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75B1 -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475B1
KR101311475B1 KR1020070007979A KR20070007979A KR101311475B1 KR 101311475 B1 KR101311475 B1 KR 101311475B1 KR 1020070007979 A KR1020070007979 A KR 1020070007979A KR 20070007979 A KR20070007979 A KR 20070007979A KR 101311475 B1 KR101311475 B1 KR 10131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hange
blink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229A (ko
Inventor
정문식
유은경
이영범
유명현
양경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참조하여 각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음성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른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분석부 및 상기 확인된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 점멸, 음성 객체, 영상 객체

Description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n/off of luminous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소자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채널과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으로 구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객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이동 결과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분리부
220 : 분석부
230 : 제어부
240 : 발광부
본 발명은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참조하여 각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쓰이는 종래의 아날로그 TV 방송 방식은 주사선수, 초당 전송 화상 수, 변조 방식, 채널 대역폭, 영상 신호 대역폭, 오디오 채널 변조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방송 방식으로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PAL(Phase Alternation Line) 및 SECAM(Sequentiel Couleur A Memoire)이 있다.
한편, 화질은 35mm 영화와 비슷하며, 음질은 CD와 비슷한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 TV(High Definition Television) 기술이 있다. 디지털 TV 기술은 아날로그 대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술로서, 디지털 신호는 MPEG-2 방식에 의해 압축되어 전송된다.
디지털 방송은 인간의 눈이 세로 방향보다 가로 방향에 대해 더 민감하다는 점이 반영되어 16:9의 화면 비율로 전송된다. 이는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의 화면 비율인 4:3에 비하여 가로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가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시청자는 실제보다 넓은 화면을 제공받고 있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
종래의 아날로그 방송보다 약 5배의 고화질을 제공하는 디지털 TV 기술 즉, 디지털 방송은 현재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아날로그 방송과 공존하고 있으나 그 영역은 계속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이, 고화질 및 화면 크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CRT(Cathode Ray Tube) 기술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화면의 크기를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기술 이용하여 구현하게 되었으며,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FED(Field Emission Display)를 이용한 기술도 개발 중이다.
한편, 화면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은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제품 가격의 상승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비용의 발생을 최소로 줄이면서 화면의 크기가 확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참조하여 각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음성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른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분석부 및 상기 확인된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른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소자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장치로서 TV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변별로 서로 독립적인 발광 소자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변, 하변, 좌변 및 우변에 구비된 각각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그 점멸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평면의 연장 평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계 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3개 층의 발광 소자가 각 변별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계층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발광 소자 그룹(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라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는 분할된 변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의 일측과 다른 측에 서로 다른 발광 소자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은 각 변이 절반으로 분할되어 각 변별로 2개의 발광 소자 그룹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발광 소자 그룹(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에 포함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그 점멸이 결정된다.
한편, 도 1은 6개의 발광 소자 그룹(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변에서의 분할 회수에 따라 발광 소자 그룹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각 발광 소자 그룹에 포함된 발광 소자의 개수도 발광 소자 계층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이하, 점멸 제어 장치라 한다)(200)는 분리부(210), 분석부(220), 제어부(230) 및 발광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리부(210)는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서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하여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음성 컨텐츠만을 포함하거나 영상 컨텐츠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분리 부(2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여 분리를 수행하지 않고 판단 결과에 따른 컨텐츠를 분석부(2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분석부(220)는 분리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컨텐츠 또는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른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부(220)는 음성 분석부(221) 및 영상 분석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량의 변화를 확인함에 있어서, 음성 분석부(221)는 음성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컨텐츠는 2채널, 2.1채널, 5채널 또는 5.1채널 등 복수 개의 음성 채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음성 분석부(221)는 각 채널에서의 음량 변화를 별도로 확인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채널과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변에 두 개씩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과 5.1 채널의 스피커 시스템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센터 채널(3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11, 112)에 대응되고, 좌측 프론트 채널(3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21, 122)에 대응되고, 우측 프론트 채널(3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31, 132)에 대응되고, 좌측 서라운드 채널(3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변 하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22) 및 하변 좌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41)에 대응되고, 우측 서라운드 채널(3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변 하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32) 및 하변 우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42)에 대응되고, 우퍼 채널(3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41, 142)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좌측 프론트 채널(310)에서 음량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21, 122)이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되고, 우측 서라운드 채널(340)에서 음량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우변 하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32) 및 하변 우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42)이 점멸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음성 채널은 도 3에 대응 관계가 도시된 발광 소자 그룹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발광 소자 그룹과 대응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퍼 채널(3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41, 142)과 대응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모든 발광 소자 그룹(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에 대응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좌측 프론트 채널(310) 및 우측 프론트 채널(320)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변 및 우변에 배치된 두 개의 발광 소자 그룹(121, 122, 131, 132)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나, 좌변 및 우변의 상측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21, 131) 및 상변에 배치된 발광 소자 그룹(111, 112)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음성 채널과 발광 소자 그룹간의 대응 관계는 점멸 제어 장치(200)의 제조시에 결정될 수 있으며, 점멸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음성 컨텐츠가 2채널의 음성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 1 채널에서의 음량이 큰 상태에서 작은 상태로 변화하고, 그와 동시에 제 2 채널에서의 음량이 작은 상태에서 큰 상태로 변화하면, 이를 청취하는 사용자는 유형 또는 무형의 물체(이하, 음성 객체라 한다)가 제 1 채널에서 제 2 채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각 채널에서의 음량 변화가 조합됨으로써 음성 객체의 움직임이 인식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음성 분석부(221)는 이를 이용하여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여기서, 음성 컨텐츠의 채널 수가 2이상임에 따라, 각 채널에서의 음량 변화의 조합에 따른 복수 개의 음성 객체가 생성될 수도 있는데, 음성 분석부(221)는 각각의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도 있다.
영상의 변화를 확인함에 있어서, 영상 분석부(2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으로 구분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영상 분석부(222)는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 변화를 별도로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좌측에 배치된 세부 영상 구역은 좌측 발광 소자 그룹(121, 122)에 대응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우측에 배치된 세부 영상 구역은 우측 발광 소자 그룹(131, 132)에 대응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상측에 배치된 세부 영상 구역은 상측 발광 소자 그룹(111, 112)에 대응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상의 하측에 배치된 세부 영상 구역은 하측 발광 소자 그룹(141, 142)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222)는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 변화의 조합을 이용하여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서 영상 변화가 발생한 후 그 오른쪽에 배치된 세부 영상 구역에서 영상 변화가 발생하면 영상 분석부(222)는 영상 객체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석부(220)는 음량의 변화 또는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고, 음성 객체 또는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데, 확인된 결과는 제어부(230)로 전달된다.
제어부(230)는 분석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230)는 음성 채널과 발광 소자 그룹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음량의 변화가 발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 그룹의 점멸을 제어하거나, 세부 영상 구역과 발광 소자 그룹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영상의 변화가 발생된 세부 영상 구역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 그룹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음량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제어 대상인 발광 소자 그룹의 점멸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특정 음성 채널에서 음량의 변화가 발생됨에 따라 해당 발광 소자 그룹에 포함된 발광 소자 모두가 점등되도록 하다가 소정 임계치 이상의 음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점등된 발광 소자를 모두 점멸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발광 소자의 점등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발광 소자 그룹에 포함된 발광 소자 중 점등 또는 소등되는 발광 소자를 각각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은 음성 객체 또는 영상 객체의 이동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객체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상 객체(510)의 이동에 따라 그 점멸이 결정된 발광 소자 그룹(122, 132)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객체(510)는 최초에 디스플레이 영역 중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영상 객체(510)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분석부(222)는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영상 객체(510)의 이동 방향(520)이 우측 방향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확인된 영상 변화 및 영상 객체(510)의 이동 방향(520)은 제어부(230)로 전달되고, 제어부(230)는 전달받은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발광 소자 그룹(122, 132)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변 하측에 구비된 발광 소자 그룹(122) 및 우변 하측에 구비된 발광 소자 그룹(132)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영상 객체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영상 분석부(222)로부터 전달받았으므로 이에 따른 점멸 패턴으로 발광 소자 그룹(122, 132)이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도 5의 이동 결과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영상 객체(510)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단계(S610)에서 영상 객체(51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좌변 발광 소자 그룹(122)에 포함된 모든 발광 소자는 점등되고, 우변 발광 소자 그룹(132)에 포함된 모든 발광 소자는 소등된다.
그리고, 2 단계(S620)에서 영상 객체(510)가 1 단계에 비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좌변 발광 소자 그룹(122)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발광 소자는 소등되고, 우변 발광 소자 그룹(132)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발광 소자는 점등된다.
그리고, 3 단계(S630)에서 영상 객체(510)가 2 단계에 비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좌변 발광 소자 그룹(122)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제외한 모든 발광 소자는 소등되고, 우변 발광 소자 그룹(132) 중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제외한 모든 발광 소자가 점등된다.
그리고, 4 단계(S640)에서 영상 객체(510)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좌변 발광 소자 그룹(122)에 포함된 모든 발광 소자는 소등되고, 우변 발광 소자 그룹(132)에 포함된 모든 발광 소자는 점등된다.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그룹(122, 132)의 점멸 패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 객체(510)의 이동을 보다 현장감 있게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영상 객체(510)의 이동에 따른 발광 소자 그룹의 점멸 패턴을 나타내고 있으나,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이 음성 분석부(221)에 의하여 확인된 경우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해당 발광 소자 그룹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로 점멸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광 소자의 점멸이 음량의 변화 및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에 의하여만 제어되거나 영상의 변화 및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에 의하여만 제어될 수 있으며, 음량의 변화, 영상의 변화,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 모두가 발광 소자의 점멸 제어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음성 객체 또는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은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대각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하학적 형태의 이동 경로를 갖는 이동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부(240)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로 구성되어 제어부(23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 소자를 점멸하는 역할을 한다. 발광 소자로는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이 그 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중 가격이 저렴하고 발광 효과가 뛰어난 발광 다이오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하여 점멸 제어 장치(200)의 분리부(210)는 우선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한다(S710). 여기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소정의 통신 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수신된 것일 수 있으며, 점멸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 때, 분리부(2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여 분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추출된 컨텐츠를 분석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분리부(210)에 의하여 추출된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는 각각 음성 분석부(221) 및 영상 분석부(222)로 전달되고, 음성 분석부(221) 및 영상 분석부(222)는 각각 전달받은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720, S730).
음성 분석부(221)는 음성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확인하거나 복수 개의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채널간의 음량의 이동 방향 즉,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그리고, 영상 분석부(2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거나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음성 분석부(221) 또는 영상 분석부(222)에 의하여 확인된 음량의 변화, 영상의 변화,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 및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는 제 어부(230)로 전달되고, 제어부(230)는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발광부(240)를 구성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한다(S740).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부(230)는 복수 개의 음성 채널과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특정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에 대하여 특정 음성 채널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음량의 변화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과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에 대하여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거나 영상의 변화에 따른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부(240)의 발광 소자는 점등되거나 소등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보다 확대된 것으로 지각하게 되며 보다 현장감 있는 시각 효과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참조하여 각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화면의 크기가 확대되어 지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보다 현장감 있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8)

  1.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음성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른 음성 채널별 음량의 변화 또는 화면상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분석부; 및
    상기 확인된 음량의 변화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계층적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는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객체 또는 상기 음성 채널별 음량의 변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계층적으로 점멸이 제어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음성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확인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음성 채널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특정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특정 음성 채널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음성 채널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결정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기 음성 채널간 음량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화면을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결정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10.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음성 컨텐츠 및 영상 컨텐츠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음성 컨텐츠 또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진행됨에 따른 음성 채널별 음량의 변화 또는 화면상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음량의 변화 또는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자리에 계층적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는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객체 또는 상기 음성 채널별 음량의 변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음성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계층적으로 점멸이 제어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음성 채널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특정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특정 음성 채널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음성 채널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음성 채널에서의 음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기 음성 채널간 음량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화면을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세부 영상 구역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간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세부 영상 구역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영상 구역에서의 영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영상 객체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070007979A 2007-01-25 2007-01-25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1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979A KR101311475B1 (ko) 2007-01-25 2007-01-25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979A KR101311475B1 (ko) 2007-01-25 2007-01-25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229A KR20080070229A (ko) 2008-07-30
KR101311475B1 true KR101311475B1 (ko) 2013-09-25

Family

ID=398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979A KR101311475B1 (ko) 2007-01-25 2007-01-25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4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184A (ja) * 2001-08-22 2003-03-04 Maruhon Ind Co Ltd 遊技機
JP2003062268A (ja) * 2001-08-30 2003-03-04 Konami Co Ltd パチンコ機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並びにパチンコ機
KR20060096150A (ko) * 2003-11-17 2006-09-07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기능들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184A (ja) * 2001-08-22 2003-03-04 Maruhon Ind Co Ltd 遊技機
JP2003062268A (ja) * 2001-08-30 2003-03-04 Konami Co Ltd パチンコ機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並びにパチンコ機
KR20060096150A (ko) * 2003-11-17 2006-09-07 노키아 코포레이션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기능들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229A (ko)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157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that adjusts video display parameters based on video picture type
EP1658553B1 (en) A visual content signal appar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content signal thereof
JP5199327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9049440B2 (en) Independent viewer tailoring of same media source content via a common 2D-3D display
JP2011528208A (ja) ビデオ処理およびテレプレゼンス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164060A (ja) 多画面表示装置
CN1879403A (zh) 基于周围的视频内容适配闭路字幕文字
US20150109346A1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cording medium
US9483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vision backlignting
JP2008211652A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消費電力低減方法
KR101311475B1 (ko) 발광 소자의 점멸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3703354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9122367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11510304B1 (en) System for producing mixed reality atmosphere effect with HDMI audio/video streaming
JP2007183461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システム
JP2011259298A (ja) 3次元音声出力装置
KR10107616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80099206A (ko)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292272B1 (ko) 컨텐츠의 지각 크기를 확장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9064594A (ja) 照明装置、それを備えてなる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方法
US20130021454A1 (en) 3d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TW201426529A (zh) 通訊設備及其播放方法
JP2019040135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11081178A (ja) 映像表示装置
KR20190030512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