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041B1 -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041B1
KR101312041B1 KR1020110077947A KR20110077947A KR101312041B1 KR 101312041 B1 KR101312041 B1 KR 101312041B1 KR 1020110077947 A KR1020110077947 A KR 1020110077947A KR 20110077947 A KR20110077947 A KR 20110077947A KR 101312041 B1 KR101312041 B1 KR 101312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ement pipe
lifting
fix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757A (ko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11007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66F3/28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66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구조물과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널과 연결패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철골기둥가 상기 철골기둥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으로 구성된 건축물을 승강시키는 리프트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철골기둥에 근접되게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철골기둥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와 상기 철골기둥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로 이루어져, 숙련된 작업자와 지게차가 불필요하여 인건비와 시공비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기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 Lift Apparatus For Structure Extend }
본 발명은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과 철골기둥에 승강시키기 위해 내부에 승강실린더가 설치된 승강장치로 승강시킴으로서, 숙련된 작업자와 지게차가 불필요하여 인건비와 시공비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기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은 내부에 작업공간을 확보하도록 지붕의 하부에 철골구조의 " H " 빔(이하 철골기둥)을 설치하여 기둥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철골기둥의 상단부는 건축물의 지붕 하부 테두리 부분을 따라 용접 또는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하단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진 바닥부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며, 설치된 철골기둥들 사이에는 다수의 패널을 볼트 또는 용접체결되어 외벽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물은 입구가 협소함과 아울러 입구의 높이가 낮아 차량이 인입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증축시 기존의 건축물을 분해하여 제거한 후 새로운 건축물을 증축해야 하므로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됨은 물론 넓은 부지를 확보해야 하며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건축물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벽을 제거한 후 다수의 지게차로 동시에 철골기둥을 들어올린 다음 철골기둥의 하부에 연장기둥을 용접하거나 리베팅하여 연결함으로서, 기존의 구조물의 높이를 신장시켜 내부공간을 높이만큼의 내부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입구를 통해 차량이 걸림없이 통행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게차를 이용해 건축물을 상승시 각각의 지게차가 정교하게 동일한 속도와 높이로 건축물을 승강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성상 건축물에 설치된 철골기둥의 숫자만큼 지게차가 필요하게 되므로, 지게차를 수급하기 어려고 숙련된 작업자의 인건비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므로 정교하게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붕과 철골기둥에 승강시키기 위해 내부에 승강실린더가 설치된 승강장치로 승강시킴으로서, 숙련된 작업자와 지게차가 불필요하여 인건비와 시공비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기계적으로 균등한 속도로 승강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장치의 내설된 승강축과 연동되게 보강관을 설치하고, 이동롤러와 안내롤러로 보강관이 가이드되게 함으로서 지붕과 철골기둥을 승강,이송시 승강축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초구조물과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널과 연결패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철골기둥가 상기 철골기둥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으로 구성된 건축물을 승강시키는 리프트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철골기둥에 근접되게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철골기둥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와 상기 철골기둥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관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보강관에 설치되어 승강되도록 승강로가 마련된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보강관을 안내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안내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관에는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동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관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보강관에 설치되어 승강되도록 승강로가 마련된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크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보강관을 안내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안내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관에는 하부에 상기 레크부와 치합되도록 작동기어부가 마련되고 상기 보광관의 저면에는 상기 작동기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관에는 상기 철골기둥을 승강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패널 중 어느하나에 체결되는 고정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보강관에 일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측면에 끼움되는 고정유닛과, 상기 회동바들을 연결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자성체로 형성시켜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보강관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자유단부에 설치되는 앵글구조의 승강부재와 상기 철골기둥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보강패널로 구성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는 긴 이송레일을 갖는 레일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도록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을 갖는 다수의 승강장치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는 지붕과 철골기둥에 승강시키기 위해 내부에 승강실린더가 설치된 승강장치로 승강시킴으로서, 숙련된 작업자와 지게차가 불필요하여 인건비와 시공비가 절감되고 설치가 간편하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기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강장치의 내설된 승강축과 연동되게 보강관을 설치하고, 이동롤러와 안내롤러로 보강관이 가이드되게 함으로서 지붕과 철골기둥을 승강,이송시 승강축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건축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가 철골기둥에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가 철골기둥을 승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가 설치된 건축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가 철골기둥에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가 철골기둥을 승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10)(이하 리프트 장치)는 건축물(100)을 상향으로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리프트 장치(10)는 베이스패널(20)과 승강장치(30)와 연결장치(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축물(10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초구조물(200)과 상기 기초구조물(200)의 상부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철골기둥(300)과 상기 철골기둥(300)들을 연결하며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장치(10)는 증축을 위해 상기 기초구조물(200)에서 분리된 철골기둥(300)과 지붕을 상향으로 이동시킨 후 철골기둥(300)의 하단부에 연결철골기둥(도시생략)을 용접 또는 리베팅고정시킴으로서, 기존의 작업공간보다 높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철골기둥(300)은 한쌍의 지지패널(300a)과 상기 지지패널(300a)을 연결하는 연결패널(300b)로 이루어진 통상의 " H "빔으로서, 건축물의 기둥역할을 하게 되고, 외벽패널(도시생략)이 철골기둥(300)들 사이에 설치되어 외벽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패널(2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상기 승강장치(30)의 하부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베이스패널(20)과 결합된 승강장치(30)는 각각의 상기 철골기둥(300)에 근접되게 상기 기초구조물(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승강장치(30)는 상기 베이스패널(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기둥(30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승강장치(30)는 상기 베이스패널(20)의 상부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고정되는 승강실린더(31)와 상기 승강실린더(31)의 승강축(311) 상부에 용접고정되어 연동되게 승강되는 보강관(32)과 상기 보강관(32)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패널(20)의 상면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고정되며, 상면부(331)에는 상기 보강관(32)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공(33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장치(40)가 상기 보강관(32)에 설치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되어 승강되도록 승강로(333)가 마련된 보호케이스(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호케이스(33)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레일(334)이 마련되고, 상기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보강관(32)을 안내하도록 삽입홈(335)이 형성된 안내롤러(335)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관(32)에는 상기 안내레일(334)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동롤러(321)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축(311)이 지붕(400)과 철골기둥(300)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축(311)을 감싸면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보강관(32)이 설치되어, 승강축(311)이 철골기둥을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기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보강관(32)은 보호케이스(33)에 안내되어 보강관(32)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관(32)은 상기 승강축(311)에 끼움된 후 보강관의 상부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33)에 설치된 안내롤러(335) 및 상기 이동롤러(321)는 승강되는 상기 보강관(32)을 안내하여 승강중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안내롤러(335)는 외주면에 삽입홈(335a)이 형성되어 원통의 관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관(32)의 외주연을 지지하며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연결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30)와 상기 철골기둥(30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결장치(40)는 상기 보강관(32)에 일단이 용접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바(41)와 상기 지지바(41)의 자유단부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고정되는 앵글구조의 승강부재(42)와 상기 철골기둥(300)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431)과 상기 고정패널(431)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42)와 연결되는 지지패널(432)과 상기 고정패널(431)과 상기 지지패널(432)을 연결하며 용접고정되는 보강패널(433)로 구성된 연결부재(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42)의 상면패널(431)은 상기 지지패널(432)과 볼트체결되어 상호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431)들은 상기 연결패널(300b)을 관통하여 상호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철골기둥(300)의 연결패널(300b)에 연결부재(43)를 볼트체결하거나 용접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하부에 베이스패널(20)이 마련되고 보강관(32)에 연결장치(40)가 설치된 승강장치(30)를 건축물의 철골기둥(300)과 마주보게 배치시키되, 상기 연결장치(40)의 승강부재(42)가 상기 철골기둥(300)에 설치된 연결패널(300b)의 하부에 면접촉되게 위치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다음, 외부에서 상기 승강실린더(31)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승상실린더(31)의 승강축(311)과 보강관(32)이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철골기둥(30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31)로 유압을 공급하는 것은 중앙컴퓨터를 통해 각각의 승강실린더(31)로 동일하게 유압을 공급하여 각각의 승강실린더(31)가 동일한 속도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지붕(400)과 철골기둥(300)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철골기둥(300)의 하부에 연결철골기둥(도시생략)을 용접하거나 리베팅하여 연결시킨 후 유압을 배출시킴으로서 승강축(311)과 보강관(32)이 하향으로 이동시킨 후 연결철골기둥의 하부를 기초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서, 일련의 작업과정을 마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에서는 승강장치(30)가 승강실린더(31)와 보강관(32)과 보호케이스(33)로 구성되어, 보강관(32)을 승강실린더(31)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중량물인 지붕(400)과 철골기둥(300)에 의해 승강실린더(31)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호케이스(33)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크부(336)를 마련하고 상기 보강관(32)에는 하부에 상기 레크부(336)와 치합되도록 작동기어부(322)가 마련되고 상기 보강관(322)의 저면에는 상기 작동기어부(322)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323)가 설치하게 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31)와 보강관(32)과 보호케이스(33)를 상술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내레일(334)을 상기 레크부(336)로 대체하고 상기 이동롤러(335)를 작동기어부(322)로 대체한 후 상기 작동기어부(322)가 회동되도록 구동모터(323)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구동모터(323)의 작동에 의해 작동기어부(322)가 상기 레크부(336)에 안내되면서 승강되어, 승강실린더(31)와 구동모터(323)에 의해 지붕(400)과 철골기둥(300)을 승강시켜 승강실린더(31)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어느하나가 오작동시에도 지속적으로 승강시킬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철골기둥(300)이 승강도중 기울어져 넘어지거나 승강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철골기둥(300)을 따라 지붕(400)에 전달되는 것을 완충하도록 보강관(32)에 고정장치(50)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패널(300a) 중 어느하나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장치(50)는 상기 보강관(32)에 일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바(51)와, 상기 회동바(5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패널(300a)의 측면에 끼움되는 고정유닛(52)과, 상기 회동바(51)들을 연결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밴드(53)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유닛(52)은 자성체로 형성시켜 상기 지지패널(300a)에 고정된다.
즉, 상기 회동바(51)를 회전시켜 고정유닛(52)을 지지패널(500a)의 양측에 고정시키고, 탄성을 갖는 고정밴드(53)로 회동바(51)들을 연결하며 조여 고정시킴으로서, 승강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킴과 아울러 철골기둥(3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53)를 벨크로 테잎이나 스넵단추에 의해 단부가 분리 결합되게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유닛(52)은 상기 지지패널(300a)의 측면이 인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패널(20)과 상기 연결장치(40)가 설치된 다수의 승장장치(3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각각의 철골기둥(300)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초구조물(200)의 상면에 긴 이송레일(61)을 갖는 레일부(60)가 더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패널(20)의 저면에는 상기 이송레일(61)에 안내되도록 안내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패널(20)을 갖는 다수의 승강장치(30)가 상기 레일부(60)에 안내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레일부(60)를 철골기둥(30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상기 기초구조물(200)에 배치한 다음 레일부(60)에 승강장치(30)를 이송레일(61)을 따라 안내되게 설치함으로서, 승강장치(30)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승강장치(30)가 설치된 레일부를 이송, 설치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21)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에 용접,설치되는 한쌍의 안내바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바 사이에 이송레일이 배치되어 안내된다.
10 : 리프트장치 20 : 베이스패널
30 : 승강장치 40 : 연결장치
50 : 고정장치 60 : 레일부
21 : 안내부 31 : 승강실린더
311 : 승강축 322 : 작동기어부
323 : 구동모터 32 : 보강관
321 : 이동롤러 33 : 보호케이스
331 : 상면부 332 : 안내공
333 : 승강로 334 : 안내레일
335 : 안내롤러 335a : 삽입홈
336 : 레크부 41 : 지지바
42 : 승강부재 421 : 상면패널
43 : 연결부재 431 : 고정패널
432 : 지지패널 433 : 보강패널
51 : 회동바 52 : 고정유닛
53 : 고정밴드 61 : 이송레일
100 : 건축물 200 : 기초구조물
300 : 철골기둥 300a : 지지패널
300b : 연결패널 400 : 지붕

Claims (6)

  1. 기초구조물과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널과 연결패널을 포함하는 다수의 철골기둥가 상기 철골기둥들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붕으로 구성된 건축물을 승강시키는 리프트장치로서, 각각의 상기 철골기둥에 근접되게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철골기둥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와 상기 철골기둥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승강축과 연동하여 승강되는 보강관과
    상기 보강관을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관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안내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보강관에 설치되어 승강되도록 승강로가 마련된 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보강관을 안내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안내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관에는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이동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에는 상기 철골기둥을 승강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패널 중 어느하나에 체결되는 고정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보강관에 일단부가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측면에 끼움되는 고정유닛과,
    상기 회동바들을 연결하며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자성체로 형성시켜 상기 지지패널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보강관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자유단부에 설치되는 앵글구조의 승강부재와
    상기 철골기둥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보강패널로 구성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는 긴 이송레일을 갖는 레일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의 저면에는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도록 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패널을 갖는 다수의 승강장치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KR1020110077947A 2011-08-04 2011-08-04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KR101312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947A KR101312041B1 (ko) 2011-08-04 2011-08-04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947A KR101312041B1 (ko) 2011-08-04 2011-08-04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57A KR20130015757A (ko) 2013-02-14
KR101312041B1 true KR101312041B1 (ko) 2013-09-25

Family

ID=4789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947A KR101312041B1 (ko) 2011-08-04 2011-08-04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9209B (zh) * 2022-02-10 2023-07-25 徐银良 一种建筑工程用外墙修筑操作平台
KR102481375B1 (ko) * 2022-04-06 2022-12-27 김재호 건물 상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78A (ko) * 2002-02-19 2003-08-25 오원균 철골건물의 증고, 증층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78A (ko) * 2002-02-19 2003-08-25 오원균 철골건물의 증고, 증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757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6246B2 (ja) 重量物移動装置を用いた重量物の移動方法及び重量物移動装置
US10280637B2 (en)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CN106194220A (zh) 隧道用防水板安装台车
CN108798727B (zh) 一种隧道自行式防水板挂布钢筋定位一体多功能台车及应用
WO2022037081A1 (zh) 一种水平结构的拆除清运方法
CN110820579A (zh) 一种基于移动式钢箱梁跨路施工工作平台的施工方法
JPH0841828A (ja) 橋桁架設装置
KR101312041B1 (ko) 건축물 증축용 리프트 장치
CN110884989B (zh) 快速装卸吊装设备及其吊装方法
CN209306480U (zh) 全自动伸缩式上料平台
KR101011371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EP2345623B1 (en) A system comprising a movable work platform, as well as an apparatus and a crane device
JP5473294B2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US20130087410A1 (en) Lift platform
JP2010242308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構造高層建物の解体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解体装置
JP2023074170A (ja) 床版取替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施工機械
JP2007262688A (ja) 建物の解体工法
JP2004092092A (ja) トンネル拡幅工事用プロテクタと一体の運搬設備
CN210767897U (zh) 一种单元式幕墙板块施工机械
CN113216593A (zh) 一种高层建筑电梯井防坠落吊装装置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CN210620066U (zh) 一种起吊车设备
JP7330411B2 (ja) 床版移動方法及び床版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