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820B1 -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 Google Patents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820B1
KR101313820B1 KR1020110115734A KR20110115734A KR101313820B1 KR 101313820 B1 KR101313820 B1 KR 101313820B1 KR 1020110115734 A KR1020110115734 A KR 1020110115734A KR 20110115734 A KR20110115734 A KR 20110115734A KR 101313820 B1 KR101313820 B1 KR 10131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ilter
cabinet body
painting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590A (ko
Inventor
김정인
김문조
최양호
Original Assignee
김정인
최양호
김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인, 최양호, 김문조 filed Critical 김정인
Priority to KR102011011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8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80Movable 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35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ith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s by gas flow, e.g. blast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2Vehicle bodies, e.g. after being pa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관한 것으로, 콤푸레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서 수분, 오일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정화기에 연결되어 정화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호스와, 상기 공압호스의 끝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페인트를 안개처럼 분사하여 자동차 바디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스프레이 건이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는,
저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캐비넷 본체와;
상기 캐비넷 본체의 일측에는 전면을 향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면개폐문의 안쪽으로 복수의 필터가 여러 겹으로 설치되어 있는 필터실과;
상기 필터실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실 상부에는 복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캐비넷 본체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캐비넷 본체 상방의 배풍구로 배출시키는 환기용 팬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타측에는 측방을 향해 개폐가능하도록 측면개폐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각종물품 수납실 및 공구수납실과 함께 측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장치와;
상기 필터실과 콘트롤장치 사이에는 캐비넷 본체의 전방 및 상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개방수납실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상면 후방 코너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대경각봉과 상기 대경각봉 속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간각봉 및 소경각봉으로 구성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소경각봉 선단에 매달린 상태로 연결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에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적외선히터로 구성되어 상기 개방수납실에 수납 및 출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건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Movable spray painting booth for body paint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바디 일부를 부분도색할 때 도장용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안개처럼 분사되는 페인트의 대부분은 자동차 바디에 칠해지는 한편, 일부는 분진 상태로 대기중에 비산될 때 그 비산되는 페인트 입자를 전량 포집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 바디에 칠해진 페인트를 적외선 램프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열선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바디에 페인트를 칠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크게 형성된 도장부스에서 도장작업을 하고 있으며, 또한 기존의 도장부스 내부에는 자동차 바디에 도장된 페인트를 단시간 내에 건조하기 위하여 적외선 열선을 방사하는 적외선히터가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자동차 도장부스는 그 내부로 진입한 자동차를 정지시켜 놓은 상태에서 도장작업을 진행하게 될 때 도장부스의 출입문과 창문 등을 닫아놓고 도장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도장작업시 스프레이 건에서 안개처럼 분사되는 페인트를 자동차 바디에 칠해주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한 스프레이 건에서 안개처럼 분사되는 페인트 입자의 전부가 바디에 부착되지 않고 일부는 도장부스 내부에 비산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지만, 도장부스 내부에서 부유하게 되는 페인트 입자들은 바닥에 설치된 분진흡입통로에서의 공기 흡입작용에 의해 상기한 분진흡입통로로 흡입되어 분진포집필터 등에 포집되고, 페인트 입자가 여과 처리된 정화된 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도장부스에서 도장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에는 페인트 입자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도장부스 주위에 페인트 입자로 인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장부스는 자동차 바디 전체를 도장하는 데에는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고 하겠지만 자동차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도장하는 데에는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자동차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도장할 때에도 도장부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켜야 하므로 도장부스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적외선히터 전부를 가동시키게 되므로 사용전력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도장부스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분진흡입통로로 통해 도장부스의 내부 공간 전체로 비산되어 부유하는 페인트 입자를 전량 흡입하기 위한 대용량의 환기용 팬을 가동시켜야 하므로 이에 소요되는 전력사용량도 커지게 된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 도장할 때에도 자동차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설치된 고가의 도장부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비경제적이라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동차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도장하고자 할 때에는 자동차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도장용 스프레이 부스 자체를 자동차 주위로 이동시켜서 도장하고자 하는 부위를 부분도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도장용 스프레이 건에서 안개처럼 분사되는 페인트로 자동차 바디의 일부를 부분 도장할 때 자동차 바디에 부착되는 페인트는 적외선히터에서 방출되는 열선으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차 바디에 부착되지 않고 공기 중에 비산되는 페인트 입자를 전량 흡입 및 여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콤푸레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서 수분, 오일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정화기에 연결되어 정화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호스와, 상기 공압호스의 끝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페인트를 안개처럼 분사하여 자동차 바디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스프레이 건(spray gun)이 구비되어 있는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도장부스는,
저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캐비넷 본체와;
상기 캐비넷 본체의 일측에는 전면을 향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면개폐문의 안쪽으로 복수의 필터가 여러 겹으로 설치되어 있는 필터실과;
상기 필터실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실 상부에는 복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캐비넷 본체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캐비넷 본체 상방의 배풍구로 배출시키는 환기용 팬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타측에는 측방을 향해 개폐가능하도록 측면개폐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각종물품 수납실 및 공구수납실과 함께 측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장치와;
상기 필터실과 콘트롤장치 사이에는 캐비넷 본체의 전방 및 상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개방수납실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상면 후방 코너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대경각봉과 상기 대경각봉 속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간각봉 및 소경각봉으로 구성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소경각봉 선단에 매달린 상태로 연결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에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적외선히터로 구성되어 상기 개방수납실에 수납 및 출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건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넷 본체의 필터실에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그라스울필터, 이중종이필터, 메디아필터, 활성탄소필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종이필터는 단면이 둔각을 이루는 톱니모양으로 절곡된 전면종이필터와 단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톱니모양으로 절곡된 후면종이필터가 중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종이필터에는 후면종이필터의 내측을 향해 둔각상으로 절곡된 톱니모양의 꼭지점 부분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종이필터에는 예각상으로 절곡된 톱니모양의 꼭지점 부분을 기준하여 양측 경사벽 중 일측 경사벽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활성탄소필터는 직경이 2∼5mm이고, 길이가 6∼10mm 정도의 펠릿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건조장치는 수직기둥의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도르레와, 상기 도르레에 연설되어 일단은 수직기둥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수직기둥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결줄과, 상기 수직기둥의 내측에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줄의 일단에 연결되는 균형추와, 상기 수직기둥을 감싼 상태로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줄의 타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붐대의 소경각봉 선단이 연결되는 승강구와, 상기 승강구에 고정 부착된 고정너트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틀체에 상,하 복수단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적외선히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붐대는 대경각봉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중간각봉 및 소경각봉들을 출몰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대경각봉의 도중 상면에는 하나의 상부 고정핀이 내부를 향해 하향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각봉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한 상부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대경각봉에서 일정길이로 출몰하도록 제어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소경각봉의 출몰길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중간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각봉의 상면 일측에는 일단이 개방된 개구장공이, 타측에는 수직기둥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핀축이 연결되는 핀조립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장공과 핀조립공 사이에는 폐구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붐대의 대경각봉 일측면에는 캐비넷 본체의 상면에 호형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뚫어져 있는 복수의 조절공 각각에 탄력적으로 걸림되도록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볼이 내장되어 있는 붐대조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적외선 건조장치를 캐비넷 본체의 개방수납실에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부분도장을 하고자 하는 자동차가 정차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의 캐비넷 본체를 이동시켜서 부분도장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바디의 전,후,좌,우 어느 부분이든지 쉽게 부분도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부분도장시에는 적외선 건조장치에 형성된 복수의 적외선히터를 도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근접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적외선히터들이 도장부위를 향해 집중적으로 적외선열선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부분도장된 페인트를 단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부분도장작업시에는 캐비넷 본체에 설치된 환기용 팬의 흡입작동에 의해 상기 캐비넷 본체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필터실에 차례대로 장착되어 있는 여러 겹의 그라스울필터, 이중종이휘터, 메디아필터, 활성탄소필터를 통해 캐비넷 본체의 전방에서 부분도장작업을 할 때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페인트 입자를 흡입, 여과하여 페인트 입자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므로써 부분도색이 진행되는 도장현장 주위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외선 건조장치가 수납 보관된 상태 및 필터실의 일측 개폐문을 열어놓은 상태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외선 건조장치가 캐비넷 본체의 개방수납실에 수납 보관된 상태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외선 건저장치가 캐비넷 본체의 개방수납실에 수납 보관된 상태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외선 건조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적외선 건조장치가 매달리는 붐대의 대경각봉, 중간각봉, 소경각봉의 분리사시도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캐비넷 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캐비넷 본체(1)의 저부에는 이동용 바퀴(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도 1의 도면상 좌측)에는 복수의 필터가 여러 겹으로 설치되는 필터실(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넷 본체(1)의 내부 타측(도 1의 도면상 우측)에는 콘트롤장치(3)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또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 등의 각종물품을 수납하는 물품수납실(3a) 및 여러가지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수납실(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넷 본체(1)에는 복수의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실(2)과 콘트롤장치(3) 사이에는 전방 및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개방수납실(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실(2)에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전면개폐문(11)이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실(2)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그라스울필터(2a), 이중종이필터(2b), 메디아필터(2c), 활성탄소필터(2d)의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이중종이필터(2b)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단면이 둔각을 이루도록 톱니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전면종이필터(21)와 단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톱니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후면종이필터(22)가 중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종이필터(21)에는 후면종이필터(22)의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하는 꼭지점(21a) 부분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흡입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종이필터(22)에는 예각상으로 절곡된 꼭지점(22a)을 형성하는 양측 경사벽 중 일측 경사벽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중종이필터(2b)는 전면종이필터(2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흡입공(23)과 상기 후면종이필터(2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24)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디아필터(2c)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이중종이필터(2b)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페인트 입자 및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며, 상기 활성탄소필터(2d)는 직경이 2∼5mm이고 길이는 6∼10mm 정도의 펠릿형태로 압출 성형된 탄소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메디아필터(2c)를 거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성분을 비롯하여 유기용매의 악취 등을 흡착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 본체(1)의 필터실(2) 후방 상부에는 필터실에 설치된 각 필터를 통해 캐비넷 본체(1)의 전방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캐비넷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배풍구(12)를 통해 대기로 배출시키는 환기용 팬(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환기용 팬(5)은 캐비넷 본체(1)의 후면에 설치된 모터(51)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 본체(1)의 필터실(2) 후방측에는 별도 설치된 콤푸레샤(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상기한 콤푸레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나 오일 등을 걸러내는 공기정화기(13)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환기용 팬(5) 하측에는 상기 공기정화기(13)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공압호스(6)가 수납되는 호스수납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스수납실(14)에 수납되어 있는 공압호스(6)의 자유단에는 압축공기와 함께 안개처럼 분사되는 페인트를 자동차 바디에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 건(6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수납실(14)에는 개폐문(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 본체(1)의 타측(도면상 우측)에는 그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콘트롤장치(3)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콘트롤장치(3)는 본 발명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비롯하여 자동차 바디에 페인트를 도장하기 위하여 입력된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각종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 본체(1)의 타측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콘트롤장치(3)와 함께 물품수납실(3a) 및 공구수납실(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품수납실(3a)과 공구수납실(3b) 각각에는 측면개폐문(16,17)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 본체(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개방수납실(4)에는 자동차 바디에 도장되는 페인트를 건조하기 위한 적외선 건조장치(7)가 수납된다.
상기 적외선 건조장치(7)는 물품수납실(3a)이 위치하는 캐비넷 본체(1)의 코너부분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붐대(7a)와, 상기 붐대(7a)에 수직상으로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수직기둥(7b)과, 상기 수직기둥(7b)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적외선히터(7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장치(7)의 붐대(7a)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붐대(7a)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경각봉(71), 중간각봉(72), 소경각봉(73)이 조립된 구조로 구성되는데, 상기 대경각봉(71)이 가장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각봉(72)이 중간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경각봉(73)이 제일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붐대(7a)는 대경각봉(71)의 내경 속에 중간각봉(72)이 출몰가능하게 삽입 조립되고 상기 중간각봉(72) 속으로는 소경각봉(73)이 출몰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대경각봉(71)에 삽입 조립되는 중간각봉(72)이 대경각봉(71)에서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출몰길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대경각봉(71)의 양단 사이의 중간부분 상면에 형성된 핀구멍(711)으로 상부 고정핀(712)이 내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중간각봉(72)의 상면에는 대경각봉(71)의 핀구멍(711)으로 삽입된 상부 고정핀(712)이 관통하는 장공(7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장공(721)은 도 10의 도면상으로 볼 때 우측방향으로 편중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고정핀(712)에 걸림되는 작용으로 상기 중간각봉(72)의 출몰작동 길이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중간각봉(72)에는 도면상 좌측부분에 형성된 핀구멍(722)으로 중간 고정핀(723)이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소경각봉(73)은 중간각봉(72)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소경각봉(73)의 상면에는 상부 고정핀(712)과 중간 고정핀(723)을 수용하는 복수의 장공(731,73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 고정핀(712)이 수용되는 하나의 장공(731)의 일단은 도 10의 도면상으로 볼 때 소경각봉(73)의 우측단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장공(732)은 양단이 폐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붐대(7a)의 소경각봉(73)의 선단은 수직기둥(7b)의 상부 일측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70)에 연결되는데, 상기 브라켓(70)은 단면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붐대(7a)의 소경각봉(73) 선단에는 브라켓(7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핀조립공(7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70)에 조립되는 핀축(734)은 상기 소경각봉(73)의 선단에 형성된 핀조립공(733)을 관통하는 상태로 브라켓(70)에 고정 부착되어 붐대(7a) 및 수직기둥(7b)은 상기한 핀축(734)를 회전기점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붐대(7a)의 대경각봉(71)은 중간각봉(72) 및 소경각봉(73)이 출몰하도록 조립된 반대측 단부에는 힌지브라켓(74)이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브라켓(74)은 캐비넷 본체(1)의 상면에 돌출하도록 고정 설치된 힌지볼트(74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장치(7)의 수직기둥(7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직기둥(7b)의 내측에는 균형추(75)가 상,하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내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기둥(7b)의 상부 내측에는 도르레(7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도르레(76)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도르레(76)에 연결되는 연결줄(77)의 일단은 수직기둥(7b)의 내부에서 균형추(75)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직기둥(7b)의 외부에서 상기 수직기둥(7b)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기둥(7b)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승강구(78)에 연결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상기한 승강구(78)의 내측에는 수직기둥(7b) 외면에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바퀴(78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 건조장치(7)의 적외선히터(7c)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적외선히터(7c)는 승강구(78)의 일측에 고정 부착된 고정너트(791)에 볼트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틀체(79)에 복수로 설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틀체(79)에 상,중,하부 각각에 하나씩 총 3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외선히터(7c) 각각은 틀체(79)에 고정 부착된 복수쌍의 부착구(792)에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적외선히터(7c)에는 적외선램프와 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열기를 반사하는 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붐대(7a)는 힌지볼트(741)를 회전축으로 하여 캐비넷 본체(1)의 상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붐대(7a)는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대경각봉(71) 일측에는 붐대각도 조절구(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붐대각도 조절구(8)의 내부에는 스프링(81)으로 탄력지지된 볼(82)의 일부가 하향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넷 본체(1)의 상면에는 붐대각도 조절구(8)의 볼(82)이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조절공(83)들이 힌지볼트(741)를 반경으로 하여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붐대(7a)의 소경각봉(73) 선단에 연결된 수직기둥(7b)을 캐비넷 본체(1)의 전면으로 인출하여 적외선히터(7c)가 자동차 바디의 부분도장을 향해 적외선열선을 집중적으로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힌지볼트(741)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붐대(7a)를 회전 조절하였을 때 대경각봉(71)의 일측에 형성된 붐대각도 조절구(8)의 볼(82)이 복수의 조절공(83)들 중 선택된 하나의 조절공(83)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붐대(7a)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볼(82)은 스프링(81)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붐대(7a)를 회전조절할 때에는 볼(82)이 스프링(81)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조절공(83)에서 상방으로 빠져나왔다가 다시 회전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른 조절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붐대(7a)를 힌지볼트(741)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수평상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구(78)의 일측에는 고정볼트(781)가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기둥(7b)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상,하로 승강이동을 조절할 때에는 상기 고정볼트(781)를 나사 풀림하고, 상기 적외선히터(7c)의 설치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상기 고정볼트(781)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고정볼트(781)의 단부가 수직기둥(7b)을 압박하게 되어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고정볼트(781)는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나사풀림 및 나사조임할 수 있는 나비볼트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캐비넷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수납실(4) 속으로 적외선 건조장치(7)의 수직기둥(7b)과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수납 보관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붐대(7a)의 대경각봉(71) 속으로 중간각봉(72) 및 소경각봉(73)이 차례대로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대경각봉(71)이 힌지볼트(741)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직기둥(7b)과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개방수납실(4)에 삽입 보관하는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를 이용하여 자동차 바디의 일부를 부분도장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캐비넷 본체(1)를 자동차 주위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캐비넷 본체(1)의 저부에는 이동용 바퀴(1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캐비넷 본체(1)를 원하는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 본체(1)를 자동차 주위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적외선 건조장치(7)를 이용하여 부분도장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캐비넷 본체(1)에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건조장치(7)를 이용하여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개방수납실(3)에 수납 보관되어 있는 적외선히터(7c)를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부위를 향해 인출하고 필터실(2)에 폐쇄하고 있는 전면개폐문(11)을 열어놓게 되며, 또한 호스수납실(14)에 수납되어 있는 공압호스(6)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레이 건(61)을 인출하고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그 전에 먼저,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부분도장하는 부위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작업을 선행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적외선히터(7c)의 높낮이 조절 작업은, 수직기둥(7b)을 감싸고 있는 승강구(78)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고정볼트(781)를 나사풀림하게 되면 상기 승강구(78)는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써 작업자는 수동으로 상기 승강구(78)를 상,하로 승강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구(78)에 고정 부착된 고정너트(791)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틀체(79)와 상기 틀체(79)에 상,중,하 3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적외선히터(7c)의 총중량은 균형추(75)의 중량과 같다. 예를 들어, 상기 틀체(79)의 무게와 복수의 적외선히터(9c)의 무게를 합한 중량이 5kg이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균형추(75)은 5kg의 중량추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수동으로 고정볼트(781)가 나사풀림된 승강구(78)를 힘 안들이고 상,하로 승강 조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틀체(79)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적외선히터(7c) 각각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열선이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곳에 집중되도록 상기 복수의 적외선히터(7c)들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도 9의 가상선 부분 참조)
또한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모터(51)를 구동시켜서 환기용 팬(5)을 작동시킴과 동시 복수의 적외선히터(7c)에 전원을 인가하여 적외선열선이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부위로 방출되도록 조절한 상태에서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공압호스(6)의 끝단에 연결된 스프레이 건(61)을 통해서는 페인트 입자가 안개처럼 분사되도록 하면서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레이 건(61)에서 분사되는 페인트 입자의 대부분은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칠해지는 한편, 스프레이 건(61)에서 분사되는 일부의 페인트 입자는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부착되지 않고 자동차 바디의 주위로 비산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지만, 부분도장하고자 하는 부위를 향해 열려 있는 필터실(2) 내부에서는 환기용 팬(5)의 공기흡입작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캐비넷 본체(1)의 전면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써 스프레이 건(61)에서 분사되어 공기중에 비산하게 되는 페인트 입자는 열려있는 필터실(2)로 강제 흡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필터실(2)로 흡입되는 페인트 입자 및 공기중에 부유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그라스울필터(2a), 이중종이필터(2b), 메디아필터(2c), 활성탄소필터(2d)를 차례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처리되는데, 이때 상기한 각 필터에서 페인트 입자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비넷 본체(1)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그라스울필터(2a)는 이를 구성하는 그라스울의 표면이 매우 매끄러운 상태이므로 페인트 입자는 잘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그라스울필터(2a)에서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어느 정도 여과되지만 페인트 입자는 일부만 여과되고 대부분은 통과하게 된다.
다음, 상기 이중종이필터(2b)는 그라스울필터(2a)에 여과되지 않은 페인트 입자가 공기와 함께 전면종이필터(21)의 각 꼭지점(21a)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각 흡입공(23)을 통해 후면종이필터(22)측으로 흡입되는데, 이때 전면종이필터(21)의 각 흡입공(23)을 통해 후면종이필터(22)로 흡입되는 공기와 페인트 입자는 상기 각 흡입공(23)과 마주하는 후면종이필터(22)의 각 꼭지점(22a) 내측 부분에 부딪치게 되는데, 이때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페인트 입자는 끈적끈적한 상태이므로 각 꼭지점(22a) 내측 부분에 부딪칠 때 접착되므로 결국 전면종이필터(21)의 꼭지점(21a)에 형성된 흡입공(23)을 통해 후면종이필터(22)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페인트 입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꼭지점(22a) 내측 부분에 집중적으로 부착되는 것이므로 ㅅ상기 그라스울필터(2a)를 통과한 페인트 입자의 대부분은 이중종이필터(2b)의 후면종이필터(22)의 후면종이필터(22)에 형성된 각 꼭지점(22a) 내측 부분에 집중적으로 부착되는 것이며, 페인트 입자와 함께 흡입되는 공기는 후면종이필터(22)의 꼭지점(22a) 내측 부분에서 소용돌이치는 상태로 흐르다가 상기 후면종이필터(22)의 일측 경사벽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24)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도 7의 화살표 참조)
상기 이중종이필터(2b)의 후면종이필터(22)에 형성된 배출공(24)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일부의 페인트 입자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은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메디아필터(2c)에서 여과되는 것이며, 상기 메디아필터(2c)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중금속 성분 및 악취 등은 펠릿형상의 활성탄소필터(2d)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착 제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환기용 팬(5)의 배풍작동에 의한 공기 흡입력에 의해 필터실(2)에 다중겹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필터를 통과한 후 배풍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는 페인트 입자를 비롯한 중금속 성분 및 악취 등의 오염물질이 여과 및 제거된 상태이므로 대기중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 본체(1)의 필터실(2)을 개폐하는 전면개폐문(11)의 열림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부분도장작업을 진행할 때 공기 중에 비산되는 페인트 입자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으며, 또한 적외선 건조장치(7)에 형성된 복수의 적외선히터(7c)의 설치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적외선히터(7c)를 수평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수평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상,하 수직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바디에 부분도장되는 페인트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캐비넷 본체 11 : 전면개폐문
12 : 배풍구 13 : 공기정화기
14 : 호스수납실 15 : 개폐문
16,17 : 측면개폐문 2 : 필터실
2a : 그라스울필터 2b : 이중종이필터
2c : 메디아필터 2d : 활성탄소필터
21 : 전면종이필터 22 : 후면종이필터
21a,22a : 꼭지점 23 : 흡입공
24 : 배출공 3 : 콘트롤장치
3a : 물품수납실 3b : 공구수납실
4 : 개방수날실 5 : 환기용 팬
51 : 모터 6 : 공압호스
61 : 스프레이 건 7 : 적외선 건조장치
7a : 붐대 7b : 수직기둥
7c : 적외선히터 71 : 대경각봉
72 : 중간각봉 73 : 소경각봉
74 : 힌지브라켓 75 : 균형추
76 : 도르레 77 : 연결줄
78 : 승강구 79 : 틀체
8 : 붐대 조절구 81 : 스프링
82 : 볼 83 : 조절공

Claims (6)

  1. 콤푸레샤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서 수분, 오일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정화기에 연결되어 정화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호스와, 상기 공압호스의 끝단에 장착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페인트를 안개처럼 분사하여 자동차 바디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스프레이 건이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는,
    저부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복수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캐비넷 본체와;
    상기 캐비넷 본체의 일측에는 전면을 향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면개폐문의 안쪽으로 복수의 필터가 여러 겹으로 설치되어 있는 필터실과;
    상기 필터실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환기실 상부에는 복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캐비넷 본체의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캐비넷 본체 상방의 배풍구로 배출시키는 환기용 팬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타측에는 측방을 향해 개폐가능하도록 측면개폐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각종물품 수납실 및 공구수납실과 함께 측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콘트롤장치와;
    상기 필터실과 콘트롤장치 사이에는 캐비넷 본체의 전방 및 상방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개방수납실과;
    상기 캐비넷 본체의 상면 후방 코너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대경각봉과 상기 대경각봉 속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간각봉 및 소경각봉으로 구성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소경각봉 선단에 매달린 상태로 연결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에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적외선히터로 구성되어 상기 개방수납실에 수납 및 출현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적외선 건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본체의 필터실에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그라스울필터, 이중종이필터, 메디아필터, 활성탄소필터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종이필터는 단면이 둔각을 이루는 톱니모양으로 절곡된 전면종이필터와 단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톱니모양으로 절곡된 후면종이필터가 중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종이필터에는 후면종이필터의 내측을 향해 둔각상으로 절곡된 톱니모양의 꼭지점 부분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종이필터에는 예각상으로 절곡된 톱니모양의 꼭지점 부분을 기준하여 양측 경사벽 중 일측 경사벽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건조장치는,
    상기 캐비넷 본체의 상면 일측 코너부분에 힌지볼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브라켓에 의해 일측 끝단이 폐구된 상태로 부착되는 대경각봉과, 상기 대경각봉의 타측 끝단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중간각봉 및 상기 중간각봉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소경각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캐비넷 본체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에 매달린 상태로 수직 설치되는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 내부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내설되는 균형추와, 상기 수직기둥을 감싼 상태로 상,하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승강구와, 상기 수직기둥의 내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레와;
    일단은 상기 균형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구에 연결되는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채 상기 도르레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줄과, 상기 승강구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에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적외선히터;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대경각봉 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중간각봉 및 소경각봉들을 출몰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대경각봉의 도중 상면에는 하나의 상부 고정핀이 내부를 향해 하향 돌출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각봉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한 상부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대경각봉에서 일정길이로 출몰하도록 제어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소경각봉의 출몰길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중간 고정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각봉의 상면 일측에는 일단이 개방된 개구장공이, 타측에는 수직기둥에 고정 부착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핀축이 연결되는 핀조립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장공과 핀조립공 사이에는 폐구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대경각봉 일측면에는 캐비넷 본체의 상면에 호형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뚫어져 있는 복수의 조절공 각각에 탄력적으로 걸림되도록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된 볼이 내장되어 있는 붐대조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KR1020110115734A 2011-11-08 2011-11-08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KR10131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34A KR101313820B1 (ko) 2011-11-08 2011-11-08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734A KR101313820B1 (ko) 2011-11-08 2011-11-08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90A KR20130050590A (ko) 2013-05-16
KR101313820B1 true KR101313820B1 (ko) 2013-09-30

Family

ID=4866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734A KR101313820B1 (ko) 2011-11-08 2011-11-08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8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040B1 (ko) 2015-08-27 2016-01-20 주식회사 복원달인 차량 도장 방법
KR101661611B1 (ko) 2015-08-27 2016-10-10 주식회사 복원달인 차량용 도장 부스
KR102141765B1 (ko) 2019-10-15 2020-08-05 이명종 분사된 도료를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도장 부스
KR102198976B1 (ko) 2020-07-23 2021-01-05 이명종 분사된 도료 회수 장치
KR102433669B1 (ko) 2022-02-11 2022-08-18 이명종 도료 회수부재 및 도료 회수부재가 갖추어진 도료회수장치
US11691186B2 (en) 2019-07-31 2023-07-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pray applicator apparatuses for generating uniform spray pattern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6887B (zh) * 2014-11-04 2016-05-18 王雪峤 喷漆室空气净化方法及喷漆室
KR102197031B1 (ko) * 2020-05-23 2020-12-30 주식회사 코만도 도장부쓰 집진장치
CN113457349A (zh) * 2021-07-16 2021-10-01 江苏中德涂装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喷烤漆房空气过滤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54B1 (ko)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0837701B1 (ko) 2007-06-29 2008-06-13 주식회사 동진하이텍 환경 설비 일체형 도장장치
KR20100096733A (ko) * 2009-02-25 2010-09-02 파인오토시스템(주) 차량 도료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54B1 (ko)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0837701B1 (ko) 2007-06-29 2008-06-13 주식회사 동진하이텍 환경 설비 일체형 도장장치
KR20100096733A (ko) * 2009-02-25 2010-09-02 파인오토시스템(주) 차량 도료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040B1 (ko) 2015-08-27 2016-01-20 주식회사 복원달인 차량 도장 방법
KR101661611B1 (ko) 2015-08-27 2016-10-10 주식회사 복원달인 차량용 도장 부스
US11691186B2 (en) 2019-07-31 2023-07-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pray applicator apparatuses for generating uniform spray pattern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KR102141765B1 (ko) 2019-10-15 2020-08-05 이명종 분사된 도료를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도장 부스
KR102198976B1 (ko) 2020-07-23 2021-01-05 이명종 분사된 도료 회수 장치
KR102433669B1 (ko) 2022-02-11 2022-08-18 이명종 도료 회수부재 및 도료 회수부재가 갖추어진 도료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90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820B1 (ko)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KR102048527B1 (ko) 오염 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용 도장 부스
US6192604B1 (en) Drying system in a spraybooth
US10213807B2 (en) Coating and curing drying system
JPH09502922A (ja) コーティングディスペンサを取り付けて動かすための装置
JP2012527343A (ja) 加工品に被膜を設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被膜設備
KR102018782B1 (ko) 비산 방지가 가능한 도장장치
KR101435438B1 (ko) 자동차 부분도장용 집진장치
CN107413569A (zh) 一种全方位的汽车门把手喷漆设备
KR20170032143A (ko) 이동식 도장부스
CN208878905U (zh) 一种环保高效喷漆室
KR102116302B1 (ko) 버스용 도장 부스
CN110560294A (zh) 一种具有隔离和净化功能的防污染的喷涂装置
KR101552348B1 (ko) 도장용 이동 부스
WO2015184324A1 (en) Directional air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083949B1 (ko) 물을 이용한 벽체 오염 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용 도장 부스
CN209303085U (zh) 一种增加空气流速的涂装室
CN109794387A (zh) 一种喷涂均匀的汽车喷涂装置
KR101064919B1 (ko) 일방향 공기 흐름을 제공하는 도장부스용 도어
CN208742874U (zh) 一种便捷式汽车喷漆屋
KR200414634Y1 (ko) 페인팅 장치
CN217368860U (zh) 一种配电箱生产用表面喷漆装置
CN216756942U (zh) 一种门窗加工用喷漆装置
CN212418438U (zh) 一种电脑外壳喷漆工作台
JPH1034044A (ja) 建築用塗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