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031B1 - 도장부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도장부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031B1
KR102197031B1 KR1020200061973A KR20200061973A KR102197031B1 KR 102197031 B1 KR102197031 B1 KR 102197031B1 KR 1020200061973 A KR1020200061973 A KR 1020200061973A KR 20200061973 A KR20200061973 A KR 20200061973A KR 102197031 B1 KR102197031 B1 KR 10219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ollector
cartridge
filter module
cartrid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만도
Priority to KR102020006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1D46/00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60Ventilation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도장부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풍기가 구비된 열교환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도장부쓰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는 하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되, 도장부쓰 외부의 집진기를 통해 배출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집진기는 케이스 내부에 토출팬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팬 하부에 필터조립체가 설치되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를 걸러내는 것으로, 본발명은 페인트부쓰내의 배기공기중 이물질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걸러내어 주위 환경오염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장부쓰 집진장치{Paint booth dust collector device}
본발명은 도장부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인트부쓰내의 배기공기중 이물질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걸러내어 주위 환경오염이 없는 도장부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에 페인트 등으로 도장을 하는 경우 페인트와 도료 등이 비산되어 공기와 인체를 오염시키므로 도장실을 별도로 폐쇄공간으로 만들고 내부에서 도장작업을 하며, 또한 배기되는 배출공기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88345호에는 다양한 색상의 분체를 사용하여 도장하는 작업테이블(T)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테이블(T) 상에서 비산하는 분체를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집진기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테이블(T)에 인접한 상면에 흡입홀(11)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단에 공기주입구(2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복수개의 분사노즐(22)이 설치된 센터중공관(20)과; 상기 센터중공관(20)의 외측면을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서 상기 센터중공관(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각 측면에 복수개의 유입홀(31)이 형성되며, 일정각도 회전시켰을 때 상기 베이스(10)의 흡입홀(11)에 연통되는 유동홀(3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센터박스(30)와; 상기 센터박스(30)의 각 면테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작업테이블(T)에 연결되는 테두리벽(40)과; 상기 센터박스(30)의 유입홀(31)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테이블(T)에서 비산되는 분체를 필터링하는 필터(50)와; 상기 베이스(10)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는 흡입배관(P)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테이블(T)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는 송풍기(60)와; 상기 센터박스(30) 내부에 설치되고 로드(71)의 끝단에 밀폐판(72)이 설치된 실린더(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송풍기(60)가 작동되어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 작업테이블(T)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하나의 실린더(70)는 로드(71)가 실린더(70) 내부로 진입하여 밀폐판(72)이 하나의 유동홀(32)을 개방하고, 나머지 실린더(70)는 로드(71)가 외부로 진출하여 밀폐판(72)이 나머지 유동홀(32)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분체도장 집진기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1628호에는 차량의 도장시 발생되는 비산물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실(12)과, 포집실(12)을 통과한 비산물을 걸러내도록 하는 필터실(14), 상기 비산물을 강제로 흡인하여 정화된 공기를 외기로 배출시키는 배출실(16)로 구획된 집진기 본체(10)와;
상기 포집실(12)에 필터실(14)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축소 및 확장이 자유로우며, 도장시 비산물을 흡인시키는 첫 단계인 벨로우즈 덕트(18)와;
상기 필터실(14)에 이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벨로우즈 덕트(18)로부터의 비산물이 단계적으로 필터링되도록 프리필터(22), 포켓필터(24), 활성카본필터(26)가 순차적으로 개재 설치되는 필터 어셈블리(20)와;
상기 배출실(16)에 고정 설치되고, 벨로우즈 덕트(18)를 통한 흡인력을 제공하는 한편, 필터 어셈블리(20)를 통한 정화된 공기를 외기로 방출시키는 흡인팬(30) 및 모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분 도장용 집진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부쓰내의 도장작업중 여전히 배기공기중 이물질을 완전히 걸러내지 못하여 주위 환경오염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발명은 페인트부쓰내의 배기공기중 이물질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걸러내어 주위 환경오염이 없는 도장부쓰 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도장부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풍기가 구비된 열교환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도장부쓰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는 하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되, 도장부쓰 외부의 집진기를 통해 배출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케이스 내부에 토출팬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팬 하부에 필터조립체가 설치되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를 걸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페인트부쓰내의 배기공기중 이물질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걸러내어 주위 환경오염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도장부쓰 집진장치 계통도
도 2는 본발명의 도장부쓰 집진기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발명의 도장부쓰 집진기의 공기흐름도(전방부의 공기흐름만 도시했고 후방부도 동일하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집진기 그라스울 필터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발명의 집진기 포켓 필터 사시도
도 9는 본발명의 집진기 카트리지 필터 사시도
도 10은 본발명의 집진기 활성탄 필터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본발명은 도장부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풍기가 구비된 열교환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도장부쓰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는 하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되, 도장부쓰 외부의 집진기를 통해 배출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기는 케이스 내부에 토출팬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팬 하부에 필터조립체가 설치되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를 걸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팬은 중심축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설치되는 횡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팬의 날개는 유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팬은 케이스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토출구가 상부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상면에는 토출팬을 구동하는 전기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하부의 흡입구에는 필터조립체가 설치되되,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토출팬 하부에 활성탄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활성탄필터 하부에 카트리지필터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필터 모듈 하부에 포켓필터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포켓필터모듈 하부에 그라스울필터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필터 모듈(230)은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 상자형상이며,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카트리지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카트리지필터 4개를 세워서 설치하되, 1, 2필터가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3, 4카트리지 필터가 설치되는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의해 구분되며, 전방의 1구역의 1카트리지 필터는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2카트리지필터는 상단이 1카트리지 필터의 상단과 맞닿게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한다. 후방의 2구역의 3카트리지 필터는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4카트리지필터는 상단이 3카트리지 필터의 상단과 맞닿게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포켓필터 모듈(220)의 형상은 전방에서 보아 직사각형이고 좌우측에서 보아 삼각형인 삼각통 형상으로서,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포켓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포켓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는 4개를 세워서 설치하되, 1, 2필터가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3, 4필터가 설치되는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은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2개의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은 그라우스울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방의 5구역과 후방의 6구역으로 격리벽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도 1은 본발명의 도장부쓰 집진장치 계통도, 도 2는 본발명의 도장부쓰 집진기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발명의 도장부쓰 집진기의 공기흐름도(전방부의 공기흐름만 도시했고 후방부도 동일하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본발명의 집진기 그라스울 필터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발명의 집진기 포켓 필터 사시도, 도 9는 본발명의 집진기 카트리지 필터 사시도, 도 10은 본발명의 집진기 활성탄 필터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본발명은 송풍기가 구비된 열교환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제품에 페인트 등으로 도장을 하는 도장부쓰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된 공기는 하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되, 도장부쓰 외부의 집진기를 통해 배출되며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집진기는 케이스 내부에 토출팬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팬 하부에 필터조립체가 설치되어 하부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를 걸러내는 것이다.
상기 토출팬은 중심축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설치되는 관용의 횡류팬이며, 상기 토출팬의 날개는 유선형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팬은 케이스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토출구가 상부로 향하게 한다.
상기 케이스 상면에는 토출팬을 구동하는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토출팬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하부의 흡입구에는 필터조립체가 설치되되, 상기 필터조립체는 그라스울필터 상부에 포켓필터 모듈이 설치되고 , 상기 포켓필터 모듈 상부에 카트리지필터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필터 모듈 상부에 활성탄필터가 설치된다.
상기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210)은 사각형 상자형상으로서, 전방에서 보아 4개의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은 각각 두 개의 그라우스울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 의해 구분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포켓필터 모듈(220)의 형상은 전방에서 보아 직사각형이고 좌우측에서 보아 삼각형인 삼각통 형상으로서,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포켓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포켓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는 4개를 세워서 설치하되, 1, 2필터가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3, 4필터가 설치되는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의해 구분된다.
상기 카트리지 필터 모듈(230)은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 상자형상이며,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카트리지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카트리지필터 4개를 세워서 설치하되, 1, 2필터가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3, 4카트리지 필터가 설치되는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의해 구분되며, 전방의 1구역의 1카트리지 필터는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2카트리지필터는 상단이 1카트리지 필터의 상단과 맞닿게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한다. 후방의 2구역의 3카트리지 필터는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4카트리지필터는 상단이 3카트리지 필터의 상단과 맞닿게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한다.
그러므로 1, 2 카트리지 필터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하부에 1, 2 포켓필터의 꼭지점이 위치하여, 1, 2 포켓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의 1 또는 2 카트리지 필터를 통과하여 전후방면, 그리고 상부의 활성탄필터로 순차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3, 4카트리지 필터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하부에 3, 4 포켓필터의 꼭지점이 위치하여, 3, 4 포켓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의 3 또는 4 카트리지 필터를 통과하여 전후방면, 그리고 상부의 활성탄필터로 순차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활성탄필터(240)는 사각형 상자형상이며, 특히 상하방향으로 가로판에 의해 실이 구분되게 제작된다. 그러므로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카트리지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카트리지필터 모듈 상부 및 전후방에도 동시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격리벽으로 구분되는 1구역에서는 상기 1, 2카트리지 상부에 활성탄필터가 설치되고, 또한 1카트리지 필터 전방에도 활성탄필터가 설치되고, 2카트리지 필터 후방에도 활성탄필터가 설치된다.
2구역에서도 상기 3, 4카트리지 상부에 활성탄필터가 설치되고, 3카트리지 필터 전방에도 활성탄필터가 설치되고, 4카트리지 필터 후방에도 활성탄필터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집진기 하부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부방향으로 그라스울필터, 포켓필터모듈, 카트리지필터모듈, 활성탄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먼지가 걸러지고 상부 토출팬(10)을 통과한 후 배출된다.
다른 실시례로서 본발명의 카트리지 필터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압력측정치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신호가 일정압력이상일 경우에는 스피커등의 경보수단을 작동하여 경보음을 울리게 한다.
그리고 도장성분에 따라 카트리지내 필터물질이 다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집진기에는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도장부쓰내의 연기가 흡입되면 집진기는 동작을 멈추는 동시에 하부의 전동셔터를 닫아서 유입을 방지하고 제어부는 경보수단을 작동한다. 그리고 도장실의 열교환기와 연결된 제어부는 도장실의 열교환기의 송풍기를 멈춘다. 한편, 집진기 배출구에는 유해가스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집진후의 공기내에 유해가스가 일정수치 남아 있으면 제어부는 경보수단을 작동하며, 동작을 멈춘다. 그리고 도장실의 열교환기와 연결된 제어부는 도장실의 열교환기의 송풍기를 멈춘다. 제어부는 도장실의 원료종류를 입력수단인 터치패드나 키보드에 의해 입력기록하고, 이전 사용된 원료와 혼합위험이 있을 경우 동작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에 경보문자를 디스플레이하여, 필터에 잔류되는 원료와 사용예정 원료의 혼합에 따른 폭발등의 위험을 사정에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도장부쓰 관련 원료물질이름을 보관하고, 혼합경우의 위험한 물질도 보관기록하여 필터에 잔류되는 위험물질을 충분히 세척하고 난 후 다른 물질을 도장부쓰에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자신의 스마트폰과 집진기 제어부와 연결하여 스마트폰에 앱을 다운받아 앱에 의해 상기 위험물질을 관리할 수 있다. 곧 도장부쓰에서 위험물질을 착오로 사용하는 것을 집진기에서 예방할 수 있으며, 이전 사용 원료와 현재사용원료의 혼합사용에 따른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며 작업자는 스마트폰앱에 의해 관련자료를 저장하고 집진기 사용시 사용할 수 있다. 집진기에는 통신모듈이 근거리 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스마트폰과 연동시킨다.
그리고 다른 실시례로서 본발명은 지진에 대한 기상청데이터를 불러들여서 지진발생후, 지진모듈로 전환하여 설정치에 도달하는 진동이 감지되면 화재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운전을 중지하게 된다. 곧 도장부쓰의 도장작업 및 집진기의 동작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기상청 지진예보가 여진에 대한 통보가 있으면, 계속 지진모듈로 운전하게 된다.
그리고 미세먼지값을 기상청에서 받아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일정수치 이상의 미세먼지가 API를 통해 통보되면, 제어부는 도장부쓰의 도장작업 및 집진기의 동작 운전을 멈추게 하여 외기 오염 악화를 방지한다.
기상청 오픈 API를 사용하는 방법은 기상자료 개방포털에 접속한 후 오픈 API을 확인하고 상기 오픈 API 이용방법확인 및 신청하는 것으로, 상기 오픈 API를 이용 앱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례로서 구조물에는 관용의 침수감지센서가 설치되어 도장부쓰의 기둥이 일정높이에서 침수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설정수치값을 초과하여 침수된다고 판단되면 침수에 따른 전기 누선, 합선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경보수단을 작동시키며, 동시에 집진장치의 운전을 중지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페인트부쓰내의 배기공기중 이물질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걸러내어 주위 환경오염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300 : 하부 배출구 400 : 송풍기
500 : 열교환기
1000 : 도장부쓰
100 : 집진기 10 : 토출팬
30 : 흡입구
200 : 필터조립체 210 : 그라스울필터 모듈
220 : 포켓필터 모듈 230 : 카트리지필터모듈
240 : 활성탄필터
401 : 천정흡입필터 402 : 닥트
1 : 1구역 2: 2구역
3 : 격리벽

Claims (3)

  1. 송풍기(400)가 구비된 열교환기(500)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도장부쓰 (1000)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공기는 하부 배출구(300)를 통해 배출되되, 도장부쓰(1000) 외부의 집진기(100)를 통해 배출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는 것으로, 상기 집진기(100)는 케이스 내부에 토출팬(10)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팬(10) 하부에 필터조립체(200)가 설치되어 하부의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중 먼지를 걸러내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 하부의 흡입구(30)에는 필터조립체(200)가 설치되되, 상기 필터조립체(200)는 그라스울필터 모듈(210), 포켓필터 모듈(220), 카트리지필터모듈(230), 활성탄필터(240)이 설치되는 도장부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팬(10)은 중심축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설치되는 횡류팬이며, 날개는 유선형이고 상기 토출팬은 케이스 내부 상부에 설치되고, 토출구가 상부로 향하게 하며, 상기 케이스 상면에는 토출팬을 구동하는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토출팬을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필터조립체(200)는 그라스울필터 모듈(210)상부에 포켓필터 모듈(220)이 설치되고 , 상기 포켓필터 모듈(220) 상부에 카트리지필터모듈(230)이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필터 모듈(230) 상부에 활성탄필터(24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210)은 사각형 상자형상으로서, 전방에서 보아 4개의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그라우스울 필터 모듈은 각각 두 개의 그라우스울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포켓필터 모듈(220)의 형상은 전방에서 보아 직사각형이고 좌우측에서 보아 삼각형인 삼각통 형상으로서,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포켓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포켓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는 4개를 세워서 설치하되, 1, 2필터가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3, 4필터가 설치되는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 모듈(230)은 착탈식으로 교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형 상자형상이며,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카트리지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필터 모듈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카트리지필터 4개를 세워서 설치하되, 1, 2필터가 설치되는 전방의 1구역과 3, 4카트리지 필터가 설치되는 후방의 2구역으로 격리벽에의해 구분되며, 전방의 1구역의 1카트리지 필터는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2카트리지필터는 상단이 1카트리지 필터의 상단과 맞닿게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고, 후방의 2구역의 3카트리지 필터는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4카트리지필터는 상단이 3카트리지 필터의 상단과 맞닿게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상기 활성탄필터(240)는 사각형 상자형상이며, 상하방향으로 가로판에 의해 실이 구분되게 제작되므로 전방에서 보아 좌우로 4개의 카트리지필터 모듈이 수평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되, 카트리지필터 모듈 상부 및 전후방에도 동시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집진기 하부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부방향으로 그라스울필터 모듈(210), 포켓필터모듈(220), 카트리지필터모듈(230), 활성탄필터(2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먼지가 걸러지고 상부 토출팬(10)을 통과한 후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카트리지필터모듈(230)에는 압력센서가 설치되어 압력측정치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신호가 일정압력이상일 경우에는 경보수단을 작동하여 경보음을 울리게 하고, 도장성분에 따라 카트리지내 필터물질이 다른 것을 사용하고, 상기 집진기에는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도장부쓰내의 연기가 흡입되면 집진기는 동작을 멈추는 동시에 하부의 전동셔터를 닫아서 유입을 방지하고 제어부는 경보수단을 작동하고 도장실의 열교환기와 연결된 제어부는 도장실의 열교환기의 송풍기를 멈추는 것이며,
    집진기 배출구에는 유해가스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집진후의 공기내에 유해가스가 일정수치 남아 있으면 제어부는 경보수단을 작동하며, 동작을 멈추고 도장실의 열교환기와 연결된 제어부는 도장실의 열교환기의 송풍기를 멈추고 제어부는 도장실의 원료종류를 입력수단인 터치패드나 키보드에 의해 입력기록하고, 이전 사용된 원료와 혼합위험이 있을 경우 동작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에 경보문자를 디스플레이하여, 필터에 잔류되는 원료와 사용예정 원료의 혼합에 따른 폭발 위험을 사정에 예방할 수 있되,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에 도장부쓰 관련 원료물질이름을 보관하고, 혼합경우의 위험한 물질도 보관기록하여 필터에 잔류되는 위험물질을 충분히 세척하고 난 후 다른 물질을 도장부쓰에서 사용하게하는 것이며,
    상기 도장부쓰의 구조물에는 침수감지센서가 설치되어, 도장부쓰 구조물의 기둥이 일정높이에서 침수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에서는 설정수치값을 초과하여 침수된다고 판단되면 침수에 따른 전기 누선, 합선의 위험이 있으므로 경보수단을 작동시키며, 동시에 집진장치의 운전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부쓰 집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1973A 2020-05-23 2020-05-23 도장부쓰 집진장치 KR10219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73A KR102197031B1 (ko) 2020-05-23 2020-05-23 도장부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973A KR102197031B1 (ko) 2020-05-23 2020-05-23 도장부쓰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031B1 true KR102197031B1 (ko) 2020-12-30

Family

ID=7408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973A KR102197031B1 (ko) 2020-05-23 2020-05-23 도장부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0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92A (ko) * 1995-06-03 1997-01-24 한승준 자동차 열쇠용 전극장치
KR200280005Y1 (ko) * 2002-03-29 2002-07-02 김장현 도장부스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050023361A (ko) * 2005-01-15 2005-03-09 김종현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130050590A (ko) * 2011-11-08 2013-05-16 김정인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KR20160064662A (ko) * 2014-11-28 2016-06-08 엠에스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92A (ko) * 1995-06-03 1997-01-24 한승준 자동차 열쇠용 전극장치
KR200280005Y1 (ko) * 2002-03-29 2002-07-02 김장현 도장부스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050023361A (ko) * 2005-01-15 2005-03-09 김종현 도장설비용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
KR20130050590A (ko) * 2011-11-08 2013-05-16 김정인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KR20160064662A (ko) * 2014-11-28 2016-06-08 엠에스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5803A (en) Air filtration apparatus
US3273323A (en) Laminar flow air hood apparatus
CN111315484B (zh) 安全柜
CA1081027A (en) Clean air zone
CN107008080A (zh) 一种弹夹式滤筒集尘设备
KR102197031B1 (ko) 도장부쓰 집진장치
CN111085063A (zh) 一种室内建筑装饰施工用除尘设备
CN207196716U (zh) 一种室内环境监测装置
CN206519420U (zh) 一种下排风通风柜
CN104289058A (zh) 空气过滤器
KR101543839B1 (ko) 지붕형 산업용 분진 여과시스템
CN203842436U (zh) 一种墙式除尘器
US5271750A (en) Air filtration system with safety after-filter
CN211706804U (zh) 一种新型生物安全柜
CN206094407U (zh) 一种新风机
CN112191413B (zh) 水性喷漆房
CN107884218A (zh) 一种防尘检测实验装置
CN101131395B (zh) 生物安全试验柜
JP2013071019A (ja) 集塵機の目詰まり表示装置
CN203990127U (zh) 一种自循环式空气化学过滤设备
CN108160651A (zh) 金属检测用环保型通风柜
CN208456190U (zh) 无尘净化棚
CN207952182U (zh) 金属检测用环保型通风柜
JPH0225652A (ja) クリーンエリア形成装置
CN201749076U (zh) 生物安全屏障材料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