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11B1 - 차량용 도장 부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장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11B1
KR101661611B1 KR1020150120826A KR20150120826A KR101661611B1 KR 101661611 B1 KR101661611 B1 KR 101661611B1 KR 1020150120826 A KR1020150120826 A KR 1020150120826A KR 20150120826 A KR20150120826 A KR 20150120826A KR 101661611 B1 KR101661611 B1 KR 101661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body
booth
auxiliary cabinet
paint
shiel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복원달인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복원달인, 김미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복원달인
Priority to KR102015012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5/12
    • B05B15/1207
    • B05B15/1214
    • B05B15/1222
    • B05B15/1229
    • B05B15/1251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가 구비된 부스 바디(10);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와 차량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에서 상기 차량 바디 사이에 도장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실드 시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드 시트(20)는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실드 시트(20)의 일단부가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 둘레부에 부착수단으로 부착되고, 상기 실드 시트(20)의 타단부는 차량 바디의 표면에 부착수단으로 부착되어,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와 상기 실드 시트(20) 사이에 형성된 도장 작업 공간에서 차량 바디의 도료 도장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장 부스{Autombile paint coating booth}
본 발명은 차량용 도장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 도장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공기 중에 도료 입자는 전량 흡입하여 여과 처리할 수 있으며, 차량 바디의 일부 도장과 도료의 흡입 및 여과 등의 처리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도장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구입하여 주행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동차의 바디 일부에 도료를 새로 칠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자동차의 바디에 도료를 새로 칠하기 위해서는 자동차가 출입할 수 있는 도장부스에서 도장작업을 하는 것이 보통이며, 최근에는 이동식 간이 부스도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차의 바디에 도료를 새로 칠한 경우에는 도료를 단시간 내에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차량 바디의 일부에 도료를 코팅할 때에는 작업자가 도장 부스 안에 들어가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료를 해당 차량 바디의 표면에 코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료가 차량 바디 이외에 다른 부분을 날라다니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료를 도장 부스와 도료 코팅 영역에 가두어놓을 필요가 있다. 도료가 코팅 중에 외부로 날라가면 도료에 의해 환경 오염 등이 유발되기 때문에, 도료를 도장 부스와 폐쇄된 도료 코딩에서만 코팅함으로써 도료에 의한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자동차 도료 코팅을 위한 도장 부스의 체적을 현재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실제로 도장 부스를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으며, 거기에다 도료의 비산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제약까지 있어서 현재 자동차 부분 도장용 부스를 실제 채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의 도장 부스 사이즈와 환경 오염 방지 등의 법적 규정을 극복할 수 있는 도장 부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78654호(2007.01.29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13820호(2013.09.24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9694호(2003.09.3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 도장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공기 중에 도료 입자는 전량 흡입하여 여과 처리할 수 있으며, 차량 바디의 일부 도장과 도료의 흡입 및 여과 등의 처리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현할 수 있으며, 최근의 도장 부스 사이즈와 환경 오염 방지 등의 법적 규정을 만족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도장 부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가 구비된 부스 바디; 상기 부스 바디의 상기 개방부와 차량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에서 상기 차량 바디 사이에 도장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실드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가 제공된다.
상기 실드 시트는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실드 시트의 일단부가 상기 부스 바디의 상기 개방부 둘레부에 부착수단으로 부착되고, 상기 실드 시트의 타단부는 차량 바디의 표면에 부착수단으로 부착되어, 상기 부스 바디의 상기 개방부와 상기 실드 시트 사이에 형성된 도장 작업 공간에서 차량 바디의 도료 도장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수단은 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프에 의해 상기 실드 시트가 상기 부스 바디의 상기 개방부의 둘레부와 상기 차량 바디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차량 바디의 도료 코팅 작업 완료 후에 상기 테이프를 떼어서 상기 실드 시트를 벗겨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스 바디에는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에는 보조 캐비넷이 연결되며, 상기 보조 캐비넷은 내부에 흡입팬과 송풍팬 및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 내부에서 에어를 흡입할 때에 상기 보조 캐비넷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에 의해 에어를 정화시켜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 내부로 정화된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캐비넷의 내부에는 각각 흡입팬 챔버 및 송풍팬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 챔버에 상기 흡입팬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 챔버에 상기 송풍팬이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 챔버의 앞쪽 위치나 상기 흡입팬 챔버와 상기 송풍팬 사이 또는 상기 송풍팬과 상기 부스 바디의 내부 공간부 사이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스 바디에는 상기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열어서 상기 보조 캐비넷을 상기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 바디에는 출입 도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 바디는 내부의 공간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 바디의 내부 공간부에는 색상 맞춤 조명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흡입팬과 송풍팬 및 필터를 구비한 보조 캐비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캐비넷은 연결관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의 내부 공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캐비넷 내부의 상기 흡입팬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 내부에서 에어를 흡입할 때에 필터에 의해 에어를 정화시켜서 상기 부스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 내부로 외부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부스 바디의 전방 개방부로 차량을 이동시켜서 실드 시트를 부착하여 오부 도장 작업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료 도장이 이루어지므로, 차량 바디의 일부분 도장시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스 바디에 보조 캐니넷을 연결하여 부스 바디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키고 부스 바디 내부의 공간부와 외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고 공기 중에 도료 입자는 전량 흡입하여 여과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부스 내부에 들어가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도료의 유해 성분에 의해 중독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스 바디의 사이즈는 법적 규정으로 정해 놓은 규격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으며, 도료를 전량 흡입하여 필터링하므로 환경 오염 방지 규정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장 부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색상 맞춤 조명기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라인드를 펼쳐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캐비넷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조 캐비넷을 부스 바디에 결합한 상태를 부스 바디의 배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장 부스에 의해 차량에 도장하도록 실드 시트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장 부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스 바디에 바텀 패널이 구비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색상 맞춤 조명기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색상 맞춤 조명기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도장 부스는 내부에 공간부를 구비한 부스 바디(10)와, 이 부스 바디(10)와 도료 도장 대상 차량의 바디 사이에 외부에 차단되는 도장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실드 시트(2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하며, 여기에 더하여 보조 캐비넷(30)과 부스 바디(10) 내부의 조명등과 도료 색상 맞춤 조명기(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 바디(10)는 내부에 공간부가 있고, 상기 공간부는 부스 바디(10)의 전방에 구비된 개방부와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 부스 바디(10)는 좌우 사이드 패널(12)과, 이 사이드 패널(12)의 상단부에 결합된 천정 패널(14)과, 사이드 패널(12)의 후방에 구비된 출입 도어(18)를 포함한다. 천정 패널(14)과 좌우 사이드 패널(12)이 용접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부스 바디(10)가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어, 부스 바디(10)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되고, 부스 바디(10)의 전방에는 개방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패널(12)은 부스 바디(1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을 구비한다. 좌우 두 개의 사이드 패널(12) 중에서 좌측 또는 우측의 하나의 사이드 패널(12)은 프레임에 투명 패널이 결합되어, 상기 투명 패널이 투시창이 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사이드 패널(12)은 프레임에 도어가 회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의 일측 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H)를 기준으로 도어가 열리고 닫힌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프레임에 투시창이 구비된 사이드 패널(12)은 제1사이드 패널(12)이라 하고, 프레임에 도어가 회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른 하나의 사이드 패널(12)은 제2사이드 패널(12)이라 한다.
또한, 상기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는 블라인드(1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부스 바디(10)의 전방 상단부에는 와인딩 롤러가 구비되고, 와인딩 롤러에는 블라인드(19)가 연결되며, 상기 부스 바디(10)의 전단부측 좌우 양쪽에는 상하로 연장된 블라인드 가이드홈(19G)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와인딩 롤러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를 와인딩 롤러에 권취시킬 수 있고, 와인딩 롤러를 다른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블라인드를 와인딩 롤러에서 풀어서 블라인드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를 막아줄 수 있다.
차량 바디에 도료를 도장할 때에는 블라인드를 올려주면 되고 차량 바디에 도료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블라인드를 내려서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간부가 보이지 않게 막아준다.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 있는 색상 맞춤 조명기(40)와 엘이디 조명등, 부스 바디(10)의 사이드 도어(12A)에 구비된 수납 함체(12B)에 들어있는 여러 가지 물품을 블라인드로 가려주어서 보호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가 오르락 내리락 할 때에는 블라인드의 양쪽 측단부가 부스 바디(10)의 좌우 양쪽에 구비된 블라인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므로 블라인드를 접거나 펼치는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와인딩 롤러는 블라인드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블라인드 케이스는 저면에 블라인드홀이 구비되어, 블라인드가 블라인드 케이스 내부에서 블라인드홀을 통해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부스 바디(10)에는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열어서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에 보조 캐비넷(30)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2사이드 패널(12)의 프레임 안쪽에 확보된 개방 공간이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가 되며, 상기 제2사이드 패널(12)의 사이드 도어(12A)를 힌지부(H)를 기준으로 열어 놓으면 제2사이드 패널(12)의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가 열리게 되고, 상기 제2사이드 패널(12)의 도어를 힌지부(H)를 기준으로 닫아 놓으면 제2사이드 패널(12)의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가 닫히게 된다. 이때, 제2사이드 패널(12)의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를 개폐하는 상기 도어는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안쪽면에 수납 함체(12B)를 구비한다. 도어의 안쪽면에 다단으로 복수개의 수납 함체(12B)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바람직하게, 제2사이드 패널(12)의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에도 투시창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도 프레임에 투명 패널이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이 도어의 투시창이 된다. 제2사이드 패널(12)의 도어는 부스 바디(10)의 한 쪽 옆에서 열리고 닫히는 사이드 도어(122A)라 할 수 있다.
상기 부스 바디(10)는 전방의 개방부와 마주하는 후방에 출입 도어(18)가 구비된다. 두 개의 출입 도어(18)의 외측 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좌우 두 개의 사이드 패널(12)에 연결되어, 힌지부(H)를 기준으로 두 개의 출입 도어(18)가 열리고 닫힌다. 상기 출입 도어(18)는 부스 바디(10)의 뒤쪽에서 열리고 닫히는 도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 도어(18)도 투시창을 구비한다. 출입 도어(18)가 프레임에 투명 패널이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이 출입 도어(18)의 투시창이 된다. 따라서, 상기 출입 도어(18)를 열어서 작업자가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를 드나들 수 있고, 출입 도어(18)를 닫은 상태에서는 출입 도어(18)의 투시창을 통하여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를 바깥에서 들여다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스 바디(10)의 저면에는 캐스터(CT)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 사이드 패널(12)의 하단부에 캐스터가 구비될 수 있다. 캐스터는 부스 바디(10)의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캐스터에 의해 부스 바디(10)를 필요한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스 바디(10)는 바텀 패널(16)을 구비할 수 있다. 바텀 패널(16)이 용접과 같은 결합수단으로 좌우 사이드 패널(12)에 결합될 수 있다. 바텀 패널(16)이 구비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바텀 패널(16) 위에 올라서서 차량 바디에 대한 도장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스 바디(10)의 전방에 구비된 개방부와 차량 바디에 부착되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에서 차량 바디 사이에 도장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실드 시트(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실드 시트(20)는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실드 시트(20)는 예를 들어 비닐 시트와 같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드 시트(2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롤 형태로 콤팩트하게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 앞쪽으로 차량을 가지고 가서 차량 바디에서 도료의 코팅(도장)이 필요한 부분을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 앞에 배치한 다음, 상기 실드 시트(20)를 부착수단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차량 바디의 표면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차량 바디의 표면 사이에 외기와 차단되는 도장 작업 공간이 확보된다.
이때, 상기 부착수단은 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프에 의해 실드 시트(20)가 부스 바디(10)의 개방부의 둘레부와 차량 바디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테이프는 양면 테이프로 구성되어, 실드 시트(20)의 한쪽 단부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 둘레부(좌우 사이드 패널(12)의 표면)에 부착되는 한편, 실드 시트(20)의 한쪽 단부는 차량 바디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드 시트(20)가 상부 실드 시트(22)와 좌우 사이드 실드 시트(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실트 시트의 양단부가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 둘레부와 차량 바디 표면에 각각 테이프로 부착되고, 좌우 사이드 실드 시트(24)는 양단부가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 둘레부와 차량 바디의 표면에 테이프로 부착되고 동시에 사이드 실드 시트(24)의 적어도 상단부는 테이프에 의해 상부 실드 시트(22)의 측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드 시트(20)는 하부 실드 시트(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실드 시트(26)는 양단부가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의 하측 둘레부와 차량 바디의 하측 표면에 부착되고 동시에 하부 실드 시트(26)의 양쪽 측단부가 테이프에 의해 좌우 사이드 실드 시트(24)의 하단부에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드 시트(20)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차량 바디의 표면 사이에 외부와는 차단되는 도장 작업 공간이 확보된다. 실드 시트(20)에 의해 확보된 도장 작업 공간에서 도료를 스프레이하여 차량 바디 표면에 도색을 하는 동안에 도료가 실드 시트(20) 안쪽의 도료 작업 공간에서 외부로 세어 나가는 경우가 없게 된다. 즉, 차량 바디 표면에 도료를 코팅하는 동안 도료가 외부로 비산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드 시트(20)에 의해 확보된 도장 작업 공간 내에서 차량 바디 표면에 대한 도장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테이프를 떼어내서 실드 시트(20)를 부스 바디(10)와 차량 바디에서 벗겨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스 바디(10)에는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 캐니넷 연결 개방부에는 보조 캐비넷(30)이 연결된다. 보조 캐비넷(30)은 내부에 흡입팬(35)과 송풍팬(37) 및 필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캐비넷(30)은 내부에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를 구비하는데, 상기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는 구획 박스에 의해 각각 보조 캐비넷(30) 내부에 확보된다. 이러한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에 각각 흡입팬(35)과 송풍팬(37)이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35)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에서 에어를 흡입할 때에 보조 캐비넷(30) 내부에 구비된 필터에 의해 에어를 정화시킨 다음, 상기 송풍팬(37)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로 정화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필터는 흡입팬(35)과 보조 캐비넷(30)의 흡입팬 챔버(34) 벽부에 형성된 유통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흡입팬(35)과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는 보조 캐비넷(30) 바깥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보조 캐비넷(30)의 흡입팬 챔버(34)를 통해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간부에서 도료와 에어를 흡입하여 보조 캐비넷(30) 외부에 연결된 필터를 통해 도료를 필터링하여 정화된 에어를 보조 캐비넷(30)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스 바디(10)는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캐비넷(30)도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캐비넷(30)은 안쪽으로 개방부가 확보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안쪽 개방부가 부스 바디(10)에 구비된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와 연결된다. 상기 부스 바디(10)의 제2사이드 패널(12)에 구비된 측면의 도어를 힌지부(H)를 열어주면, 부스 바디(10)의 측면부의 보조 개비넷 연결 개방부가 열린 상태가 되며, 이렇게 열려 있는 보조 캐비넷(30) 연결 개방부에 보조 캐니넷의 안쪽 개방부가 만나도록 보조 캐비넷(30)을 부스 바디(10)의 옆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 공간부와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가 서로 연통된 상태로 부스 바디(10) 옆에 보조 캐비넷(30)이 결합된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의 전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캐비넷(30) 내부의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도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는 유통홀을 구비하여,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가 유통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보조 캐비넷(30)이 부스 바디(10)의 옆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록커에 의해 부스 바디(10)에 보조 캐비넷(3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록커는 기단부가 부스 바디(10)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선단부에는 록킹핀 결합홀을 구비한 록킹 레버와, 상기 보조 캐비넷(30)에 구비된 록킹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조 캐비넷(30)이 부스 바디(10)의 옆에 결합된 상태에서 록킹 레버를 기단부의 힌지부(H)를 기준으로 보조 캐비넷(30) 쪽으로 회동시켜 보조 캐비넷(30)에 구비된 록킹핀에 록킹 레버 선단부측의 록킹핀 결합홀을 끼워주면 록킹 레버와 록킹핀에 의해 보조 캐비넷(30)을 견고하게 부스 바디(10) 옆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록킹 레버와 록킹핀은 록커의 일례로서 록커는 클램프가 될 수 있으며, 클램프에 의해 보조 캐비넷(30)이 부스 바디(10) 옆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록커는 록킹 레버와 록킹핀 또는 클램프 이외에 보조 캐비넷(30)이 부스 바디(10) 옆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수단은 모두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캐비넷(30)과 부스 바디(1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보조 캐비넷(30)과 부스 바디(10)의 결합 부분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실링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전단부에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밀봉 재질의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 캐비넷(30)을 부스 바디(10)의 옆에 결합하고 상기 록커로 보조 캐비넷(30)이 부스 바디(10) 옆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록킹시키면, 상기 보조 캐니넷의 전단부와 부스 바디(10) 사이에 실링부재가 가압된 상태로 개재되므로, 실링부재에 의해 보조 캐비넷(30)과 부스 바디(10)의 결합 부분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캐스터가 구비된다. 보조 캐비넷(30)의 전후 좌우 네 군데 저면에 캐스터가 각각 구비된다. 캐스터에 의해 보조 캐비넷(30)을 필요한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거치 함체(32)가 더 구비된다. 복수개의 거치 함체(32)에 페인트나 기타 도장에 필요한 물품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부스 바디(10)의 내부에 조명등이 구비되어, 조명등에 의해 조명을 밝힌 상태에서 부스 바디(10)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도장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 바디(10)의 내부에는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구비된다. 색상 맞춤 조명기(40)는 전면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램프 케이스(42)와, 램프 케이스(42)에 내장된 색상 맞춤 램프(4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는 승강 유닛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강 유닛은 승강 가이드 부재(51)와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와 승강 가동부 및 승강 스탑 리테이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부재(51)는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부재(51)는 부스 바디(10)의 상하로 연장된 바아 구조를 취한다. 승강 가이드 부재(51)는 네 군데의 측면부를 구비한 단면 사각 바아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때, 승강 가이드 부재(51)에는 상하 방향 배치된 랙이 구비될 수 있다. 랙은 후술할 랙기어가 치합될 기어부를 구비한다. 승강 가이드 부재(51)의 후방 측면부에 랙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하단부는 개방부로 이루어진 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는 한 쌍의 나란한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다. 한 쌍의 가이드 롤러는 외주면이 승강 가이드 부재(51)의 서로 마주하는 두 군데의 측면부에 접촉된 상태로 롤링된다. 한 쌍의 전후 가이드 롤러 외주면이 승강 가이드 부재(51)의 좌우 측면부에 접촉된 상태로 롤링된다. 따라서,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가 승강 가이드 부재(51)를 따라 상하 승강될 때에 두 개의 가이드 롤러가 롤링되므로, 상기 조명등 베이스 부재가 승강 가이드 부재(51)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동부는 승강 가이드 부재(51)에 구비된 랙과,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 구비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기어군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승강 조작핸들(55)을 포함한다.
상기 랙기어는 중심부에 구비된 랙기어 샤프트가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의 일측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랙기어 중심부의 랙기어 샤프트에는 기어군을 통해 상기 승강 조작핸들(55)의 중심축이 연결될 수 있다. 랙기어 샤프트에 워엄휠이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승강 조작핸들(55)의 중심축에 구비된 워엄이 워엄휠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조작핸들(55)을 돌려주면 워엄이 회전하고, 워엄이 회전하면 워엄휠이 회전하고, 워엄휠이 회전하면 워엄휠의 중심부가 동축적으로 결합된 랙기어 샤프트가 회전하여 랙기어를 회전시키며, 랙기어가 회전하면서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랙의 기어부를 따라 상기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가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는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의 승강에 따라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부스 바디(10)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동부는 랙과 랙기어와 승강 조작핸들(55) 이외에 공지의 승강 장치를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승강 스탑 리테이너는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가 승강 가이드 부재(51)를 따라 승강한 다음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를 고정하여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 연결된 색상 맞춤 조명기(40)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 스탑 리테이너는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볼트식으로 결합된 고정볼트(48)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48)를 풀어서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를 승강 가이드 부재(51)를 따라 승강시키고, 고정볼트(48)를 조여주면 고정볼트(48)의 내측단이 승강 가이드 부재(51)의 표면에 가압밀착됨으로써 상기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와 색상 맞춤 조명기(40)의 상하 승강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스탑 리테이너는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와 색상 조절 조명기가 부스 바디(10)의 내부에서 승강된 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은 모두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는 부스 바디(10)의 전방측 개방부 쪽으로 펼쳐졌다가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로 다시 접혀지고,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부스 바디(1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될 수도 있고 회동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된 수평 회동 바아(46)와 슬라이드 바아(4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명기 로테이션 스탑 리테이너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회동 바아(46)는 힌지부(H)에 의해 조명등 베이스 지지부재에 연결된다. 수평 회동 바아(46)의 기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조명등 베이스 지지부재에 연결된다. 힌지부(H)를 기준으로 수평 회동 바아(46)가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펼쳐지고 부스 바아의 사이드 패널(12) 안쪽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수평 회동 바아(46)는 단면 원형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아(47)는 수평 회동 바아(4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드 바아(47)는 단면 원형의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어, 수평 회동 바아(46)의 내부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바아(47)는 슬라이드 스탑 리테이너에 의해 수평 회동 바아(46)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스탑 리테이너는 슬라이드 바아(47)에 볼트식으로 결합된 고정볼트(48)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48)를 풀어서 슬라이드 바아(47)를 수평 회동 바아(46)에서 슬라이드시키고, 고정볼트(48)를 조여서 고정볼트(48)의 내측단을 수평 회동 바아(46) 외주면에 가압 고정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바아(47)가 수평 회동 바아(46)에서 슬라이드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탑 리테이너는 슬라이드 바아(47)와 색상 조절 조명기가 부스 바디(1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된 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은 모두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조명기 로테이션 스탑 리테이너는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차량 바디에 도장된 도료와 각도가 맞도록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로테이션 스탑 리테이너는 수평 회동 바아(46)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볼트식으로 결합되어 내측단이 슬라이드 바아(47)의 외주면에 가압되는 고정볼트(4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48)를 풀어놓은 상태에서 색상 조절 조명기를 수평 회동 바아(46)를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수평 회동 바아(46)에서 슬라이드 바아(47)가 회전하므로, 부스 바디(10)에 구비된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를 기준으로 색상 조절 조명기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48)를 조여서 고정볼트(48)의 내측단을 슬라이드 바아(47)의 외주면에 가압되도록 하면, 상기 색상 조절 조명기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테이션 스탑 리테이너는 색상 조절 조명기의 전후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은 모두 채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색상 조절 조명기를 수평 회동바아와 슬라이드 바아(47)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면, 상기 슬라이드 바아(47)에 구비된 회동 지지 슬리브에서 회동 가동 슬리브가 회전하므로, 색상 조절 조명기가 수평 회동 바아(46)와 슬라이드 바아(47)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 회동 바아(46)를 부스 바디(10) 내부에 구비된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53)에서 힌지부(H)를 기준으로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나란하게 펼쳐주고, 상기 색상 조절 조명기에 연결된 슬라이드 바아(47)를 수평 회동 바아(46)에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색상 조절 조명기를 수평 회동 바아(46)와 슬라이드 바아(47)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색상 조절 조명기를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켜 줌으로써 차량 바디의 표면에 도장된 도료에 색상 맞춤 램프(44)의 빛을 비추어서 새로 도장된 도료의 색상을 기존에 이미 도장되어 있던 도료의 색상과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즉, 상기 색상 조절 조명기를 부스 바디(10)에서 회동시키고 인출하고 나아가 전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차량 바디 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색상을 기존에 이미 도장되어 있던 도료의 색상과 같아지도록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차량 바디의 표면에 새로 도료를 도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장 대상 차량에서 도료(페인트)가 도장되기 위한 차량 바디의 표면이 상기 부스 바디(10) 전방의 개방부 앞에 배치된 상태에서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실드 시트(20)를 부착하여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차량 바디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도장 작업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실드 시트(20)는 상부 실드 시트(22)와 좌우 양쪽 사이드 실드 시트(24)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하부 실드 시트(26)도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차량 바디 사이에 부착한다. 그러면, 부스 바디(10)와 차량 바디의 하부측도 외부와 차단된다. 본 발명에서 부스 바디(10)는 바텀 패널(16)이 구비될 수도 있고, 바텀 패널(16)이 생략될 수도 있는데, 하부 실드 시트(26)를 바텀 패널(16)에 부착할 수도 있고, 부스 바디(10)의 하부에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 진입한 작업자가 스프레이식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차량 바디의 표면에 도료를 도장한다. 물론,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는 공지된 스프레이건으로 도료를 스프레이하여 도료를 코팅(도장)할 수 있다. 스프레이건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는 구조는 공지의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차량 바디의 표면에 도료의 도장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보조 캐비넷(30)에 구비된 흡입팬(35)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에 떠있는 도료와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고, 필터에 의해 도료를 필터링한 다음, 보조 캐비넷(30)의 유통홀을 통해 외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송풍팬(37)과 유통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부스 바디(10)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보조 캐비넷(30)의 흡입팬(35)과 송풍팬(37)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간부에 정화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도장 작업자가 도료의 유해 성분에 의해 중독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실드 시트(20) 사이에 형성된 도장 작업 공간 내부에서 도장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실드 시트(20)를 벗겨낸다. 실드 시트(20)를 부착한 테이프 등의 접합수단을 부스 바디(10)와 차량 바디에서 떼어냄으로써 실드 시트(20)를 벗겨낼 수 있다. 실드 시트(20)를 벗겨내면 차량 바디에서 새로 도장된 도료가 드러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에 의해 새로 도장된 도료의 색상을 기존에 이미 도장되어 있던 도료의 색상과 동일하게 맞춘다.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 접혀져 있던 색상 맞춤 조명기(40)를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펼치고 전후 방향으로 색상 맞춤 조명기(40)를 돌려서 색상 맞춤 조명기(40)의 색상 맞춤 램프(44)의 빛을 차량 바디의 새로 도장된 도료 표면에 가해줌으로써 신규 도장 도료의 색상을 기존 도료의 색상과 동일하게 맞추어준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장 부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차량 바디의 일부분을 부분 도장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로 차량을 이동시켜서 실드 시트(20)를 부착하여 오부 도장 작업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도료 도장이 이루어지므로, 차량 바디의 일부분 도장시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2. 상기 부스 바디(10)에 보조 캐니넷을 연결하여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팬(35)과 송풍팬(37)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에 공기를 순환시키고 필터에 의해 도료를 필터링하여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간부와 외부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고 공기 중에 도료 입자는 전량 흡입하여 여과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부스 내부에 들어가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도료의 유해 성분에 의해 중독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높다.
3. 차량 바디의 일부 도장과 도료의 흡입 및 여과 등의 처리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캐비넷(30)을 부스 바디(10)에 결합하고 실드 시트(2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장 작업을 하면 도료의 흡입 및 여과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도료의 안전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차량 바디의 일부 도장과 도료의 흡입 및 여과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구조가 간단하다고 할 수 있다.
4.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와 차량 바디 사이에 실드 시트(20)를 부착하여 도장 작업 공간을 형성하고, 도장 작업 공간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한 다음에는 간단하게 실드 시트(20)를 벗겨내면 되므로, 도장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부스 바디(10)의 사이즈는 법적 규정으로 정해 놓은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도료를 전량 흡입하여 필터링하므로 환경 오염 방지 규정도 만족시킬 수 있다. 부스 바디(10)의 전방 개방부 하측과 차량 바디의 하측에도 부착되는 하부 실드 시트(26)를 설치한 경우에는 도장시 날라다니는 도료가 하부로 빠지는 경우도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므로 도료가 외부로 세어나와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경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5. 상기 부스 바디(10)에 투시창이 구비되어 도장 작업중에 외부 사람이 부스 바디(10) 내부를 들여다 볼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도료에 중독되는 등의 여부를 확인하여 즉시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높일수 있다.
6. 상기 부스 바디(10)에 구비된 출입 도어(18)를 통해 작업자가 부스 바디(10) 내부 공간부로 드나들 수 있으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 또한, 작업자가 부스 바디(10) 내부에서 도료에 중독되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면 즉시 출입 도어(18)를 열어주면 되므로 안전성이 보다 높다.
7. 상기 출입도어에도 투시창이 구비되어 출입도어를 통해서도 부스 바디(10)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외부 사람이 즉시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간부에 있는 사람에 대한 구조 작업 등의 조치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더욱더 높다.
8. 색상 맞춤 조명기(40)에 의해 도료의 색상을 주변 도로의 색상과 동일하게 맞 출 수 있으므로 도료 색상 맞춤 작업이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9.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의 램프 케이스(42)에는 커버 슬라이드 레일부가 구비되어 커버 슬라이드 레일부에 커버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여 커버로 램프 케이스(42)의 전방 개방부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도장 작업 중에는 커버로 막아서 색상 맞춤 램프(44)에 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므로 색상 조절 램프를 보호할 수 있다.
10. 색상 맞춤 조명기(40)를 부스 바디(10)에서 승강시켜서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고 색상 맞춤 조명기(40)를 회동시켜서 도료 표면에 마주하는 색상 맞춤 램프(4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보다 편리하다. 또한, 모든 종류의 차종에 호환성이 있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범위가 더욱 넓어지는 것이다.
11.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거치 함체(32)가 더 구비되어, 거치 함체(32)에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편리성이 보다 높은 등의 효과도 있다.
12. 부스 바디(10)의 옆으로 열리는 도어 역시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안쪽면에 수납 함체(12B)를 구비하여, 수납 함체(12B)에 여러 가지 물품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의 편리성을 더 높여주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캐비넷(30)이 내부에 흡입팬(35)과 송풍팬(37) 및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캐비넷(30)은 연결관에 의해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조 캐비넷(30) 내부에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를 구비하여 흡입팬(35)과 송풍팬(37)을 각각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에 내장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팬 챔버(34)와 송풍팬 챔버(36)가 호스 등의 연결관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의 공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캐비넷(30) 내부에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캐비넷(30)의 상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캐스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팬(35)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에서 에어를 흡입할 때에 보조 캐비넷(30) 내부에 구비된 필터에 의해 에어를 정화시켜서 보조 캐비넷(30)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송풍팬(37)에 의해 부스 바디(10) 내부로 정화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캐비넷(30)은 부스 바디(10)에 결합시켜 사용하지 않고 호스 등의 연결관에 의해 보스 바디 내부의 공간부와 연결되어 부스 바디(10)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고 부스 바디(10) 외부로는 도료가 필터링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작업장에서 부스 바디(10)의 주위에 보조 캐비넷(30)을 놓을 공간이 없고 보조 캐비넷(30)을 부스 바디(10)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때에 유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부스 바디 12. 사이드 패널
14. 천정 패널 16. 바텀 패널
18. 출입 도어 20. 실드 시트
22. 상부 실드 시트 24. 사이드 실드 시트
26. 하부 실드 시트 30. 보조 캐비넷
34. 흡입팬 챔버 35. 흡입팬
36. 송풍팬 챔버 37. 송풍팬
40. 색상 맞춤 조명기 42. 램프 케이스
43. 커버 44. 색상 맞춤 램프
46. 수평 회동 바아 47. 슬라이드 바아
48. 고정볼트 51. 승강 가이드 부재
53. 조명기 베이스 지지부재 55. 승강 조작 핸들

Claims (13)

  1.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가 구비된 부스 바디(10);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와 차량 바디에 부착되어 상기 개방부에서 상기 차량 바디 사이에 도장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실드 시트(20);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 바디(10)는 좌우 사이드 패널(12)과, 상기 사이드 패널(12)의 상단부에 결합된 천정 패널(14)과, 상기 사이드 패널(12)의 후방에 구비된 출입 도어(1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사이드 패널(12)에는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패널(12)에는 상기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12A)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2A)를 열어서 상기 보조 캐비넷 연결 개방부에 보조 캐비넷(30)이 연결되며,
    상기 보조 캐비넷(30)은 내부에 흡입팬(35)과 송풍팬(37) 및 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흡입팬(35)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10) 내부에서 에어를 흡입할 때에 상기 보조 캐비넷(3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에 의해 에어를 정화시켜서 상기 송풍팬(37)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10) 내부로 정화된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거치 함체(32)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2A)는 상기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안쪽면에 수납 함체(12B)를 구비하고,
    상기 부스 바디(10)는 내부의 공간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시창(WD)이 구비되고,
    상기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는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구비되며,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는 힌지부(H)에 의해 상기 부스 바디(10)의 전방에 구비된 상기 개방부 쪽으로 펼쳐지고 상기 부스 바디(10) 내부 공간부로 접혀지며, 상기 힌지부(H)에서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인출되거나 상기 힌지부(H) 방향으로 후퇴되도록 슬라이드되며, 상기 색상 맞춤 조명기(40)가 회동되어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시트(20)는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실드 시트(20)의 일단부가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 둘레부에 부착수단으로 부착되고, 상기 실드 시트(20)의 타단부는 차량 바디의 표면에 부착수단으로 부착되어,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와 상기 실드 시트(20) 사이에 형성된 도장 작업 공간에서 차량 바디의 도료 도장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테이프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프에 의해 상기 실드 시트(20)가 상기 부스 바디(10)의 상기 개방부의 둘레부와 상기 차량 바디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차량 바디의 도료 코팅 작업 완료 후에 상기 테이프를 떼어서 상기 실드 시트(20)를 벗겨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캐비넷(30)의 내부에는 각각 흡입팬 챔버(34) 및 송풍팬 챔버(36)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 챔버(34)에 상기 흡입팬(35)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 챔버(36)에 상기 송풍팬(37)이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 챔버(34)의 앞쪽 위치나 상기 흡입팬 챔버(34)와 상기 송풍팬(37) 사이 또는 상기 송풍팬(37)과 상기 부스 바디(10)의 내부 공간부 사이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장 부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20826A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도장 부스 KR10166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26A KR101661611B1 (ko)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도장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26A KR101661611B1 (ko)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도장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611B1 true KR101661611B1 (ko) 2016-10-10

Family

ID=5714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26A KR101661611B1 (ko) 2015-08-27 2015-08-27 차량용 도장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2033A (zh) * 2022-02-15 2022-05-13 广东恒昌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喷涂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506A (en) * 1991-07-03 1993-08-17 Russell Mazakas Method for installing a portable spray booth liner
JPH0613275U (ja) * 1991-04-02 1994-02-18 株式会社モリテックス 調光装置
JP2743092B2 (ja) * 1989-08-05 1998-04-22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開閉ドア付塗装ブース
JP2002336749A (ja) * 2001-05-16 2002-11-26 Kaabo:Kk 自動車用の循環式塗装ブース装置
KR200329694Y1 (ko) 2003-07-21 2003-10-10 (주)세계덴트칼라시스템 자동차 도장용 간이 부스
KR100678654B1 (ko)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1313820B1 (ko) 2011-11-08 2013-09-30 김정인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3092B2 (ja) * 1989-08-05 1998-04-22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開閉ドア付塗装ブース
JPH0613275U (ja) * 1991-04-02 1994-02-18 株式会社モリテックス 調光装置
US5236506A (en) * 1991-07-03 1993-08-17 Russell Mazakas Method for installing a portable spray booth liner
JP2002336749A (ja) * 2001-05-16 2002-11-26 Kaabo:Kk 自動車用の循環式塗装ブース装置
KR200329694Y1 (ko) 2003-07-21 2003-10-10 (주)세계덴트칼라시스템 자동차 도장용 간이 부스
KR100678654B1 (ko) 2005-12-27 2007-02-06 주식회사 지씨남원 적외선히터를 이용한 자동차 바디 도장건조부스
KR101313820B1 (ko) 2011-11-08 2013-09-30 김정인 자동차 바디 도장용 이동식 스프레이 도장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2033A (zh) * 2022-02-15 2022-05-13 广东恒昌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喷涂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040B1 (ko) 차량 도장 방법
US20100272915A1 (en) Portable spray booth with air handling system
US5853215A (en) Mobile spraybooth workstation
AU2000236528B2 (en) Device for carrying out work in an elevator shaft
KR101093109B1 (ko) 도장 부스
KR20170108571A (ko) 복합 기능 차량용 도장 부스
KR101661611B1 (ko) 차량용 도장 부스
US20220314260A1 (en) Portable Variable Volume Paint Spray Enclosure and Air Scrubber; Method for Constructing a Paint Spray Enclosure and Air Scrubber
GB2424064A (en) Localised extraction system
KR101659242B1 (ko) 출입문을 갖는 가림막장치
KR100719631B1 (ko) 페인팅 장치
CN108068892A (zh) 车载前置厢结构
US10682537B2 (en) Ergonomic SCBA holder
KR20120111856A (ko) 벽면 도장 로봇의 비산 방지 장치
CN104888994B (zh) 移动式涂装实验车及其使用方法
RU150699U1 (ru) Автомобиль технической поддержки проведения специальных операций
CN207291791U (zh) 车厢三面可展开的巡回审判车
CN110386049A (zh) 一种具有升降平台的电力检修车
GB2515380A (en) Spray booth
CN105999596B (zh) 多功能器材消防车
CN205020302U (zh) 便携充气式喷漆房
AU2008202212B2 (en) Vehicle mounted, wheelchair boarding apparatus
JPH09168607A (ja) 消防ポンプ積載車
GB2595773A (en) Reconfigurable spray booth for train
JP2011115706A (ja) 移動式塗装小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