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61B1 -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 Google Patents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61B1
KR101311861B1 KR1020130047465A KR20130047465A KR101311861B1 KR 101311861 B1 KR101311861 B1 KR 101311861B1 KR 1020130047465 A KR1020130047465 A KR 1020130047465A KR 20130047465 A KR20130047465 A KR 20130047465A KR 101311861 B1 KR101311861 B1 KR 10131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license plate
photographing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송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4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단속카메라의 사각지역에 있는 차량을 단속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 가로대, 상기 제 1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팬틸트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에 정지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가로대와 제 1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는 제 2 가로대, 상기 제 2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가로대 또는 제 2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는 제 3 카메라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의 하측에 촬영 사각지역인 제 1 구역이 발생되고,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제 1 구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가로대의 길이와 상기 제 1 각도가 결정되며, 상기 제 3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ILLEGAL STOPPING AND PARKING VEHICLE IN BLIND SPOT USING HIGH RESOLUTION CAMERA AND METHOD MONITORING THEREOF}
본 발명은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단속카메라의 사각지역에 있는 차량을 단속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교통법상 주차는 운전자가 승객을 기다리거나 화물을 싣거나 차량이 고장 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차량을 계속하여 정지 상태에 두는 것 또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떠나서 즉시 그 차량을 운전할 수 없는 상태에 두는 것을 말한다. 정차는 운전자가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주차 외의 정지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쪽(또는 갓길)에는 차량이 주정차하기 쉽다. 이렇게 주정차된 차량은 주행 중인 다른 차량의 흐름을 방해하고 실질적으로 도로의 폭을 좁힐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교통법에서는 각종 주정차 금지 표시판을 세워 이러한 불법 주정차를 금지하도록 계도하고 있다.
그러나 단속을 실시하는 경찰관의 인력이 모든 주차 감시 지역마다 배치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도로의 갓길 등에는 주정차 금지 표시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 주정차 차량들이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교통경찰이 보다 신속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일시적이고, 단속 인력에 대한 비용이 가중될 수 있으며, 단속 중 민원인과의 충돌이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주정차 금지구역에 무인 감시카메라 설치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감시 카메라에 의한 단속 방법은 감시카메라를 주정차 금지구역 상에 설치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감시카메라의 시계의 제한으로 인하여 감시카메라의 아래쪽이 촬영 불가능한 사각지역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감시카메라의 아래쪽에 차량이 불법으로 주정차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단속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부 몰지각한 차주들이 이러한 약점을 악용하여 단속의 사각지역인 감시카메라의 바로 아래쪽에 차량을 집중적으로 불법 주정차함으로써 교통 체증과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사각지역을 줄이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감시카메라는 팬, 틸트,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고가의 카메라이며, 그 유지나 보수에도 비교적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감시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지대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각지역을 단속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도 있으나, 이러한 구조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나 시간도 상당하며, 유지 및 보수도 어려워 사용 기간도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소의 비용으로 사각지역을 단속할 수 있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75988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단속카메라의 사각지역에 있는 차량을 단속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주에 가로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추가되는 가로대의 단부에 고해상도 카메라를 설치하여 적은 비용으로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는 단속카메라의 사각지역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 가로대, 상기 제 1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팬틸트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에 정지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가로대와 제 1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는 제 2 가로대, 상기 제 2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가로대 또는 제 2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는 제 3 카메라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의 하측에 촬영 사각지역인 제 1 구역이 발생되고,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제 1 구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가로대의 길이와 상기 제 1 각도가 결정되며, 상기 제 3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중 제 1 구역 이외의 제 2 구역에 정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한 차량에 대하여 경고안내방송 또는 경고안내문이 출력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로대는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각도가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메라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카메라이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2백만 화소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속방법은, 제 3 카메라가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제 1 단계, 상기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차량이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차량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한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 1 카메라의 촬영 사각지역인 제 1 구역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제 1 구역 안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을 단속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제 1 구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차량이 제 1 구역 안에 있는 경우,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촬영단계, 상기 제 1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1 문자인식단계,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대기단계, 상기 제 2 카메라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2 촬영단계, 상기 제 2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2 문자인식단계, 상기 제 1 문자인식단계와 제 2 문자인식단계에서 인식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동일판단단계 및 상기 동일판단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단속하는 단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차량이 제 1 구역 안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촬영단계, 상기 제 1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1 문자인식단계,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대기단계, 상기 제 1 카메라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2 촬영단계, 상기 제 2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2 문자인식단계, 상기 제 1 문자인식단계와 제 2 문자인식단계에서 인식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동일판단단계 및 상기 동일판단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을 단속하는 단속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단속카메라의 사각지역에 있는 차량을 단속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주에 가로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추가되는 가로대의 단부에 고해상도 카메라를 설치하여 적은 비용으로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는 단속카메라의 사각지역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감시카메라의 촬영 사각지역을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된 구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된 구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종래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인한 교통 정체와 혼잡을 방지하고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하였다. 그러나, 현실상 감시카메라의 수와 시계에는 제한이 있으므로 단속이 불가능한 사각지역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감시카메라의 촬영 사각지역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정차 금지구역의 감시카메라는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가 후방을 향하는 경우, 우측에 있는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감시카메라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사각지역(5)에 있는 차량을 촬영하는 경우, 그 차량을 위에서 촬영할 수는 있지만, 촬영 각도상 차량의 번호판을 판독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경우 차량 촬영 장치에 의해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할 수 없는 사각지역(5)이 발생하므로, 단속 공무원이 현장에 직접 나가서 단속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자동으로 불법 주정차 단속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차주들은 이를 악용하여 단속이 어려운 사각지역(5)에 차량을 주정차함으로써 교통의 원활을 꾀하려 하는 감시카메라의 본래의 목적을 퇴색시키고 있다.
본 발명은 불법 주정차 차량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의 사각지역을 단속할 수 있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최소의 비용으로 이러한 사각지대를 보완하여 설치 비용과 설치 기간을 절감시키고, 장기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 관리도 용이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은 단속촬영 카메라(300), 고해상도 카메라(400), 출력부(500), 통신부(600), 메모리(700), 인터페이스부(800), 전원공급부(900), 제어부(10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단속촬영 카메라(300)는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단속촬영 카메라(30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6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단속촬영 카메라(300)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단속촬영 카메라(300)는 검지카메라(제 3 카메라, 310)와 단속카메라(제 1 카메라, 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검지카메라(310)는 주정차 금지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검지할 수 있으며, 단속카메라(320)는 팬, 틸트, 줌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서 불법으로 주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단속카메라(320)는 바람직하게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LPR 카메라는 x축,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 틸팅할 수 있는 틸팅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한 사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LPR 카메라는 지정된 x, y 좌표로 카메라를 회전시켜 차량에 대해 줌인(zoom-in) 영상 또는 줌아웃(zoom-out)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주정차 금지구역에 주정차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다. 단속카메라(320)가 팬, 틸트, 줌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불법 주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고가의 장비라고 한다면, 이와 달리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팬, 틸트 기능 없이도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고해상도 카메라(제 2 카메라, 400)는 고가의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주정차 금지구역에 대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백만 화소 이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출력부(50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510), 경고부(5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0)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속촬영 카메라(300)나 고해상도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통신부(600)를 통하여 송/수신된 영상, UI, G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10)는 야간 등 어두운 공간에서 불법으로 주정차한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조명등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고부(520)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불법 주정차 등이 있다. 경고부(520)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경고 안내 문서 등을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경고 안내 문서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510)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510)는 알람부(520)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통신부(600)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과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과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0)는 유/무선 인터넷 모듈(610), 근거리 통신 모듈(620) 및 위치정보 모듈(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인터넷 모듈(610)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불법 주정차 시스템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62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630)은 불법 주정차 시스템(1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메모리(700)는 제어부(10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송수신 메시지 히스토리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700)에는 상기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7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800)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80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8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900)는 제어부(10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controller)(1000)는 통상적으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불법 주정차 차량 검지, 단속자료 생성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0)는 검지카메라(31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차량이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정지하였다면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이 아닌지 판단하여 정지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게 하며, 상기 차량을 단속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불법 주정차 차량이 단속카메라(320)의 촬영 사각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고해상도 카메라(400)가 작동하게 하여 상기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례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례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례들이 제어부(100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례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700)에 저장되고, 제어부(10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시한 구성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설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된 구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 구조는 지주(100), 가로대(200), 단속촬영 카메라(300), 고해상도 카메라(제 2 카메라, 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설치 구조를 살펴본다.
지주(100)는 주정차 금지구역 안이나 근처의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볼트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거나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0)는 단속촬영 카메라(300)가 넓은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지주(100)는 단속촬영 카메라(300)나 고해상도 카메라(400), 출력부(500), 통신부(60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중으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빗물 등에 부식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0)의 상부에는 가로대(200)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10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대(200)는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의 가로대를 구비하는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고, 도 3a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단속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주정차 금지구역의 현장 여건에 따라 상기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는 지면과 수평 하게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정차 금지구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속촬영 카메라(300)는 제 1 가로대(2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정차 금지구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속촬영 카메라(300)는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며, 검지카메라(제 3 카메라, 310)와 단속카메라(제 1 카메라, 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검지카메라(310)는 주정차 금지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검지할 수 있으며, 단속카메라(320)는 팬, 틸트, 줌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서 불법으로 주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상기 단속카메라(320)가 촬영할 수 없는 사각지역을 촬영하기 위해 제 2 가로대(22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주정차 금지구역에 주정차하는 차량을 촬영할 수 있으며,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확인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백만 화소 이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의 구조를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속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검지카메라(제 3 카메라, 310)가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며 차량이 주정차 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1010).
그 후, 주정차 금지구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제어부(1000)는 차량이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0).
만약 정지하지 않고 주정차 금지구역을 벗어나거나 카메라 촬영 범위 밖으로 벗어난다면 불법 주정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만약 차량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제어부(1000)는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제 1 카메라, 320)의 사각지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0).
만약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 내라고 판단된다면, 단속카메라(320)는 불법 주정차 차량을 촬영할 수 없기 때문에 작동을 하지 않으며,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카메라(제 2 카메라, 400)가 작동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다(S1040).
제어부(1000)는 고해상도 카메라(40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다(S1050).
문자 인식을 위하여 우선 차량 번호판 위치의 3가지 검출방법 중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
첫째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 가장자리 정보를 이용하여 번호판의 특징영역을 검출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스캔 데이터 분석에 의해 차량 번호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숫자와 문자를 직접 검색하여 정확한 차량 번호판을 검출하는 것이다.
차량 번호판의 위치가 검출되면, 템플렛 정합에 의한 문자 인식(한글자음 + 번호), 구조적 특징에 의한 문자 인식(한글모음)을 하고, 오인식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의 인식 알고리즘은 숫자, 문자(자음, 모음) 등 특징을 상세하게 분류하여 인식된 문자를 재확인처리를 함으로써 문자 해독 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차량 번호판의 문자 인식이 완료되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S1060). 대기 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하는 시간 동안 카메라들은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다른 부분을 감시할 수 있다.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동일한 위치에서 다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며(S1070), 제어부(1000)는 고해상도 카메라(40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다시 인식한다(S1080).
그 다음, 제어부(1000)는 대기 시간 전 인식한 문자와 대기 시간 후 다시 인식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한다(S1090). 이러한 판단으로 인식된 두 문자가 동일하다면 차량이 적어도 5분 정도 같은 위치에서 불법 주정차하였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입증되는 것이다.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 위치에 불법 주정차한 다른 차량인 것이므로 다시 처음부터 단속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다면, 상기 불법 주정차한 차량에 대하여 단속처리를 수행한다(S1100).
한편, S1030 단계에서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 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반대로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작동을 하지 않고, 단속카메라(320)가 작동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며(S1110), 제어부(1000)는 단속카메라(32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다(S1120).
차량 번호판의 문자 인식이 완료되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S1130). 마찬가지로 대기 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기하는 시간 동안 카메라들은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다른 부분을 감시할 수 있다.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단속카메라(320)는 동일한 위치에서 다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며(S1140), 제어부(1000)는 단속카메라(32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다시 인식한다(S1150).
그 다음, 제어부(1000)는 대기 시간 전 인식한 문자와 대기 시간 후 다시 인식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한다(S1160).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 위치에 불법 주정차한 다른 차량인 것이므로 다시 처음부터 단속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다면, 상기 불법 주정차한 차량에 대하여 단속처리를 수행한다(S1100).
상기 도 4의 순서도에서 볼 수 있듯이, 도 3a 및 도 3b의 구조는 별도의 가로대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이 추가된 가로대의 단부에 고해상도 카메라(400)를 설치하여, 단속카메라(320)의 촬영 사각지역을 고해상도 카메라(400)를 이용하여 보완하고 있다.
이는 팬, 틸트, 줌 기능을 갖춘 고가의 단속카메라를 추가하는 것보다 경제적이며, 간단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된 구조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10) 구조는 지주(100), 가로대(200), 단속촬영 카메라(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설치 구조를 살펴본다.
지주(100)는 도 3a 및 도 3b의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정차 금지구역 안이나 근처의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볼트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거나 지중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0)는 단속촬영 카메라(300)가 넓은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지주(100)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빗물 등에 부식되지 않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100)의 상부에는 가로대(200)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10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대(200)는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의 가로대를 구비하는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고, 불법 주정차 차량에 대한 단속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주정차 금지구역의 현장 여건에 따라 상기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는 지면과 수평 하게 위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정차 금지구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속촬영 카메라(300)는 제 1 가로대(210)와 제 2 가로대(22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정차 금지구역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단속촬영 카메라(300)는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여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며, 검지카메라(제 3 카메라, 310)와 단속카메라(제 1 카메라, 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검지카메라(310)는 제 1 가로대(2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주정차 금지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검지할 수 있다.
단속카메라(320)는 제 2 가로대(22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팬, 틸트, 줌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서 불법으로 주정차하고 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로대(210)의 단부에는 고해상도 카메라(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단속카메라(320)의 촬영 사각지역을 보완하고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백만 화소 이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b의 구조를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속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검지카메라(제 3 카메라, 310)가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며 차량이 주정차 금지구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2010).
그 후, 주정차 금지구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제어부(1000)는 차량이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20).
만약 정지하지 않고 주정차 금지구역을 벗어나거나 카메라 촬영 범위 밖으로 벗어난다면 불법 주정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만약 차량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제어부(1000)는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제 1 카메라, 320)의 사각지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0).
만약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 내라고 판단된다면, 단속카메라(320)는 불법 주정차 차량을 촬영할 수 없기 때문에 작동을 하지 않으며,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을 보완하기 위하여 검지카메라(310)가 작동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다(S2040).
제어부(1000)는 검지카메라(31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다(S2050). 차량의 번호판의 문자 인식에 대한 방법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차량 번호판의 문자 인식이 완료되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S2060). 대기 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하는 시간 동안 카메라들은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다른 부분을 감시할 수 있다.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검지카메라(400)는 동일한 위치에서 다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며(S2070), 제어부(1000)는 검지카메라(40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다시 인식한다(S2080).
그 다음, 제어부(1000)는 대기 시간 전 인식한 문자와 대기 시간 후 다시 인식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한다(S2090). 이러한 판단으로 인식된 두 문자가 동일하다면 차량이 적어도 5분 정도 같은 위치에서 불법 주정차하였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입증되는 것이다.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 위치에 불법 주정차한 다른 차량인 것이므로 다시 처음부터 단속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다면, 상기 불법 주정차한 차량에 대하여 단속처리를 수행한다(S2100).
한편, S2030 단계에서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 내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속카메라(320)가 작동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며(S2110), 제어부(1000)는 단속카메라(32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한다(S2120).
차량 번호판의 문자 인식이 완료되면,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S2130). 마찬가지로 대기 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하는 시간 동안 카메라들은 주정차 금지구역 내의 다른 부분을 감시할 수 있다.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단속카메라(320)는 동일한 위치에서 다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며(S2140), 제어부(1000)는 단속카메라(320)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다시 인식한다(S2150).
그 다음, 제어부(1000)는 대기 시간 전 인식한 문자와 대기 시간 후 다시 인식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한다(S2160).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지 않다면, 동일 위치에 불법 주정차한 다른 차량인 것이므로 다시 처음부터 단속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인식된 문자가 동일하다면, 상기 불법 주정차한 차량에 대하여 단속처리를 수행한다(S2100).
상기 도 6의 순서도에서 볼 수 있듯이, 도 5a 및 도 5b의 구조는 검지카메라(310)와 단속카메라(320)를 별도의 가로대에 분리하여 설치하며, 단속카메라(320)의 촬영 사각지역을 검지카메라(310)를 이용하여 보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촬영 수단의 설치 없이도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을 보완할 수 있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의 구조를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서 제 1 가로대(210)의 단부에 고해상도 카메라(제 2 카메라, 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해상도 카메라(400)는 단속카메라(320)의 촬영 사각지역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도 6의 S2030 단계에서 정지된 차량의 위치가 단속카메라(320)의 사각지역 내라고 판단된다면, 검지카메라(310)는 작동을 하지 않고, 대신 고해상도 카메라(400)가 작동하여 상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살펴본 본 발명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에 의하면, 팬, 틸트, 줌 기능을 갖는 고가의 단속카메라의 추가적인 설치 없이 단속카메라의 촬영 사각지역을 보완할 수 있어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설치의 비용과 기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팬, 틸트 기능이 없는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므로 제품 사용 기간이 늘어날 수 있으며, 유지, 관리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나아가, 설치 구조와 단속방법을 최적화하여 사각지역 내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 인식 및 배경영상 등의 단속자료 획득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상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 가로대;
    상기 제 1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팬틸트 동작을 수행하여 주정차 금지구역에 정지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가로대와 제 1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는 제 2 가로대;
    상기 제 2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가로대 또는 제 2 가로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을 촬영하는 제 3 카메라;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의 하측에 촬영 사각지역인 제 1 구역이 발생되고,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제 1 구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가로대의 길이와 상기 제 1 각도가 결정되며,
    상기 제 3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제 1 구역에 정지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중 제 1 구역 이외의 제 2 구역에 정지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한 차량에 대하여 경고안내방송 또는 경고안내문이 출력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로대는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각도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카메라이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2백만 화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8. 제 3 카메라가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제 1 단계;
    상기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차량이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차량이 주정차 금지구역 내에 정지한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 1 카메라의 촬영 사각지역인 제 1 구역 안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제 1 구역 안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차량을 단속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제 1 구역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3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속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차량이 제 1 구역 안에 있는 경우,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2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촬영단계;
    상기 제 1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1 문자인식단계;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대기단계;
    상기 제 2 카메라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2 촬영단계;
    상기 제 2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2 문자인식단계;
    상기 제 1 문자인식단계와 제 2 문자인식단계에서 인식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동일판단단계; 및
    상기 동일판단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을 단속하는 단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속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차량이 제 1 구역 안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1 카메라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1 촬영단계;
    상기 제 1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1 문자인식단계;
    기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대기단계;
    상기 제 1 카메라가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 2 촬영단계;
    상기 제 2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판의 문자를 인식하는 제 2 문자인식단계;
    상기 제 1 문자인식단계와 제 2 문자인식단계에서 인식된 문자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동일판단단계; 및
    상기 동일판단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을 단속하는 단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단속방법.
KR1020130047465A 2013-04-29 2013-04-29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KR10131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65A KR101311861B1 (ko) 2013-04-29 2013-04-29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465A KR101311861B1 (ko) 2013-04-29 2013-04-29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861B1 true KR101311861B1 (ko) 2013-09-27

Family

ID=4945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465A KR101311861B1 (ko) 2013-04-29 2013-04-29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488A (ko) * 2014-11-05 2016-05-13 노남섭 사각지대 단속이 용이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 장치
CN111698465A (zh) * 2020-04-29 2020-09-22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调整监控覆盖面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756A (ko) * 2006-05-17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사각지역 불법주정차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9796B1 (ko) 2009-07-16 2010-02-02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사각지대의 주정차 위반 단속이 가능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005B1 (ko) * 2011-01-18 2011-07-26 렉스젠(주)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756A (ko) * 2006-05-17 2006-11-15 (주)한일에스티엠 사각지역 불법주정차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9796B1 (ko) 2009-07-16 2010-02-02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사각지대의 주정차 위반 단속이 가능한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005B1 (ko) * 2011-01-18 2011-07-26 렉스젠(주)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488A (ko) * 2014-11-05 2016-05-13 노남섭 사각지대 단속이 용이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 장치
KR101648898B1 (ko) * 2014-11-05 2016-08-17 노남섭 사각지대 단속이 용이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 장치
CN111698465A (zh) * 2020-04-29 2020-09-22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调整监控覆盖面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859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US9195894B2 (en) Vehicle and mobile device traffic hazard warning techniques
KR100922497B1 (ko) 영상융합을 이용한 교통 위반 단속 시스템
KR100895846B1 (ko) 주차정보제공및 불법주차와 불법차량의 무인단속시스템
KR101355201B1 (ko) 시-공간적 특징벡터 기반의 차량인식을 활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CN107784844B (zh) 智能交通信号灯系统及其道路环境检测方法
US11688278B1 (en) Traffic drone system
KR102362304B1 (ko) 사고 감지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1861B1 (ko)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지역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CN113012436A (zh) 道路监控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319508B1 (ko) 초점열화방법을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JP2005234774A (ja) 交通信号無視車両警告装置、及び交通信号無視車両警告・記録装置
KR101882888B1 (ko)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에서의 파노라마 영상 제공 방법
KR101986303B1 (ko) 이동식 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2055693B1 (ko) 긴급 차량 진행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GB2601115A (en) An audio/video capturing device, vehicle mounted device, control centre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JP2008233960A (ja) 情報提示装置
KR102308446B1 (ko) 차량 역주행 감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0865511B1 (ko) 차량 탑재형 정지선 위반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1143B1 (ko) 주행차량 단속용 차량탑재 카메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54219B1 (ko) 횡단보도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5880912A (zh) 车辆超限的预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8169786A (ja) ボラード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ラード稼動状態通知方法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