은 이유자돈의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이며 상기 측정항목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 측정결과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대비
28마리 시험개시 체중 178㎏ 178㎏
마리당 평균개시 체중 6.4㎏ 6.4㎏
사료 섭취량 100㎏ 100㎏
28마리 시험종료 체중 249㎏ 255㎏ 6㎏ 상승
마리당 평균종료 체중 8.9㎏ 9.1㎏ 0.2㎏ 상승
28마리 시험기간 증체량 71㎏ 77㎏ 8% 상승
마리당 시험기간 증체량 2.53㎏ 2.75㎏ 8%
사료 효율 1.41㎏ 1.29㎏ 8.6% 상승
폐사한 마리수 없음 없음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비교해 보면 실험군의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명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 조성물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이유자돈의 설사 및 연변을 관찰한 결과, 설사는 없었으며 대조구보다 실험구의 분변 상태가 질지 않고 양호하였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유 후의 역성장 여부를 관찰한 결과, 피모 상태가 양호하였으므로 역성장은 없었다.
실시예 6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육계 사료 조성물의 활성 측정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육계후기 사료에 첨가하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맹장 콕시듐증을 유발시킨 육계에 급여하여 증가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1일령 육계 80마리를 40마리씩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분리한 후 14일령이 될 때까지 사육하였다. 또한 14일령이 될 때까지 실험군 및 대조군에는 아이메리아 테넬라의 충란수를 각각 1×105개씩 육계후기 사료에 혼합한 후 급여하여 감염시켰다.
상기 각 군에 급여되는 사료는 다음과 같았다. 실험군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육계후기 사료를 급여하였고, 대조군은 항콕시듐제 및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하지 않은 육계후기 사료를 급여하였다.
사육형태는 자유급식으로 케이지 사육하였으며, 사육일수는 최종 14일령이 될 때까지 사육하였다. 사육시 각 군의 비교를 위해 측정한 항목은 감염 14일 후(14일령) 측정한 육계의 증가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이며 상기 측정항목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체중, 증체율 및 사료 효율 측정결과
증가 체중(g) 증체율(%) 사료 효율 대조군 대비(%)
실험군 86.67 84 3.15 30%
대조군 71.67 69 4.10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비교해 보면 실험군의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백반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 조성물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배합한 사료 조성물은 가축의 항균력, 증체율 및 사료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Claims (11)

  1.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과 어성초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2.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산 생성 미생물 단독 또는 산미제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3. 제 2항에 있어서, 유기산 생성 미생물이 스트렙토코쿠스 균 속(Streptococcus sp.)에 해당되는 종균; 락토바실서스 균 속 (Lactobacillus sp.)에 해당되는 종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종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4. 제 2항에 있어서, 산미제가 구연산; 초산; 호박산; 사과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5. 제 1항에 있어서, 백반 단독 또는 명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의 함량이 75 내지 95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6. 제 1항에 있어서, 어성초의 함량이 1 내지 1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유기산 생성 미생물의 함량이 1 내지 1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8.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산미제의 함량이 1 내지 1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9. 제 1항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사료 첨가제의 중량은 통상적인 배합사료 100㎏ 당 0.1 내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사료 조성물이 가축류 또는 어류의 배합사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조성물.
KR1020040006898A 2004-01-31 2004-02-03 사료 첨가제 KR100557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438 2004-01-31
KR20040006438 2004-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620A KR20050078620A (ko) 2005-08-05
KR100557869B1 true KR100557869B1 (ko) 2006-03-10

Family

ID=3726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898A KR100557869B1 (ko) 2004-01-31 2004-02-03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74B1 (ko) * 2013-04-09 2014-07-17 홍석준 가축용 사료첨가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89B1 (ko) * 2005-03-10 2006-04-07 김강민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사료와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돈육(豚肉)
CN103704482B (zh) * 2013-12-31 2016-01-13 南方医科大学 一种禽畜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06658B1 (ko) * 2016-07-04 2019-08-02 박승구 유황성분을 가진 광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102006756B1 (ko) * 2017-05-22 2019-08-02 박승구 유황성분이 풍부한 광물을 포함하는 식물성장촉진용 첨가제
KR102242735B1 (ko) * 2019-08-08 2021-04-21 주식회사 팜스킹코리아 동물용 사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74B1 (ko) * 2013-04-09 2014-07-17 홍석준 가축용 사료첨가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620A (ko) 200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628B (zh) 利用枯草芽孢桿菌(Bacillus subtilis)菌株增進動物健康之方法
CN101917984B (zh) 用于预防和治疗动物中由革兰氏阳性细菌引起的感染的乳酸羧酸酯
KR101536901B1 (ko)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20020019059A (ko) 박테리아 균주, 식물 가공 추출물, 및 인간 및 수의학적사용을 위한 생균활성 조성물
CN100556292C (zh) 植物源饲用抗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484879A (zh) 饲料添加剂、无抗生素饲料及其应用
KR20130111854A (ko) 동애등에 유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663570B1 (ko)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KR20150036295A (ko) 항균성 미량원소 킬레이트 및 동물사료에서의 이들의 이용
KR20190071207A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KR101791549B1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조성물
Mohammad Effect of adding different levels of cinnamon (Cinnamomum sp.) on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criteria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KR100887334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 또는 갑각류양식용 사료첨가제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0557869B1 (ko) 사료 첨가제
JP2006169197A5 (ko)
KR101127453B1 (ko) 감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100951273B1 (ko) 가축설사 억제제로써 죽엽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생물활성액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80131948A (ko) 슈도모나스 익스트리모리엔탈리스 균주 kacc 81047bp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58353A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34868B1 (ko) 흰점박이꽃무지 코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N108041299A (zh) 一种无抗仔猪配合饲料
CN107821822A (zh) 猪养殖用绿色饲料添加剂
KR102457366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